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024B1 -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024B1
KR100206024B1 KR1019970013283A KR19970013283A KR100206024B1 KR 100206024 B1 KR100206024 B1 KR 100206024B1 KR 1019970013283 A KR1019970013283 A KR 1019970013283A KR 19970013283 A KR19970013283 A KR 19970013283A KR 100206024 B1 KR100206024 B1 KR 100206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forming step
roll
bumper beam
sw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541A (ko
Inventor
이용호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명
주식회사성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명, 주식회사성우금속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1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024B1/ko
Priority to DE69816689T priority patent/DE69816689T2/de
Priority to EP19980106506 priority patent/EP0870650B1/en
Priority to JP11621698A priority patent/JPH1178730A/ja
Publication of KR1998007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21D47/01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beam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롤 성형을 통해 굽힘량을 소량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판상의 강판 소재를 소정 형상의 튜브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을 제공할 목적으로; 띠상의 소재가 롤 성형수단을 통과하면서 요구하는 형상대로 점차적일 성형이 이루어지는 롤 성형 단계와; 롤 성형된 소재를 일정의 곡률로 완만하게 구부리는 제1스위프 포밍단계와; 상기 제1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쳐 만곡된 튜브를 요구하는 곡률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부리는 제2스위프 포밍단계와; 제2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친 소재를 요구하는 최종적인 형상으로 조정하는 형상 조정단계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본 발명은 롤 성형에 의한 한 번의 공정으로 범퍼 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범퍼 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범퍼라 함은 차량의 전, 후단부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충돌 및 추돌 사고시 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체의 손상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이다.
이러한 범퍼는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부 양측의 스테이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범퍼 빔과, 이의 빔 전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재와, 상기 충격 흡수부재의 전면에 배치되어 이들을 은폐 보호하는 범퍼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범퍼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범퍼 빔에 관계하며, 이의 범퍼 빔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면에서 보아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두 개의 쳄버가 일정한 플레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형태의 W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개구부측에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튜브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범퍼 빔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공정으로 본체를 성형한 후 띠상의 플레이트를 용접하게 됨으로써, 프레스 작업공수와, 다수 부품의 조립에 따른 조립공수가 증가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다수의 패널을 프레스로 성형할 때 프레스 성형상의 문제점인 스크랩이 많이 발생함에 따른 원자재 낭비의 요인이 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중량면에 있어서, 플레이트를 본체에 접합시키기 위하여는 본체에 플레이트와 면접될 수 있는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 이에 따른 중량의 증가로 차량의 경량화에 역효과를 줄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롤 성형에 의하여 하나의 띠상 강판을 소정 형상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범퍼 빔이 제안되고 실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소재로서 이루어지는 범퍼 빔을 성형하는 성형방법으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5,092,512호가 알려져 있다.
이는 강판을 다수의 롤 포머에 통과시키면, 각 롤 포머를 거치면서 판재의 형상이 서서히 튜브 형태로 변하게 되고, 서포트 부재를 통과하면서 튜브 저면부가 불규칙한 면으로 성형되면서 하나의 튜브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의 튜브는 용접기에 의하여 이음부분이 용접된 후, 스위핑 수단으로 공급되면, 직선 형태의 튜브에 곡률을 주며 이와 같이 완성된 튜브는 절단기에 의하여 범퍼 빔으로 완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성형방법에 있어서는 저면부의 불규칙면을 성형하기 위한 별도의 서포트 수단이 추가되고, 또한, 스위핑 수단으로 내, 외 맨드릴이 사용됨으로써,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 성형을 통해 굽힘량을 소량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판상의 강판 소재를 소정 형상의 튜브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띠상의 소재가 롤 성형수단을 통과하면서 요구하는 형상대로 점차적인 성형이 이루어지는 롤 성형단계와; 롤 성형된 소재를 일정의 곡률로 완만하게 구부리는 제1스위프 포밍단계와; 상기 제1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친 소재를 요구하는 곡률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부리는 제2스위프 포밍 단계와; 제2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친 소재를 최종적인 형상으로 조정하는 형상 조정단계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범퍼 빔의 적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범퍼의 평면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작된 범퍼 빔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 빔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범퍼 빔을 제작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롤 퍼머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롤 퍼머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b도는 a도의 II-II선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스위프 포밍수단의 측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스위프 포밍수단의 측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형상조정수단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성형장치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범퍼 빔이 적용된 범퍼의 평면도 및 그 단면도로서, 범퍼(2)는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부 양측의 스테이(4)(6)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범퍼 빔(8)과, 이의 빔(8) 전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재(10)와, 상기 충격 흡수부재(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이들을 은폐 보호하는 범퍼 커버(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범퍼 빔(8)는 제3도에서와 같이, 상하 2개의 쳄버(14)(16)를 보유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제5도와 같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다단계의 롤 포머를 거치면서 제4도와 같은 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성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범퍼 빔의 원자재인 띠상의 고장력 강판소재(18)는 미도시한 보빈에 감겨진 상태에서 언 코일러920)를 통해 풀리면서 다음 공정인 스트레이터너(22)로 공급된다.
