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412B1 -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of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of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412B1
KR100202412B1 KR1019960060066A KR19960060066A KR100202412B1 KR 100202412 B1 KR100202412 B1 KR 100202412B1 KR 1019960060066 A KR1019960060066 A KR 1019960060066A KR 19960060066 A KR19960060066 A KR 19960060066A KR 100202412 B1 KR100202412 B1 KR 10020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ing
key
telephone
dial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6581A (en
Inventor
안주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97005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4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이얼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 및 단축 다이얼링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단축키의 저장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축전화번호 저장과정과, 상기 단축키가 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중 제일 먼저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다이얼신호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에 따라 통화모드 혹은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다음 위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다이얼링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apparatus hav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dial key and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ed dialing key. 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storing a speed dial number for storing at least one phone number in a storage area of one shortcut key, and a phone number stored first amo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storage area in response to the shortcut key being selected. And a dialing proces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call mode or a next position of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a response state of the other party.

Description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telephon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다이얼링 신호를 신속하게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transmission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transmission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for quickly transmit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통상적으로, 유무선 전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이미 잘알려진 바와 같이 전화기의 본체상에 위치된 키입력부상의 키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키입력부상의 키를 선택하여 누르면 전화 단말 장치로부터는 이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현재의 대다수의 전화 장치는 DTMF신호)를 공중전화망(PSTN)으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은 다이얼링 신호 송출은 다이얼 디지트 키의 입력에 증시 응답하여 송출하는 방법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메모리 등의 기억소자에 저장하여 놓고 원터치 다이얼 키를 이용하여 송출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리다이얼 방법도 이의 방법과 극히 유사하다.In general, in order to talk to the other party us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must be dialed using a key on a key input unit located on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as is well known. As described above, when a key on the key input unit is selected and pressed, the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sends a corresponding dialing signal (DTMF signal of most current telephone apparatuses)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he dialing signal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dial digit key, and in the method of stor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and transmitting it using a one-touch dial key. The redial method is very similar to its meth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다수의 전화 단말 장치는 어떠한 방법, 예를 들면, 키입력부상에 설치된 텐키(0∼9,*,# 등의 키)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이에 대응된 다이얼 신호를 송출하는 방법과, 메모리 등의 버퍼와 상기 버퍼를 제어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 등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 신호를 송출하는 방법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above-described telephone terminal apparatuses individually select a certain method, for example, a ten key (keys 0 to 9, *, #, etc.) installed on the key input unit and transmit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using a buffer such as a memory and a control unit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buff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한 번의 다이얼 신호의 송출이 완료된 후, 이와 유사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시 사용자는 처음부터 다시 모든 전화번호을 재 입력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많은 전화 회선을 점유(사용·이용하는 곳(예를들면, 기업등)에 설치된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는 연속된 번호를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피호출 가입자 번호가 통화중이거나 호출에 무응답인 경우, 대부분의 호출자는 상기 피호출 가입자의 인접한 가입자 번호로 다이얼링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을 찾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After the transmission of one dial signal is completed, when the user dials a similar phone number, the user has to re-enter all the phone numbers again from the beginning. That is, the telephone numbers of telephone apparatuses installed in a place occupying (using or using many telephone lines (for example, a corporation, etc.) often have consecutive numbers, in which case the called party number is busy or is called. In general, most callers dial a neighboring subscriber number of the called party to find a counterpart.

