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116B1 -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116B1
KR100205116B1 KR1019970040937A KR19970040937A KR100205116B1 KR 100205116 B1 KR100205116 B1 KR 100205116B1 KR 1019970040937 A KR1019970040937 A KR 1019970040937A KR 19970040937 A KR19970040937 A KR 19970040937A KR 100205116 B1 KR100205116 B1 KR 10020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pulse
level section
illuminance
high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860A (ko
Inventor
박형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1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11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조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도로 표시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은, 소정 듀티를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를 발광 다이오드군의 캐소드(Cathode)로 출력하고 스캔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을 동기시켜서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셀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외부 조도에 비례하는 비율로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동기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가변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가전 기기의 디스플레이 조도를 주변 조도에 대응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WER-SAVING DISPLAY)
본 발명은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변의 조도에 대용하여 적절한 조도로 표시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전 기기(예를 들면, 냉장고, 오디오, VCR, 에어콘 등등)에는 가전 기기의 동작 상태와 에러 상태 및 시각 정보 등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가지며, 이러한 표시부는 통상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mitting Diod : 이하 LED라 약함)를 이용하여 표시를 원하는 문자나 도형 형태를 셀이나 패턴의 조합으로 형성한 커스터머(Customer) LED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전 기기의 표시부는 상시 구동온 상태로 현재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 기기의 표시부를 주변의 조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시켜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은, 소정 듀티를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를 발광 다이오드군의 캐소드(Cathode)로 출력하고 스캔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을 동기시켜서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셀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외부 조도에 비례하는 비율로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동기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가변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채용된 표시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표시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검출부 20 : 마이컴
30, 40 : 제1, 2표시 구동부 50 : 표시부
60 : 키입력부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채용된 표시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광검출부(10), 마이컴(20), 제1, 2표시 구동부(30,40), 표시부(50) 및 키입력부(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광검출부(10)는 가전 기기 외부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냉장고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외부 조도를 마이컴(20)의 A/D 포트로인가한다.
그리고, 마이컴(20)은 가전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동작 모드와 시각 정보 및 에러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스캔 데이터 펄스와 해당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를 출력하며, 광검출부(10)로부터 검출된 외부 조도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가변 조정하여 출력하고, 키입력부(60)로부터 키입력이 감지되면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분 정도)동안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최대로 조정하여 출력 제어한다.
한편, 제1표시 구동부(30)는 구동 소자(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마이컴(20)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에 의거하여 구동되어 소정 구동신호를 후술하는 표시부(50)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애노드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제2표시 구동부(40)는 구동 소자(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마이컴(20)으로부터의 스캔 데이터 펄스에 의거하여 구동되어 표시부(50)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캐소드 단자의 전위를 하이/로우 레벨로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표시부(50)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하여 제1표시 구동부(30)로부터의 구동 신호와 제2표시 구동부(40)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의 전위에 의거하여 발광 구동되어 가전 기기의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키입력부(60)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키스위치(SW1-SW4)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키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마이컴(20)의 키입력포트(KEYIN)의 전위를 가변시키며, 마이컴(20)은 키입력 포트(KEYIN)의 전위와 이때의 출력되는 스캔 데이터 펄스에 기초하여 어떤 키스위치가 눌려졌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표시 제어 과정을 첨부한 제3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 다이오드를 일대일로 제어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만큼 즉, 셀이나 패턴의 개수 만큼의 제어 라인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처럼 3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 온/오프 제어하기 위해서는 32개나 되는 많은 제어 라인이 마이컴(20)으로부터 출력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표시 제어 장치의 마이컴(20)은 가전 기기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첨부한 제2도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듀티비를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 4개를 순차적으로 위상 시프트시켜서 어떤 시점에서도 하나의 스캔 데이터 펄스만 로우 레벨을 갖도록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50)의 원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을 소정 듀티비를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동기시켜 출력하게 되는데, 각각 4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시킨 8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 라인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와 스캔 데이터 펄스의 조합으로 총 3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과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이 일치하는 시점에서 표시부(50)의 발광 다이오드가 구동되어 발광되며, 발광 다이오드 즉, 셀이나 패턴의 조합으로 문자나 도형이 발광되어 현재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마이컴(20)이 광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된 외부 조도를 판단하여 조도에 대응하여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동기시켜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가변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밝기를 결과적으로는 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마이컴(20)은 키입력부(60)로부터 키스위치(SW1-SW4)가 눌려졌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0).