그러면 이의 스트레이터너(22)에서는 상기 언 코일러(20)로부터 풀려나오는 소재(18)를 곧게 펼쳐지게 한 후에 다음 공정인 브레이크 프레스(24)로 공급하며, 이의 브레이크 프레스(24)에서는 범퍼 빔에서 요구하는 각종의 홀을 가공하게 된다.
즉, 상기의 언코일러(20)와 스트레이터너(22), 그리고 브레이크 프레스(24)는 소재(18)의 공급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프레스(24)로부터 인출되는 소재는 다수의 롤 포머로 이루어지는 롤 성형수단(26)을 통해 점차적으로 성형되어 마지막 단계에서는 완전 튜브 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지며, 이에 성형된 튜브는 다수의 롤 포머로 이루어지며, 진행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제1스위프 포밍수단(28)를 통과하면서 완만한 곡률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을 통과한 소재(18)는 범퍼 빔으로서 요구하는 완전한 곡률을 갖도록 만곡시키는 제2스위프 포밍수단(30)을 통과하게 되며, 이를 통과한 소재(18)는 범퍼 빔(8)으로서의 치수 안정성을 위하여 최종 형상을 조정하는 형상조정수단(3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으로 성형이 완료된 그 소재(18)는 접합수단(34)을 통과함녀서 양 단부를 용접시켜 완전한 튜브 형태가 되며, 이와 같이 완전한 튜브형태로 이루어진 소재(18)는 최종적으로 절단수단(36)을 통과하면서 요구하는 길이로 절단되어 하나의 범퍼 빔(8)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롤 성형수단(26)과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을 형성하는 각각의 롤 포머(38)(40)(42)(44)(46)(48)(50)(52),(54)(56)(58)는 제6도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스(60)상에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어 앞쪽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롤 성형수단(26)과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을 형성하는 롤 포머(38~58)는 로울러 형상만 달리할 뿐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7도 및 제8도에서는 제1 롤 포머(38)을 일예로 하여 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한다.
즉, 롤 포머(38)는 베이스 플레이트(60) 상에 폭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지지부재(26)(64)와, 상기 지지부재(62)(64)에 축수부재(66)(68)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상,하 로울러 부재(70)(72)와, 상기 축수부재(66)(68) 중 상측 로울러(70)를 지지하는 상측 축수부재(66)는 높낮이 조절수단(74)를 보유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부재(62)(64)는 중간부분이 거의 하측까지 요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이의 개구부(76)에 상,하 로울러(70)(72)를 지지하는 축수부재(66)(68)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2)(64)와 축수부재(66)(68)는 더브테일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측 축수부재(66)는 높낮이 조절수단(74)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상부 로울러(7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74)은 지지부재(62)(64)의 상츠긍로 고정되는 가로부재(76)를 상하로 관통하는 스크류 봉(78)과, 상기 스크류 봉(78)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80)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 봉(78)을 회전시키며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류 봉(78)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축수부재(66)를 승강시킴으로써, 피 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을 형성하는 롤 포머(55)(57)(58)는 상기 롤 포머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제9도에서와 같이,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로울러의 높이가 점점 상승되어 이를 통과하는 소재(18)가 완만한 곡률을 갖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의 롤 포머(54)(56)(58)를 도면에서는 3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즉, 이의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은 소재를 한 번에 요구하는 곡류를 갖도록 하면 스프링 백 현상등으로 인하여 요구하는 곡률을 얻기 어렵게 되는 바, 그 준비단계로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스위프 포밍수단(3)은 제10도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0)상에 하부 지지부재(82)를 세우고, 이의 상측에 2개의 하부 로울러(84)(86)를 배치하되, 후측 로울러(86)가 전측 로울러(84)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상기 양 로울러(84)(86) 사이에 상부 로울러(88)를 배치하였다.
