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271B1 -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271B1
KR100207271B1 KR1019960077269A KR19960077269A KR100207271B1 KR 100207271 B1 KR100207271 B1 KR 100207271B1 KR 1019960077269 A KR1019960077269 A KR 1019960077269A KR 19960077269 A KR19960077269 A KR 19960077269A KR 100207271 B1 KR100207271 B1 KR 10020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lens
laser
fix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963A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2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홀더의 안착홈에 마스터 렌즈를 고정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을 검사함으로써, 렌즈 홀더의 제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 홀더(100)의 축공(112)에 고정축(52)이 끼워져 렌즈 홀더(1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에 고정된 렌즈 홀더(100)의 안착홈(104)에 끼워진 마스터 렌즈(102)에 레이저 다이오드(61)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수단(60)과, 상기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부터 조사되어 마스터 렌즈(102)에서 반사된 빛을 카메라(71)로 집광하여 스크린(72)에 출력하는 촬상수단(70)과,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과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 및 촬상수단(70)의 카메라(71)를 고정하는 베이스(9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안착홈(104)이 축공(112)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안착홈(104)에 형성된 걸림돌기(106)가 축공(112)에 대해 수직으로 제조되지 않는 불량 제품을 정확히 설별할 수 있으므로 불량 제조된 렌즈 홀더(100)가 액츄에이터에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츄에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본 발명은 축섭동 액츄에이터용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 홀더를 고정부재에 고정하고 레이저 조사수단으로 렌즈 홀더에 고정된 마스터 렌즈에 레이저 광을 조사한 다음, 반사되는 빛을 촬상수단으로 집광하여 렌즈 홀더의 제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씨디 플레이어에 설치되어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받아들여 디스크의 기록 내용을 재생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홀로그램 소자와 홀로그램 소자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디스크 면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대물렌즈는 디스크상에 레이저의 초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차의 값을 수정하면서 계속하여 광축 방향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대물렌즈를 광축 및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 액츄에이터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중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광축 및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축섭동 액츄에이터로서, 이러한 축섭동 액츄에이터에는 씨디(compact disk)용 대물렌즈를 고정한 것과 디브이디(digital video disk)용 대물렌즈를 고정한 것과 씨디용 대물렌즈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를 모두 고정한 액츄에이터 등이 있다.
한편 도 1은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를 모두 구비한 축섭동 액츄에이터로서, 요크 플레이트(20) 상에 설치된 회전축(22)에 렌즈 홀더(10)의 축공(11)이 끼워져 렌즈 홀더(10)가 회전 및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렌즈 홀더(10)의 일측에 씨디용 대물렌즈(12)가 고정되며 이 씨디용 대물렌즈(12)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축(22)과 동일한 거리에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렌즈 홀더(10)에 씨디용 대물렌즈(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가 고정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0)의 상면에 씨디용 대물렌즈(12)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6)이 형성되고, 씨디용 대물렌즈(12)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안착홈(16)의 내부 측면에 다수 개의 걸림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안착홈(18)에도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다수 개의 걸림돌기(19)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를 렌즈 홀더(10)에 고정할 때에는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를 각각의 안착홈(16,18)에 삽입시켜 씨디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2,14)의 저면이 각각의 안착홈(16,18)에 형성된 걸림돌기(17,19)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2,14)의 주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고정한다.
그런데 만일 렌즈 홀더(10)의 제조상태가 불량하여 렌즈 홀더(10)의 안착홈(16,18)이 축공(11)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안착홈(16,18)에 형성된 걸림돌기(17,19)가 축공(11)에 대해 정확히 수직으로 제조되어 있지 않다면, 씨디용 대물렌즈(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가 렌즈 홀더(10)에 안착되어 홀로그램 소자의 레이저 광을 디스크에 정확히 수직 상방으로 집속시키지 못하므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랙킹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트랙킹 에러가 발생하면 렌즈 홀더(10)는 트랙킹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계속하여 구동하여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하고 디스크를 재생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씨디용 대물렌즈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를 정확히 측정하여 불량 제조된 렌즈 홀더를 선별함으로써, 축섭동 액츄에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렌즈 홀더의 축공에 고정축이 끼워져 렌즈 홀더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축에 고정된 렌즈 홀더의 안착홈에 끼워진 마스터 렌즈에 레이저 다이오드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수단의 레이저 다이오드부터 조사되어 마스터 렌즈에서 반사된 빛을 카메라로 집광하여 스크린에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축과 레이저 조사수단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촬상수단의 카메라를 고정하는 베이스로 구성된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섭동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축섭동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고정상태 측정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50 : 고정부재 52 : 고정축
54 : 엠보싱 56 : 탄성 가이드
60 : 레이저 조사수단 61 : 레이저 다이오드
66 : 제 1반사경 70 : 촬상수단
71 : 카메라 72 : 스크린
78 : 제 2반사경 90 : 베이스
100 : 렌즈 홀더 102 : 마스터 렌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의 구성은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00)의 축공(112)에 고정축(52)이 끼워져 렌즈 홀더(1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에 고정된 렌즈 홀더(100)의 안착홈(104)에 끼워진 마스터 렌즈(102)에 레이저 다이오드(61)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수단(60)과, 상기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부터 조사되어 마스터 렌즈(102)에서 반사된 빛을 카메라(71)로 집광하여 스크린(72)에 출력하는 촬상수단(70)과,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과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 및 촬상수단(70)의 카메라(71)를 고정하는 베이스(9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은 렌즈 홀더(100)의 축공(112)의 크기가 다른 제품에도 적용하기 위하여 고정축(52)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량이 점차 커지는 환형의 엠보싱(54)을 다수 개 형성하고, 렌즈 홀더(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100)의 측면을 고정하는 탄성 가이드(56)를 베이스(90) 상에 형성시킨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수단(60)에는 레이저 다이오드(61)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조정레버(62)와 레이저 다이오드(61)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정레버(64)를 설치하고, 레이저 다이오드(61)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이 반사되어 마스터 렌즈(102)로 입사되도록 베이스(90) 상에 형성된 지지대(92)에 제 1반사경(66)을 설치하며, 이 제 1반사경(66)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조정레버(68)와 제 1반사경(66)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정레버(69)를 설치한다.
