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921B1 -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921B1
KR100202921B1 KR1019960032530A KR19960032530A KR100202921B1 KR 100202921 B1 KR100202921 B1 KR 100202921B1 KR 1019960032530 A KR1019960032530 A KR 1019960032530A KR 19960032530 A KR19960032530 A KR 19960032530A KR 100202921 B1 KR100202921 B1 KR 10020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muffler
suction
compressor
muffl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854A (ko
Inventor
안치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9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사용되는 밀폐케이스 내부에 냉매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수단을 지니는 밀폐형 압축기(compressor)에서 흡입머플러의 구조를 개선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머플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실린더(13) 및 피스톤(14)으로 압축시켜 토출하는 냉장고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머플러(26)는 그 흡입구(26a) 및 토출구(26b)가 서로 다른 공간 내에 존재하도록 분할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크기로 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A)(B)(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폐케이스 내부에 냉매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수단을 지니는 밀폐형 압축기에서 흡입머플러에 소정의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가공공정에서 잔류하는 이물질의 유동에 따른 압축기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냉장고의 작동신뢰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제1도는 밀폐형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 (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평면도 이고,
(b)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11 : 밀폐케이스
12 : 편심축 13 : 실린더
14 : 피스톤 15 : 밸브
16 : 흡입머플러(종래) 17 : 배출머플러
18 : 흡입파이프 19 : 배출파이프
26 : 흡입머플러(본 발명) 26a : 흡입구
26b : 토출구 26c : 파팅라인
36 : 가이드레일 36a : 고정부
36b : 착탈부 A, B, C : 필터
본 발명은 압축기(compresso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사용되고 밀폐케이스 내부에 냉매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수단을 지니는 밀폐형 압축기에서 흡입머플러의 구조를 개선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 있어서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한 회전력을 왕복운동의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단으로서, 비등점이 낮은 냉매가 압축기를 거치면서 고압(약 12기압) 상태로 된다. 다시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에서 냉각되어 액체 상태가 되고, 이러한 액체 상태의 냉매가 냉각기에서 기체화 되면 하나의 냉동 사이클이 완료된다.
제1도는 밀폐형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된다.
압축기(10)는 밀폐케이스(11) 외부에 냉매의 흡입파이프(18) 및 배출파이프(19)가 접합되고 내부에 고압발생수단이 장착된 구조이다. 고압발생수단의 작동을 보면, 모터에 의해 회전 되는 편심축(12)의 캠운동이 실린더(13) 내의 피스톤(14)을 왕복운동시키고, 밸브(15)는 이때 형성되는 양면의 압력차에 의해 피동적으로 개폐되어 냉매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에서 흡입파이프(18)로 들어온 냉매는 밀폐케이스(11) 내부에 충전된 후 흡입머플러(16)를 통하여 실린더(13)로 유입되고, 실린더(13)에서 압축된 냉매를 배출머플러(17)를 통하여 배출파이프(19)에서 응축기(도시생략)로 보내진다. 상기 흡입머플러(16) 및 배출머플러(17)는 냉장고 작동소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압축기 소음을 감소 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전술한 각각의 내부 구성품은 그 가공과정에서 별도로 세척된 후 압축기(10) 조립공정에 투입되는데, 세척이 미흡하여 잔류하는 이물질이 흡입머플러(16)로 유입되면 실린더(13) 및 피스톤(14)의 접촉면이 손상된다. 냉매가 배출되는 밸브(15) 이후의 배관부 보다는 냉매가 유입되는 밸브(15) 이전의 배관부에서 더욱 청결 상태가 요구된다.
상기 실린더(13) 및 피스톤(14)의 손상으로 압축기(10)의 압축효율이 저하되면, 냉장고의 냉각능력이 저하되고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작동소음이 증가되는 현상이 초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이물질이 얇은 철판 재질인 밸브(15) 틈새에 끼면 압축기(10)는 사용 불능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폐케이스 내부에 냉매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수단을 지니는 밀폐형 압축기에서 이물질의 유동에 따른 압축기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냉장고의 작동신뢰성을 유지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머플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실린더(13) 및 피스톤(14)으로 압축시켜 토출하는 냉장고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머플러(26)는 그 흡입구(26a) 및 토출구(26b)가 서로 다른 공간 내에 존재하도록 분할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크기로 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A)(B)(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필터(A)(B)(C)는 통과되는 냉매의 속도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도록 가장 넓은 평면부에 형성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A)(B)(C)는 고정부(36a) 및 착탈부(36b)로 구분되는 가이드레일(36)구조에서 착탈부(36b)에 접합하고, 상기 흡입머플러(26)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요홈인 고정부(36a)에 삽입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 (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평면도를, (b)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의 가공공정에서 세척되지 못하여 잔류하는 이물질은 압축기(10) 작동시 실린더(13) 및 피스톤(14)의 접촉면을 손상시킨다. 냉매가 배출되는 밸브(15) 이후의 배관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지나오는 동안 다른 부분에 침전되므로 실린더(13) 및 피스톤(14)에 끼치는 영향이 적으나, 흡입머플러(26)를 포함하여 냉매가 유입되는 밸브(15) 이전의 배관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흡입구(26a) 및 토출구(26b)를 지니고 내부에 소정 구조의 공간이 형성되는 흡입머플러(26)는 상·하의 몸체를 플라스틱 사출로 성형하고 초음파 융착시켜 접합한 구조인데, 융착시 내부에 형성되는 버(burr)는 에어블로우잉 세척공정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제품출하 후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흡입머플러(26)는 그 흡입구(26a) 및 토출구(26b)가 서로 다른 공간 내에 존재하도록 분할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크기로 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A), 필터(B) 또는 필터(C)를 구비한다.
이때, 관통공의 직경은 이물질의 크기 및 냉매의 유속을 고려하여 실린더(13) 및 피스톤(14)에 끼치는 영향이 적은 범위에서 가능한 크게 선정한다. 상기 필터(A)(B)(C)에서 관통공의 전단면적(크기, 수량에 의해 결정)이 너무 과소하면 필터(A)(B)(C)를 통과되는 냉매의 속도가 크게 증가되어 소음이 증가되고, 흡입 배압의 증가로 압축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A)(B)(C)는 가장 넓은 평면부를 택하여 형성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 설치되는 필터 C가 관통공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사출로 성형하고 초음파 융착시켜 적합한 구조의 흡입머플러(26)에서 상하의 몸체 내면에 요홈부(도시생략)를 형성하고 이곳에 필터(A)(B)(C)를 삽입한다. 금속 재질의 필터(A)(B)(C)를 사용하는 경우 끼워맞춤 방식으로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는 상하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하는 것 보다, 흡입머플러(26)의 파팅라인(26c)에 의해 상하의 몸체에서 양분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하기 용이 하므로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3도는 제2도의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의 실시예는 필터(A)(B)(C)가 흡입머플러(26)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이나, 본 실시예는 필터(A)(B)(C)를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장탈착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A)(B)(C)는 고정부(36a) 및 착탈부(36b)로 구분되는 가이드레일(36)구조에서 착탈부(36b)에 접합하고, 상기 흡입머플러(26)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요홈인 고정부(36a)에 삽입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36)은 파팅라인(26c)(제2도 참조) 상에 형성하고, 착탈부(36b)는 흡입머플러(26)의 몸체에 약간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압축기(10) 작동에 의한 진동으로 필터(A)(B)(C)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필터를 청소할 때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공차를 유지하는 억지 끼워맞춤을 요한다.
한편, 끼워맞춤 구조에 더하여 착탈부(36b)에 돌출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착탈부(36b)를 볼트체결로 고정할 수도 있다. 억지 끼워맞춤된 부분이 헐거워져서 압축기의 진동으로 필터(A)(B)(C)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도에 따른 실시예는 필터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흡입머플러 자체를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하지만, 제3도의 실시예는 외부에서 필터만 분리하여 세척하고 재장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는 밀폐케이스 내부에 냉매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수단을 지니는 밀폐형 압축기에서 흡입머플러에 소정의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가공공정에서 잔류하는 이물질의 유동에 따른 압축기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냉장고의 작동신뢰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하나의 필터를 흡입머플러 내부에 장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관통공의 단면적을 증대시킨 둘 이상의 필터를 사용하는 변형예 또는 흡입머플러의 흡입구(26a)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는 변형예도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Claims (3)

