KR100210233B1 -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 Google Patents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33B1
KR100210233B1 KR1019970013804A KR19970013804A KR100210233B1 KR 100210233 B1 KR100210233 B1 KR 100210233B1 KR 1019970013804 A KR1019970013804 A KR 1019970013804A KR 19970013804 A KR19970013804 A KR 19970013804A KR 100210233 B1 KR100210233 B1 KR 10021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easurement
variable resistor
detectio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901A (ko
Inventor
명현성
이수랑
Original Assignee
명현성
주식회사메리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현성, 주식회사메리디안 filed Critical 명현성
Priority to KR101997001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2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인체경락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한 경혈탐측장치는 경락을 통해 흐르는 전압값의 측정단위가 되는 기준저항값이 설정되는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기 탐측시 인체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기준저항값을 구하고, 이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전압조정 가변저항기에 고정(clamp)시켜 탐측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람마다 서로 다른 피부환경(건조도, 각질의 두께 등)에 관계없이 탐측부위의 경혈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본 발명은 인체경락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한 경혈탐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탐측시 측정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경혈탐측의 측정단위가 되는 기준저항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탐측부위의 경혈점을 찾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혈탐측장치는 생체의 전기적인 특성을 통해 질병부위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인체내부의 전기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세포가 손상되면 그 부위는 정상세포를 지날때와는 다른 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인체의 한 측정점에 약한 전압을 가하면 경락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피측정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인체의 경혈점에 전압을 가하여 검출한 측정값과 기설정된 정상인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질병유무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피부의 건조도나 각질의 두께 등에 따라 피부의 임피던스가 매 사람마다 측정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 영역이 10㏁에서 50㏀정도로 상당히 넓은 영역에 걸쳐 있어 피부상에서 비경혈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점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는 경혈점을 찾는 방법이 쉽지 않았다.
기존의 여러 종류의 경혈탐측장치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 탐측시마다 측정하고자하는 피부의 저항값 영역에 포함되는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찾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를들어, 100㏀∼200㏀의 저항값 영역에 포함되는 손가락의 경혈점을 찾고자할 때,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1㏁으로 설정하여 손가락의 경혈점을 찾으면 1/10∼2/10의 범위내에서 경혈점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그러므로,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더 낮추어 경혈점을 찾아야 한다. 만약, 300㏀의 기준저항값으로 손가락의 경혈점을 찾으면, 1/3∼2/3의 범위내에서 경혈점을 찾기 때문에 1㏁을 기준저항값으로 설정하여 경혈점을 찾을때보다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혈탐측장치는 사람마다 서로 다른 피부환경(건조도, 각질의 두께등)에 따라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변경하여 새로 설정해야하기 때문에 기준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외부에서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하였다.
상술한 방법이외에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변경시키는 방법으로는 경혈탐측장치의 외부에 발스위치를 장착하고, 이 발스위치의 조작으로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변경하고, 이 변경된 기준저항값을 전압조정 가변저항기에 고정(clamp)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은 경혈탐측방법들은 탐측을 할 때마다 피부의 저항값 영역에 따른 기준저항값에 대한 외부 조정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인체의 서로 다른 여러 부위의 경혈점을 탐측하는 경우, 각 탐측부위마다 기준저항값을 새롭게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준저항값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측정의 정확성을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는 기준저항값을 얻기 위해선 몇차례의 조정을 거쳐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의 경혈탐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기 탐측시 인체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기준저항값을 구하고, 이 기준저항값을 전압조정 가변저항기에 고정(clamp)시켜 측정단위(기준저항값)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압발생부 20 :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
30 : 전압조절부 40 : 제어신호발생부
42 : 논리곱로직 44 : 시간펄스발생기
60 : 전압조정가변저항기 12, 50 : 필터
A1,A2,A3 : 비교기 A4 : 탐측신호증폭기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의 탐측전압을 발생하여 경혈점을 측정하는 경혈탐측장치에 있어서, 매 탐측시 상기 경혈점의 측정단위가 되는 기준저항값이 설정되는 전압조정 가변저항기, 초기 탐측시 인체로부터 인가되는 측정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에 기준저항값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전압발생부, 상기 전압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들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 상기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값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압조절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동안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초기탐측시 측정된 전압에 의해 기준저항값(측정단위)을 고정하는 전압조정 가변저항기(R6)를 구비한다. 이 전압조정 가변저항기(R6)는 측정전극을 인체로부터 떼어내면 고정(clamp)된 기준저항값이 삭제된다. 탐측신호증폭기(A4)는 인체로부터의 탐측전압을 증폭하여 도면에 미도시된 탐측전압처리장치로 현재 측정된 측정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탐측전압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경혈탐측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전압을 이용하여 질병유무를 판단하고 표시하는 장치이다. 그러므로, 이 탐측전압처리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탐측신호증폭기(A4)는 증폭된 측정전압을 전압발생부(10)로 출력한다. 전압발생부(10)는 탐측신호증폭기(A4)를 거쳐 증폭된 측정전압(VIN)을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20)로 출력한다. 전압발생부(10)는 제 1필터(12)를 구비하며, 측정전압(VIN)에 실린 인체의 노이즈성분을 제거한 필터링전압(VF)을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 1필터(12)를 통해 탐측전압(VIN)을 필터링하는 이유는 노이즈가 제거되어 안정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비교기들(A2,A3)은 안정된 전압에 의해서 정확한 동작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압발생부(10)는 기준전압(VREF)을 소정 크기로 분압하는 가변저항들(R1,R2,R3,R4)을 구비하며, 이 가변저항들(R1,R2,R3,R4)을 거쳐 분압된 전압들(V1,V2,V3)은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20)로 입력된다.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20)는 전압발생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들(VIN,VF,VREF)을 입력받아 그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기들(A1,A2,A3)로 구성된다. 전압조절부(30)는 제 1비교기(A1)의 출력전압을 가변저항(R5)으로 조정한 소정 크기의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조절부(30)의 후단에는 스위치(S)가 구성된다.
