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423B1 - Safety apparatus of elevator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423B1
KR100208423B1 KR1019960011102A KR19960011102A KR100208423B1 KR 100208423 B1 KR100208423 B1 KR 100208423B1 KR 1019960011102 A KR1019960011102 A KR 1019960011102A KR 19960011102 A KR19960011102 A KR 19960011102A KR 100208423 B1 KR100208423 B1 KR 100208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elevator
floor
car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20923A (en
Inventor
가쓰미 오히라
마사히데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2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4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안전장치의 동작시한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얻는다.Obtain an elevator safety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set an operating time limit for the safety device.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카에 설치되고, 층상을 검출해서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층상검출수단과 카의 이동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위치신호의 출력이 있었을 때의 상기 계수수단의 값에 따라서, 각 층상의 레벨위치를 구하는 레벨연산수단과, 상기 층상의 레벨위치중의 최상층 및 최하층의 층상레벨위치와 정격(定格)속도와 그 정격속도로부터 정해지는 정수로부터 전행정 주행시간을 연산하는 전행정 주행시간 연산수단과, 상기 전행정 주행시간에 따라 동작시한을 설정하는 동작시한 설정수단과, 상기 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카상태 검출수단이, 상기한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상기 동작시한이상 계속했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지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이다.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loor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floor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unting means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stance of the car, and outputting the position signal. The level calculation means for obtaining the level position of each layer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ounting means at the time of occurrence, the layer level position and the rated speed of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st layer among the level positions of the layer, and the rated speed thereof. All stroke traveling tim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whole stroke traveling time from a losing constant,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on time limit according to the all stroke driving time, and car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tate that the car is not moving. A stop signal output for outputting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elevator when the state in which the car cannot be moved continues beyond the operation time limit. It is provided with a stag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의 안전장치Elevator safety device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개 략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apparatus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computer shown in FIG.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계수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ing circuit shown in FIG.

제4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4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by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가속도, 속도형상을 표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cceleration and velocity shape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Fig. 6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by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Fig. 7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by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Fig. 8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by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9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by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7 : 계수회로 8 : 마이크로 컴퓨터7: counter circuit 8: microcomputer

11 : 위치검출기 12 : 위치검출기11: position detector 12: position detec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異)물질 등으로 로프가 시브(sheave)상에서 슬립되고 있을 때, 카를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device for stopping a car when a rope is slipped on a sheave with a foreign material or the like.

이물질등으로 로프가 시브(sheave)상에서 슬립되고 있을 때, 카를 정지시키기 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안전장치의 동작시한을 일정한 값으로 설정해서 엘리베이터의 카를 정지시키고 있었다.When a rope is slipped on a sheave due to foreign matter or the like, the conventional elevator safety device for stopping the car has stopped the elevator car by setting the operation time limit of the safety device to a constant value.

한편, 안전장치의 동작시한의 기준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BSI (Britishstandards Institution)의 BS 56 55 Part 1. 10. 6. 2절에 전공정 주행시간 등에 기준한 동작시한이 정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time limit of the safety device is defined in BS 56 55 Part 1. 10. 6. 2 of the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또, 전공정 주행시간의 산출에 관련하는 것으로는, 예를들면 일본국특개소 60-1975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층상 위치검출에 의한 제어장치가 있다.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the previous process travel time is a control device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loor of an elevator as described, for example, in JP-A-60-197572.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안전장치의 동작시한을 고정으로 해놓았기 때문에, 동작시한의 설정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가 없었다.In the conventional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the operation time limit of the safety device is fixed, and therefore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time limit cannot be freely changed.

그래서 , 예를들면 미리 전행정(全行程)주행시간을 산출하여 , 기억수단에 값을 기억해두고, 동작시한을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되나, 엘리베이터마다 값이 변하기 때문에 , 하나하나 설계 계산해서 기억수단에 설정해야 하며 , 또 실제의 엘리베이터의 설치오차 등으로 마진이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Thus, for exampl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total travel time in advance, storing the value in the storage means and setting the operation time limit is considered. However, since the value changes for each elevator, the design means is calculated one by o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rgin was reduced due to the actual installation error of the elevator.

여기서 ,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장치의 동작시한을 적절한 값에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eliminating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aims at obtaining an elevator safety device which can automatically set an operating time limit of the safety device to an appropriate value.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카에 설치되고 층상을 검출해서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층상검출수단과, 카의 이동거리에 따라 발생하는펄스수를 카운트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위치신호의 출력이 있었을때의 상기 계수수단의 값에 따라서, 각 층상의 레벨위치를 구하는 레벨연산수단과, 상기 층상의 레벨위치중의 최상층 및 최하층의 층상레벨위치와 정격(定格)속도와 그 정격속도로부터 정해지는 정수로부터 전행정 주행시간을 연산하는전행정 주행시간 연산수단과, 상기 전행정주행시간에 따라 동작시한을 설정하는 동작시한 설정수단과, 상기 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카상태 검출수단이 , 상기한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상기 동작시한이상 계속했을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지신호출력수단을 구비 한다.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loor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floor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unting means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and outputting the posi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counting means at the time of determination, from the level calculation means for obtaining the level position on each layer, from the top and bottom layer level levels, the rated speed and the rated speed of the level positions on the layer. All-stroke running tim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the all-stroke running time from a losing constant, an operating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ng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all-stroke running time, and a car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tate that the car is not moving. Stop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elevator when the state in which the car cannot be moved continues beyond the operation time limit And a.

