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614B1 -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 Google Patents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614B1
KR100204614B1 KR1019960034099A KR19960034099A KR100204614B1 KR 100204614 B1 KR100204614 B1 KR 100204614B1 KR 1019960034099 A KR1019960034099 A KR 1019960034099A KR 19960034099 A KR19960034099 A KR 19960034099A KR 100204614 B1 KR100204614 B1 KR 10020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leve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927A (ko
Inventor
이해운
차봉연
Original Assignee
이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운 filed Critical 이해운
Priority to KR101996003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6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를 설치할 때 설치 방향을 최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가 개시된다. 이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는, 저잡음증폭변환기에서 출력된 위성신호의 중간주파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직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검출부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 임계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임계전압 설정부와, 상기 임계전압 설정부에서 출력된 임계전압을 기준전압으로하여 상기 임계전압 이하의 레벨을 갖는 잡음을 제거하면서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직류증폭부 및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발진주기가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부와,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점멸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제어발진부는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설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직류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 발진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검출된 신호의 레벨에 따라 광량 혹은 점멸주기가 변화하는 발광신호를 발생시켜 전용의 측정 장비 없이도 표시부의 발광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안테나 및 저잡음 증폭기의 이상유무를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Indicating circuit for adjusting direction of satellite signal receiving antenna}
본 발명은 저잡음 증폭기가 구비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를 설치할 때 설치 방향을 최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레벨에 따라 광량 혹은 점멸주기가 변화하는 발광신호를 발생시켜 전용의 측정 장비 없이도 표시부의 발광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안테나 및 저잡음 증폭기의 이상유무를 상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저잡음 증폭변환기는 수신안테나로 입력되는 전자파 형태의 위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저잡음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안테나에 의하여 집속된 전자파 형태의 위성신호를 입력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나팔형 구조의 도파관부(10)와, 도파관부(10)의 출력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12)와, 저잡음 증폭기(12)의 출력신호를 국부발진기(15)의 신호와 혼합시켜 낮은 주파수대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14) 및 주파수 변환기(14)에서 출력된 신호를 중간주파 증폭시키기 위한 제1, 제2중간주파증폭기(16, 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저잡음 증폭변환기는 수신안테나로 입력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낮은 주파수대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저잡음 증폭변환기를 채용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를 설치할 경우, 신호의 포착여부 및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알 수 없어 전용의 신호측정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에는, 실외에 설치된 수신안테나와 결합된 저잡음 증폭변환기의 출력을 입력으로하여, 입력된 위성방송신호를 TV신호로 변환시키는 옥내 수신장치(미도시)에서 신호를 검출한 후, 이 수신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미도시)에서 수신 신호의 검출여부 및 신호레벨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킨 다음, 다시 실외에 있는 수신안테나와 결합된 저잡음 증폭변환기로 역전송시키면, 저잡음 증폭기에서는 이 신호를 별도의 신호분리회로 및 표시회로를 이용하여 발광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수신신호의 검출여부 및 신호레벨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가 있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수신안테나와 결합된 저잡음 증폭변환기의 출력이 옥내용 수신장치에서 일단 정상적으로 수신되어야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초기 설치시에는 작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 옥내용 수신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므로 이러한 저잡음 증폭변환기와 통상적인 옥내용 수신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레벨 표시기능이 작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의 종래 장치로는 도 2에 도시된 피크홀드방식의 방향조정용 표시회로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피크홀드방식의 방향조정용 표시회로는 저잡음 증폭변환기의 출력(OUT)을 입력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20)와, 증폭기(20)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파하기 위한 검파회로(22)와, 검파회로(22)에서 출력된 신호의 레벨중 최대값을 저장하기 위한 피크홀드회로(28)와, 검파회로(22)의 출력신호레벨과 피크홀드회로(28)의 출력신호레벨이 같은지 다른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회로(24) 및 비교회로(24)의 출력에 따라 점멸하는 표시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크홀드방식의 방향조정용 표시회로에서는 수신신호레벨의 최대값을 항상 저장하는 피크홀드회로(28)를 사용하여 수신신호레벨이 높은 지역 뿐만 아니라 낮은 지역에서도 표시부(2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점멸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저잡음 증폭변환기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OUT)는 증폭기(20)에서 증폭된 후 검파회로(22)에서 검파되어 직류신호로 변환되며, 이 직류신호를 입력한 피크홀드회로(28)에서는 현시점에서의 최대값을 항상 갖고 있게 된다. 