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219B1 -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 Google Patents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219B1
KR100204219B1 KR1019970004248A KR19970004248A KR100204219B1 KR 100204219 B1 KR100204219 B1 KR 100204219B1 KR 1019970004248 A KR1019970004248 A KR 1019970004248A KR 19970004248 A KR19970004248 A KR 19970004248A KR 100204219 B1 KR100204219 B1 KR 10020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exterior
building
panel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898A (ko
Inventor
강경석
Original Assignee
강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석 filed Critical 강경석
Priority to KR101997000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21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조립이 완료된 후의 외관이 실제의 건자재를 사용하여 축조한 벽과 거의 유사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강하며 방습성이 양호한 건축구조용 외장재를 제공하기 위해, 표면쪽에는 실제의 건자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벽의 외관과 유사한 형태로 조합된 볼록부분(101, 201, 301)들과 오목부분(102, 202)들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쪽에는 표면쪽의 오목부분(102, 202)에 대응하는 볼록부분과 표면쪽의 볼록부분(101, 201, 301)에 대응하는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쪽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때에 상기 배면이 상기 외벽면에 골고루 밀착하게 하는 수단(103)이 제공됨과 아울러 비교적 크게 형성된 표면쪽의 볼록부분(101, 201, 301)에 대응하는 배면쪽의 오목부분에는 보강리브(222)들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장자리부분(104, 204, 304)에는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못구멍(105, 205, 30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부(106;107, 206;207, 306;307)와 좌우단부(111;112, 211;212, 311;312)가 서로 맞물리는 깊이를 제어하는 스톱퍼(109, 209, 113, 213)나 돌출부(313)들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에 안쪽으로 겹쳐지는 측단부의 표면에는 수류차단수단(3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100, 200, 3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이 발명은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 등에 장식용으로 덧대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decorative pannel)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변형이나 파손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방수성이 좋은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나 목재로 건축되는 구조물은 건축초기부터 또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관이 그다지 산뜻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그러한 건물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에 석재나 목재나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장식용 부재들을 덧댄다. 그런데, 그러한 장식용 부재들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시공이 어려워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므로, 그러한 외장용 부재로서 각종의 무늬를 갖는 비닐사이딩 등과 같은 대체품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월프리드 이. 데이비스(Wilfrid E. Davis)와 리차드 에이. 데이비스(Richard A. Davis)가 발명하고 발명의 명칭이 월패널(wall panels)인 1983 6월 15일자 미국특허출원 제 504,618호와 미국 플로리다 마이애미에 소재하는 네일라이트 인터내셔널의 발명의 명칭이 데코레티브 월 커버링(decorative wall covering)인 1990년 3월 5일자 미국특허출원 제 487,910호 및 발명의 명칭이 데코레티브 월커버 앤드 메쏘드 오브 인스탈레이션(decorative wall cover and method of installa tion)인 1990년 3월 2일자 미국특허출원 제 488,351호에서는 석재나 목재 또는 벽돌 등과 같은 실제의 건축자재로 쌓은 벽의 외관을 모방한 의사부재(imitation member)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한 의사부재들은 건물의 외벽에 연속적으로 엇물리게 부착됨으로써 건물의 외벽이 마치 실제의 건축자제로 쌓은 벽인 듯이 보이게 한다. 위 특허출원들의 명세서에서 제안하고 있는 건축구조용 외장재들은 실제의 건자재를 이용하는 것보다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실제의 건자재를 이용한 것과 거의 유사한 품격 높은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위 특허출원들의 명세서에 기재된 건축구조용 외장재들은 완벽한 연속무늬형태를 나타내도록 조립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한 후에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하거나 외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쉽사리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종래의 건축구조용 외장재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조립이 완료된 후의 외관이 실제의 건자재를 사용하여 축조한 벽과 거의 유사하게 하면서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후에 계속적으로 사용하면서 겪는 외부환경, 즉, 온도나 압력 등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지붕이나 벽면을 완전히 엄폐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지붕이나 벽의 외면과 위 건축구조용 외장재의 내면의 사이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 개선된 건축구조용 외장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1a도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주로 이용되는 벽돌벽의 외면의 일부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정면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된 외장패널의 못구멍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절결된 단면도.제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배면사시도.