또, 상기 층상레벨위치가 구해져 있지 않을 때, 미리 정해진 동작시한으로 하는 이상시 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한다.Moreover, when the said layer level position is not calculated | required, the abnormal time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used as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limit is provided.

또, 상기 정격속도 이외의 일정속도로 주행할 때 상기 정격속도 대신에 상기 일정속도로 하는 속도설정수단을 구비한다.Further, when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ther than the rated speed, speed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constant speed instead of the rated speed is provided.

또, 카의 주행때마다 주행시간을 계측하는 주행시간 계측수단과, 종단층간의 주행을 검출하는 종단간 주행검출수단과,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을 검출했을 때 상기 주행시간을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동작시한을 무효로해서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을 우선동작시한으로 하는 우선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한다.Further, travel time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travel time each time the car travels, end-to-end travel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ravel between end layers, and the travel time between the end layers when the travel between the end layers is detected. Priority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is provided for making time and at the same time invalidating the operation time limit to set the traveling time between the end layers as the priority operation time.

또,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적을 때, 상기 종단층간을 직행운전시키는 종단층간 직행운전수단을 구비한다.Moreover, when there is little use of an elevator, it is provided with the end-to-end layer direct drive means which makes a direct drive between the said end floors.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1

이하, 이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drawing.

제1도는 이 발명에 적용한 일본국 특개소 60-197572호 공보에 표시된 여러개의 층상을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traveling on several floor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197572.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계수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comput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ing circuit shown in FIG.

제4도는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에 1은 엘리베이터의 카, 2는 균형추, 3은 시브(4)에 걸려있는 로프이고, 이 로프(3)의 아래로 늘어진 양단에는 각각 카(1) 및 균형추(2)가 결합되어 있다.In FIG. 1, 1 is an elevator car, 2 is a counterweight, 3 is a rope hung on the sheave 4, and a car 1 and a counterweight 2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pe 3, respectively. have.

5는 시브(4)를 구동하는 전동기, 6은 전동기(5)의 회전으로부터 카(1)의 이동거리에 비례한 펼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 , 7은 펄스발생기(6)로부터의 펄스를 계수하는 계수회로, 8은 계수회로(7)로부터의 신호를 취해서 소정의 연산처리를 하는 마이크로컴퓨터, 9는 층상, 10은 각 층상에 대응해서 승강로에 설치한 위치검출용 플레이트, 11, 12는 카(1)에 설치된 위치검출기로, 카(1)가 각 층상의 레벨위치에 도달하면, 각각 출력신호(11a)(12a)를 계수회로(7) 및 마이크로컴퓨터(7)에 송출하는 것으로 위치검출기(11)는 층하 10mm로 부터 층상 30mm, 위치검출기(12)는 층하 300mm로부터 층상 10%n에서 각각 신호를 출력한다.5 is a motor for driving the sheave 4, 6 is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ull proportional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1 from the rotation of the motor 5, 7 is a pulse generator for counting the pulse from the pulse generator (6) A counting circuit, 8 is a microcomputer which takes a signal from the counting circuit 7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arithmetic processing, 9 is on a floor, 10 is on a hoistway corresponding to each floor, and 11, 12 are car ( With the position detector provided in 1), when the car 1 reaches the level position on each floor, the position detector (1) sends the output signals 11a and 12a to the counter circuit 7 and the microcomputer 7, respectively. 11) is a layer 30mm from 10mm below the layer, the position detector 12 outputs a signal at 10% n layered from 300mm below.

마이크로컴퓨터(8)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 CPU(8a), ROM(8b) RAM(8c), 입력포트(8d) 및 출력포트(8e)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icrocomputer 8 is composed of a CPU 8a, a ROM 8b, a RAM 8c, an input port 8d, and an output port 8e.

계수회로(7)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 4비트의 2진회로로 구성된 카운터 CT1, CT2를 구비하고, 이 카운터 CT1의 T단자에는 펄스발생기(6)로부터 출력펄스(6a)가 직접 가해지도록 되어있는 동시에 카운터 CT2의 T단자에는 AND회로 NAND1, NOT회로 NOT1을 통해서 가해지도록 되어있고, 이로인해 각 카운터 CT1, CT2에는 마이크로컴퓨터(8)의 각 연산주기 사이의 카(1)의 주행펄스가 계수되어 저장되고, 이 계수치는 다음의 입력처리로 입력포트(8d)를 통해서 CPU(8a)에 입력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unting circuit 7 includes counters CT1 and CT2 composed of 4-bit binary circuits, and the output terminal 6a of the pulse generator 6 is connected to the T terminal of the counter CT1. The T terminal of the counter CT2 is applied directly through the AND circuit NAND1 and the NOT circuit NOT1. Therefore, the counters CT1 and CT2 are connected to the car 1 between the operation cycles of the microcomputer 8. The running pulse is counted and stored, and this count value is input to the CPU 8a through the input port 8d in the next input process.