상기에서 후측 하부 로울러(86)와 상부 로울러(88)의 배치 위치는 이들 위치에 따라 요구하는 곡률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바, 소재(18)을 곡률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롤 성형수단(26), 제1,2 스위프 포밍수단(28)(30)은 롤포머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들의 작동을 위하여는 소정의 구동수단이 요구되는데, 이의 구동수단은 제6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구동모터(90)의 회전동력이 감속기(92)를 통해 감속되어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의 출력은 상기 롤 포머(38~58)와 제2스위프 포밍수단(30) 각각의 상하 로울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94)로 전달되는데, 이의 동력전달기구(94) 중 제1롤 포머(38)의 동력 전달기구가 상기 감속기(94)와 소정의 전동수단(96)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동수단(96)으로 벨트 전동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전동방식이나, 감속기(94)를 직접 제1롤 포머(38)와 연결하는 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기구(94)들은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출력하는 형태를 배치하였으며, 이는 각 롤 포머의 로울러 회전수가 동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는 많은 실시예가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동력전달기구(94)는 많은 공지의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롤 포머의 회전수를 동일할 수 있는 독립적인 구동수단을 구성할 수 잇을 때에는 이의 독립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프 포밍수단(30)을 통과한 소재(18)는 형상 조정수단(32)을 통과하면서 이제까지 성형된 튜브형태가 요구하는 최종적인 형상이 되도록 하는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형상 조정수단(32)은 제11도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소재(18)의 저면 형상과 동일한 조정홈(96)이 형성된 하부다이(98)와, 상기 하부다이(98)의 상측에 결합되며 그의 하측에 소재(1)의 상면 형상과 동일한 조정홈(100)이 형성된 상부다이(10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홈(96)(100)사이로 소재(18)가 통과하면서 최종적인 외부 형상이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공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형상이 조정된 소재(18)는 접합수단(34)인 용접기를 통과하면서 자유단으로 있는 양측변이 상호 용접되어 하나의 완전한 튜브 형태가 된다.
상기에서 접합수단(34)으로 사용되는 용접기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용접기를 사용하였으며, 이의 고주파 용접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접합수단(34)을 통과하면서 완전한 튜브 형태로 제작된 소재는 절단수단(36)을 통과하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에서 소정의 길이라 함은 적용차량에 대한 범퍼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며, 이의 절단으로 완전한 범퍼 빔(8)이 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절단수단(36)은 튜브 형태의 범퍼 빔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제작되는 범퍼 빔(8)은, 띠상의 소재(18)가 롤 성형수단(26)을 통과하면 요구하는 형상대로 점차적인 성형이 이루어지는 롤 성형 단계와, 롤 성형된 소재(18)를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을 통해 일정의 곡률로 완만하게 구부리는 제1스위프 포밍단계와, 상기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재(18)를 요구하는 곡률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부리는 제2스위프 포밍단계와, 제2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친 소재(18)를 최종적인 형상으로 조정하는 형상 조정단계와, 상기 형상 조정단계를 거친 소재를 용접하여 완전한 튜브 형태로 형성하는 접합단게와, 상기 접합단계를 거친 소재를 범퍼 빔으로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거쳐 범퍼 빔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성형장치에 의한 성형단계를 거쳐 제작될 수 있는 범퍼 빔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일실시예로서,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양측으로 2개의 쳄버(14)(16)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범퍼 빔(8)의 제조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롤 성형단계는 양단의 플랜지(110)(112)를 포함하는 내부벽(114)(116)을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내부벽(114)(116)의 하측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곡시켜 상부벽(118)(120)을 성형하는 고정과, 상기 상부벽(118)(120)의 외측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하측부분을 상측으로 절곡시켜 외부벽(122)(124)을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양단의 플랜지(110)(112)를 포함하는 내부벽(114)(116)을 성형하는 공정에서는 상부벽(118)(120)과 내부벽(114)(116)의 경계부(128)(130) 부분이 점차적으로 상측으로 절곡되는 과정을 거치며, 이와 동시에 플랜지(110)(112) 부분은 내부벽(114)(116)의 경게부(132)(134)에서 대략 5단계를 거쳐 하측으로 절곡되는 과정으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내부벽(114)(116)과 플랜지(110)(112)가 성형되는 