또 촬상수단(70)에는 카메라(71)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조정레버(74)와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정레버(76)를 설치하고, 마스터 렌즈(102)에 반사되는 레이저 광이 반사되어 카메라(71)에 집속되도록 제 2반사경(78)을 베이스(90)에 형성된 지지대(92)에 설치하며, 이 제 2반사경(78)을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레버(68)와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레버(69)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렌즈 홀더 제조상태 측정지그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렌즈 홀더(100)의 축공(112)을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 상단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그러면 렌즈 홀더(100)는 축공(112)이 고정축(52)을 따라 들어가다가 고정축(52)에 형성된 엠보싱(54)중 축공(112)의 반경보다 큰 엠보싱(54)이 축공(112)의 하단에 걸리면 렌즈 홀더(100)가 그 자리에 멈추어 고정되고, 베이스(90)에 형성된 탄성 가이드(56)가 렌즈 홀더(100)의 양측을 지지하여 렌즈 홀더(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씨디용 대물렌즈(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가 안착되는 안착홈(108 또는 104)에 표준으로 제작된 마스터 렌즈(102)를 끼운다. 그러면 마스터 렌즈(102)의 하단부가 안착홈(108)에 형성된 걸림돌기(110 또는 106)에 걸려 저면이 지지되면서 마스터 렌즈(102)가 고정된다.
이어서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면, 레이저 광이 제 1반사경(66)에서 반사되어 고정축(52)에 의해 고정된 렌즈 홀더(100)에 안착된 마스터 렌즈(102)의 상면에서 조사되어 반사된다. 이 마스터 렌즈(102)로부터 반사된 빛은 제 1반사경(66)와 경로가 다른 촬상수단(70)의 제 2반사경(78)으로 조사 및 반사되어 카메라(71)로 집광된다.
이 카메라(71)에서는 촬상된 영상을 스크린(72)을 통하여 재생하는데, 그 화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그려진 표적에 마스터 렌즈(102)의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점(C)이 도시되는데, 이 중심점(C)이 미리 그려진 표적의 중심에 위치하거나 중심으로부터 허용 오차내에 위치 한다면, 렌즈 홀더(100)의 안착홈(108)이 축공(112)과 평행이 되고 안착홈(108)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축공(112)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양호하게 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제품을 합격 처리한다. 만일 중심점(C)이 허용 오차를 벗어 난다면 렌즈 홀더(100)의 안착홈(108)이 축공(112)과 평행하지 않거나 안착홈(108)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축공(112)에 대해 수평하지 않게 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합격 처리하여 이 제품이 액츄에이터에 조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검사를 하는 도중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제 1반사경(66)에 정확히 조사되지 않는다면, 조정레버(62)와 조정레버(64)를 회전시켜 레이저 다이오드(61)의 상하 및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61)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이 정확히 제 1반사경(66)에서 반사되도록 한다. 또 제 1반사경(66)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이 렌즈 홀더(100)에 고정된 마스터 렌즈(102)에 정확히 조사되지 않는다면, 제 1반사경(66)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레버(68,69)를 회전시켜 상하 및 좌우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 1반사경(66)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이 마스터 렌즈(102)에 정확히 조사되도록 한다.
또한 마스터 렌즈(102)에서 반사된 빛이 촬상수단(70)의 제 2반사경(78)에서 카메라(71)에 정확히 조사되지 않는다면, 제 2반사경(78)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레버(80,82)를 회전시켜 제 2반사경(78)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2반사경(78)에서 조사된 빛이 카메라(71)에 정확히 조사되도록 한다.