또, 계수회로(7)는 R-S플립플롭(이하 다만 플립플롭이라 함) FF1, FF2를 구비하고, 이 각 플림플롭 FF1, FF2의 각 Q출력은 OR회로 OR1의 입력에 접속되고, 이 OR회로 OR1의 출력신호는 NAND회로 NAND1의 다른쪽의 입력으로서 가해진다.In addition, the counting circuit 7 includes RS flip-flo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ip-flops) FF1 and FF2, and each of the Q outputs of each of the flip-flops FF1 and FF2 is connected to an input of an OR circuit OR1. The output signal of OR1 is applied as the other input of the NAND circuit NAND1.

또 이 각 플립플롭 FF1, FF2의 각 세트단자 S에는 NAND회로, NAND2, NAND3의 출력이 각각 접속되고, 이 NAND회로, NAND2, NAND3에는, 위치신호(11),(12)의 출력신호(11a),(12a)의 논리화를 취하는 NOR회로 NORI을 설치하고, 이 NOR회로(1)의 출력신호를 NOT회로 NOT를 통해서 NAND2의 한쪽의 입력으로 하고, 이 NAND회로 NAND2의 다른쪽의 입력에는 NOT회로 NOT3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를 NOT회로 NOT2 및 저항 R1과 콘덴서 C1으로 된 시정수회로를 통해서 출력한 신호를 가하도록 하는 동시에 , NOT회로 NOT3 또는 NOT회로 NOT2와 시정수회로를 통해서 얻어지는 신호를 각각 NOT회로 NOT4, NOT5를 통해서 NAND회로 NAND3의 2입력으로 가하도록 한다.NAND circuits, outputs of NAND2, and NAND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t terminals S of each of the flip-flop FF1 and FF2, and output signals 11a of the position signals 11 and 12 are connected to the NAND circuits, NAND2 and NAND3, respectively. NOR circuit NORI, which is the logic of (12a), is provided, and the output signal of this NOR circuit 1 is made into one input of NAND2 through the NOT circuit NOT, and the other input of this NAND circuit NAND2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NOT circuit NOT3 are applied to the signals output through the NOT circuit NOT2 and the time constant circuit consisting of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and the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NOT circuit NOT3 or the NOT circuit NOT2 and the time constant circuit are respectively NOT. It is applied to 2 inputs of NAND circuit NAND3 through circuits NOT4 and NOT5.

이로인해 NAND회로, NAND2, NAND3의 출력 , 즉, 위치검출기(11) 또는 (12)의 출력신호(11a)와 (12a)의 논리화신호의 상승과 하강에서 플립플롭FF1, FF2가 세트동작되었을 때, 카운터 CT2에 계수스톱이 걸린다.This causes flip-flops FF1 and FF2 to be set in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outputs of the NAND circuits, NAND2 and NAND3, that is, the logic signals of the output signals 11a and 12a of the position detector 11 or 12. When counting, the counter CT2 takes a counting stop.

또 카운터 CT1, CT2 및 플립플롭 FFI, FF2의 각 리세트단자 R에는 마이크로컴퓨터(8)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리세트신호 RESET가 가해진다.The reset signals RESET generated from the microcomputer 8 are applied to the reset terminals R of the counters CT1, CT2 and the flip-flops FFI, FF2.

다음에 , 이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상기한 공지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대해서는, 제1도∼제3도의 구성에 의해, 각 총상의 위치점(예를들면 층상의 상하 300mm)를 RAM에 기록하고, 이 위치점의 평균치에 의해 각 충상의 레벨위치를 구해 엘리베이터 제어를 한다.With respect to the above known elevator control apparatus, by the configuration of FIGS. 1 to 3, each gun position point (for example, 300 mm above and below the floor) is recorded in the RAM, and each charge is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is position point. Control the elevator by finding the level of the image.

이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4도의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이 플로차트에 표시하는 동작은, 마이크로컴퓨터(8)로 소정 주기마다에 실행되는 것이다.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flowchart of FIG. The operation displayed in this flowchart is executed by the microcomputer 8 every predetermined period.

우선, 스텝 20에서 카가 주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주행중이 아니면 스텝 21에서 CAST를 0에 설정한다.First, in step 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r is traveling or not, and in step 21, the CAST is set to 0 if not driving.

이것은 주행중의 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카운터이고, 정지중은 0으로 해두기 위한 처리이다.This is a counter for measuring the state in which the car on the road does not move, and the process for setting it to 0 during stop.

다음에 스텝 22에서 전행정 주행시간 TCAL을 구한다.Next, in step 22, the total stroke travel time TCAL is obtained.

이 전행정 주행시간 TCAL는, 카의 주행을 제5도와 같은 가속도 형상으로 했을 때, 5를 전행정의 주행거리, VTOP를 정격속도,를 카가 주행을 개시해서 정격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의 일정한 가속도, Tj를 가속도0가 될 때까지의 시간, Ta를 정격속도에 가까워져 가속도가 0이 될 때까지의 시간,를 카가 정격속도로부터 속도를 늦추어 정지할때까지의 일정한 가속도, TD를 가속도가 될 때까지의 시간 및 Ti를 가속도가 0이될 때가지의 시간이라고 하면,This all-stroke travel time TCAL indicates that when the car is driven to the acceleration shape as shown in Fig. 5, 5 is the travel distance of the previous stroke and VTOP is the rated speed, The constant acceleration between when the car starts running and reaches the rated speed, the time until Tj becomes zero acceleration, and Ta becomes closer to the rated speed. Time until becomes 0, Accelerated acceleration from the rated speed until the car slows down and stops Acceleration time and Ti until If it is time until is 0,

로 구해 진다.Obtained by

이때 , S는 제5도의 속도형상의 면적 a-b-c-d로 표시되고, 이것은 전행At this time, S is represented by the area a-b-c-d of the velocity shape of FIG.