비교회로(22)에서는 검파회로(22)에서 출력된 직류 검파출력신호레벨과 피크홀드회로(28)의 출력신호레벨을 비교하여 검파회로(22)의 출력레벨이 피크홀드회로(28)의 출력레벨과 같은 경우에는 low를 출력하고, 다른 경우에는 high를 출력하여 이를 표시부(26)에 인가한다. 표시부(26)는 입력되는 신호가 low일 경우 소등되고, high일 경우 점등된다. 따라서,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하면서 표시부(26)가 소등된 상태에서 점등되고 다시 역방향으로 되돌아 올 때 표시부(26)가 소등되면 이 곳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양호하게 수신된다고 판단하여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크홀드방식의 방향조정용 표시회로는 단지 수신신호레벨이 높은 지점에서 표시부가 소등되기 때문에 수신안테나의 설치시 수신안테나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수신신호 레벨의 변화량을 파악할 수 없고 설치 후에도, 수신신호의 레벨을 감시할 수 없으며, 여러차례 반복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신신호레벨의 최대점을 판독하기 때문에 판독을 위하여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레벨에 따라 광량혹은 점멸주기가 변화하는 발광신호를 발생시켜 전용의 측정 장비 없이도 표시부의발광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안테나 및 저잡음 증폭기의 이상유무를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저잡음 증폭변환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향조정용 표시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각 블록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각 부에 대한 동작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의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신호증폭부, 31...신호검출부,
32...직류증폭부, 34...전압제어발진부,
36...표시부, 38...임계전압 설정부,
39...기준전압 설정부.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는, 저잡음 증폭변환기에서 출력된 위성신호의 중간주파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직류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검출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 임계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임계전압 설정부; 상기 임계전압 설정부에서 출력된 임계전압을 기준전압으로하여 상기 임계전압 이하의 레벨을 갖는 잡음을 제거하면서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직류증폭부;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발진주기가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부; 및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점멸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제어발진부는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설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직류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 발진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제어발진부는 입력신호를 직류증폭하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저항 및 제1커패시터;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2저항;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하는 제3저항;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인가하는 제4저항;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기준전압발생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가청음을 발생시키는 가청음 발생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의 블록도를 도시하였고, 도 5에 도 3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미도시)로 집속되어 저잡음 증폭변환기(도 1)에서 출력된 위성신호의 중간주파신호(OUT)를 입력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신호증폭부(30)와, 신호증폭부(30)에서 출력된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직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검출부(31)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 임계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한 임계전압 설정부(38)와, 임계전압 설정부(38)에서 출력된 임계전압을 기준전압으로하여 임계전압 이하의 레벨을 갖는 잡음을 제거하면서 신호검출부(31)에서 출력된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직류증폭부(32)와,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설정부(39)와, 직류증폭부(32)로부터 기준전압 설정부(39)에서 출력된 기준전압 이하의 전압이 입력되면 발진을 정지하고, 기준전압보다 큰 전압이 입력되면 그 출력 레벨에 따라 따라 발진주기가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부(34) 및 전압제어발진부(34)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점멸하는 표시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동작파형도에서 A는 저잡음 증폭변환기의 출력인 중간주파신호(OUT)가 신호증폭부(30)에서 증폭된 후, 신호검출부(30)에서 포락선 검파되어 출력된 직류신호의 출력 파형도로서, 수신안테나로 수신되는 위성신호의 신호레벨의 변화상황을 5가지 형태로 도시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순간적으로 포착된 미약한 신호(a1), 신호레벨이 서서히 상승하는 경우(a2), 신호레벨이 최대치에서 변화하지 않는 경우(a3), 신호레벨이 최대치에서 서서히 낮아지는 경우(a4) 및 무신호시의 잡음(a5)을 각각 상정하여 신호검출부(31)의 출력단의 직류레벨변화를 시간축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들 5가지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순간적으로 포착된 미약한 신호(a1)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를 설치할 때 위성(미도시)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신안테나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도중 위성의 방향과 순간적으로 일치한 경우 나타나는 신호형태로서, 신호의 레벨이 수신안테나가 최적 상태인 경우의 신호레벨 보다도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짧은 순간에 나타났다 사라지므로 단발성의 펄스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신호레벨이 