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62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626B1
KR100209626B1 KR1019960064157A KR19960064157A KR100209626B1 KR 100209626 B1 KR100209626 B1 KR 100209626B1 KR 1019960064157 A KR1019960064157 A KR 1019960064157A KR 19960064157 A KR19960064157 A KR 19960064157A KR 100209626 B1 KR100209626 B1 KR 10020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ermentation
rotary shaft
food waste
w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912A (ko
Inventor
김종석
박명석
장호근
곽동진
정석문
권혁민
이병천
허경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62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6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stirrer shaft or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편 구조를 나선형으로 하되, 상기 날개편과 회전축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날개편과 발효조 사이는 근접되도록 하여 사용시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상부로 완전히 이동시킨 다음 가운데 부분으로 모아진 상태로 낙하되면서 교반되도록 함에 따라 발효에 필요한 공기의 충분한 공급에 의해 발효속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함께 발효보조제의 과수분 상태 방지에 의한 냄새가스 발생율도 줄어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효조 내에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발효조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나선상의 날개편이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날개편이 발효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보조제를 상부로 이동시켜 주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킴과 함께 회전축과 발효조 사이를 근접시키고,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의 상단을 한쌍의 상부고정편에 의해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의 하단을 하부고정편에 의해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발효조 내로 투입된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잔밥이나 잔반 등을 발효에 의해 처리하여 퇴비화 하는 기기로서, 근래에 들어서면서 쓰레기 종량제의 실시와 매립지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반입 중지로 인해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에 있고 이에 더불어 제조 업체의 기아급수적인 증가와 관련기술의 발전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그럼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2)을 열어 상기 본체(1) 내로 지지된 발효조(3)에 발효보조제(통상 톱밥을 사용하고 있다)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다음 다시 뚜껑(2)을 닫고 발효모드를 선택하면 교반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발효조(3) 내로 투입된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시켜 주는데, 이와 동시에 히터(4)가 동작하여 열을 발생시키므로 발효조(3)의 가열에 의해 발효보조제와 혼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설정 발효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발효군의 성장이 왕성해 지면서 발효가 진행되고 상기 발효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감량화된다.
이와 같이 발효가 진행될 때 발효에 필요한 공기는 흡기구(5)를 통해 발효조(3) 내로 공급되고 상기 발효가 행하여 짐에 따라 냄새가스는 공기와 함께 배기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되는 공기중의 냄새가스는 상기 배기구(6) 내에 설치된 탈취기(7)에 의해 대부분 탈취되므로 비교적 청정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종래 교반장치는 첨부된 제1도 내지 제2도와 같이 본체(1) 내의 발효조(3) 하방에 부착된 모터(11)와, 상기 발효조(3)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11)의 구동축과 결합된 회전축(12)과, 상기 회전축에 일정 높이차를 갖고 직교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편(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효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의 발효조(3) 하방에 부착된 모터(11)가 구동하므로 상기 발효조(3) 내에 설치된 회전축(12)이 모터(11)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축(12)이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에 일정 높이차를 갖고 직교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편(13)이 결국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원주를 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발효조(3) 내로 투입된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각 날개편(13)에 의해 섞어진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교반장치는 실제로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주는 역할을 하는 날개편이 회전축과 직교되게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기기의 작동시 각 날개편에 의한 교반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발효보조제 내부로 발효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결국 발효속도가 느려짐과 함께 장기간 사용시 발효보조제의 수분 과다로 인해 냄새가스의 발생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회전축에 구비된 날개편이 스크류 형태인 나선형으로 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일부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지만 이는 날개편이 회전축과 직교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보다는 교반작용이 원활하지만 만족할만한 효과를 가지기에는 여러가지로 부족하다.