정의 주행거리가 되므로 최상층과 최하층의 층상 레벨위치의 차이 분으로 구It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floor level of the uppermost floor and the lowermost floor as it becomes the positive mileage.

할 수가 있다.You can do it.

또, -(1/24xxTj xTj - 1/24xaxTaxTa- 1/24xxTdxTd+ 1/24xxvi xTj)/VTOP+ VTOP / (2x) +VTOP / (2x) +(Tj + Ti) /2Again,-(1 / 24x xTj xTj-1 / 24xaxTaxTa- 1 / 24x xTdxTd + 1 / 24x xvi xTj) / VTOP + VTOP / (2x ) + VTOP / (2x ) + (Tj + Ti) / 2

는 가속도 형상의 요소(가속도 a나 각각 속도시간 Tj등)을 일정하다고 생각하면 정격속도 YTOP로 결정되는 값이고, 미리 ROM(8b)에 소정치 CTOP로서 기억시켜 둘 수 있으므로, 실제의 연산은(최상층레벨위치 STOP-최하층레벨위치 STOT)/VTOP + CFOP로 구할 수가 있다.Is a value determined by the rated speed YTOP when the acceleration-shaped elements (acceleration a or the speed time Tj, etc.) are considered to be constant, and can be stored in advance as a predetermined value CTOP in the ROM 8b. It can be obtained by the highest floor level position STOP-lowest floor level position STOT) / VTOP + CFOP.

다음에 , 스텝 23∼26에서 안전회로장치의 동작시한을 산출해서 설정한다.Next, the operation time limit of the safety circuit device is calculated and set in steps 23 to 26.

즉, TCAL가 10초 미만이면 스텝 24에서 TAST에 20초 TCAL + 10초가 45초 미만이면 스텝 25에서 TAST에 TCAL + 10초 TCAL + 10초가 45초 이상이면 스텝 26에서 TAST에 45초를 각각 설정한다.That is, if TCAL is less than 10 seconds, in step 24, if 20 seconds TCAL + 10 seconds is less than 45 seconds, in step 25 TCAL + 10 seconds in TAST, if TCAL + 10 seconds is more than 45 seconds, set 45 seconds in TAST in step 26. do.

이것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동작시한 기준의 한예이고, 이 동작시한은 제3도에 표시하는 ROM(8b)에 기억된다.This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time limit reference of 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nd this operation time limit is stored in the ROM 8b shown in FIG.

한편, 스텝(20)에서 주행중을 인식하면, 스텝 27에서 카가 움지이고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recognizes driving in step 20, it is determined in step 27 whether the car is moving or not.

움직이고 있으면 정상이라고 보고 스텝 28에서 CAST를 0에 설정한다.If it is moving, it is considered normal and in step 28 the CAST is set to zero.

이것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계속해서 계측하기 위한 처리이다.This is a process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non-moving state.

다음에 , 스텝 27에서 움직이지 않는다고 인식되면, 스텝 29에서 이상계속상태를 계측하기 위해 GAST를 인클리먼트해 간다.Next,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unit does not move in step 27, the GAST is incremented to measure the abnormal continuation state in step 29.

이로인해, 제4도가 연산주기마다 처리될때에 CAST를 가산해 가서 스텝23∼26에서 설정된 동작시한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할 수가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operating time set in steps 23 to 26 has been reached by adding the CAST when the fourth degree is processed for each operation period.

즉, 스텝 30에서 CAST가 TAST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해서 TAST이상이면 스텝 31에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다.That is, it is determined in step 30 whether CAS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AST, and if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AST,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elevator is output in step 31 to stop the elevator.

이와같이,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카에 설치되어 층상을 검출해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11),(12)로 되는 공지의 층상 검출수단과, 공지의 계수수단이고, 카의 이동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계수회로(7)와, 위치신호의 출력이 있었을때의 계수수단의 값에 따라서 , 각 층상의 레벨위치를 구하는 공지의 레벨연산수단과, 층상의 레벨위치중의 최상층 및 최하층의 층상레벨위치와, 정격속도와 이 정격속도로부터 정해지는 정수로부터 전행정 주행시간을 연산하는 스텝 22로 되는 전행정 주행시간 연산수단과, 전행정 주행시간에 따라서 동작시한을 설정하는 스텝 23∼스텝 26으로 되는 동작시한 설정수단과, 카상태 검출수단이고,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검출하는 스텝 27과,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동작시한 이상 계속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스텝 29∼스텝 31로 되는 정지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이다.Thus,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this embodiment is well-known layer detection means which are attached to the car, and are the detectors 11 and 12 which detect a floor and output a position signal, and well-known counting means, A counting circuit 7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well-known level calculating means for obtaining the level position on each floor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ounting means when the position signal is output, and the level on the floor All-stroke running time calculating means (22) which calculates the all-stroke running time from the uppermost floor and the lowest floor of the position, the rated speed and the constant determined from this rated speed, and the operation time limit according to the all-stroke running time.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which becomes step 23-step 26 which set the following, step 27 which detects the state which a car cannot move, and the state which a car cannot move, When the continued, will having a stop signal output means that 29~ step to step 31 which outputs a stop signal to stop the elevator.

