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192B1 -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192B1
KR100210192B1 KR1019970009977A KR19970009977A KR100210192B1 KR 100210192 B1 KR100210192 B1 KR 100210192B1 KR 1019970009977 A KR1019970009977 A KR 1019970009977A KR 19970009977 A KR19970009977 A KR 19970009977A KR 100210192 B1 KR100210192 B1 KR 10021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s
support plate
fine adjustmen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243A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101997000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1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1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리를 위해 일정높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자동차의 부품 교체시 임의 높이까지 받침판을 승강시켜 원하는 각도로 기울여 가며 중량체 부품을 받친채 하강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부품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무게가 무거운 부품들을 안전한 상태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하부에 받침다리(11)가 설치되는 고정지주(1)내에, 공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동지주(2)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가동지주(2)내에는 미세조절손잡이(21)에 의해 미세 승하강하는 미세조절나사봉(22)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미세조절나사봉(22) 선단에는, 외주면에 커플링(5)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부의 구형부(41)가 받침판(3)저면의 볼하우징(31)내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회동구(4)의 연결고정부(42)를 설치하며, 상기 받침판(3) 저면에는 상기 커플링(5)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봉(51)에 직교되게 나착되는 경사조절봉(52) 선단의 호형부(52a)가 끼워져 걸리는 걸이홈(32a)을 갖는 걸이구(3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경사판(3)의 네모서리부위에는 장공(33)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선단에 경사면(34a)을 형성한 받침구(34)를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 조립용 받침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 작동상태도.
제5a,b도는 본 발명의 구성 요부인 받침판의 전후좌우 경사조절 작동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지주 2 : 가동지주
3 : 받침판 4 : 피봇회동구
5 : 커플링 11 : 받침다리
21 : 미세조절손잡이 22 : 미세조절나사봉
31 : 볼하우징 32 : 걸이구
32a : 걸이홈 34 : 받침구
34a : 경사면 41 : 구형부
42 : 연결고정부 51 : 지지봉
52 : 경사조절봉 52a : 호형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수리를 위해 일정높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자동차의 구성부품, 예를 들면 엔진이나 미숀 등의 무게가 무거운 부품의 교체시 임의 높이까지 받침판을 상승시켜 원하는 각도로 기울여 가며 중량체 부품을 받친 채 하강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부품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무게가 무거운 부품들을 안전한 상태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성부품들 중 무게가 무거워 혼자서 들기에는 무리가 되는 무거운 부품, 즉 엔진이나 미션 등을 교체 장착해야 하는 경우, 먼저 작업자는 수리할 자동차를 별도의 리프트장치로서 일정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차체 저부에서 교체하여야 할 부품의 일단을 잡고서 조심스레 분해 작업을 하여 차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한 후 두 사람 이상이 분해부품을 들어낸 후 다시 새로운 옮겨 차체에 장착하도록 하는 것인 바, 이는 작업성격상 여러 작업자가 매우 위험한 상황에 그대로 노출된 채 작업을 해야 하는데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으며, 또한 부품교체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능률이 저하 될 뿐만 아니라 부품을 떨어뜨려 부품을 망가뜨리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교체 장착될 부품을 밑에서 받쳐 주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부품의 정밀한 교체장착을 기대할 수가 없게 되는 등 자동차의 안전상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저면부품 교체시 발생하는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중량체 부품을 받칠 수 있는 받침판을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승하강 높이를 공압 및 나선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자동차 저부의 교체해야 할 부품을 안전하게 받쳐 놓은 상태에서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하되, 받침판으로 하여금 교체되는 부품의 외형과 설치부위의 각도변화에도 적절히 대응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자동차 저부를 통한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는 하부에 다수의 캐스터가 설치된 받침다리를 설치한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 내에 공압에 의해 승, 하강 자유롭게 끼워지는 가동지주와, 상기 가동지주 내에 미세조절나사봉을 설치하여 그 정상부에 커플링과 피봇회동구를 개재하여 자체회전 및 그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적 요소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받침장치(A)는 크게 고정지주(1)와 가동지주(2) 및 받침판(3)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지주(2)를 받침판(3)에 연결 부착하기 위한 피봇회동구(4) 및 커플링(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주(1) 일측에는 공압조절변(13)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동지주(2)가 공압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12)가 설치되는 받침다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지주(2) 내에는 외주면 일측에 축선방향으로 요입홈(22a)을 형성한 미세조절나사봉(22)이 삽입 설치되어 미세조절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되며 상기 미세조절나사봉(22) 선단에는 고정홈(22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받침판(3)의 저면에는 볼하우징(31)이 설치되며, 이 볼하우징(31)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미세조절나사봉(22)에 결합되는 연결고정부(42)를 형성한 피봇회동구(4)의 구형부(41)가 설치되며, 이 피봇회동구(4)의 연결고정부(42) 외주에는, 다수의 