그러나, 종래 대다수의 전화 단말 장치는 동일한 전화번호만을 다이얼링 할 수 있는 단축키 혹은 이전에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반복적으로 재송출하는 재다이얼링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바로 직전에 송출된 전화번호와 끝자리만이 다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첫음부터 다이얼링을 재개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However, most conventional telephone terminal devices have only a hotkey capable of dialing the same telephone number only or a redialing function of repeatedly re-sending the same number as a previously dialed telephone number. If you wanted to dial another phone number, you had to resume dialing from the beginning.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문제점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호출자가 다수의 전화번호를 연속적으로 가지는 장소에 위치한 피호출자와 통화를 하고자 하여 상기 피호출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호출을 하였으나 상기 피호출자가 이미 통화 중이면, 호출자는 전화를 끊고 기다리다가 재다이얼 기능을 이용하거나, 다시 훅크 오프하여 상기 피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처음부터 입력시켜 다이얼링을 하여야만 하였다. 이때, 상기 피호출자의 통화내용이 길어지는 경우 재다이얼을 하더라도 통화중인 경우가 많아 불편함이 가중된다. 또한, 처음부터 상기 피호출자의 전화번호 혹은 상기 피호출자와 인접한 위치에 놓인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처음부터 재입력하는 경우 여러개의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중 하나만 잘못 입력시키면 우너하지 않는 통화가 이루어 짐으로써 불필요한 전화 요금만 증가되는 문제를 야기 시킨다.For example, the probl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f a caller wants to talk to a caller located in a place hav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consecutively, the caller dials the caller's phone number, but if the caller is already busy, the caller hangs up and waits. Dialing was done by using the redial function or by hooking off again and entering the called party's telephone number from the beginning. At this time, when the callee's call is lengthened, even if the call is redialed, the call is often inconvenient. In addition, whe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party 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lephone placed adjacent to the called party is re-entered from the beginning, only one of a number consisting of multiple numbers is incorrectly inputted so that a call is not unreasonable. It causes the problem that only unnecessary telephone charges are increased.

또한 종래의 기술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단축키에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각각의 단축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화번호를 저장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다수의 전화번호를 원터치의 형태로 다이얼링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축키가 필요로 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dopts a method of storing a phone number individually for each of a plurality of shortcut keys in order to store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a shortcut key, so that a plurality of shortcut keys are required to dial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the form of one touch. It was set a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송출한 전화번호에 인접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송출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which automatically dials and transmits a telephone number adjacent to a telephone number already transmit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 송출한 전화번호와 끝자리가 다른 전화번호를 한번의 키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송출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which automatically transmits a telephone number having a different end number from a telephone number already transmitted in response to one key-i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미 송출한 전화번호에 연속하여 증가 혹은 감소를 정의 하는 키의 선택에 의해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을 자동으로 증가 혹은 감소하여 자동적으로 재 다이얼링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dialing signal transmission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which automatic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by automatically selecting or increasing the decremented number by selecting a key that continuous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already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In providing a metho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나의 단축키 저장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고, 상기 단축키의 선택 및 상대방(피호출자)의 응답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자동 다이얼링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at least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in one hot key storage area, and to automatically dial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hot key and the response status of the other party (caller). 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나의 단축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연속적으로 저장시켜 처음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피호출 가입자가 통화중일 때 자동으로 다음번의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다이얼링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aling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in one hot key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next telephone number when a called subscri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lephone number is busy.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입력부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 및 원터치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원터치키의 저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원터치 전화번호 저장과정과, 상기 원터치키가 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중 제일 먼저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다이얼신호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에 따라 통화모드 혹은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다음 위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다이얼링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a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key input unit and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one touch key. A one-touch phone number storing process for storing at least one phone number, and when the one-touch key is selected, accessing the first stored phone number amo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sending out as a dial signal and responding to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the call mode or a dialing proces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next position of the transmitted phone number.