따라서 ,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고, 동작시한을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또 엘리베이터마다에 판독가능한 기억수단에 전행정 주행시간을 기억해 둘 필요가 없으므로 여러 가지의 판독가능한 기억수단을 가질 필요가 없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all-stroke running time, set the operation time limit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and it is not necessary to store the all-stroke running time in the storage means that can be read for each elevator. none.

또, 카가 움직이지 않는 것의 검출은, 계수회로(7)의 값이 변화하지 않거나, 위치검출기(11),(12)가 동작하지 않는 것등으로 부터 검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that the car does not move can be detected from the value of the counting circuit 7 not changing or the position detectors 11 and 12 not operating.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이하,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6도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또, 제6도는 제4도에 대해 1점 쇄선이 둘러싼 부분을 변경한 것 뿐이므로, 변경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Moreover, since FIG. 6 only changed the part enclosed with the dashed-dotted line | wire in FIG. 4, the changed part is demonstrated.

스텝 40에서 층상 레벨위치가 측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서 측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행정 주행시간으로서 스텝 26에서 45초를 설정한다.In step 4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loor level position is measured. If it is not measured, 45 seconds is set in step 26 as the whole stroke travel time.

이것은 미측정의 층상레벨위치를 사용해 이상이 있는 전행정 주행시간을 잘못 설정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void incorrect setting of the tripping time for abnormal strokes by using the unleveled laminar level position.

이와같이 , 이상시 동작시한 설정수단이고, 층상레벨위치가 구해져 있지 않을 때, 미리 정해진 동작시한으로하는 스텝 40을 구비한 것이다.Thus, it is a setting means for the time of operation | movement at abnormal time, and is provided with step 40 which makes it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limit, when the layered level position is not calculated | required.

따라서 , 아직 층상위치가 구해지지 않았을때는, 소정치를 동작시한으로 하도록 하고, 이상이 있는 층상위치로부터 부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Therefore, when the laminar position has not yet been obtained, the predetermined value can be set as the operation time limit, and it is possible to avoid using an incorrect all-stroke running time from the abnormal laminar position.

또, 층상레벨위치의 미측정에 한하지 않고, RAM(8c)의 이상등으로 층상레벨 위치의 값이 붕괴된 것을 검출했을 때도 전행정 주행시간의 산출을 하지 않는 등의 방법이 생각된다.Moreover, not only the measurement of the floor level position but also the method of not calculating the whole stroke travel time, when detecting the collapse of the value of the floor level position by the abnormality of RAM 8c etc. is considered.

또, 전행정 주행시간의 계측이전에도 소정의 시간, 즉, 기준동작시간이 허용 최장시간에 자동적으로 세트할 수가 있다.Further, even before the measurement of the entire stroke traveling time, the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reference operating time, can be automatically set to the allowable longest time.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이하,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7도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 제7도는 제6도에 대해 1점쇄선이 둘러싼 부분을 변경시킨 것뿐이므로 변경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In addition, since FIG. 7 only changed the part enclosed by the dashed line with respect to FIG. 6, the changed part is demonstrated.

우선, 스텝 50a에서는 지난번의 연산사이클과 같은 운전모드(VTOP)일때는, 주행시간의 연산을 하지 않고, 지난번과 다른 운전모드일 때에 계산을 다시 한다.First, in step 50a, the driving time is not calculated in the same operation mode (VTOP) as in the previous operation cycle, and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again in the other operation mode than the last time.

이때, 지난번의 운전모드는 VTOPM에 기억해두고, VTOPM과 YTOP과의 비교로 연산여부를 판정한다.At this time, the last operation mode is stored in VTOPM, and the operation is judged by comparison between VTOPM and YTOP.

다음, 스텝 50b에서는 YTOPM에 VTOP를 설정해서 스텝 22에서 전행정 주행시 간 TCAL을 구한다.Next, in step 50b, VTOP is set in YTOPM to determine the TCAL for the whole stroke in step 22.

이것은 정격속도이외의 주행에서는 일정속도의 차이에 의해 전행정 주행시간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 일정속도에 맞추어서 전행정 주행시간을 구하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driving tim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ixed speed because the driving time is changed by the difference of the constant speed in driving other than the rated speed.

이와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정격속도이외의 일정속도로 주행할때에 정격속도 대신에 일정속도로 하는 스텝 50a 및 스텝50b로 구성되는 속도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Thus,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speed setting means comprised by step 50a and step 50b which make it constant speed instead of a rated speed when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ther than a rated speed.

따라서 , 정격속도를 변경해서 사용하는 경우, 적절한 값으로 재설정할수가 있고,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며 동작시한을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Therefore, when the rated speed is changed and used, it can be reset to an appropriate value, an accurate full stroke travel time can be obtained, and the operating time limit can be set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실시의 형태 4][Embodiment 4]

이하,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8도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 제8도는 제4도, 제6도, 제7도에 대해 1점쇄선이 둘러싼 부분을 추가로 변경한 것 뿐이므로 변경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In addition, since FIG. 8 only changes the part enclosed by the dashed-dotted line with respect to FIG. 4, FIG. 6, and FIG. 7, it explains the changed part.