지지봉(51)(51)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이에 직교되게 경사조절봉(52)(52)을 각각 나착한 커플링(5)을 설치하고, 상기 경사조절봉(52)(52)의 선단은 호형부(52a)(52a)로 형성하여 상기 받침판(3) 저부의 대응위치에 설치된 걸이구(32)(32)의 걸이홈(32a)(32a)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3)의 네모서리측에는 각각 장공(33)을 형성하여 선단을 경사면(34a)으로 형성한 채 각각 상이한 높이를 갖는 받침구(34)를 장공(33)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은 탄발스프링, 7은 가동지주(2)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공구받침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저면 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의 실시작동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에어콤프레셔(도시생략)와 연결되어 고정지주(1) 일측에 설치되는 공압조절변(13)을 작동시켜 가동지주(2)를 일정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자동차 저부의 교체할 부품 저면측에 받침판(3)의 받침구(34)로 하여금 안전한 상태로 교체할 부품을 받칠 수 있도록 미세조절손잡이(21)를 이용해 미세조절나사봉(22)을 상승시켜 받침판(3)의 상승높이를 미세조절하여 맞춘 상태에서 교체 하고자 하는 부품을 가장 안전하고 확실하게 받칠 수 있도록 받침판(3) 및 받침구(34)의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받침판(3)은 저면의 볼하우징(31)에 구형부(41)가 끼워지는 피봇회동구(4)의 연결고정부(42) 및 이 연결고정부(42) 외주에 장착되는 커플링(5)을 고정볼트(50)로서 관통하여 이 고정볼트(50)의 선단부가 미세조절나사봉(22)선단의 고정홈(22b)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받참판(3)으로 하여금 미세조절나사봉(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받침판(3)자체를 전후좌우로 그 경사 기울기를 달리할 수도 있는 것인바, 이는 받침판(3) 저부에 부착 설치된 걸이구(32)의 걸이홈(32a)에 선단의 호형부(52a)가 끼워져 걸린 양 경사조절봉(52)을 선택적으로 적절하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이는 경사조절봉(52)을 회전하게 되면 경사조절봉(52)은 지지봉(51)에 나착된 채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에 따라 그 선단의 호형부(52)에 의해 걸이구(32)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받침판(3)을 밀거나 당기게 됨에 따라 받침판(3)은 그 하부의 볼하우징(31)으로 하여금 내접 설치된 구형부(41)를 타고 피봇 회동함에 따라 그 전후좌우로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받침판(3)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에는 교체하기 위한 부품의 외형 형상에 맞추어 받침판(3)의 네모서리측에 형성된 장공(33)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받침구(34)의 각각의 위치를 장공(33) 내에서 이동해가며 그 선단의 경사면(34a)으로 하여금 부품의 외면에 최대한 밀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를 조절한 후 받침구(34)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면 받쳐야할 부품의 외면이 호형면이라 할지라도 임의 방향으로 경사 가능한 받침판(3)과 이 받침판(3)에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된 다수의 받침구(34)의 존재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요동없이 교체될 부품의 외면을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받침장치(A)의 받침판(3)에 교체를 위해 차체로부터 분리된 부품을 얹은 상태에서 공압조절변(13)을 작동시켜 위로 상승된 상태의 가동지주(2)를 최대한 하강시켜 그 높이를 낮춘 후 다시 미세조절손잡이(21)를 앞서와는 반대로 회전시켜 미세조절나사봉(22)을 최대한 하강시킨 후 받침판(3) 상의 부품을 들어내게 되면 자동차저부로부터 교체를 위한 부품의 제거 작업은 모두 마쳐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교체 장착 해야할 새로운 부품을 받침판(3) 상에 올려놓고서 다시 받침구(34)를 조절해가며 얹혀진 부품이 안전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후 공압조절변(13)을 작동시켜 하강되었던 가동지주(2)를 일정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미세조절손잡이(21)를 이용하여 미세조절나사봉(22)을 상승시켜 받침판(3) 상에 얹혀진 부품을 자동차 저부의 장착위치에 최대한 근접시킨 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차체에 체결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부품이라 할지라도 작업자 혼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봉(22)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판(3)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기울임장치나 받침구 등을 설치하지 않은 단순한 구성으로도 할 수 있는 등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저면부품분해조립용 받침장치에 의하면, 하부에 다수의 캐스터가 설치되어 이동이 자유로운 고정지주 내에 공압에 의해 적은 진폭으로 승, 하강 자유롭도록 가동지주를 끼워 설치한 후, 이 가동지주 내에 미세조절나사봉을 설치하여 그 정상부에 커플링과 피봇회동구를 개재하여 받침판을 자체 회전 및 그 기울기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정비시 엔진이나 미숀 등의 무게가 무거운 부품의 교체시 자동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차체저부의 교환해야할 부품외면에 받침판 및 받침구선단을 밀접시켜 가장 안전한 상태로 부품이 요동되는 일없이 받침판을 하강시켜 받침판 상의 부품을 들어낸 후 새로운 부품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다시 받침판을 상승시켜 차체저부의 해당부위에 위치되도록 한 후 차체에 체결 장착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부품들도 작업자 혼자서 안전하고 간단하게 제거 및 교체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안전사고 발생우려를 불식시키는 한편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하부에 받침다리(11)가 설치되는 고정지주(1) 내에, 공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동지주(2)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가동지주(2) 내에는 미세조절손잡이(21)에 의해 미세 승하강하는 미세조절나사봉(22)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미세조절나사봉(22) 선단에는, 외주면에 커플링(5)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부의 구형부(41)가 받침판(3) 저면의 볼하우징(31) 내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회동구(4)의 연결고정부(42)를 설치하며, 상기 받침판(3) 저면에는 상기 커플링(5)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봉(51)에 직교되게 나착되는 경사조절봉(52) 선단의 호형부(52a)가 끼워져 걸리는 걸이홈(32a)을 갖는 걸이구(3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경사판(3)의 네모서리부위에는 장공(33)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선단에 경사면(34a)을 형성한 받침구(34)를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 조립용 받침장치.