제3도은 제1a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구석부분을 마무리하는 구석마감부재의 정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구석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
제5도는 제1a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초기에 건물의 외벽 의하단에 부착되는 하단기초부재 의정면사시도.
제6도은 제5도에 도시된 하단기초부재의 배면사시도.
제7도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주로 이용되는 석벽의 외면의 일부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정면사시도.
제8도은 제7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배면사시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구석부분을 마무리하는 구석마감부재의 정면사시도.
제10도은 제9도에 도시된 구석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초기에 건물의 외벽의 하단에 부착되는 하단기초부재의 정면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하단기초부재의 배면사시도.
제13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지붕에 주로 이용되는 너와지붕의 외면의 일부와 외관을 갖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정면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배면사시도.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구석부분, 즉, 용마루부위를 마무리하는 구석마감부재의 정면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구석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외장패널 101, 201, 301 : 블록부분
102, 202 : 오목부분 222 : 보강리브
103 : 스템부분 104, 204, 304 : 상측 가장자리부분
105, 205, 305 : 못구멍 106, 206, 306 : 상단부
107, 207, 307 : 하단부 108, 208, 308, 218 : 후크
109, 209 : 스톱퍼 113, 213 : 스톱퍼
127, 128 : 이중판 211 : 측단부
312 : 측단부 313 : 돌출부
337 : 수류차단용 댐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르면,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에 있어서, 표면쪽에는 실제의 건자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벽의 외관과 유사한 형태로 조합된 볼록부분들과 오목부분들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쪽에는 표면쪽의 오목부분에 대응하는 볼록부분과 표면쪽의 볼록부분에 대응하는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쪽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때에 상기 배면이 상기 외벽면에 골고루 밀착하게 하는 수단이 제공됨과 아울러 비교적 크게 형성된 표면쪽의 볼록부분에 대응하는 배면쪽의 오목부분에는 보강리브들을 형성되어 있고, 상측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외장패널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못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못구멍들은 못의 헤드부분을 주변의 표면보다 위로 돌출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의 상단부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의 하단부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지게 구성되며, 상기 하단부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들의 사이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가 상기 후크속에 삽입되는 깊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한 쪽의 측단부에는 다른 쪽의 측단부속에 그러한 측단부가 끼워지는 깊이를 제어하는 스톱퍼들이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에 안쪽으로 겹쳐지는 측단부의 표면에는 수류차단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이 제공된다.
[실시예]
이제, 도면을 보면서 이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제1a도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주로 이용되는 벽돌벽의 외면의 일부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정면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배면사시도이며, 제3도은 제1a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구석부분을 마무리하는 구석마감부재의 정면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구석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1a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초기에 건물의 외벽의 하단에 부착되는 하단기초부재의 정면사시도이고, 제6도은 제5도에 도시된 하단기초부재의 배면사시도이고, 제7도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주로 이용되는 석벽의 외면의 일부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정면사시도이고, 제8도은 제7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배면사시도이며,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구석부분을 마무리하는 구석마감부재의 정면사시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구석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이며,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초기에 건물의 외벽의 하단에 부착되는 하단기초부재의 정면사시도이고, 제12도 제11도 도시된 하단기초부재의 배면사시도이고, 제13도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지붕에 주로 이용되는 너와지붕의 외면의 일부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정면사시도이고,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배면사시도이며,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구석부분, 즉, 용마루부위를 마무리하는 구석마감부재의 정면사시도이고, 제16도은 제15도에 도시된 구석마감부재의 배면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
제1a도 내지 제6도에서 인용부호 100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을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며, 인용부호 130은 상기 외장패널(100)의 조립시에 이용되는 부속품인 구석마감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고, 인용부호 150은 상기 외장패널(100)의 조립시에 이용되는 부속품인 하단기초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외장패널(100) 및 그 구석마감부재(130)와 하단기초부재(150)(이하에서는 외장패널세트라고 칭하기로 함)의 표면쪽에는 벽돌모양의 볼록부분(101)들과 그러한 볼록부분(101)들의 사이에 적색벽돌의 적층시에 접합제로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모양의 오목부분(102)들이 실제로 벽돌로 축조한 건물의 외벽면과 유사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배면쪽에는 그러한 외장패널 세트의 무게를 줄이고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표면의 볼록부분(101)에 대응하는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표면의 오목부분(102)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면쪽의 볼록부분, 즉, 콘크리트부분의 형상에 해당하는 부분은 실제의 벽돌축성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배면쪽의 볼록부분중에서 세로방향 의볼록부분상에는 외장패널세트의 가장자리부분의 고도와 동일한 고도로 돌출된 원주형 스템부분(103 : stem portion)을 형성해둠으로써 외장패널세트를 부착한 후에 그러한 외장패널세트의 내면이 건물의 외벽면에 골고루 밀착하게 한다.