우선, 스텝 60에서 주행하였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플래그 FRUN이 FFH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lag FRUN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traveled in step 60 is FFH.

이것은 정지상태로부터 주행상태가 되고, 다시 정지상태로 이행하는것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이다.This is a process for recognizing the transition from the stop state to the running state and shifting to the stop state again.

아직 주행을 인식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61에서 종단층(최하층/최상층)에 정지중인지 여부를 판정해서 정지중이면 스텝 63에서 STA에 OFH/FOH(최하층/최상층)을 설정한다.If it is not recognized yet, it is determined in step 61 whether it is stopped at the terminal floor (lowest floor / top floor), and if it is stopped, OFH / FOH (lowest floor / top floor) is set at STA.

스텝 61에서 종단층에 정지중이 아니면 스텝 62에서 STA에 OOH를 설정한다.If the terminal is not stopped in step 61, the OOH is set in the STA in step 62.

다음에, 스텝 64에서 주행시간 카운터 CRUN을 0을 설정해둔다.Next, in step 64, the travel time counter CRUN is set to zero.

다음에, 스텝 65에서 FSET가 FFH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FFH이면 이미 주행시간이 계측 완료상태이므로, 스텝 71에서 계측완료상태의 주행시간 TRUN을 동작시한 TAST에 설정한다.Next, in step 6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SET is FFH. If it is FFH, since the running time is already in the measurement completion state, in step 71, the travel time TRUN in the measurement completion state is set to the TAST in which the operation is performed.

스텝 65에서 계측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21이후에서 , 제4도, 제6도, 제7도와 같이 전행정 주행시간을 구한다.If it is not measured in step 65, after step 21, the whole stroke traveling time is calculated | required like FIG. 4, FIG. 6, and FIG.

여기서 , FSET는 전원 투입직후의 RAM(8C)의 초기설정시에 OOH에 설정되는 것으로 하고, 일단 FFH가 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Here, the FSET is set to OOH at the initial setting of the RAM 8C immediately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state is maintained once FFH.

한편, 스텝 60에서 주행하였다고 판정했을 때, 스텝 66에서 주행인식 플래그를 OOH에 설정해 둔다.On the other hand, when it determines with having run in step 60, the run recognition flag is set to OOH in step 66.

다음에, 스텝 67에서 종단층에 정지중인지 여부를 판정해서 정지중이 아니면 스텝 62에서 STA에 OOH를 설정한다.Next, in step 6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stopped. If not, in step 62, the OOH is set in the STA.

스텝 67에서 종단층에 정지중이면 스텝 68에서 STP에 OFH/FOH(최하층/최 상층)을 설정한다.If the terminal is stopped at step 67, OFH / FOH (lowest layer / top layer) is set at STP in step 68.

다음에 , 스텝 69에서 STA와 STP의 논리화가 FF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Next, in step 6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gicalization of the STA and the STP is FFH.

즉, 주행전의 정지위치가 종단층(최상층/최하층)이고 주행후의 정지위치가 다른쪽의 종단층(최하층/최상층)인지 여부를 판정한다.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op position before travel is the terminal floor (top floor / lowest floor) and the stop position after travel is the other terminal floor (bottom floor / top floor).

스텝 69에서 FFH이면 스텝 70에서 주행중에 계측한 주행시간 카운터 GRUN을 주행시간 TRUN에 설정하고, 설정이 끝난 인식플래그 FSET를 FFH로하며 , 주행시간 카운터 CRUN을 0으로 설정한다.If it is FFH in step 69, the travel time counter GRUN measured while driving in step 70 is set to travel time TRUN, the set recognition flag FSET is set to FFH, and the travel time counter CRUN is set to zero.

다음에 , 스텝 71에서 계측한 주행시간 TRUN+10초를 동작시한 TAST에 설정 한다.Next, the travel time TRUN + 10 seconds measured in step 71 is set to the TAST in operation.

이로인해, 종단층간 주행시간을 전행정 주행시간으로 해서 우선적으로 안전회로의 동작시한에 설정한다.For this reason, the traveling time between the end floors is set as the travel time of the safety circuit first, and is set to the operation time limit of the safety circuit.

또, 스텝 20에서 주행중을 인식했을 때, 스텝 72에서 주행인식플래그 FRUN을 FFH에 설정하고, 스텝 73에서 주행시간 카운터 CRUN을 인클리먼트한다.When it is recognized in step 20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step 72 the running recognition flag FRUN is set to FFH, and in step 73 the running time counter CRUN is incremented.

이에의해 제8도가 연산주기마다 처리될 때에 , CRUN을 가산해 가고 주행시간을 계측할 수가 있다.As a result, when FIG. 8 is processed for each calculation cycle, CRUN can be added to measure the running time.