본 발명의 또다른 원리에 의한 본 발명은 키입력부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 및 원터치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키의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대방이 응답하였는가를 검출하는 제1검색과정과, 현재의 상태가 비지인 상태에서 증감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숫자를 증가 혹은 감소하여 다이얼 신호로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를 검출하는 제2검색과정과, 상기 제2검색과정의 검색결과가 상대방이 응답한 경우라고 판단시에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대방이 비지(busy)이거나 무응답이라고 판단시에 상기 제2검색과정으로 부터 반복하는 자동 다이얼링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a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key input unit and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one touch key. Dial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n area to detect whether the other party has answered;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in response to an input of an increase / decrease key while the current state is busy. A second search process for transmitting as a signal and detecting a response state of the other part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result of the second search process is a response of the other party,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and the other party is busy or no response. The automatic dialing process may be repeated from the second search process.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 단말 장치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 송출 제어 흐름도.2 is a flow diagram of dialing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 송출 제어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dialing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 단말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는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이얼링을 위한 텐키(ten key), 원터치키의 입력을 검출하는 키입력부 12와,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키입력부 12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다이얼 디지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14와, 상기 제어부 14의 제어에 의해 공중전화망(PSTN)과의 통화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공중전화망(PSTN)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NCU(Network Control Unit)(혹은 전화망 인터페이스라고도 함) 15와, 상기 다이얼 디지트의 입력에 대응하는 톤/펄스(DTMF/pulse)를 발생하여 상기 NCU 15를 통해 공중전화망(PSTN)으로 송출하는 톤/펄스 발생부 17와,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NCU 15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14로 전송하는 톤 검출부(tone detector) 19와, 상기 제어부 14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 16 및 상기 제어부 18의 처리 데이타를 저장/출력 하는 램 18으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follows. A key input unit 12 for detecting a ten key for dialing and a one-touch key,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transmission of a dial digit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12 by the predetermined program. 14 and a Network Control Unit (NCU) (or also called a telephone network interface) for forming a call loop wit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to interface wit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 tone / pulse generating unit 17 for generating a tone / pulse (DTMF / pul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dial digit and transmitting the tone / pulse (DTMF / pulse)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hrough the NCU 15; A tone detector 19 which detects various tones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and transmits the tones to the control unit 14; a ROM 16 and a control unit 1 storing an operation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4; It consists of RAM 18 which stores / outputs 8 processing data.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 송출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원터치키가 선택되었을때 상기 원터치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의 응답상태에 따라 통화로를 연결하거나, 사용자의 증감키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증감하여 재다이얼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flow diagram of a dialing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dial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ne-touch key when one-touch key is selected to connect a call path according to a response state of the other party, The process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dialed telephone number and redial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increase / decrease key is shown.

우선,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1실시예의 동작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지금, 사용자가 NCU 15에 접속된 송수화기(도시하지 않았음)를 들어 훅크 오프하면 제어부 14는 이를 제2도의 24과정에서 검출한다. 상기 훅크 오프를 검출한 제어부 14는 NCU 15를 제어하여 공중전화망(PSTN)과 전화기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26과정에서 키입력이있는지를 키입력부 12의 출력을 스캔하여 검색한다.Now, when the user hooks up with a handset (not shown) connected to the NCU 15, the controller 14 detects this in step 24 of FIG. The controller 14, which detects the hook-off, controls the NCU 15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telephone, and scans the output of the key input unit 12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in step 26.

상기 제2도의 26과정의 검색결과 키입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28과정에서 입력된 키신호가 원터치키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검색결과 입력키신호가 정상적인 키, 예를 들면, 0∼0, #,* 등의 키신호라고 판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디지트를 톤/펄스 발생부 17로 공급한다. 상기 톤/펄스 발생부 17은 상기 입력된 디지트에 해당하는 다이얼 디지트의 톤을 발생하여 NCU 15로 출력하여 제2도의 30과정에서 해당 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32과정에서 상기 다이얼링에 대응하여 공중전화망(PSTN)으로 부터 전송되는 응답신호가 비지 상태를 나타내는 비지톤인지를 톤 검출부 19의 출력을 읽어 검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key input in step 26 of FIG. 2, the controller 14 searches whether the key signal input in step 28 is a one-touch ke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result input key signal is a normal key, for example, a key signal of 0 to 0, #, *, etc., the control unit 14 returns a digi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to tone / pulse generator 17. To supply. The tone / pulse generator 17 generates a tone of a dial digit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git and outputs the tone to the NCU 15 so that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is output in step 30 of FIG. In step 32, the tone detector 19 reads the output of the tone detector 19 to determine whether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corresponds to the dialing.

상기 톤 검출부 19는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NCU 15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톤을 검출하여 비지톤이 검출될 때 제어부 14로 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톤 검출부 19는 상기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지톤(0.5초연속, 0.5초 단속의 주기를 갖음) 혹은 링백톤(1초연속, 2초 단속음)의 상태를 디지탈의 신호로 정형화하여 상기 제어부 14로 공급한다. 이러한 비지톤의 검출은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무방하다.The tone detector 19 has a function of detecting various tones output from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received through the NCU 15 and outputting them to the controller 14 when busy tone is detected. That is, the tone detection unit 19 is a digital signal by the state of the busy tone (0.5 seconds continuous, 0.5 seconds interrupted) or ringback tone (1 second continuous, 2 seconds intermittent sound) transmitted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It is shaped and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4. Detection of such a busy tone may use a technique widely used in the art as it is.