외장패널(100)과 하부기초부재(15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104, 154) 및 구석마감부재(130)의 측부(134)에는 못을 박을 수 있는 못구멍(105, 135, 155)들이 형성되어 있다. 못구멍(105, 135, 155)들은 제1b도에 보이듯이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121)과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못의 헤드부분을 수용할 오목부분(122)을 형성함으로써 못을 박은 후에 못의 헤드가 못구멍(105, 135, 155)의 둘레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못구멍(105, 135, 155)은 길쭉한 슬롯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장패널세트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따른 길이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외장패널(100)의 상단부(106)와 하단부(107)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100)의 상단부(1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100)의 하단부(1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진다. 외장패널(100)의 하단부(1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100)의 상단부(106)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108)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106)가 외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단부(106)에 상기 후크(108)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장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104)의 못구멍(105)에서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121)은 배면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123)을 가지며, 그러한 연장부분(123)의 단부는 상기 원주형 스템부분(103) 및 상기 후크(108)의 단부들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08)들의 사이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106)가 상기 후크(108)속에 적절한 깊이만큼만 삽입되게 하는, 즉, 하측의 외장패널(100)의 상단부(1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100)의 하단부(107)가 겹쳐지는 길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109)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장패널(100)의 좌측단부(111)는 톱니형으로 되어, 우측단부(112)는 좌측단부(111)의 톱니형태와 조합될 수 있는 대응톱니형으로 되어 있다. 우측단부(112)의 대응톱니형 부분은 이중판형으로 형성되어 좌측단부(111)의 톱니형 부분이 그러한 이중판(127, 128)의 사이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00)의 표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좌측단부(111)에도 스톱퍼(113)들이 직선상에 형성되어 우측단부(112)속에 좌측단부(111)가 끼워지는 깊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은 외장패널세트가 건물의 외벽면에 완전히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기초부재(150)는 상기 외장패널(100)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실시예]
제7도 내지 제12도에서 인용부호 200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을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며, 인용부호 230은 상기 외장패널(200)의 조립시에 이용되는 부속품인 구석마감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고, 인용부호 250은 상기 외장패널(200)의 조립시에 이용되는 부속품인 하단기초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외장패널(200) 및 그 구석마감부재(230)와 하단기초부재(250)(이하에서는, 외장패널세트라고 칭하기로 함)의 표면쪽에는 석벽을 이루는 석재모양의 볼록부분(201)들과 그러한 볼록부분(201)들의 사이에 석재의 적층시에 접합제로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모양의 오목부분(202)들이 실제의 석벽의 외벽면과 유사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배면쪽에는 그러한 외장패널세트의 무게를 줄이고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표면의 볼록부분(201)에 대응하는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표면의 오목부분(202)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석재모양의 돌출부분(201)들은 실제의 석벽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로 및 세로의 치수들이 다양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그 중에는 가로치수 및 세로치수가 모두 상당히 크게 형성된 것들도 있으며, 그러한, 것들은 강도가 매우 약하다. 즉, 크게 형성된 석재모양의 돌출부분(201)은 표면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의해 쉽사리 변형되며, 그러한 변형은 때때로 영구변형으로 잔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크게 형성된 석재모양의 돌출부분(201)에 해당하는 배면쪽의 오목부분에 보강리브(222)들을 형성해 둔다.
