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992B1 -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992B1
KR100202992B1 KR1019960081223A KR19960081223A KR100202992B1 KR 100202992 B1 KR100202992 B1 KR 100202992B1 KR 1019960081223 A KR1019960081223 A KR 1019960081223A KR 19960081223 A KR19960081223 A KR 19960081223A KR 100202992 B1 KR100202992 B1 KR 10020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array
variable
data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846A (ko
Inventor
최수정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9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2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or efficient processing
    • H03M13/6505Memory efficient implem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04L67/5651Reducing the amount or size of exchang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열의 데이터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 메시지의 효율을 높이기에 적합한 GSM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길이가 가변적이든 또는 고정적이든지 간에 일률적으로 리스트 내의 각각의 데이터 정보들의 시작을 알리는 태그(tag)와 데이터 정보의 길이 정보를 모두 가짐으로, 프로세서 간에 정보의 양이 많아져 많은 메모리를 쓰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적인 데이터 정보인 경우는 맵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부호화하는 정보의 양을 줄여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부호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에스엠(GSM)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본 발명은 GSM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cod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열의 데이터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 메시지의 효율을 높이는 GSM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GSM 방식에서 데이터 배열의 부호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기술을 제3도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각각의 데이터는 1개의 바이트 내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정보로 4개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의 길이를 표시하는 한 개의 바이트 그리고, 각각의 해당 데이터 정보마다 태그 정보와 길이 정보를 합하여 13개의 바이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각각은 1개의 바이트를 갖는 고정된 길이를 갖는 정수 배열의 경우 길이가 가변적인 경우 길이를 표시해 주는 엘리먼트가 꼭 필요하지만, 고정적인 경우는 서로 몇 바이트인지 사전에 약속이 가능함으로 길이 정보 및 태그 정보를 담은 바이트가 없어도 무방하다.
제3도의 예에서는 제 1 데이터 정보(310)의 시작을 알리는 태그 정보(304), 그리고 다음으로는 제 1 데이터 정보의 단위 길이 정보(306)와 이어서, 제 2, 제 3 및 제 4 데이터 정보(320, 330, 340) 각각의 시작을 알리는 태그 정보(314, 324, 334) 그리고, 각각의 정보의 길이를 알리는 단위 길이 정보(316, 326, 336) 및 그리고, 각각의 데이터 정보(320, 330, 340)의 순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데이터 정보(310, 320, 330, 340)의 앞에 각각의 태그 정보 및 단위 길이 정보를 각각의 정보의 앞단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술한 12개 바이트(Byte)와 전체 길이 정보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 정보(302)를 앞에 배열하여 데이터 배열을 부호화시킨 예이다. 참고로 제4도의 예에서는 전체 길이 정보는 십진수로는 12개의 정보를 보내고, 16진수로 OC가 되며, 이는 전체 길이 정보는 제외한 길이 정보로서, 실제적으로는 13바이트의 정보가 전송된다.
여기서, 길이 정보는 16 진수(hexadecimal)로 나타내었으며, 일 예로, 01, 또는 OF와 같은 방법으로 표현하여, 01-FF까지 표현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각의 데이터 정보에 태그 정보와 길이 정보가 첨가되어 정보의 양이 많아짐으로 인하여 메모리의 손실이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간결하게하여 GSM 방식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배열의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환기의 연결 망에서 NO.7 프로토콜을 통하여 시스템 서로 간에 데이터 배열을 수신 및 송신하는 시스템에서, NO,7 링크 내의 맵에서 상기의 데이터 배열을 수신하여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인 데이터 배열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의 판단 결과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이지 않은 경우 테그와 단위 길이 정보를 제거하고, 재배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는 GSM 교환기에서의 NO.7 프로토콜의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열의 부호화 하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
제3도는 종래 발명에 따른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를 나타낸 배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를 나타낸 배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 110 : 연결망 서브시스템
120 : 가입자 정합부 122 : 응용 서비스부
124 : 맵 124 : 티캡
126 : 티캡 128 : SCCP
130 : MTP 140 : 홈 위치 등록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보면, 제1도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SS NO.7 신호 방식의 래이어(Layer) 구조도를 도시한다.
응용 서비스부(122)는 가장 상부에 존재하며 전전자 교환기와 가장 가까우며, 전전자 교환기에서 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계층 프로세스이다.
맵(124)은 티캡(126)과 응용 서비스부(128)사이에 존재하며, 이동 통신에 적용되는 문답 처리 기능의 사용자들에게 적용되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부호화(coding)하는 역할 및 복호화(decoding)하여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역할을 한다.
응용 서비스부(128)에서 데이터를 받는 경우는 받은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티캡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 정보로 만든다.
그리고, 티캡(126)의 문답 처리 기능은 통신 회선의 제어에는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교환기와 특수 센터, 예로 데이터 베이스, OAM 센터등에 분산된 이동 통신 기능과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한편,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128)는 MTP(message transfer part)(130)의 상위에 위치하며, 통상의 회선 대응 제어 신호 이외의 각종 신호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SS NO.7 신호 방식의 기능으로서, 부가 서비스를 규정 교환기와 특수 센터 사이의 정보 전달과 회선, 비회선 관련 신호 정보의 전달을 위해 비연결형 및 연렬형 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MTP(130)는 신호 메시지를 상대 신호국, 즉, 예를 들면 홈 위치 등록기(140)에 보내는 기능을 담당하며, 피지컬 레벨, 링크 레벨, 네트 웍 레벨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맵은 응용 서비스부로부터 데이터 배열을 수신한다(단계 200).