다음에 스텝 27이후에도 제4도, 제6도, 제7도와 같이 주행중의 이상검출을 한다Next, after step 27, abnormal detection while runn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S. 4, 6, and 7

이와같이,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카가 주행할때마다 주행시간을 계측하는 스텝 72 및 스텝 73으로 되는 주행시간 계측수단과, 종단층간의 주행을 검출하는 스텝 63, 스텝 68 및 스텝 69로 되는 종단충간 주행검출수단과, 종단충간의 주행을 검출했을 때, 주행시간을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으로 하는 동시에, 동작시한을 무효로해서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을 우선동작시한으로 하는 스텝 70 및 스텝 71로 되는 우선 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travel time measuring means of step 72 and step 73, which measures the running time each time the car runs, and the step 63, step 68, and step 69 of detecting travel between the terminal floors. Step 70 and step of setting the traveling time between the end floors as the traveling time between the end floors, and the running time between the end floors with priority being set as the running time between the end floors when the traveling between the end-between running detection means and the end collision is detected. A priority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of 71 is provided.

따라서 , 종단층간의 실주행시간에 맞추어, 보다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고, 동작시한을 보다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ctual traveling time between end floors, a more accurate all-stroke running time can be obtained, and the operation time limit can be set automatically more accurately.

[실시의 형태 5][Embodiment 5]

이하,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9도는 본 실시의 형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스텝 80에서 FSET가 FFH인지 여부를 판정해서 FFH이면, 종단층간 주행시간이 설정완료상태이므로 처리를 종료한다.In step 8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SET is FFH. If the result is FFH, the process is terminated because the traveling time between the end floors has been set.

FFH가 아니면 스텝 81에서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적은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해서 , 적으면 스텝 82에 의해 양종단간의 호출을 발생시켜, 양종단층간을 직행운전시킨다.If it is not FFH, it is determined in step 81 whether the use of the elevator is low, and if it is small, a call between both ends is generated in step 82, and the oper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end floors is performed directly.

다음에 , 실시형태 4를 표시하는 제8도의 동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종단충간 주행시간을 계측해서 전행정 주행시간을 구하고, 동작시한을 구한다. 이와같이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적을 때, 종단층간을 직행 운전시키는 스텝 81 및 스텝 82로 되는 종단층간 직행운전수단을 구비한 것이다.Next, by the operation of FIG. 8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the end-to-center traveling time is forcibly measured to determine the total stroke travel time, and the operation time limit is obtained. Thus, when there is little use of an elevator, it is provided with the end-to-end floor direct drive means which becomes step 81 and step 82 which drive | operates directly between end floors.

따라서 종단층간을 강제적으로 운전할 수가 있고, 보다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고, 동작시한을 보다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cibly drive between the end floors, to obtain a more accurate all-stroke running time, and to set the operating time limit more accurately and automatically.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년마다 정기적으로 주행시간 측정을 해서 설정시한을 재설정할 수가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t time limit can be reset by periodically measuring the driving time every half year.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카에 설치되고 총상을 검출해서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총상검출수단과, 카의 이동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위치신호의 출력이 있었을때의 상기 계수수단의 값에 따라 각 층상의 레벨위치를 구하는 레벨연산수단과, 상기 층상의 레벨위치중의 최상층 및 최하층의 층상레벨위치와 정격속도와 이 정격속도로부터 정해지는 정수로부터 전행정 주행시간을 연산하는 전행정 주행시간 연산수단과, 상기 전행정 주행시간에 따라서 동작시한을 설정하는 동작시한 설정수단과, 상기 카가 움직일수 없는 상태를 검출하는 카상태 검출수단과, 상기한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상기 동작시한 이상계속한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지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을 얻을 수 있고 동작시한을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unsho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gunshot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unting means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and the position signal. Level calculation means for obtaining the level position on each floor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counting means at the time of output, a floor level position and rated speed of the uppermost and lowermost layers of the level positions on the floor, and a constant determined from the rated speed An all-stroke traveling tim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all-stroke traveling time from the above, an operating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ng time limit according to the all-stroke running time, a car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car cannot move, A stop signal output for outputting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elevator when the state in which the car cannot move continues beyond the operation time limit. Since a means is provided, an accurate all-stroke run time can be obtained, and an operation time limit can be set automatically and correctly.

또, 엘리베이터마다 기억수단에 전행정 주행시간을 기억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판독가능한 기억수단을 갖일 필요가 없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have various readable storage means because the elevator travel time does not need to b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for each elevator.

또, 상기 층상 레벨위치가 구해져 있지 않을 때, 미리 정해진 동작시한으로 하는 이상시 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아직 층상위치가 구해져 있지 않을 때는, 소정치를 동작시한으로 하도록 하고, 이상이 있는 층상위치로부터 부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yered level position is not obtained, an abnormal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is set as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limit. When the layered position is not yet obtained, the predetermined value is set as the operation time limi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use of incorrect all-stroke travel time from the position of the stratified floor.

또, 상기 정격속도이외의 일정속도로 주행할때에 상기 정격속도대신에 상기 일정속도로 하는 속도설정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정격속도를 변경하는 경우, 적절한 값으로 재설정할 수가 있고,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며, 동작시한을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eed setting means is set at the constant speed instead of the rated spee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ther than the rated speed, when the rated speed is changed, it can be reset to an appropriate value, and the accurate all stroke travel. The time is obtained, and the operating time limit can be set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또, 카가 주행할 매마다 주행시간을 계측하는 주행시간 계측수단과, 종단층간의 주행을 검출하는 종단층간 주행검출수단과,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을 검출했을 때 상기 주행시간을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동작시한을 무효로해서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을 우선 동작시한으로 하는 우선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보다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고 동작시한을 보다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ravel time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a travel time for each car to travel, end-to-end travel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ravel between end-termination layers, and when the travel between the end floors is detected, the travel time is run between the end-layers. Since a prior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is provided in which the operation time is set as the time and the running time between the end layers is set as the operation time, the more accurate all-stroke running time is obtained and the operation time is set more accurately and automatically. There is a number.