상기의 제2도 32과정의 검색결과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전송된 톤의 신호가 비지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 14는 34과정에서 NCU 15를 제어하여 송수화기(도시하지 않았음)의 음성통화로가 상기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되도록 한다. 만약,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의 톤신호가 비지톤이라면 36과정에서 훅크-온 상태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가 NCU 15에 접속된 송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훅크-온되며, 제어부 14는 이를 검출하여 전화 다이얼링의 동작을 종료한다.If the ton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of FIG. 32 is not a signal indicating a busy state,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NCU 15 to process the voice of a handset (not shown). The call path is connected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If the tone signal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is a busy tone, the hook-on state is detected in step 36. At this time, when the user puts down the handset connected to the NCU 15, the user is hooked on, and the controller 14 detects this and ends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dialing.

만약, 전술한 28과정에서 입력된 키신호가 원터치키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38과정에서 해당 키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디지트 데이타를 억세스하여 톤/펄스 발생부 17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원터치 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톤신호가 상기 톤/펄스 발생부 17로부터 출력되면 이는 NCU 15를 통해 공중전화망(PSTN)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 14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해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입력되는 톤신호를 검출하는 톤검출부 19의 출력을 읽어 상대방이 비지 상태인가를 40과정에서 검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signal input in step 28 is the one-touch key, the controller 14 accesses the digit data of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area of the corresponding key and supplies it to the tone / pulse generator 17 in step 38. When the dialing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e-touch key is output from the tone / pulse generator 17 by this oper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hrough the NCU 15.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 reads the output of the tone detector 19 that detects the tone signal input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hrough the path described above, and searches in step 40 whether the counterpart is busy.

상기 40과정의 검색결과 비지 상태가 아니라면 34과정으로 점프하여 통화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검색결과 비지 상태라면 제어부 14는 42과정에서 증감(+,-)키의 입력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비지톤을 청취한 사용자가 키입력부 12상에 위치된 증가키(+) 혹은 감소키(-)중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 14는 44과정에서 기송출된 전화번호의 숫자를 증가 혹은 감소한다. 예를 들어, 원터치키를 선택하여 상기 원터치키의 영역에 저장된 123-4567번의 전화번호를 38과정에서 송출하였으나 상대방이 비지인 상태이어서 사용자가 증가키 혹은 감소키들중 하나의 키를 선택한 경우라면, 상기 44과정에서는 123-4568 혹은 123-4566번의 전화번호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 14는 상기 44과정의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123-4568 혹은 123-4566번의 디지트를 46과정에서 톤 발생부 17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에 대응한 다이얼링 톤/펄스신호는 NCU 15를 통하여 공중전화망(PSTN)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원터치키의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 123-4567번이 통화중인 경우, 증가키 혹은 감소키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전화번호 123-4567번에 인접한 전화번호 123-4568 혹은 123-4566번의 전화번호에 대응한 다이얼 신호가 자동으로 송출됨을 알 수 있다.If it is not the search result busy state of step 40, the process jumps to step 34 and switches to the call mode. If the search result is busy state, the controller 14 searches whether the input or decrease (+,-) key is input in step 42. At this time, when the user listening to the busy tone selects one of the increment key (+) or the decrease key (-) located on the key input unit 12, the controller 14 increases or decreases the number of the telephone number transmitted in step 44. do. For example, when one-touch key is selected and the phone number 123-4567 stored in the area of the one-touch key is transmitted in step 38, but the other party is busy,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keys, In step 44, a phone number of 123-4568 or 123-4566 is generated. The controller 14 outputs the digits 123-4568 or 123-4566 produced by the operation of step 44 to the tone generator 17 in step 46. By this operation, the dialing tone /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led telephon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through the NCU 15. When the phone number 123-4567 stored in the area of the one-touch key is busy by the above operation, the phone number 123-4568 or 123 adjacent to the phone number 123-4567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increase key or the decrease key. It can be seen that the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of -4566 is automatically sent.