  1. 흡입머플러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실린더(13) 및 피스톤(14)으로 압축시켜 토출하는 냉장고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머플러(26)는 그 흡입구(26a) 및 토출구(26b)가 서로 다른 공간 내에 존재하도록 분할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크기로 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A)(B)(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A)(B)(C)는 통과되는 냉매의 속도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도록 가장 넓은 평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A)(B)(C)는 고정부(36a) 및 착탈부(36b)로 구분되는 가이드레일(36)구조에서 착탈부(36b)에 접합되고, 상기 흡입머플러(26)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요홈인 고정부(36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형 흡입머플러.
KR1019960032530A 1996-08-05 1996-08-05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KR10020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530A KR100202921B1 (ko) 1996-08-05 1996-08-05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530A KR100202921B1 (ko) 1996-08-05 1996-08-05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54A KR19980013854A (ko) 1998-05-15
KR100202921B1 true KR100202921B1 (ko) 1999-06-15

Family

ID=1946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530A KR100202921B1 (ko) 1996-08-05 1996-08-05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59B1 (ko) 2001-10-29 2009-02-17 월풀 에쎄.아. 밀폐형 왕복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59B1 (ko) 2001-10-29 2009-02-17 월풀 에쎄.아. 밀폐형 왕복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54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415B2 (en) Linear compressor
KR100240241B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용 기어펌프
US6641374B2 (en) Cylinder head cover structure of hermetic motor-driving type compressor
JP2895795B2 (ja) 圧縮機
KR10048657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압축장치
KR100202921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US20040009077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reducing structure
KR10043676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9980010298U (ko)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KR013023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기 오일유입방지구조
KR10031403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 장치
KR10068249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0130213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KR2008001271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진동 흡수 구조
KR0126748Y1 (ko) 왕복동형 압축기
CN101205885A (zh) 直线式压缩机的冷媒排放结构
KR200157074Y1 (ko) 이물질 제거 트랩을 지닌 압축기
KR19980037780A (ko) 주름구조의 머플러를 지닌 밀폐형 압축기
KR100217056B1 (ko) 압축기
KR0176758B1 (ko) 압축기의 토출밸브 장치
KR0122967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밸브구조
JPH0650262A (ja) 往復型圧縮機
KR19980086223A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9990057587A (ko)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