한편, 제어신호발생부(40)는 비교기들(A2,A3)의 출력에 따라 트리거(trigger)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AND)로직(42)과, 논리곱로직(42)으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시간펄스(Time Pulse)를 발생하는 시간펄스발생기(44)로 구성된다. 이 시간펄스발생기(44)는 논리곱로직(42)의 출력에 따라 전압조절부(30)의 출력단에 구성된 스위치(S)를 도통(ON) 또는 불통(OFF)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S)가 도통(ON)되면, 전압조절부(30)의 출력은 제 2필터(50)를 거쳐 전압조정 가변저항기(60)로 인가되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60)는 탐측에 적합한 기준저항값으로 고정(clamp)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기준설정 경혈탐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탐측이 시작되기 전, 측정전압(VIN) 및 필터링전압(VF)는 0V이고, 기준전압(VREF)을 분압한 소정 크기의 전압들(V1,V2,V3)만 비교기들(A1,A2,A3)로 출력된다. 이때, 제 2비교기(A2)는 양(+)의 값인 제 2전압(V2)을, 제 3비교기(A3)는 음(-)의 값인 제 3전압(V3)을 출력한다. 따라서, 논리곱로직(42)은 제 2비교기(A2) 및 제 3비교기(A3)에 의해 제 1논리신호(0)를 출력한다.
측정전극을 인체에 갖다대는 동작으로 초기 탐측이 시작되면, 인체로부터 탐측된 초기탐측전압은 탐측신호증폭기(A4)로 입력된다. 탐축신호증폭기(A4)는 증폭된 측정전압(VIN)을 도면에 미도시된 탐측전압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한편, 제 1비교기(A1)로 출력한다. 또한, 탐측신호증폭기(A4)는 증폭된 측정전압(VIN)을 제 1필터(12)로 출력한다. 제 1필터(12)는 증폭된 측정전압(VIN)에 실린 인체의 노이즈성분을 제거한 필터링전압(VF)을 비교기들(A2, A3)로 출력한다.
측정전압(VIN)과 필터링전압(VF)이 상승하게 되어 제 3전압(V3)보다 높아지면 제 3 비교기(A3)의 출력은 음(-)에서 양(+)의 전압으로 반전된다. 그러므로, 논리곱(AND)로직(42)은 제 2비교기(A2)로부터의 양(+)의 전압값에 의해 제 2논리신호(1)을 출력한다. 필터링전압(VF)이 제 2전압(V2)에 도달하게 되면, 이번에는 제 2비교기(A2)의 출력이 양(+)에서 음(-)으로 반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논리곱로직(42)은 제 2비교기(A2)로부터의 음(-)의 전압값에 의해 제 1논리신호(0)을 출력한다. 시간펄스발생기(44)는 논리곱로직(42)으로부터 인가되는 논리신호들(0,1)을 트리거신호로하여 소정의 시간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한다.