상기 제2도의 46과정을 수행하여 다이얼링한 제어부 14는 48과정에서 NCU 15와 톤 검출부 19를 통해 수신되는 톤검출신호로서 상대방의 비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검색결과 상대방이 비지 상태라면 상기 제어부 14는 전술한 제2도의 42과정으로부터 반복수행하여 증감키의 선택적 입력에 따른 전화번호를 자동적으로 다이얼링한다. 그러나, 상기 48과정의 검색결과 상대방이 비지의 상태가 아니라면 50과정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하고, 52과정에서 사용자가 훅크-온하는가를 검색하여 이의 상태에 따라 동작을 진행 시킨다.The controller 14 dialing by performing process 46 of FIG. 2 detects whether the other party is busy as a tone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CU 15 and the tone detector 19 in step 48. At this time, if the counterpart is busy, the controller 14 repeats the process from step 42 of FIG. 2 and automatically dials the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selective input of the increase / decrease key. However, in step 48, if the counterpart is not busy, the counterpart switches to the call mode in step 50, and in step 52, searches for whether the user hooks on and proceeds according to the status.

따라서, 제2도와 같은 수순의 제어에 의해 원터치키에 의해 자동 다이얼링한 상대방이 통화중인 경우, 증가 혹은 감소키의 선택만으로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숫자가 다른 전화번호, 즉, 통화를 원하는 피호출자의 전화번호에 인접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함으로써 연속된 전화번호를 갖는 기업등에서 이용시 호출자의 다이얼링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된다.Therefore, when the other party is automatically dialed by the one-touch ke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dure shown in FIG. 2, the number of the dialed telephone number is different from the dialed telephone number only by selecting the increase or decrease key, that is, the callee who wants to call. By automatically dialing the telephone number adjacent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dial the caller when using in companies with a continuous telephone number.

상기 제2도에서는 증감키를 이용하여 이미 송출된 전화번호의 끝자리를 증가 혹은 감소시켜 다이얼링 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만 설명하였으나, 숫자키를 이용하여 끝자리의 번호만을 변경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다.In FIG. 2, only the method of dialing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end of an already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using the increase / decrease key has been described. However, only the end number can be dialed using the numeric keys.

[제2실시예의 동작][Operation of Second Embodiment]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 송출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하나의 단축키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중 제일 먼저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다이얼신호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에 따라 통화모드 혹은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다음 위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제1도에 도시된 롬 16에 마스킹된다.3 is a flow chart of a dialing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cesses the first stored telephone number among the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storage area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one shortcut key having at least one telephone number stored therein. It show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by dial signal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call mode or the next position of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response state of the other party. Such a program is masked in ROM 16 shown in FIG.

상기 제3도와 같은 수순으로 다이얼링이 제어되기 위해서는 단축키의 저장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화번호의 저장 방법은 통상적인 단축키의 전화번호 입력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단지 전화번호와 또다른 전화번호를 구분하는 코드가 있어야 한다. 즉, *, #의 코드로 연속된 디지트의 숫자로된 전화번호를 구분한다. 예컨대, 두개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단축키에 저장시키는 경우, 1234567*8901234등의 방식으로 한다. 여기서, 1234567와 8901234가 서로 독립적인 전화번호들이며, 이들의 전화번호는 동일한 영역에 놓여진 전화기의 전화번호(동일한 회사의 교환 혹은 동일 사무실내의 전화번호)들이다.In order to control dialing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3, at least one phone number must be stored in a storage area of a shortcut key. The method of storing such a phone number can be the same as the method of inputting a phone number of a conventional shortcut key, and there should only be a code for distinguishing a phone number from another phone number. That is, the code of * and # separates the telephone number with the number of consecutive digits. For example, when two phone numbers are stored in one shortcut key, the number is 1234567 * 8901234. Here, 1234567 and 8901234 are independent telephone numbers, and their telephone numbers are telephone numbers of telephones placed in the same area (exchange of the same company or telephone numbers in the same office).

상기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2실시예의 동작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as follows.

