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45B1 - Re-dia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e-dial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45B1
KR970002345B1 KR1019940014354A KR19940014354A KR970002345B1 KR 970002345 B1 KR970002345 B1 KR 970002345B1 KR 1019940014354 A KR1019940014354 A KR 1019940014354A KR 19940014354 A KR19940014354 A KR 19940014354A KR 970002345 B1 KR970002345 B1 KR 97000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signal
digit
valu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03239A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345B1/en
Publication of KR96000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2Coun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device selectively redialing a dial digit pretransmitt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a telephone line, a transceiver reproducing an alternating current AC signal carried in a communication voltage of the telephone line and superposing the AC signal to the communication voltage to output it, and a communication path controller connecting the telephone line and the AC signal transceiver in response of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signal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is comprised of: storing unit having at least one or more areas storing a dial digit signal for calling the other party; an index counter indicating a storing position of the storing unit, increasing a value of the storing position in response of the dial transmission; a dial signal transmitte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dial digit to be input to transmit it to the telephone line; and a controller storing dial digit to be input to the position of the storing unit indicated by the index count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it to the dial signal transmitter, reducing a value of the index counter correspondingly with input number of times of repeat dial signal, accessing the dial digit stored in the stor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reduced index counter to display it, and supplying the displayed dial digit to the dial digit transmitter in response to an in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Description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Selective redialing device and method of dial digit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블럭도.1 is a hardware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 및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재-다이얼링을 위한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A and 2B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a memory for selective re-dial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 다이얼 저장 제어흐름도.3 is a transmission dial storage control flow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재-다이얼링 송출 제어흐름도이다.4 is a selective re-dialing transmission control flow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전화선로 14 : 정류회로12: telephone line 14: rectifier circuit

16 : 통화회로부 18 : 통화로 제어부16: call circuit unit 18: call path control unit

20 : DTMF-S 22 : CPU20: DTMF-S 22: CPU

24 : 키패드 26 : 메모리24: keypad 26: memory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의 다이얼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전에 송출된 다수의 다이얼중 소망하는 상대방의 다이얼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redialing of a dialed dial digit for controlling the dialing of a desired counterpart among a plurality of dials previously sent. .