또,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적을 매 상기 종단층간을 직행운전시키는 종단층간 직행운전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종단충간을 강제적으로 운전할 수가 있고, 보다 정확한 전행정 주행시간이 얻어지고 동작시한을 보다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d-to-end inter-floor direct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end-to-end straight through the operation of less elevator is provided, the end-to-end interlock can be forcibly operated, a more accurate all stroke travel time is obtained, and the operation time limit can be set automatically more accurately. There is a number.

Claims (5)

카에 설치되고, 층상을 검출해서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층 검출수단과, 카의 이동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위치신호의 출력이 있었을 때의 상기 계수수단의 값에 따라서 각 층상의 레벨위치를 구하는 레벨연산수단과,상기 층상의 레벨위치중 최상층 및 최하층의 층상레벨위치와 정격속도와 이 정격속도로부터 정해지는 정수로 부터 전행정 주행시간을 연산하는 전행정 주행시간 연산수단과, 상기 전행정 주행시간에 따라 동작시한을 설정하는 동작시한 설정수단과, 상기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검출하는 카상태 검출수단과, 상기한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상기 동작시한 이상 계속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지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Floor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floor and outputting a position signal, counting means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and a value of the counting means when the position signal is output. A level calculation means for obtaining a level position on each floor according to the above, and an all-stroke running time which calculates the entire stroke travel time from the floor level positions and rated speeds of the top and bottom layers of the level positions on the floor and a constant determined from the rated speeds. The time calculation means, the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operation time limit according to the previous stroke travel time, the car stat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tate that the car cannot move, and the state where the car cannot move, Safety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elevator when continuing more than o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레벨위치가 구해져 있지 않을 때, 미리 정해진 동작시한으로 하는 이상시 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bnormal time operation time setting means that sets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limit when said floor level position is not obtain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격속도 이외의 일정속도로 주행할 때에 상기 정격속도 대신에 상기 일정속도로 하는 속도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speed setting means for making said constant speed instead of said rated speed when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ther than said rated speed. 제1항에 있어서, 카가 주행할때마다 주행시간을 계측하는 주행시간 계측수단과, 종단충간의 주행을 검출하는 종단층간 주행검출수단과, 상기 종단충간의 주행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주행시간을 상기 종단충간의 주행시간으로 하는 동시에 , 상기 동작시한을 무효로 해서 상기 종단층간의 주행시간을 우선 동작시한으로 하는 운선 동작시한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2. The traveling tim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veling time is measured when the driving time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traveling time each time the car runs, the end-to-end floor travel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travel between the terminal bumps, and the traveling between the terminal shocks is detected. An elevator safety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travel time between the terminal bumps and invalidating the operation time and setting the travel time between the end floors to the operation time first. 제4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적을때에 , 종단층간을 직행운전시키는 종단층간직행운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end to end floor direct operation means for directly running between end floors when there is little use of the elevator.
KR1019960011102A 1995-10-23 1996-04-13 Safety apparatus of elevator KR1002084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74269A JPH09110331A (en) 1995-10-23 1995-10-23 Safety device of elevator
JP95-274269 199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23A KR970020923A (en) 1997-05-28
KR100208423B1 true KR100208423B1 (en) 1999-07-15

Family

ID=1753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102A KR100208423B1 (en) 1995-10-23 1996-04-13 Safety apparatus of eleva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110331A (en)
KR (1) KR100208423B1 (en)
CN (1) CN1060744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1530A (en) * 2017-02-17 2017-06-06 湖北泉都立体车库设备有限公司 Multi-storied garage operation state higher limit overtime prot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70A (en) * 1990-05-09 1992-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2677922B2 (en) * 1991-12-11 1997-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564A (en) 1997-04-30
KR970020923A (en) 1997-05-28
CN1060744C (en) 2001-01-17
JPH09110331A (en)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756A (en) Elevator system
KR20190089979A (en) Break detection device
KR100208423B1 (en) Safety apparatus of elevator
US4493399A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102135192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3188743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US471651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N110678409B (en) Elevator device
JPH0543159A (en) Elevator cage position correction device
JP3225717B2 (en) Floor position detector for elevator
JPS63310500A (en) Lifting base-position controller for crane
KR0186122B1 (en) Position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JP4517506B2 (en) Double deck elevator
JPH085597B2 (en) Floor position detector for elevator
JPH0784312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H08221133A (en) Method and unit for controlling travel of moving body
KR900002785B1 (en) Control devices of elevator
JPH05254748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JP2916294B2 (en) Control method of the stop position of the transfer table in the automatic warehouse
JPH026047Y2 (en)
JP6658450B2 (en) Elevator equipment
JPS6214055Y2 (en)
JPH0717319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H0366875A (en) Lift control method for mechanical parking device
JPH085601B2 (en) Elevator floor position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