외장패널(200)과 하부기초부재(25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204, 254) 및 구석마감부재(230)의 측부(234)에는 못을 박을 수 있는 못구멍(205, 235, 255)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도 못구멍(205, 235, 255)들은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도시 안함)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못의 헤드부분을 수용할 오목부분(도시 안함)을 형성함으로써 못을 박은 후에 못의 헤드가 못구멍(205, 235, 255)의 둘레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못구멍(205, 235, 255)은 길쭉한 슬롯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장패널세트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따른 길이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외장패널(200)의 상단부(206)와 하단부(207)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200)의 상단부(2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200)의 하단부(2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진다. 외장패널(200)의 하단부(2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200)의 상단부(206)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208)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206)가 외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단부(206)에 상기 후크(208)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장패널(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204)의 못구멍(205)에서 못의 스템분분을 수용할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배면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을 가진다. 또한, 상기 후크(208)들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상단부(206)가 상기 후크(208)속에 적절한 깊이만큼만 삽입되게 하는, 즉 하측의 외장패널(200)의 상단부(2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200)의 하단부(207)가 겹쳐지는 길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209)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장패널(200)의 좌측단부(211)는 계단형으로 되어 있고, 우측단부(212)는 좌측단부(211)의 계단형태와 조합될 수 있는 대응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좌측단부(211)에는 상기 하단부(207)의 후크(208)와 유사한 후크(21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단부(212)의 계단형 부분을 그러한 후크(218) 속에 끼움으로써 상기 외장패널(200)들은 연속무늬를 갖게 조합된다. 상기 우측단부(212)에도 스톱퍼(213)들이 직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218)속에 좌측단부(211)가 끼워지는 깊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은 외장패널세트가 건물의 외벽면에 완전히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기초부재(250)는 상기 외장패널(200)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3 실시예]
제13도 내지 제16도에서 인용부호 300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을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며, 인용부호 330은 상기 외장패널(300)의 조립시에 이용되는 부속품인 구석마감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외장패널(300) 및 그 구석마감부재(330)(이하에서는, 외장패널세트라고 칭하기로 함)의 표면쪽에는 너와지붕의 널판이 겹쳐진 모양의 볼록부분(301)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쪽에는 그러한 외장패널세트의 무게를 줄이고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표면의 볼록부분(301)에 대응하는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표면의 오목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장패널(30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304)과 좌측 가장자리부분(315) 및 구석마감부재(330)의 측부(334)에는 못을 박을 수 있는 못구멍(305, 335)들이 형성되어 있다. 위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도 못구멍(305, 335)들이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못의 헤드부분을 수용할 오목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못을 박은 후에 못의 헤드가 못구멍(305, 335)의 둘레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못구멍(305, 335)은 길쭉한 슬롯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장패널세트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따른 길이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외장패널(300)의 상단부(306)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300)의 상단부(306)의 표면 위에 상측의 외장패널(300)의 하단부(3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진다. 외장패널(300)의 하단부(3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300)의 상단부(306)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308)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306)가 외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단부(306)에 상기 후크(308)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장패널(30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304)의 못구멍(305)에서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배면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을 갖는다.
또한, 상기 외장패널(300)의 우측단부(312)는 계단형으로 되어 있고, 좌측단부(311)는 조립시에 상기 우측단부(312)의 위에 겹쳐지게 맞물려서 상기 계단형태와 조합될 수 있는 대응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우측단부(312)의 표면에는 상기 좌측단부(311)가 겹쳐지는 위치를 정해주는 레지스터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313)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장패널(300)의 좌측단부(311)의 표면에는 상기 외장패널(300)이 지붕 위에 설치된 후에 그러한 경제부분을 통해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류차단용 댐(33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이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및 그 부속품들을 사용하면, 기성벽의 외관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외장재에 비해 압력이나 온도 등에 의한 변형이 매우 적으며, 내구성이 양호하고, 우천시나 강설시에도 기존의 벽면과 외장패널의 내면의 사이로 습기가 거의 침투하지 않는다.