부연 설명하면, 키입력부(60)의 키스위치들(SW1-SW4)중에서 어느 한 키스위치가 눌려지면 이시점에 출력되고 있는 소정수(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의 스캔 데이터 펄스(A,B,C,D)중에서 로우 구간을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에 의거하여 마이컴(20)의 키입력 포트(KEYIN)의 전위가 로우 레벨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마이컴(20)은 키입력 포트(KEYIN)의 전위가 로우 레벨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이때 로우 레벨 구간을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에 의거하여 어떤 키스위치가 눌려졌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300)에서 키입력이 없으면 광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된 외부 조도를 비교하게 된다(단계 302).
이때, 검출된 외부 조도가 100LUX 보다 작으면 외부가 어두운 것으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조도를 낮추기 위하여 첨부한 제2도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를 20%의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로 조정출력하여 디스플레이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킨다(단계 304).
한편, 검출된 외부 조도가 100LUX에서 200LUX사이이면 디스플레이 조도를 중간 정도로 조정하기 위하여 첨부한 제2도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를 40%의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로 조정 출력한다(단계 306).
한편, 검출된 외부 조도가 200LUX 이상이면 외부가 밝은 것으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조도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첨부한 제2도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를 60%의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로 조정출력한다(단계 308).
이때, 디스플레이 조도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100%의 비율 즉,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 전부를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으로 동기시키지 않는 이유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스캔 데이터 펄스(예를 들면, A)의 로우 레벨 구간에서만 발광시키기 위하여 원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을 스캔 데이터 펄스(예를 들면, A)의 로우 구간 전체에 동기시켜 출력하면 다른 스캔 데이터 펄스(예를 들면, B)의 로우 레벨 구간의 초기까지 원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이 동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렇게 되면 원치않는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 구동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단계(300)에서 키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0)은 최대 밝기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를 최대 비율인 60%의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로 조정하여 출력하고(단계 310),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분 정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312),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리턴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 기기의 디스플레이 조도를 주변 조도에 대응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 듀티를 갖는 스캔 데이터 펄스를 발광 다이오드군의 캐소드(Cathode)로 출력하고 스캔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을 동기시켜서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셀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외부 조도에 비례하여 스캔 데이터 펄스의 로우 레벨 구간에 동기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가변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기능 선택을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최대 밝기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펄스의 하이 레벨 구간의 길이를 최대로 조정하여 소정 시간 동안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KR1019970040937A 1997-08-26 1997-08-26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KR10020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37A KR100205116B1 (ko) 1997-08-26 1997-08-26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37A KR100205116B1 (ko) 1997-08-26 1997-08-26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60A KR19990017860A (ko) 1999-03-15
KR100205116B1 true KR100205116B1 (ko) 1999-06-15

Family

ID=1951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937A KR100205116B1 (ko) 1997-08-26 1997-08-26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1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60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58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elf-emitting display device
KR101291836B1 (ko)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US8884941B2 (en) Display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868114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 display based on the approach of an object detected by a detection unit on the support stand
KR20070003415A (ko) 부하 구동장치 및 그 부하 구동방법
US20070132749A1 (en) System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displayed images
KR100205116B1 (ko)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KR100816303B1 (ko) 정적구동방식에 의해 led전광판에 복수의 문자를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회로
KR100949466B1 (ko) 발광소자용 드라이버
KR19990032145A (ko) 절전형 표시 제어 방법
KR100207995B1 (ko)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100199841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006789A (ja) 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
US6092206A (en) Power supply control mechanism for display device
JP2001320789A (ja) リモコン送信機
JPH0710789U (ja) 発光素子輝度調整装置
US11540368B1 (en) Color temperature and brightness control system for LED lamp
KR200181475Y1 (ko) 적외선을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KR950002535A (ko) 가로등 원격제어기
JPH06265848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H1078765A (ja) Led駆動回路
KR200434000Y1 (ko) 정적구동방식에 의해 led전광판에 복수의 문자를표시하기 위한 회로
KR960003397B1 (ko) 디스플레이 튜브 제어장치
KR19990017851A (ko) 가전 기기의 상태 표시 제어 방법
CN107295281B (zh) 显示设备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