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698B1 - Apparatus of preventing nois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preventing nois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698B1
KR100202698B1 KR1019960005767A KR19960005767A KR100202698B1 KR 100202698 B1 KR100202698 B1 KR 100202698B1 KR 1019960005767 A KR1019960005767 A KR 1019960005767A KR 19960005767 A KR19960005767 A KR 19960005767A KR 100202698 B1 KR100202698 B1 KR 10020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elevator
resonance box
ho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4053A (en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ublication of KR96003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6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모터를 이용한 권상기의 반송 주파수에 의한 소음이 주로프를 통해 카에 전달되는 것을 공명을 이용한 투과손실을 발생시켜 협대역 저주파 영역뿐 만이 아니라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는 상면과 하면에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주로프가 연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기계실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공명박스와; 공명박스의 제1통공과 제2통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가 관통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공명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축과; 중공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중공원판 형상을 한 한 개 이상의 공명판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ransmission loss using resonance that noise caused by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hoisting machine using an inverte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car through the main rope, thereby reducing the narrow band low frequency range as well as the wide range of frequency range of the elevator.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shap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being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through which the main rope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esonance box; A hollow shaft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of the resonance box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ce holes formed therein; It consists of one or more resonance plates in the shape of a hollow cone plat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Sound insulation of elevator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elevator is installed.

제2도는 종래 공명박스가 기계실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resonance box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제3도는 종래 다른 공명박스가 기계실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resonance box is conventional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제4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공명박스의 외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sonance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공명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sonance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의한 기계실 바닥에 삽입결합된 공명박스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sonance box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achine roo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71 : 주로프 52,72 : 제1통공51,71: Juroph 52,72: First through

54,74 : 공명박스 56 : 공명공54,74: Resonance Box 56: Resonance Ball

57,77 : 중공축 59 : 공명판57,77: hollow shaft 59: resonance plate

73 : 제진판73: damping plat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인버터모터를 이용한 권상기의 반송주파수에 의한 소음이 주로프를 통해 카에 전달되는 것과,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소음이 기계실로 전달되는 것을 공명을 이용한 투과손실로써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ing device of an elevator,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of the noise by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hoisting machine using an inverte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car through the main rope, and the transmission of noise in the car or hoistway to the machine room through reson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ing device of an elevator that can be reduced by loss.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실 바닥(14)의 상부에 인버터모터(10)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shown in FIG. 1, the inverter motor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chine room floor 14.

그리고, 상기 인버터모터(10)의 일측에는 인버터모터(1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회전되는 시브(11)와 이 시브(1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빔폴리(12)가 설치되어 있다.One side of the inverter motor 10 is provided with a sheave 11 rotated by an electrical signal of the inverter motor 10 and a beam pulley 12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eave 11.

이때, 상기 시브(11)의 회전력은 시브(11)의 외주면과 빔풀리(1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주로프(1)에 의해 빔풀리(12)에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eave 11 is transmitted to the beam pulley 12 by the main rope 1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ave 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pulley 12.

한편, 상기와 같이 시브(11)와 빔풀리(12)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주로프(1)의 양단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실 바닥(14)의 상면에 접촉되어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형상을 한 공명박스(4)와 기계실 바닥(14)을 차례로 관통하여 기계실 바닥(14)의 하부까지 연장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main rope 1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heave 11 and the beam pulley 12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floor 14, as shown in FIG. It ext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floor 14 through the resonance box 4 having the predetermined shape and the machine room floor 14 in order.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계실 바닥(14)의 하부까지 현장위치되어 있는 주로프(1)의 양단부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카(5)와 균형추(15)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r 5 and the counterweight 15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rope 1, which ar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floor 14 as described above.

이하, 상기 공명박스(4)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resonance box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공명박스(4)는 중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면 중앙부에는 제1통공(2)이, 그리고 하면 중앙부에는 제2통공(3)이 형성되어 있다.The resonance box 4 has a hollow shape, and as shown in FIG. 2, a first through hole 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그리고, 상기 공명박스(4)의 내부면 전체에는 흉음재(8a)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chest material 8a is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4.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엘리베이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인버터모터(10)가 구동되면 시브(11) 및 빔풀리(12)가 회전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verter motor 10 is driven by an electrical signal, the sheave 11 and the beam pulley 12 are rotated.