이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용 외장패널은 실제의 건물의 외벽을 장식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벽을 장식하거나 또는 영화촬영을 위한 세트장의 조립등과 같은 가건물의 건축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4)

  1. 건축구조용 외장패널(100, 200, 300)에 있어서, 표면쪽에는 실제의 건자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벽의 외관과 유사한 형태로 조합된 볼록부분(101, 201, 301)들과 오목부분(102, 202)들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쪽에는 표면쪽의 오목부분(102, 202)에 대응하는 볼록부분과 표면쪽의 볼록부분(101, 201, 301)에 대응하는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쪽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때에 상기 배면이 상기 외벽면에 골고루 밀착하게 하는 수단(103)이 제공됨과 아울러 비교적 크게 형성된 표면쪽의 볼록부분에 대응하는 배면쪽의 오목부분에는 보강리브(222)들을 형성되어 있고, 상측 가장자리부분(104, 204, 304)에는 상기 외장패널(100, 200, 300)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못구멍(105, 205, 30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못구멍(105, 205, 305)들은 못의 헤드부분을 주변의 표면보다 위로 돌출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100, 200, 300)의 상단부(106, 206, 3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100, 200, 300)의 하단부(107, 207, 3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지게 구성되며, 상기 하단부(107, 207, 3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100, 200, 300)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108, 208, 308)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108, 208, 308)들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상단부(106, 206, 306)가 상기 후크(108, 208, 308)속에 삽입되는 깊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109, 209)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한 쪽의 측단부(211)에는 후크(218) 및 스톱퍼(213)가 형성되어 다른 쪽의 측단부와 적절한 깊이만큼 맞물리게 하고, 조립시에 안쪽으로 겹쳐지는 측단부(312)의 표면에는 수류차단수단(3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2. 건축구조용 외장패널(100)에 있어서, 표면쪽에는 벽돌모양의 볼록부분(101)들과 그러한 볼록부분(101)들의 사이에 적색벽돌의 적층시에 접합제로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모양의 오목부분(102)들이 실제로 벽돌로 축조한 건물의 외벽면과 유사하게 조합되어 있고, 배면쪽에는 표면쪽의 오목부분(102)에 대응하는 볼록부분중에서 세로방향의 볼록부분상에는 외장패널세트의 가장자리부분의 고도와 동일한 고도로 돌출된 원주형 스템부분(103)을 형성해 두며, 상기 가장자리부분(104)에는 못을 박을 수 있는 못구멍(10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못구멍(105)들은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121)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못의 헤드부분을 수용할 오목부분(122)을 형성함으로써 못을 박은 후에 못의 헤드가 못구멍(105)의 둘레의 표면보다 돌출하지 않게 하며, 상기 못구멍(105)들은 길쭉한 슬롯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장패널(100)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따른 길이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하고, 상단부(106)와 하단부(107)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100)의 상단부(1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100)의 하단부(1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지게 구성되며, 상기 하단부(1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100)의 상단부(106)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108)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분(104)의 못구멍(105)에서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121)은 배면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123)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123)의 단부는 상기 원주형 스템부분(103) 및 상기 후크(108)의 단부들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108)들의 사이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106)가 상기 후크(08)속에 삽입되는 깊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109)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단부(112)는 톱니형 좌측단부(111)가 삽입될 수 있는 대응톱니형 이중판(127, 128)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단부(111)에는 우측단부(112)속에 좌측단부(111)가 끼워지는 깊이를 제어하는 스톱퍼(113)들이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외장패널.