KR1019970009977A 1997-03-22 1997-03-22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KR10021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77A KR100210192B1 (ko) 1997-03-22 1997-03-22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77A KR100210192B1 (ko) 1997-03-22 1997-03-22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43A KR19980074243A (ko) 1998-11-05
KR100210192B1 true KR100210192B1 (ko) 1999-07-15

Family

ID=1950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977A KR100210192B1 (ko) 1997-03-22 1997-03-22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1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025A (zh) * 2013-09-10 2013-12-18 吴江红蔷薇纺织有限公司 一种散热器油冷管接管安装辅助装置
CN104924262A (zh) * 2015-05-05 2015-09-23 柳州三农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持握装置
CN106426031A (zh) * 2016-12-01 2017-02-22 无锡市创恒机械有限公司 高度调整结构
KR20190004154A (ko) * 2017-07-03 2019-01-1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체결 장치
KR200488823Y1 (ko) * 2017-07-26 2019-03-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모터 커플링 분해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19B1 (ko) * 2013-02-22 2014-09-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보일러 하부커버 취외장치
CN107336186A (zh) * 2017-07-26 2017-11-10 浙江省长兴丝绸有限公司 一种经编机驱轴箱的拆卸安装辅助工具
CN113878289B (zh) * 2021-11-23 2023-12-2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焊接球地面拼装可调节支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025A (zh) * 2013-09-10 2013-12-18 吴江红蔷薇纺织有限公司 一种散热器油冷管接管安装辅助装置
CN104924262A (zh) * 2015-05-05 2015-09-23 柳州三农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持握装置
CN106426031A (zh) * 2016-12-01 2017-02-22 无锡市创恒机械有限公司 高度调整结构
KR20190004154A (ko) * 2017-07-03 2019-01-1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체결 장치
KR102441564B1 (ko) * 2017-07-03 2022-09-06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체결 장치
KR200488823Y1 (ko) * 2017-07-26 2019-03-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모터 커플링 분해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43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192B1 (ko)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US4844387A (en) Monitor arm apparatus
US6877881B2 (en) Worklight
US5190265A (en) Vehicle service tool
EP2426392A2 (en) Micro-adjustable supporting device
US20080054133A1 (en) Supporting arm for a monitor screen
US5104075A (en) Machine leveling device
WO1992014561A1 (en) An arrangement in extractor cranes
CA2246039C (en) Three-wheel pivot-caster assembly
JPH08208200A (ja) 昇降ブリッジ
NL1004362C2 (nl) Inrichting voor het voor bewerking beweegbaar opstellen van een werkstuk.
US6086207A (en) Camera leveling head
JPH0228008A (ja) 自動車用補助スノーチェーン装置の位置決め及び取り付け装置
US5816552A (en) Camera dolly arm attachment
KR102221216B1 (ko) 다용도 높낮이 조절 장치
JPH08261248A (ja) 端末を取り付けるための器具及びその方法
JPH10122479A (ja) 筐体の安定支持装置
JP2989048B2 (ja) 設備機材昇降装置
US20130153727A1 (en) Infinite axial adjustment mount
GB2320891A (en) Height adjustable support
CN111742176A (zh) 一种在灯头竖直方向具有遥控机构的照明灯三脚架
US9322537B1 (en) Signal light apparatus
CA2940206C (en) Signal light apparatus
WO2022222535A1 (zh) 锯架
CN219927381U (zh) 一种可定向脚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