서서히 상승하는 경우(a2)는 수신안테나가 위성의 방향과 근접하여 신호가 약하게 포착된 후,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서서히 위성방향의 중심축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신호 레벨이 서서히 상승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신호레벨이 최대치에서 변화하지 않는 경우(a3)는 수신안테나의 방향이 위성방향의 중심으로 조정되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이며, 신호레벨이 최대치에서 서서히 낮아지는 경우(a4)는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최적상태에서 서서히 이탈시켜 신호의 레벨이 서서히 낮아지는 경우이고, 무신호시의 잡음(a5)은 수신안테나로부터 위성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나타나는 잡음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잡음 증폭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OUT)는 신호증폭부(30)에서 증폭되고, 신호증폭부(30)에서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는 검파회로로 구성된 신호검출부(31)에서 신호의 포락선 레벨값에 비례하는 직류신호(A)로 검파된다. 상기 신호검출부(31)에서 출력되는 직류신호(A)는 직류증폭부(32)가 갖고 있는 다이나믹레인지 범위 내의 최대값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증폭도로 직류증폭되어 파형B와 같이 입력신호에 대해 직선적으로 증폭된다. 이 때, 직류증폭부(32)에서는 무신호가 입력될 때, 입력되는 잡음(a5)이 출력측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임계전압 설정부(38)에 의하여 직류증폭부(32)의 동작점이 설정되어 출력측에서는 파형B와 같이 무신호시의 잡음(a5)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직류증폭부(32)와 임계전압 설정부(38)를 통하여 잡음(a5)이 제거되어 증폭된 신호는 입력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발진주기가 변하는 전압제어발진부(34)에 인가된다. 전압제어발진부(34)는 직류증폭부(32)에서 출력된 신호의 레벨이 기준전압 설정부(39)에서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진을 정지하고, 큰 경우에는 입력되는 신호레벨의 변화에 따라 발진주기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전압제어발진부(34)의 출력파형은 C와 같게 되며, Vref는 전압제어발진부(34)의 기준전압을 나타낸다. 따라서, 표시부(36)는 전압제어발진부(34)의 출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점멸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제어발진부(34)는 입력되는 전압레벨이 기준전압(Vref)보다 큰 경우 발진을 개시한다. 여기서, 전압제어발진부(34)의 발진주기의 변화량은 전압제어발진부(34)의 출력단에 접속된 표시부(36)에서 발광되는 점멸신호가 시각적으로 변별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수신안테나를 설치할 때 표시부(36)의 점멸상태를 보면 신호가 강해질수록 표시부(36)의 점멸주기가 짧아지므로 용이하게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레벨에 따라 점멸주기가 바뀌므로 이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설치한 후에도 수시로 수신레벨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표시부(36)의 표시수단으로서 가청 신호를 출력하는 가청음 발생기를 사용하여 설치자가 가청음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음색의 변화를 판별하여 수신안테나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각 블록의 상세 회로도로서 신호증폭부(30)는 도시되지 않았다. 신호증폭부(30)에 의해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는 제1커패시터(C1)의 일단으로 입력되어 제1커패시터(C1)의 타단과 공통으로 접속된 고주파용 쇼트키 다이오드인 제1, 제2다이오드(D1, D2)와 제2다이오드(D2)의 일단에 접속된 제2커패시터(C2)와 부하저항인 제1저항(R1)으로 구성된 고주파 배압검파회로의 작용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의 포락선 레벨값에 비례하는 직류값으로 변환되어 직류증폭부(32)로 출력된다. 직류증폭부(32)에서는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제2저항(R2)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제1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와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궤환저항인 제4저항(R4)과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 있는 제3저항(R3)의 저항값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증폭도에 의해 증폭되는 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신호시 입력되는 잡음(a5)이 출력측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연산증폭기(OP1)의 동작점을 임계전압 설정부(38)의 출력값으로 오프셋(offset)시킨다. 이를 위하여 바이어스 저항인 제5저항(R5)과 제1직류전압발생기(V1)로 구성된 임계전압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소정 레벨의 전압을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직류증폭부(32)에서 무신호시의 잡음(a5)이 제거되어 증폭된 신호는 전압제어발진부(34)에 있는 제2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 및 반전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된 제6저항(R6)과 제7저항(R7)에 인가된다. 또한, 제2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제8저항(R8)과 제3커패시터(C3)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제9저항(R9)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압제어발진부(34)에서는 정궤환과 부궤환의 불균형에 의한 발진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입력신호의 유무를 확실하게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 이하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발진을 정지시키도록 바이어스저항인 제10저항(R10)과 제2직류전압발생기(V2)로 구성된 기준전압 설정부(39)에 의해 소정 레벨의 전압을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한다. 따라서, 제2연산증폭기(OP2)로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전압 설정부(39)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출력이 low가 되므로 발진을 정지하게 되고,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전압 설정부(39)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입력 전압레벨의 변화에 따라 발진주기가 변화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제2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자에는 표시부(36)인 발광다이오드(LD1)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2연산증폭기(OP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점멸하게 된다.