한편, 제 1증폭기(A1)는 탐측신호증폭기(A4)에서 증폭된 인체의 측정전압(VIN)과 가변저항기(R1)에 의해 분압된 제 1전압(V1)을 입력받는다. 제 1증폭기(A1)는 입력된 전압들(VF,V1)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한다. 전압조절부(30)는 가변저항(R5)을 통해 적당한 전압크기로 조정된 신호 즉, 현재 측정하고자하는 피부의 기준저항값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을 스위치(S)로 출력한다. 여기서, 가변저항(R5)에 연결된 다이오드(D)는 입력신호중 음(-)의 전압값에 의해 회로가 파괴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스위치(S)는 시간펄스발생기(44)로부터 스위치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도통(ON)된다. 이 스위치제어신호는 시간펄스발생기(44)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시간폭을 갖는 펄스이다. 따라서, 스위치(S)는 전압조절부(30)로부터 기준저항값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전압을 제 2필터(50)로 출력한다. 제 2필터(50)는 입력되는 전압에 실린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압을 평활하여 전압조정 가변저항기(R6)로 출력한다. 따라서, 전압조정 가변저항기(R6)는 현재의 피부상태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적당한 크기의 기준저항값으로 고정(clamp)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압조정 가변저항기(R6)에 고정(clamp)된 기준저항값은 현재 측정부위의 기준저항값이 되므로 언제든지 다른 부위를 측정하거나 다시 기준저항값을 변경하고자할 때 측정전극을 인체에서 떼었다가 다시 갖다대는 동작만으로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탐측동작도중 인체피부의 저항값이 초기 설정된 기준저항값보다 더욱 높아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동작하는 비교기들(A1,A2,A3)에 의해 기준저항값이 다시 고정(clamp)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체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한 경혈탐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기 탐측시 인체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기준저항값을 구하고, 이 기준저항값을 전압조정 가변저항기에 고정(clamp)시켜 탐측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람마다 서로 다른 피부환경(건조도, 각질의 두께 등)에 관계없이 탐측부위의 경혈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7)

  1. 소정의 탐측전압을 발생하여 경혈점을 측정하는 경혈탐측장치에 있어서,
    매 탐측시 상기 경혈점의 측정단위가 되는 기준저항값이 설정되는 전압조정 가변저항기;
    초기 탐측시 인체로부터 인가되는 측정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에 기준저항값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전압발생부;
    상기 전압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들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
    상기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전압의 크기를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값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부; 및
    상기 전압조절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동안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는 경혈을 탐측하기 위한 측정전극을 인체로부터 떼면 기설정된 기준저항값이 클리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발생부는 인체로부터의 측정전압(VIN)과 이 측정전압에 실린 노이즈를 제거한 필터링전압(VF) 및 상기 탐측전압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가변저항기들을 통해 소정 크기로 분압한 전압들(V1,V2,V3)을 상기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전압 비교신호발생부는
    상기 전압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측정전압(VIN)과 상기 기준전압(VREF)에서 분압된 제 1전압(V1)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제 1비교기;
    상기 전압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필터링전압(VF)과 상기 기준전압(VREF)에서 분압된 제 2전압(V2)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제 2비교기; 및
    상기 전압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필터링전압(VF)과 상기 기준전압(VREF)에서 분압된 제 3전압(V3)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제 3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부는 상기 제 1비교기로부터 측정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를 동작시키는 최소한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비교신호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논리곱로직;
    상기 논리곱로직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논리신호(0) 및 제 2논리신호(1)를 트리거신호로하여 시간펄스를 발생하는 시간펄스발생기;
    상기 시간펄스발생기로부터 입력되는 시간펄스의 하이구간동안 도통(ON)되어 상기 전압조절부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전압조정 가변저항기로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곱로직의 탐측전의 출력신호는 제 1논리신호(0)이며, 탐측이 시작되면 상기 필터링전압(VF)이 상승함에 따라 제 2논리신호(1)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KR1019970013804A 1997-04-15 1997-04-15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KR10021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804A KR100210233B1 (ko) 1997-04-15 1997-04-15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804A KR100210233B1 (ko) 1997-04-15 1997-04-15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901A KR19980076901A (ko) 1998-11-16
KR100210233B1 true KR100210233B1 (ko) 1999-07-15

Family

ID=1950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804A KR100210233B1 (ko) 1997-04-15 1997-04-15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03A (ko) * 2000-12-01 2001-03-05 고관영 인체경혈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의 계측장치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89B1 (ko) * 2007-06-19 2009-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경혈 식별기
KR101387285B1 (ko) * 2012-09-13 2014-04-21 심희자 양도점 탐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양도점 탐측방법
KR102054741B1 (ko) * 2018-02-27 2020-01-22 주식회사 세이가 경혈점의 위치 측정, 분석 및 자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03A (ko) * 2000-12-01 2001-03-05 고관영 인체경혈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의 계측장치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901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5215B2 (ja) 干渉の存在下での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514129A (en) Automatic bipolar control for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US20080051647A1 (en) Non-invasive acquisition of large nerve action potentials (NAPs) with closely spaced surface electrodes and reduced stimulus artifacts
WO2007133718A2 (en) Non-invasive acquisition of large nerve action potentials (naps) with closely spaced surface electrodes and reduced stimulus artifacts
KR100210233B1 (ko) 측정단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혈탐측장치
JP2005511097A (ja) 電気穿孔装置用の抵抗回路安定化及びパルス持続時間制御システム
US20190307402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CN113143242A (zh) 一种用于测量人体脊柱骨电抗的电路系统
EP3851035B1 (en) Lead-on detection circuitry of biopotential acquisition system
EP1163926A1 (en) Device for iontophoresis
JPH04336063A (ja) 歯科用根尖位置検出装置
RU96108462A (ru) Способ региональной биоимпедансометр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19099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биологической ткани
WO2017219542A1 (zh) 生物传感器的信号自适应调节装置
RU20823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по состоянию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точек
JPS61128943A (ja) 生体情報検出装置
CN211911605U (zh) 一种肌电检测电路和肌电检测装置
JPH0229940Y2 (ko)
US20230341450A1 (en) Capacitance detection circuit
KR100457051B1 (ko) 전기치수검사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SU17065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иоадаптив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SU16396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 влен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точек
RU21695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пунктуры
KR0129475B1 (ko)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전원 노이즈 제거회로
KR940008866B1 (ko) 부저 음량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