그리고, 맵(124)이 응용 서비스부(1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면, 부호화되지 않은 데이터 배열을 수신하여 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배열을 만든다(단계202).
맵(124)이 티캡(126)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배열을 수신 받아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자료만을 응용 서비스부(122)로 송신한다.
맵(124)은 수신한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인가 또는 고정적인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04).
단계 204에서의 판단 결과 가변적이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되면, 고정적인 데이터 배열이 가지고 있는 배열을 맵에서 분석한다(단계 206).
전체 길이와 길이에 해당하는 배열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해당 영역으로 송신한다(단계 208).
그리고, 단계 204에서 판단하여, 가변적인 데이터 배열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래의 데이터 배열대로 부호화 처리한다(단계210).
제4도를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배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배열은 모두 같은 수의 바이트로 표현 가능한 데이터이여야 하며, 이는 고정된 데이터 배열을 갖는 것을 말한다.
먼저 맵(124)에서는 데이터의 배열이 고정적인 지를 판단하고 고정적인 데이터 배열인 경우 전체 길이를 분석하여 길이 정보를 만든다.
만들어진 전체 길이 정보를 앞에 배열하고 데이터 정보 앞에 태그 정보가 제일 먼저 오고 다음에 단위 길이 정보 그리고 데이터 정보의 순으로 데이터를 배열하여 데이터 포맷을 만든다.
제4도의 예에서 4개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진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는는 전체 길이 정보(300)는 H 05가 되고 차례대로 제 1 데이터 정보(310) 제 2 데이터 정보(320), 제 3 데이터 정보(330), 제 4 데이터 정보(340)가 배열되며, 이는 부호화된 신호임으로 차례대로 티캡(128)으로 전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적인 데이터 정보인 경우는 맵에서 응용서비스부에서 송신한 신호를 받는 경우 부호화하는 정보의 양을 줄여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전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교환기의 연결망에서 NO.7 프로토콜을 통하여 시스템 서로 간에 데이터 배열을 수신 및 송신하는 시스템에서,상기 NO.7 링크 내의 맵은 응용 서비스부에서 상기의 데이터 배열을 수신하여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인 데이터 배열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맵에서의 판단 결과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이지 않은 경우 테그와 단위 길이 정보를 제외하고, 전체 길이 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하여 가변적인 데이터 배열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호화 방법을 채택하여 데이터를 부호화 하는 것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 방법.
  3. 교환기의 연결망에서 NO.7 프로토콜을 통하여 시스템 서로 간에 데이터 배열을 수신 및 송신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NO.7 링크 내의 맵은 티캡에서의 상기의 데이터 배열을 수신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인 데이터 배열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의 판단 결과 부호화된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이지 않은 경우 전체 길이 정보를 제거하여 복화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배열이 가변적인 데이터 배열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채택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GSM 방식에서의 배열의 부호화 방법.
KR1019960081223A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KR10020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23A KR100202992B1 (ko)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23A KR100202992B1 (ko)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46A KR19980061846A (ko) 1998-10-07
KR100202992B1 true KR100202992B1 (ko) 1999-06-15

Family

ID=1949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223A KR100202992B1 (ko) 1996-12-31 1996-12-31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9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46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71615A (fi) Datapalvelu matkaviestinverkossa
KR950703775A (ko) 디지털 통신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전송 및 수신장치(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apparatus for use in the system)
KR100202992B1 (ko) 지에스엠 방식에서 배열의 부호화 방법
CN1030877C (zh) 具有消息处理功能的无线寻呼机
KR100214135B1 (ko) 에스에스 넘버 세븐 프로토콜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100208277B1 (ko) 이동 응용부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100300846B1 (ko) 이동 통신 교환기의 넘버.7 레벨2 처리 방법
KR100201809B1 (ko) 다중 신호점을 처리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메세지전달부동작방법
AU669397B2 (en) Paging system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using stored wide-area telephone numbers
KR100196716B1 (ko)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변환방법
KR10041896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의 총괄명 번역 장치 및방법
KR100264058B1 (ko) 넘버7 메시지 처리장치의 신호점 관리방법
KR100225530B1 (ko) 넘버 7(n0.7) 다중 신호점 부호 방식을 이용한 교환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81882C (zh) 简化数字无线通信系统中的声频源变更的方法
KR10022273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와 홈 위치 등록기 간의 호처리 시험 방법
KR100197418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214136B1 (ko) 지에스엠 방식의 맵 프로토콜 처리방법
KR0156636B1 (ko) No.7 공통선 신호방식장치에서 신호터미널 선택방법
KR100268234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넘버7 신호처리 방법
KR100294000B1 (ko) 광역호출서비스를제공하는페이징시스템에서광역캡코드확장방법
KR100371514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 데이터 전송 장치및 방법
KR100203045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위성모뎀의 내부 통신방법
KR19990086865A (ko) 교환기의 타국 신호점 운용 방법
KR20020042178A (ko) 교환기의 아이에스유피 중계선 상태관리 방법
KR900017349A (ko) 분산제어 시스템의 n7신호방식에 있어서 회로식별부호 및 실제회로간의 구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