즉,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교반을 하지만 나선형의 날개편이 전부분 회전축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음에 따라 상부로 이동된 상기 혼합물(발효보조제+음식물 쓰레기)이 바깥쪽으로 낙하되면서 교반을 하므로 상기 나선형 날개편과 발효조 사이에는 항상 혼합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임을 감안할 때 낙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교반상태가 만족할 정도로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날개편 구조를 나선형으로 하되, 상기 날개편과 회전축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날개편과 발효조 사이는 근접되도록 하여 사용시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로 완전히 이동시킨 다음 가운데 부분으로 모아진 상태로 낙하되면서 교반되도록 함에 따라 발효에 필요한 공기의 충분한 공급에 의해 발효속도가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발효보조제의 과수분 상태 방지에 의한 냄새가스 발생율도 줄어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발효조 내에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발효조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나선형의 날개편이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날개편이 발효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보조제를 상부로 이동시켜 주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킴과 함께 회전축과 발효조 사이를 근접시키고,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의 상단을 한쌍의 상부고정편에 의해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의 하단을 하부고정편에 의해 고정시켜서 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종래 교반장치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교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교반장치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교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A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발효조
101 : 모터 102 : 회전축
103 : 날개편 104,104a : 상부고정편
105 : 하부 고정편 106 : 접촉편
106a : 요입홈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제3도는 본 발명 교반장치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 교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3도의 A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 내의 발효조(3) 하방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모터(101)가 부착되고, 상기 발효조(3) 내에는 모터(101)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회전축(10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나선형으로 된 날개편(103)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과 회전축(102)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킴과 함께 날개편(103)과 발효조(3) 사이를 근접시키고, 상기 회전축(102)과 날개편(103)의 상단을 ㄱ자형으로 된 한쌍의 상부고정편(104)(104a)으로 고정시킴과 함께 회전축(102)과 날개편(103)의 하단을 하부고정편(105)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편(104)(104a) 중 일측 상부고정편(104)에는 끝단이 발효조(3)의 내벽면과 접촉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접촉편(106)을 결합시킨다.
상기 나선형으로 된 날개편(103)은 하단에서 상단까지 2단(두바퀴) 나선형으로 하고, 접촉편(106)의 발효조(3) 접촉부분의 재질은 연질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편(105)은 발효조(3)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하면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된 형태로 하고, 나선형으로 된 날개편(103)의 상단부를 회전축(10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접촉편(106)이 한쌍의 상부고정편(104)(104a) 중 일측 상부고정편(10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촉편(106)에 ㄱ자형의 요입홈(106a)을 형성하여 상기 접촉편(106)이 일측 상부고정편(104)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ㄱ자형의 요입홈(106a)이 일측 상부고정편(104)의 코너부분에 끼워져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효모드 선택시 본체(1) 내의 발효조(3) 하방에 부착된 모터(101)가 구동하므로 상기 발효조(3) 내에 설치된 회전축(102)이 모터(101)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축(102)이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에 한쌍의 상부고정편(104)(104a)에 의해 상단이 고정되고 하부고정편(105)에 의해 하단이 고정된 나선형의 날개편(103)이 원주를 이루므로 발효조(3) 내의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섞어진다.
즉, 나선형으로 된 날개편(103)이 회전축(102)의 회전에 따라 원주를 그리게 되면 발효조(3)의 가장 하부에 있는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날개편(103)의 하단을 회전축(102)에 고정시켜 주고 있는 하부고정편(105)에 안내되어 상기 날개편(103)으로 실리게 되고 이 실린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는 날개편이 나선형임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다가 어느순간 상기 날개편(103)의 상부 끝단을 완전히 벗어나 가운데 부분으로 모여들면서 회전축(102)과 날개편(103) 사이를 통해 대부분 하부로 낙하됨과 함께 극히 일부는 날개편(103)과 발효조(3)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므로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가 완벽하게 섞이게 된다.
상기에서 회전축(102)과 날개편(103)의 하단을 고정시켜 주고 있는 하부고정편(105)은 발효조(3)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상태로서 상기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져 있고, 회전방향으로 라운딩되어 있는 형태임에 따라 상기 날개편(103)이 원주를 이룰 때 발효조(3) 하부의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하부고정편(105)에 의해 원활히 안내되어 날개편(103)으로 실림은 이해 가능하고, 상기 날개편의 상단부가 회전축(102) 방향으로 경사져 있음에 따라 날개편(103)에 실린채로 상부 끝단까지 이동된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회전축(102) 방향의 경사부에 의해 쉽게 하부로 낙하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회전축(102)의 회전에 따라 원주를 그리는 나선형 날개편(103)은 하단에서 상단까지 두바퀴 감겨진 2단형으로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날개편(103)의 상하단 만이 회전축(102)에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날개편이 원주를 그리는 과정에서 흐트러짐이 없이 안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102)의 회전에 따라 날개편(103)이 원주를 그리면서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줄 때 한쌍의 상부고정편(104)(104a) 중 일측 상부고정편(10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접촉편(106)은 끝단이 발효조(3)의 내벽면에 계속해서 접촉되고 이에 따라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가 섞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발효조(3)의 내경에 묻어 있게 되는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물이 상기 접촉편(106)에 의해 닦아진다.