과정에서는 상부벽(118)(120)과 외부벽(122)(124)이 완전히 성형되지는 않지만 준비작업으로 이들 경계부(136)(138),(140)(142)에서 미소하게 상측으로 절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플랜지(110)(112)를 포함하는 내부벽(114)(116)이 성형된 후에는 상부벽(118)(120)과 외부벽(122)(124)의 경계부(136)(138)에서 더욱 절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서서히 외부벽(122)(124)과 하부벽(136) 경계부(140)(142)에서서서히 절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성형과정에서 외부벽(122)(124)는 그의 중간부분에 상측부분으로 미소하게 절곡되어 외부벽(122)(124)이 단면적으로 볼 때, 상측부분이 내측으로 미소하게 꺾여 들어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면, 내부벽(114)(116)과 상부벽(118)(120), 상부벽(118)(120)과 외부벽(122)(124), 외부벽(122)(124)과 하부벽(126) 사이의 경계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바, 상기 플랜지(110)(112)의 일면과 하부벽(126) 상면이 상호 면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부위를 상호 용접함으로써, 양측으로 2개의 폐단면인 쳄버(14)(16)를 보유하는 범퍼 빔(8)을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도록 W형태의 본체를 성형한 후에 다시 별도의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하부벽(126) 부분을 돌출부(144)와 그 양측으로 요입부(146)(148)를 갖는 불규칙 단면을 갖도록 도시한 것은 그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에는 상부벽(118)(120)와 외부벽(122)(124)의 초기 성형시부터 서서히 성형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에서 각 쳄버(14)(16)의 각 벽을 형성하는 부위를 성형할 때, 최 끝단인 플랜지(110)(112)롭터 외부벽(122)(124)까지 단계별로 완전히 성형한 후에 다음 부분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각 부분이 단계적으로 서서히 중복 성형되도록 한 것은 최종단계에서 스프링 백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금씩 자연스러운 성형 공정이 이루어져 각각의 롤 포머(38~58)에 걸리는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제1스위프 포밍수단(28)을 소재의 진행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배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그 후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스위프 포밍수단(30)과, 형상 조정수단(32), 접합 및 절단수단(34)(36)이 낮게 배치되며, 이들 작동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롤 성형단계후에 제1스위프 포밍단계가 일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롤 성형단계와 제1스위프 포밍단계 사이에 접합단계를 개재시키는 단계로 성형하여도 문제됨은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롤 성혀을 통해 굽힘량을 소량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판상의 강판 소재를 소정 형상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범퍼 빔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성형공정이 모두 롤 포머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바, 종래의 서포트 수단이나 맨드릴등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그 구성을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띠상의 소재가 롤 성형수단을 통과하면서 요구하는 형상대로 점차적일 성형이 이루어지는 롤 성형 단계와; 롤 성형된 소재를 일정의 곡률로 완만하게 구부히는 제1스위프 포밍단계와; 상기 제1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쳐 만곡된 튜브를 요구하는 곡률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부리는 제2스위프 포밍단계와; 제2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친 소재를 요구하는 최종적인 형상으로 조정하는 형상 조정단계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조정단계를 거친 소재의 양단부를 용접하여 완전밀페 구조를 갖는 한 튜브 형태로 형성하는 접합단계와; 상기 접합단계를 거친 소재를 범퍼 빔으로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롤 성형 단계는 점차적으로 절곡정도를 크게 형성한 다수의 롤 포머에 소재를 통과시켜 소정의 튜브 형태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스위프 포밍단계에서는 다수의 롤 포머를 통과시켜 만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로울러의 높이를 높게 하여 그 높이 차이에 의하여 만곡이 이루어지돌고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스위프 포밍단계에서는 다수의 롤 포머를 통과시켜 만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로울러의 높이를 낮게 하여 그 높이 차이에 의하여 만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스위프 포밍단계에서는 하부에 진행방향으로 상호 소정의거리를 갖고 배치되는 전,후 로울러와, 상기 전,후 로울러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로울러 사이에 소재를 통과시킴으로써, 소재의 만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형상 조정단계에서는 범퍼 빔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뚫려진 구멍으로 소재를 강제 통과시켜 형상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8. 