따라서, 상기 공명박스(4)의 제1통공(2) 및 제2통공(3)을 관통하는 주로프(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카(5)와 균형추(15)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ar 5 and the counterweight 15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rope 1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 of the resonance box 4 are in opposite directions. Rise and fall.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버터모터(10)가 구동됨에 따라 인버터 반송 주파수가 생성되어 지며, 이 인버터 반송 주파수에 의해 발생된 소음이 주로프(1)를 통해 카(5)에 전달된다.However, as the inverter motor 10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the inverter carrier frequency is generated, and the noise generated by the inverter carrier frequency is transmitted to the car 5 through the main rope 1.

이때, 상기의 소음은 제1통공(2)을 통하여 상기 공명박스(4)의 내부에 유입되며, 이 소음은 공명박스(4)의 내부면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흡음재(8a)에 의하여 어느정도 감쇄되어 제2통공(3)을 통해 카(5)에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resonance box 4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 the noise is attenuated to some extent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8a)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4). And is transmitted to the car 5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는 공명박스의 구조가 간단하기는 하지만 비교적 낮은 반송 주파수에 한정되어 사용되므로 사용범위가 좁고, 공명박스(4)의 상, 하부에는 제1통공(2) 및 제2통공(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방음이 이루어지지 않아 반송 주파수에 의한 소음의 대부분이 카(5)에 전달되어 엘리베이터 탑승자들에게 많은 불쾌감을 주게 되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소음이 기계실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resonance box is simple, it is used because it is limited to a relatively low carrier frequency, the use range is narrow, and the first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sonance box (4) (2)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 is formed, so that the efficient sound insulation is not achieved, most of the noise due to the carrier frequency is transmitted to the car (5) to give a lot of discomfort to the occupants of the elevator, the noise in the car or the hoistway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machine room.

한편, 종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의 다른예에 사용되는 공명박스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한 제2도에 도시된 공명박스와 동일 형상의 제1공명박스(24a)의 일측벽에 속이 빈 형상의 제2공명박스(24b)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onance box used in another example of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shown in Figure 3, on the one side wall of the first resonance box 24a of the same shape as the resonance box shown in FIG. A hollow second resonance box 24b is attached.

그리고, 상기 제1공명박스(24a)와 제2공명박스(24b)가 접촉되는 양벽의 소정부위에는 제1공명박스(24a)와 제2공명박스(24b)가 서로 연통되도록 목(36)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neck 36 is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nce box 24a and the second resonance box 24b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both walls where the first resonance box 24a and the second resonance box 24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med.

이때, 주로프(21)가 관통되지 않는 상기 제2공명박스(24b)의 상부 및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is not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resonance box 24b through which the main rope 21 does not penetrate.

그리고, 상기 제1공명박스(24a)의 내부면 전체에는 흡음재(28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명박스(24b)의 내부면 전체에는 공명흡음재(28b)가 부착되어 있다.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8a is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sonance box 24a,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8b is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sonance box 24b.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다른예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는 제1통공(22)을 통하여 제1공명박스(24a)로 입력된 소음이 상기 제1공명박스(24a)의 내부면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흡음재(28a)에 의하여 1차로 어느정도 저감된다.In another conventional soundproof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noise input into the first resonance box 24a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 is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sonance box 24a.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8a is first reduced to some extent.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저감되어진 소음은 상기 목(36)부근에서 공명이 되어 제2공명박스(24b)의 내부면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공면흡음재(28b)에 의해 2차로 공명박스(28b)에 의해 2차로 감쇄되어 상기 제2통공(3)을 통해 카(5)에 전달된다.Subsequently, the noise reduced as described above is resonated near the neck 36 and is secondarily applied to the resonance box 28b by the coplanar sound absorbing material 28b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sonance box 24b. It is attenuated secondarily and is transmitted to the car 5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

이때, 상기 공명흡음재(28b)에 의해 감쇄되는 소음은 공명에 의해 감쇄되는 것이므로 반송주파수에 의한 소음은 대부분 감쇄된다.At this time, since the noise attenuated by the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28b is attenuated by resonance, most of the noise by the carrier frequency is attenuated.