지금 제3도와 같은 수순으로 프로그램된 제1도의 전화 장치가 동작되면, 제어부 14는 제3도의 52과정에서 훅크-오프의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52과정의 검색결과 훅크-오프되었다면, 상기 제어부 14는 54과정에서 단축키의 입력 여부를 검색한다. 상기 54과정에서 입력된 키가 단축키가 아니라면, 제어부 14는 58과정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다이얼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제3도에 도시된 58과정 내지 64과정은 제2도의 30과정 내지 36과정과 동일하다.When the telephone apparatus of FIG. 1 programmed in the same procedure as that in FIG. 3 is operated, the controller 14 detects the hook-off state in step 52 of FIG. If the search result is hooked-off in step 52, the controller 14 searches whether a shortcut key is input in step 54. If the key input in step 54 is not a shortcut key, the controller 14 performs an operation below step 58 to output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Processes 58 to 64 shown in FIG. 3 are the same as processes 30 to 36 of FIG.

만약, 상기 54과정의 검색결과 입력된 키의 신호가 단축키라고 판단되면, 제어부 14는 56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단축키에 할당된 전화번호가 둘 이상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선택된 단축키의 저장영역에 둘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 14는 전술한 30과정 이후를 수행하여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그러나, 상기 56과정의 검색결과 선택된 단축키에 둘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66과정에서 상기 단축키의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중 처음의 전화번호를 억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4는 68과정에서 톤/펄스 발생부 17와 NCU 15를 제어하여 단축키의 영역에 저장된 첫 번째로 저장된 전화전호를 다이얼 송출하고, 상대방이 비지인지를 70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 70과정의 검색결과 상대방이 비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72과정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4 that the signal of the input key is a shortcut key, the controller 14 searches whether there is more than one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the selected shortcut key in step 56. If two or more telephone numbers are not stored in the storage area of the selected shortcut key, the controller 14 performs the above step 30 to dial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wo or more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in the selected shortcut key as a result of the search in step 56, the controller 14 accesses the first telephone number among the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area of the shortcut key in step 66. In step 68,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tone / pulse generator 17 and the NCU 15 to dial out the first stored telephone call stored in the shortcut key area, and to check whether the other party is busy in 7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 that the other party is not busy, the controller 14 switches to call mode in step 72.

그러나, 상기의 검색결과 상대방이 비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74과정에서 송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단축키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마지막 번호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74과정의 검색결과 마지막 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 14는 76과정에서 다음의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을 한 후 상대방의 상태를 78과정에서 검색한다. 이때, 상기 76과정에서 다이얼링의 동작은 전화라인을 복구한 후 다시 통화루프를 형성하여 실행하는 것임에 유의 바란다. 즉, 제어부 14는 NCU 15를 제어하여 전화라인을 훅크-온한 후 다시 훅크-오프 하여 다음번의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대방이 비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14는 80과정에서 사용자의 혹크-온 상태를 검색하여 훅크-온 상태일시에 라인을 복구하여 다이얼링의 동작을 중지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party is busy, the controller 14 searches whether the telephone number transmitted in step 74 is the last number of the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the shortcut ke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ast number is not the last number in step 74, the controller 14 reads the next phone number in step 76, dials, and then searches in step 78 for the status of the other party.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ration of dialing in step 76 is performed by restoring the telephone line and forming a call loop again. That is,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NCU 15 to hook-on the telephone line and then hook-off again to transmit the next telephone number.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party is busy, the controller 14 searches for the user's hook-on state in step 80 and recovers the line at the hook-on state to stop the dialing operation.

상기와 같이 하나의 단축키에 적어도 둘이상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여 첫번째 전화번호가 비지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두번째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함으로써 통화호 성립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two or more telephone numbers are allocated and stored in one shortcut key, so that when the first telephone number is busy,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s automatically dialed so that the call can be established more quick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터치키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시 다이얼 송출된 전화번호에 연속된 인접 전화번호의 송출을 최소환의 키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 행위의 오조작에 의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축키의 저장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할당 저장시켜 상대방의 통화 상태에 따라 상기 단축키의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게 하므로써 다이얼링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rror caused by a wrong operation of the user's selection behavior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of adjacent telephone numbers consecutively to the dialed telephone number when dialing using the one-touch key by the selection of the minimum ring key. I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by assigning and storing at least one phone number in a storage area of one shortcut key, dialing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by automatically diali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area of the shortcut key according to a call state of the other party.