도 6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의 블록도를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미도시)로 집속되어 저잡음증폭변환기(도 1)에서 출력된 위성신호의 중간주파신호(OUT)를 입력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신호증폭부(30)와, 신호증폭부(30)에서 출력된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직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검출부(31)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 임계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임계전압 설정부(38)와, 임계전압 설정부(38)에서 출력된 임계전압을 기준전압으로하여 기준전압 이하의 레벨을 갖는 잡음을 제거하면서 신호검출부(31)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직류증폭부(32) 및 직류증폭부(32)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점멸하는 표시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도 3과 같은 기능을 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회로에서 전압제어발진부(34)와 기준전압발생부(39)를 생략한 것으로서, 직류증폭부(32)에서 출력된 직류신호의 레벨에 따라 표시부(36)의 발광세기가 직선적으로 변화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도 3의 경우와 같이 표시부(36)가 주기적으로 점멸하지는 않지만, 설치자가 표시부(36)의 발광상태를 참조하면,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표시부(36)로서 가청 신호를 출력하는 가청음 발생기를 사용하여 설치자가 가청음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음의 세기를 판별함으로써 최적 위치를 결정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레벨에 따라 광량 혹은 점멸주기가 변화하는 발광신호를 발생시켜 전용의 측정 장비 없이도 발광신호의 발광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의 방향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설치에 경험이 없는 일반인에 의해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신안테나 및 저잡음 증폭기의 이상유무를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저잡음 증폭변환기에서 출력된 위성신호의 중간주파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직류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검출부;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 임계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임계전압 설정부; 상기 임계전압 설정부에서 출력된 임계전압을 기준전압으로하여 상기 임계전압 이하의 레벨을 갖는 잡음을 제거하면서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직류증폭부;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발진주기가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부; 및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점멸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제어발진부는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설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직류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 발진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어발진부는 입력신호를 직류증폭하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저항 및 제1커패시터;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2저항;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하는 제3저항; 상기 직류증폭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인가하는 제4저항;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기준전압 설정회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가청음을 발생시키는 가청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KR1019960034099A 1996-08-17 1996-08-17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KR10020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099A KR100204614B1 (ko) 1996-08-17 1996-08-17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099A KR100204614B1 (ko) 1996-08-17 1996-08-17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27A KR19980014927A (ko) 1998-05-25
KR100204614B1 true KR100204614B1 (ko) 1999-06-15

Family

ID=1946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099A KR100204614B1 (ko) 1996-08-17 1996-08-17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6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27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8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saturated oxygen in arterial blood by substantially eliminating noise from the measurement signal
US4356393A (en) Alignment indicator for photoelectric scanners
US5414411A (en) Pulse induction metal detector
EP0611100A1 (en) Circuit for measuring the output power from an amplifier
US6313462B1 (en) Infrared-rays detector
US4797556A (en) Optical continuity testing apparatus with pulsating transmitter
EP1032145A3 (en) Automatic gain switching-type burst optical signal receiving circuit
US5325073A (en) Amplifying apparatus with ac/dc feedback circuit
US5444862A (en) Circuit for stopping data transmission responding to low level and rapid fall of received electric field
US6285017B1 (en) Alignment indicator for photoelectric sensors
US6348816B1 (en) Tracking percent overload signal as indicator of output signal magnitude
KR100204614B1 (ko) 위성신호 수신안테나용 방향조정상태 표시회로
US5307404A (en) Signal detecting device
HU196513B (en) Apparatus for measuring voltage by sampling
JPS63166000A (ja) センサーの測定値送信用装置
US5369375A (en) Sinewave generating circuit and amplitude demodulator
US5280242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fine magnetic field with characteristic testing function of a DC squid
US5125744A (en) Optical measurement device
JP2553806B2 (ja) 光電スイッチ
JPH03189584A (ja) 距離測定装置
US4418341A (en) Noise detection apparatus
KR0119811Y1 (ko) 다중모드모니터의 모드판별회로
KR100273972B1 (ko) 전원 노이즈 검출 회로
KR950008494Y1 (ko) 무인 운반차 유도 루우프의 발진 회로
KR970002333A (ko) 엘엔비 출력 세기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