아래 식1은 상기 목(36)의 길이 L, 단면적 V, 공명박스(24)의 부피V와 반송주파수f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공명주파수Fr와의 관계를 보인 관계식이다.Equation 1 below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L of the neck 36, the cross-sectional area V, the volume V of the resonance box 24 and the resonance frequency Fr determined by the carrier frequency f.

Fr = (C / 2)[A / (IV)]1/2(Hz) ----- (식1)Fr = (C / 2 ) (A / (I V)] 1/2 (Hz) ----- (Equation 1)

여기서, Fr : 공명 주파수Where Fr is the resonance frequency

C : 공명박스의 음속C: Sound velocity of the resonance box

A : 목의 단면적A: cross section of neck

L : 목의 길이L: neck length

V : 공명 흡음재가 부착되어 있는 제2공명박스내의 체적V: Volume in the second resonance box to which the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I : L + 0.8AI: L + 0.8 A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다른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는 공명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음효과를 높일 수는 있으나, 이와같은 공명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는 목의 길이와 공명 흡음재가 부착된 공명박스내의 체적을 적절하게 조정해 주어야 하므로 주변의 여건에 대한 크기의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oundproofing device of another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soundproofing effect by using the resonance frequency, but in order to obtain such a resonance frequency, the length of the neck and the volume in the resonance box with the resonance absorber are appropriately adjusted. Since it should be do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surrounding conditions are limited.

또한, 공명박스의 구조가 복잡하며, 협대역 저주파 영여겡 대한 소음방지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공명흡음재가 부착되어 있는 제2공명박스내의 체적을 변화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는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resonant box is complex and has an excellent effect on noise prevention for narrow band low frequency zero frequencies, but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volume in the second resonance box to which the resonant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not being able to exe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모터를 이용한 권상기의 반송 주파수에 의한 소음이 주로프를 통해 카에 전달되는 것과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소음이 기계실로 전달되는 것을 공명을 이용한 투과손실을 발생시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hoisting machine using the inverte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car through the main rop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noise in the car or hoistway to the machine room by generating resonance loss using resonance. To provide a soundproofing device for an elev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대역 저주파 영역뿐 만이 아니라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도 권상기의 반송 주파수에 의한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proofing device for an elevator that can efficiently reduce noise caused by a carrier frequency of a hoisting machine not only in a narrow band low frequency region but also in a wide frequency r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공명박스를 제공하여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proofing device of an elevator that can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by providing a resonance box of a simple struc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에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주로프가 연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기계실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공명박스와; 공명박스의 제1통공과 제2통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가 관통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공명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축과; 중공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중공원판 형상을 한 한 개 이상의 공명판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hollow resonance box is installed on the machine chamber bottom through which the main rope vertically penetrates therein; A hollow shaft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of the resonance box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ce holes formed therein; It consists of one or more resonance plates in the shape of a hollow cone plat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이하,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에 사용되는 공명박스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공원통형상의 공명박스통(54b)과 이 공명박스통(54b)의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54a)로 구성되어 있다.Resonance box used in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hollow box cylindrical resonant box (54b) and the lid 54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54b) It consists of).

상기 뚜껑(54a)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통공(52)이, 그리고 상기 공명 박스통(54b)의 하면 중앙부에는 제2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A first through hole 5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54a, and a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54b.

그리고, 상기 공명박스통(54b)의 내부면 전체에는 인버터 반송주파수에 의한 소음이 상기 주로프(51)를 통하여 카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한 공명흡음재(58)가 부닥되어 있다.In addition, a resonance absorbing material 58 is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cylinder 54b to reduce noise transmitted by the inverter carrier frequency to the car through the main rope 51.

그리고, 상기 제1통공(52)과 제2통공에는 중공축(57)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삽입되어 공명박스(54)의 상부 및 하부로 중공축(57)이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haft 57 ar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5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so that the hollow shaft 57 protrudes above and below the resonance box 54.

그리고, 상기 중공축(57)에는 중공축(57)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공명공(56)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sonance holes 56 are formed in the hollow shaft 57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57.

이때, 상기 공명공(56)의 두께는 중공축(57)의 두께와 동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resonance hole 56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hollow shaft (57).