상기한 접촉편(106)은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는 상기 접촉편이 발효조(3)의 내경에 묻어 있는 발효보조제를 닦아내어 줄 때 상기 발효조와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이면서 발효조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기기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접촉편(106)의 발효조(3) 내경면 접촉부분이 마모되거나 기타 다른 요인으로 인해 상기 접촉편(106)을 새로운 접촉편으로 갈아주고자 할 경우가 생기게 되고, 이때에는 회전축(102)을 모터(101)의 구동축에서 분리하여 발효조(3) 외부로 빼낸 다음 일측 상부고정편(104)에 결합되어 있는 접촉편(106)을 위로 잡아 당기면서 옆으로 잡아 당기면 되는데, 이때 상기 접촉편에 형성된 ㄱ자형상의 요입홈(106a) 내로 일측 상부고정편(104)의 코너부분이 끼워져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접촉편(106)은 일측 상부고정편(104)에서 탈거된다.
이후 새로운 접촉편이 요입홈을 일측 상부고정편(104)의 코너부분에 끼우면 상기 새로운 접촉편이 다시 일측 상부고정편(104)에 장착되고, 새로운 접촉편의 장착 완료후에는 회전축(102)을 다시 모터(101)의 구동축에 끼워 결합하면 된다.
상기 접촉편(106)에 형성된 요입홈(106a)이 ㄱ자형상으로 된 것은, 상기 요입홈이 일측 상부고정편(104)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축(102)의 회전에 따라 나선형 날개편(103)이 원을 그릴 때 상기 접촉편(106)의 끝단부가 발효조(3)의 내경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접촉편(106)이 일측 상부고정편(104)의 수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날개편 구조가 나선형이면서 상기 날개편과 회전축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상부로 이동하였다가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하부로 낙하되어 교반작용을 이룸에 따라 발효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고 이로 인해 발효속도가 향상됨과 함께 발효보조제의 과수분상태 방지에 의해 냄새가스 발생율도 대폭 줄어드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발효조 내에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발효조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나선상의 날개편이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날개편이 발효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보조제를 상부로 이동시켜 주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킴과 함께 회전축과 발효조 사이를 근접시키고,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의 상단을 한쌍의 상부고정편에 의해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회전축과 날개편의 하단을 하부고정편에 의해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날개편의 상단부가 회전축 방향으로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고정편이 발효조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상태이고 회전축에서 반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더 낮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고정편이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부고정편 중 일측 상부고정편에 끝단이 발효조의 내벽면과 접촉된 상태로 접촉편이 착, 탈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접촉편에 ㄱ자형의 요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ㄱ자형의 요입홈 내로 일측 상부고정편의 코너부가 끼워져 있음에 따라 접촉편이 일측 상부고정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접촉편의 끝단인 발효조 접촉부분 재질이 연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19960064157A 1996-12-11 1996-12-1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020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157A KR100209626B1 (ko) 1996-12-11 1996-12-1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157A KR100209626B1 (ko) 1996-12-11 1996-12-1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912A KR19980045912A (ko) 1998-09-15
KR100209626B1 true KR100209626B1 (ko) 1999-07-15

Family

ID=1948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157A KR100209626B1 (ko) 1996-12-11 1996-12-11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0572A1 (en) * 2004-01-27 2005-08-04 Sang Hak Kw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waste food operator with rotate function by scre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91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6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JP3850283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2009012474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기 구조
KR10020539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KR1998004591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A2435017C (en) Continuous composter
KR1002268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보조제 파쇄장치
KR1002359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193788B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의 파쇄장치
KR100216180B1 (ko) 스프링 보조익 부착 교반기를 지닌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6647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JP2000135447A (ja) 厨芥処理機
JPH10151435A (ja) 立型生ゴミ処理機
JPH09294968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066288A (ja) 生ゴミ等の処理装置
JPH10337553A (ja) 生ゴミ処理機
KR100198403B1 (ko) 비산 교반형 교반기를 지닌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459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01729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수탈취장치
KR19990049009A (ko) 혼합성능을 향상시킨 교반날개구조
KR20020009338A (ko) 교반 겸용 분쇄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41082U (ko) 이동가능한 교반익 구조의 교반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3483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공기 공급장치
KR1999005709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물 배출장치
KR19980041086U (ko) 양축 교반익 구조의 교반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