또 카메라(71)의 방향이 정확히 제 2반사경(78)을 향하고 있지 않다면, 카메라(71)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레버(74,76)를 회전시켜 카메라(71)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2반사경(78)에서 반사된 빛이 카메라(71)에 정확히 집광되도록 조절한다.
그 다음, 렌즈 홀더(100)의 디브이디용(또는 씨디용) 대물렌즈가 안착되는 안착홈(104 또는 108)에 대한 제조상태를 검사할 때에는 레이저 다이오드(61)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이 렌즈 홀더(100)의 디브이디용 대물렌즈가 안착되는 안착홈(104)에 조사되도록 세팅된 검사장치로 렌즈 홀더(100)를 옮겨 앞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검사하여 렌즈 홀더(100)의 제조상태를 판정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 홀더(100)를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에 고정하고,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로 레이저 광을 렌즈 홀더(100)에 형성된 안착홈(104,108)에 고정된 마스터 렌즈(102)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을 촬상수단(70)의 카메라(71)로 촬상하여 마스터 렌즈(102)의 설치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렌즈 홀더(100)의 안착홈(108)에 대한 제조상태를 판정하는 장치로서, 안착홈(104,108)이 축공(112)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안착홈(104,108)에 형성된 걸림돌기(106,110)가 축공(112)에 대해 수직으로 제조되지 않는 불량 제품을 정확히 설별할 수 있으므로 불량 제조된 렌즈 홀더(100)가 액츄에이터에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츄에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축섭동 액츄에이터의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100)의 제조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100)의 축공(112)에 고정축(52)이 끼워져 렌즈 홀더(1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에 고정된 렌즈 홀더(100)의 안착홈(108)에 끼워진 마스터 렌즈(102)에 레이저 다이오드(61)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수단(60)과, 상기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부터 조사되어 마스터 렌즈(102)에서 반사된 빛을 카메라(71)로 집광하여 스크린(72)에 출력하는 촬상수단(70)과,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과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 및 촬상수단(70)의 카메라(71)를 고정하는 베이스(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축(52)에는 상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량이 점차 커지는 환형의 엠보싱(54)이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 상태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베이스(90)에 형성되어 렌즈 홀더(100)의 측면을 고정하는 탄성 가이드(5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 상태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수단(60)은 레이저 다이오드(61)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을 마스터 렌즈(102)로 반사시키는 제 1반사경(6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70)은 마스터 렌즈(102)에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카메라(71)로 반사시키는 제 2반사경(7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수단(60)의 레이저 다이오드(61)와 제 1반사경(66) 및 촬상수단(70)의 카메라(71)와 제 2반사경(78)에는 좌우 각도 및 상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레버(62,64,68,69,80,89,74,76)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 제조상태 측정장치.
KR1019960077269A 1996-12-30 1996-12-30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KR10020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269A KR100207271B1 (ko) 1996-12-30 1996-12-30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269A KR100207271B1 (ko) 1996-12-30 1996-12-30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63A KR19980057963A (ko) 1998-09-25
KR100207271B1 true KR100207271B1 (ko) 1999-07-15

Family

ID=1949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269A KR100207271B1 (ko) 1996-12-30 1996-12-30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71B1 (ko) * 2002-11-2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유닛의 코마수차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6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0482A (ko) 광학주사장치
JPS61210531A (ja) 電子光学装置
KR980011109A (ko) 광 기록 재생 장치
US20020071365A1 (en) Optical pickup device minimizing an undesirable astigmatism
US8154980B2 (en) Object lens driv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22594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및 이를 채용한 광기록재생장치
KR100207271B1 (ko) 축섭동 액츄에이터 렌즈 홀더의 제조상태 측정장치
KR100232915B1 (ko) 정보 독출 및 기록 장치에 사용하는 광 헤드 장치
KR100486818B1 (ko) 다른구조를갖는광기록매체에기록및/또는이로부터판독하기위한장치
JPH087315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US7027369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ading data from a plurality of tracks of an optical disc
JPH09320084A (ja) 円盤状光記録媒体の傾き測定装置
JP3160163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光スポット径調整方法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の受光素子並びに光ピックアップ
KR100243164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조정장치
KR20020004818A (ko) 광학 픽업 유닛의 비점 수차 조정 방법 및 장치
JPH0434206B2 (ko)
JPS6349864Y2 (ko)
KR20090014379A (ko) 광학주사장치
JP323833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375240B2 (ja) 光学ヘッド装置及びその組立調整方法
KR200346425Y1 (ko) 광픽업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포토 다이오드 조정장치
JP2003141745A (ja) 光ピックアップ調整装置
KR20030063982A (ko) 디스크 재생장치의 스큐조정장치
KR20040070890A (ko) 광 픽업 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틸트장치
JPH11191221A (ja) 光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