그리고, 상기 중공축(57)의 외주면에는 중공원판 형상을 한 복수개의 공명판(59)이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결합된다.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57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resonance plate 59 in the shape of a hollow cone pl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복수개의 공명판(59)의 외주면은 상기 공명박스통(54b)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공명흡음재(58)에 긴밀하게 접촉된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esonance plate 5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58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cylinder (54b).

따라서, 상기 공명흡음재(58)가 부착되어 있는 공명박스통(54b)의 내주면과 상기 중공축(57)의 외주면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명판(59)에 의하여 복수개의 공명공간(S)이 구획되어 진다.Therefore, a plurality of resonance spaces S are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resonance plates 59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cylinder 54b to which the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58 is attach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57. Los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조립할 때에는 상기 공명박스(54)의 뚜껑(54a)을 개방한 후 공명판(59)이 결합되어 있는 중공축(57)을 공명박스통(54b)의 내부에 삽입설치 한 후 상기 뚜껑(54a)을 복개한다.When assembl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opening the lid 54a of the resonance box 54, the hollow shaft 57 to which the resonance plate 59 is coupled to the resonance box of the 54b After inserting the installation inside, the lid 54a is covered.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인버터모터(미도시)가 구동됨에 따라 주로프(51)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공명박스(54) 내부의 공기는 소정의 속도로 움직이게 된다.As the inverter motor (not shown)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resonance box 54 is moved at a predetermined speed by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main rope 51.

이때, 인버터모터의 반공주파수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며, 이 소음은 주로프(51)를 통해 제1통공(52)으로부터 공명박스(54)의 내부로 유입된다.At this time, noise is generated by the anti-hole frequency of the inverter motor, and the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resonance box 54 from the first through hole 52 through the main rope 51.

게속해서, 상기 소음은 공명박스(54)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중공축(57)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명공(56)을 통해 상기 중공축(57)의 외부로 토출된다.Continued, the noi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shaft 57 through a plurality of resonance holes 56 formed in the hollow shaft 57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sonance box 54.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공명판(59)에 의해 공명박스(54)의 내부에 구획되어진 복수개의 공명공간(S)에서 반복적으로 공명이 발생됨에 따라 공명박스(54)의 내부면에 부착된 공명흡음재(58)가 효율적으로 소음을 흡수하여 감쇄시키게 된다.Therefore, as the resonance is repeatedl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resonance spaces S partitioned inside the resonance box 54 by the plurality of resonance plates 59, the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54 ( 58 efficiently absorbs and attenuates noise.

아래 식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공명주파수와 공명공의 형상과의 관게를 보인 관계식이다.Equation 2 below is a relational expression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shape of the resonance ho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 = (C / 2)[(nSp / Ip)/V)]1/2----- (식2)Fr = (C / 2 ) [(n Sp / Ip) / V)] 1/2 ----- (Equation 2)

여기서, Fr : 공명 주파수Where Fr is the resonance frequency

C : 공명박스내의 음속C: Sound velocity in the resonance box

n : 공명공의 개수n: number of resonance balls

Sp : 공명공 한 개의 단면적Sp: cross section of one resonant ball

Ip : 공명공의 두께 + 1.6a(a는 공명공의 반경)Ip: Resonance thickness + 1.6a (a is the radius of the resonance)

V : 공명 공간의 체적이다.V is the volume of the resonance space.

따라서, 상기 설명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는 중공축(57)에 형성되는 공명공(56)의 수와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공명판(59)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명공간(S)의 크기를 조정하여 원하는 공명주파수를 얻을 수 있음으로 광범위한 주파수역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며, 방음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기계실 내에서 크기의 제한을 받지않게 된다.Therefore,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djusts the number and thickness of the resonance holes 56 formed in the hollow shaft 57,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esonance plate 59 to resonate the space (S). )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frequencies by adjusting the size of), and the structure of the soundproofing device is relatively simple, so that the size is not limited in the machine room.

또한,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공명박스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공축(77)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제진판(73)에 의해 복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onance box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haft 77 is covered by a damping plate 73, as shown in FIG. .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주로프(71)의 횡방향 진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teral vibration of the main rope 71 can be suppressed.

미설명 부호 72는 제1통공, 74a는 공명박스의 뚜껑, 74의 공명박스를 도시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72 denotes a first through hole, 74a a lid of a resonance box, and 74 a resonance box.