Claims (3)

다이얼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 및 단축 다이얼링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단축키의 저장영역에 적어도 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축전화번호 저장과정과, 상기 단축키가 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중 제일 먼저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다이얼신호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에 따라 통화모드 혹은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다음 위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다이얼링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dial key and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ed dialing key,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at least two telephone numbers in a storage area of one shortcut key; The process of storing the speed dial number, and responding when the shortcut key is selected, accesses the first stored telephone number among the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transmits it as a dial signal. And a dialing process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at a next position of the number. 다이얼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 및 단축 다이얼링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대방이 응답하였는가를 검출하는 제1검색과정과, 현재의 상태가 비지인 상태에서 증감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끝자리의 숫자를 증가 혹은 감소하여 다이얼 신호로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를 검출하는 제2검색과정과, 상기 제2검색과정의 검색결과가 상대방이 응답한 경우라고 판단시에 통화로를 형성화고 상대방이 비지인 경우라고 판단시에 상기 제2검색과정으로 부터 반복하는 자동 다이얼링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apparatus hav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dial key and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ed dialing key, the method comprising: dial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hortcut key, A first search proces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response is made; and in response to an input of an increase / decrease key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state is bus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the last digit of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and transmit it as a dial signal and display the response state of the other party. A second retrieval process for detecting and an automatic repetition from the second retrieval process when determining that the search result of the second retrieval process is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y has responded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the telephon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aling process. 다이얼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 및 단축 다이얼링키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의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대방이 응답하였는가를 검출하는 제1검색과정과, 현재의 상태가 비지인 상태에서 특정 디지트에 대응하는 다이얼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송출된 전화번호의 숫자를 상기 선택된 디지트로 변경하여 다이얼 신호로서 송출하고 상대방의 응답상태를 검출하는 제2검색과정과, 상기 제2검색과정의 검색결과가 상대방이 응답한 경우라고 판단시에 통화로를 형성화고 상대방이 비지인 경우라고 판단시에 상기 제2검색과정으로 부터 반복하는 자동 다이얼링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링 신호 송출 제어 방법.A dial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 telephone apparatus hav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dial key and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ed dialing key, the method comprising: dial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hortcut key, A first retrieval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response has been made; and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dial ke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igit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state is busy, the number of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is changed to the selected digit and sent as a dial signal; A second search process for detecting a response state of the other party; and a second search process when determining that the search result of the second search process is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y has respond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party is busy. Dialing of a telephon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by a repeated automatic dialing process from Ring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KR1019960060066A 1995-12-27 1996-11-29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of terminal KR1002024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59443 1995-12-27
KR19950059443 1995-12-27
KR59443 199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581A KR970056581A (en) 1997-07-31
KR100202412B1 true KR100202412B1 (en) 1999-06-15

Family

ID=1944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066A KR100202412B1 (en) 1995-12-27 1996-11-29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of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41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581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660B1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 memory dialing
KR10020241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of terminal
CA2133682C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dialling mode
KR100360226B1 (en) Method for storing, inquiring and calling telephone number of originator by using private simplified electronic exchange
KR100285683B1 (en) Automatic redialing method in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KR970002750B1 (en) Key-phone system
KR19980082968A (en) How to automatically call continuously
KR100269766B1 (en) One touch dialing in telephone
KR100194456B1 (en) Selective calling method of terminal equipment using one subscriber line
KR100208179B1 (en) Exchange message delivering method
KR100207823B1 (en) Call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ars in exchange
KR100229890B1 (en) Multi-numbered terminal calling method
KR100381899B1 (en) Automatic redial device and method in the exchange
KR19980031596A (en) How to Redial Your Phone Automatically
KR910010005B1 (en) External call forwarding method
KR100506257B1 (en) Method of generating ringing tone for incoming call line in keyphone system
KR19990069725A (en) How to Generate Incoming Ring by Caller in Integrated Telephone Network
KR100234089B1 (en) Series call feature method of key telephone system
JPH0738661A (en) Telephone switchboard
KR970011530B1 (en) Control method of keyphone system
KR970002345B1 (en) Re-dialing apparatus
KR100193858B1 (en) Step-by-Step Call Switching in Keyphone
KR19980035443A (en) How to dial continuously from your phone
KR200000090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 of telephone number
KR19990034835A (en) Buffering dialing method in connection of automatic answering service system in telephon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