  3. 건축구조용 외장패널(200)에 있어서, 표면쪽에는 석벽을 이루는 석재모양의 볼록부분(201)들과 그러한 볼록부분(201)들의 사이에 석재의 적층시에 접합제로서 사용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모양의 오목부분(202)들이 실제의 석벽의 외벽면과 유사하게 조합되어 있고, 배면쪽에는 비교적 크게 형성된 석재모양의 볼록부분(201)에 해당하는 배면쪽의 오목부분에 보강리브(222)들을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가장자리부분(204)에 형성된 못구멍(205)들은 못의 헤드부분을 수용할 오목부분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못구멍(205)들은 길쭉한 슬롯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206)와 하단부(207)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200)의 상단부(2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200)의 하단부(2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지게 구성되고, 상기 하단부(2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200)의 상단부(206)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20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208)들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상단부(206)가 상기 후크(208)속에 삽입되는 깊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209)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우측단부(212)는 계단형 좌측단부(211)와 조합될 대응계단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좌측단부(211)에는 상기 하단부(207)의 후크(208)와 유사한 후크(21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단부(212)의 후크(218)들의 사이에는 상기 후크(218)속에 좌측단부(211)가 끼워지는 깊이를 제어하는 스톱퍼(213)들이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4. 건축구조용 외장패널(300)에 있어서, 표면쪽에는 너와지붕의 널판이 겹쳐진 모양의 볼록부분(30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가장자리부분(304)과 좌측 가장자리부분(315)에는 못을 박을 수 있는 못구멍(30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못구멍(305)들은 못의 헤드부분을 수용할 오목부분이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못구멍(305, 335)은 길쭉한 슬롯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306)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하측의 외장패널(300)의 상단부(306)의 표면위에 상측의 외장패널(300)의 하단부(307)가 겹쳐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맞물려지게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307)의 배면에는 하측의 외장패널(300)의 상단부(306)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후크(30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분(304)의 못구멍(305)에서 못의 스템부분을 수용할 부분은 배면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분을 갖고, 상기 후크(308)들의 사이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306)가 상기 후크(308)속에 삽입되는 깊이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309)들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단부(312)는 계단형으로 되어 있고 좌측단부(311)는 조립시에 상기 우측단부(312)의 우에 겹쳐지게 맞물려서 상기 계단형태와 조합될 수 있는 대응계단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우측단부(312)의 표면에는 상기 좌측단부(311)가 겹쳐지는 위치를 정해주는 레지스터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313)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단부(311)의 표면에는 수류차단용 댐(3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KR1019970004248A 1997-02-13 1997-02-13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KR10020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248A KR100204219B1 (ko) 1997-02-13 1997-02-13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248A KR100204219B1 (ko) 1997-02-13 1997-02-13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898A KR19980067898A (ko) 1998-10-15
KR100204219B1 true KR100204219B1 (ko) 1999-06-15

Family

ID=1949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248A KR100204219B1 (ko) 1997-02-13 1997-02-13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2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898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7453A (en) Facing structure and article
EP1395720B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stone masonry wall
CA2714078C (en) Prefabricated wall panel with interlocking structure
US3426490A (en) Masonry veneer siding and mold
AU2002302249A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masonry wall
RU2436912C1 (ru) Пластиковая формованная стеновая или кровельная облицовка (варианты) и цельный формованный пластиковый угловой молдинг для стеновой или кровельной облицовки
US3420024A (en) Artificial siding for use in a building construction
KR100204219B1 (ko) 건축구조용 외장패널
JP3686346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EP0634533A1 (en) Insulating panel for inhabited buildings
US3918227A (en) Clip means for mounting plastic or metal facing material on building block structures
KR200272171Y1 (ko) 조립식 문틀
JPH0229150Y2 (ko)
KR101448197B1 (ko) 건축자재용 장식 단열블록
JPH038733Y2 (ko)
JP3076313U (ja) 建築用装飾板
JPH0634514Y2 (ja) 壁材取付構造
JPH0762830A (ja) 外装材の取り付け構造
RU2307030C2 (ru) Лицевой стеновой камень (варианты)
JPH037469Y2 (ko)
JP2506880Y2 (ja) 外装材取付け構造
JPH0711220Y2 (ja) 金属薄板製屋根板
JP3984884B2 (ja) 建物のコーナー部におけるオーバーラップタイプのタイルの施工法及びそのためのオーバーラップタイプのタイル
JPS592246Y2 (ja) 屋根瓦
JPS636698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