띠상의 소재가 롤 성형수단을 통과하면 요구하는 형상대로 점차적인 성형이 이루어지는 롤 성형 단계와; 상기 튜브형상의 양 끝단을 용접하여 완전한 튜브 형태로 형성하는 접합단계와; 상기 접합단계를 거친 튜브 형상의 소재를 일정한 곡률로 완만하게 구부리는 제1스위프 포밍단계와; 상기 제1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쳐 만곡된 튜브를 자동차의 범퍼 빔으로서 요구하는 곡류로 완전하게 구부리는 제2스위프 포밍단계와; 제2스위프 포밍단계를 거친 소재를 범퍼 빔의 최종적인 형상으로 조정하는 형상 조정단계와; 상기 형상조정단계를 거친 소재를 범퍼 빔으로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KR1019970013283A 1997-04-10 1997-04-10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KR10020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283A KR100206024B1 (ko) 1997-04-10 1997-04-10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DE69816689T DE69816689T2 (de) 1997-04-10 1998-04-08 Einrichtung und Methode zur Herstellung von Kraftfahrzeug-stossstangenträgern
EP19980106506 EP0870650B1 (en) 1997-04-10 1998-04-08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automotive bumper beam
JP11621698A JPH1178730A (ja) 1997-04-10 1998-04-10 車両用バンパビーム製造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283A KR100206024B1 (ko) 1997-04-10 1997-04-10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541A KR19980076541A (ko) 1998-11-16
KR100206024B1 true KR100206024B1 (ko) 1999-07-01

Family

ID=1950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283A KR100206024B1 (ko) 1997-04-10 1997-04-10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92B1 (ko) * 2009-11-13 2012-03-22 주식회사화신 굴곡부를 갖는 제품의 성형장치
KR101265285B1 (ko) 2011-05-30 2013-05-16 동원금속 (주) 차량용 고장력강 범퍼 빔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92B1 (ko) * 2011-11-02 2014-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플라스틱 범퍼 빔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92B1 (ko) * 2009-11-13 2012-03-22 주식회사화신 굴곡부를 갖는 제품의 성형장치
KR101265285B1 (ko) 2011-05-30 2013-05-16 동원금속 (주) 차량용 고장력강 범퍼 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541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6306C1 (ru) Лестничный рамный узел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80076540A (ko)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EP08706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automotive bumper beam
US5756167A (en) Rigid elongated member for use in vehicles and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6948749B2 (en) Cross member for vehicle bumper b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197824B1 (en) Cross member for vehicle bumper b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02007059439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altwalzprofilieren von Profilen mit veränderlicher Höhe
US582966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tubular bumper reinforcement member
US6082811A (en) Reinforcement for vehicle hollow structural member, having decreasing-thickness end portions
US20150336617A1 (en) Outer panel for pillar of vehicle, and method and roll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85094B1 (ko) 차량의 크래시 박스용 노치 성형장치
CN106994490B (zh) 用于由挤出的轻金属型材制造机动车构件的方法和设备
US20070095001A1 (en) Continuous process of roll-forming pre-stamped varying shapes
JP2008120227A (ja) 車両用衝撃吸収具の製造方法
US6296287B1 (en) Curved elongate member of closed sectional shap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4530564A (ja) 自動車用ビーム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97745B1 (ko) 차량 차축용 폐쇄 중공형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
KR100206022B1 (ko) 차량용 범퍼 빔 성형장치
WO19980142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uctural member
KR100206024B1 (ko) 차량용 범퍼 빔 제조방법
EP197918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n automobile impact beam with integrated brackets
KR101848410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62535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metallic flanged member
EP1794033A1 (en) Beam, and method for making such beam
KR101848411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