한편,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에서는 주로프(51,71)이 본수가 증가하게 될 경우에는 공명박스(54,74)를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main lines 51 and 71 is increased, a plurality of resonance boxes 54 and 74 may be provided.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실 바닥(53)에 관통공(53a)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53a)의 내부에 공명박스(54,74)를 삽입고정할 수도 있으며, 기계실 내부의 공간과 관계없이 공명박스(54,74)의 크기를 필요한 만큼 크게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rough holes 53a may b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machine room 53, and the resonance boxes 54 and 74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side the through holes 53a. Irrespective of the space of the resonance boxes 54, 74 may be made as large as necessa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인버터모터의 구동에 의해 생성되는 반송 주파수에 의한 소음이 주로프를 통해 카에 전달되는 것과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소음이 기계실로 전달되는 것을 공명공의 크기 및 갯수 그리고, 공명판의 갯수를 조절하여 적절한 공명공간의 수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효율적으로 적감시킬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기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undproof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noise caused by the carrier frequency generated by the drive of the inverter motor installed in the elevator is transmitted to the car through the main rope and the noise in the car or hoistway to the machine room By adjusting the size and number of the resonant ball and the number of the resonance plate to ensure the appropriate number of resonant spaces can be efficiently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device There is.

Claims (5)

상면과 하면에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주로프가 연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기계실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공명박스와; 상기 공명박스의 제1통공과 제2통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가 관통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공명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중공원판 형상을 한 한개 이상의 공명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a hollow resonance box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chine room through which the main rope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ollow shaf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of the resonance box in a form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pene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ce holes formed therein; The soundproof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one or more resonance plate in the shape of a hollow cone plat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박스의 내부면에는 공명흡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The soundproof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공명판은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그 내주면이 상기 중공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상기 공명박스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공명흡음재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or more resonance plate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haf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esonance 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sonance box Sound insulation of the elev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로프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공축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제진판에 의하여 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The soundproof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hollow shaft into which the main rope is inserted are covered by a vibration damping plat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바닥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의 내부에 상기 공명박스가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음장치.The soundproof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bottom of the machine room, and the resonance box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through hole.
KR1019960005767A 1995-03-07 1996-03-06 Apparatus of preventing noise of elevator. KR1002026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906U KR960031436U (en) 1995-03-07 1995-03-07 Sound insulation of elevator
KR95-3906 1995-03-07
KR201995003906 1995-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053A KR960034053A (en) 1996-10-22
KR100202698B1 true KR100202698B1 (en) 1999-06-15

Family

ID=194088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906U KR960031436U (en) 1995-03-07 1995-03-07 Sound insulation of elevator
KR1019960005767A KR100202698B1 (en) 1995-03-07 1996-03-06 Apparatus of preventing noise of elev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906U KR960031436U (en) 1995-03-07 1995-03-07 Sound insulation of elev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960031436U (en)
CN (1) CN1137480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80A (en) 1996-12-11
KR960034053A (en) 1996-10-22
KR960031436U (en)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5689C (en) Elevator machinery
US5899301A (en)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EP0631966A2 (en) Arrangement for attaching an elevator machinery to a building
JPH07137962A (en) Elevator machine
KR100374660B1 (en) Elevator
CN1187253C (en) Elevator arrangement
KR100202698B1 (en) Apparatus of preventing noise of elevator.
JP3822368B2 (en) A shock absorber that reduces low-frequency sound generat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unnel
EP1396461A1 (en) Elevator car door device
JP4964504B2 (en) Passenger conveyor
US4686868A (en) Soundproofed gear box
JPH04144891A (en) Elevator
CN110626911A (en) Sound insulation device for elevator
JPH09315721A (en) Elevator device
SU430027A1 (en)
JP2583737B2 (en) Piston power machine or work machine
FI111242B (en) A structural element for lifting the sound of a lift machine and an arrangement for reducing the sound of a lift machine
KR200288349Y1 (en) Traction achine damping device for elevator
JPS6241067Y2 (en)
JP3001759U (en) Temporary enclosure material for construction sites
JPH03232682A (en) Sound arrester for elevator
KR200195692Y1 (en) Grommet structure for preventing vibration
KR100351280B1 (en) Traction machine for elevator
JPH10246333A (en) Grommet
JPS634141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