통상적으로 다이얼 송출기능을 가지는 통신단말기, 예를 들면, 모뎀, 팩시밀리, 다기능 전화기 및 일반 전화 기능은 재-다이얼키(Re-dial key)를 가지고 있다. 전화단말기에 설치된 재-다이얼키가 눌려지면 훅크-온(Hook-on) 이전에 송출되었던 다이얼 디지트를 전화선로로 재송출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한 종래의 전화단말장치에는 최종적으로 송출되었던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다이얼버퍼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다이얼 버퍼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는 통상 재-다이얼키의 입력에 의해 억세스되어 송출된다. 상기의 다이얼버퍼는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하는 다이얼신호[예를 들면,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혹은 펄스(pulse) 형태의 다이얼 신호]를 발생하는 원칩 다이얼러(dialler)의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로케션키(자주 통화를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의 위치지정키) 등을 가지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미리 메모리의 영역에 저장하여 송출하는 방법에 사용된다.Typically,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dial-out function, for example, a modem, a facsimile, a multifunction telephone, and a regular telephone function have a re-dial key. When the re-dial key installed in the telephone terminal is pressed, the dial digits sent before the hook-on are resent to the telephone line. The conventional telephone terminal device for this function has a dial buffer for storing the dial digits that were finally sent, and the dial digits stored in the dial buffer are normally accessed and sent out by the input of a re-dial key. The dial buffer is most often embedded in a one-chip dialer that generates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l digit (for example, a dial tone in DTMF (dual tone multi-frequency) or pulse form). It is common. In addition to this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method of transmitting a phone number of a counterpart in a memory area in advance with a locator key (location key of a memory for storing a phone number of a party to be frequently call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이얼 송출제어방법중 전자와 같은 방법은 최종적으로 송출된 다이얼만을 재송출하므로써 최종 송출 다이얼-1번째의 다이얼을 할 경우가 발생되며 일일이 수동으로 다이얼링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후자와 같은 송출방법은 다수의 로케션키(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억시키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키)를 상대방의 수만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키패드를 콤팩트하게 할 수 없고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해 단말장치를 콤팩트한 크기로 설계하는데 제약을 받게 된다.However, the former method of the di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causes a case in which the final dispatch dial-1st dial is generated by re-bending only the dial that was finally sent, and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dial manually manually occurs. In addition, the latter transmission method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large number of locating keys (keys for setting an address for storing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so that the keypad cannot be made compact. It is constrained to design by siz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하여 다이얼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얼링 신호를 순환저장하고,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순환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표시하여 선택적으로 송출하는 통신단말기의 선택 재-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yclically store at least one dialed signal dialed to call a counterpart, and to display and selectively transmit the cyclically stored dialing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repetitive dial key. In providing a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하여 다이얼링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순환저장영역에 자동으로 순화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storing a dial digit dialed to call a counterpart in a circular storage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저장영역에 저장된 다수의 다이얼 디지트 중 적어도 하나의 다이얼 다지트를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 다이얼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vely dialing at least one dial digit among a plurality of dial digits stored in a circular storage area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repeat dial ke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 디지트신호를 저장하는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다이얼버퍼와, 상기 다이얼버퍼의 저장위치를 순환선택하는 인덱스 카운터와, 상기 다이얼버퍼에 저장된 다이얼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임시 인데스퍼버와, 상기 다이얼버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트 신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전화선로로 송출하는 다이얼신호 송출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덱스 카운터, 임시 인덱스버퍼, 다이얼신호 송출수단 등은 키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이얼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수단은 상기 인덱스 카운터와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에 따라 상기 다이얼버퍼에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이얼 디지트의 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가 지정하는 다이얼버퍼의 저장영역에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다이얼 송출신호 송출수단을 제어하여 다이얼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반복 다이얼신호가 입력시마다 응답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의 값보다 -1의 값이 적은 값을 가지는 임시 인덱스버퍼가 저장되는 다이얼버퍼의 저장영역의 데이터를 읽어 표시하고, 송출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다이얼 디지트를 다이얼링 신호로 송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al buffer having at least one area for storing a dial digit signal for calling the other party, an index counter for cyclically selecting a storage position of the dial buffer, and the dial buffer. And a temporary indesperger for reading the stored dial signal, and a dial signal transmitting means fo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git signal output from the dial buffer and transmitting the dialing signal to the telephone line. The above-described index counter, temporary index buffer, dial signal transmitting means, etc. are controlled b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dial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key signal, and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index counter and the temporary index buffer. Access dial digits to the dial buff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tores dial digits input to a storage area of a dial buffer designated by the index counter in response to a key signal of a dial digit,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dial transmission signal sending means to transmit a dial signal. . In response to the repetitive dial signal being input each time, data of the dial buffer storage area in which the temporary index buffer having a value of -1 less than that of the index counter is stored is read and displayed. The displayed dial digit is sent as a dialing sig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에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탈 데이터의 형태의 디지트에 대응되는 다이얼신호를 송출하는 DTMF-S(dual tone multi-frequency sender)를 이용한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will describe an operation using a dual tone multi-frequency sender (DTMF-S) for transmitting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 in the form of digital data.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블럭도로이다. 도면중, 참조번호 22는 전화선로(12)에 접속되어 교환기(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공급(Feeding)되는 통화전압(-48볼트)을 극성 정렬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렬된 전압에 음성신호를 실어 상기 전화선로(12)로 전송하는 정류회로(14)이다. 참조번호 16은 상기 극성 정렬된 통화전압에 중첩된 음성신호를 재생하여 라인(32)으로 출력하고, 상기 라인(32) 및 입력되는 음성대역의 신호를 상기 극성 정렬된 통화전압에 실어 출력하는 통화회로부이다. 참조번호 18은 통화로 제어신호(DP)에 응답하여 상기 정류회로(12)와 상기 통화회로부(16)를 접속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제어부이다. 20은 다이얼 디지트의 입력에 대응된 DTMF신호를 상기 통화회로부(16)를 통하여 송출하는 DTMF-S이다. 그리고, 22는 훅크-오프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로제어부(18)로 통화로 제어신호(DP)를 공급하고, 다이얼키의 입력에 대응하는 다이얼 디지트를 상기 DTMF-S(20)로 공급하여 통화로의 형성 및 다이얼 송출을 제어하는 CPU이다. 참조번호 24는 CPU(22)에 연결된 키패드로서, 이는 일반 전화기에 설치된 3×4 매트릭스의 키와 다이얼 송출키 및 반복 다이얼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1 is a hardware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2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12 and outputs a polarized alignment of the communication voltage (-48 volts) fed from a switch (not shown), and outputs a voice signal to the aligned voltage. The rectifier circuit 14 transmits the telephone line 12 to the telephone line 12. Reference number 16 reproduces the voice signal superimposed on the polarity-aligned communication voltage and outputs it to the line 32, and outputs the signal of the line 32 and the input voice band on the polarity-aligned communication voltage. It is a circuit part. Reference numeral 18 is a call path control unit which connects the rectifier circuit 12 and the call circuit unit 16 to form a call path in response to a call path control signal DP.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DTMF-S for transmitting a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dial digit through the call circuit unit 16. Then, 22 supplies a call control signal DP to the call path controller 18 in response to the hook-off, and supplies a dial digit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a dial key to the DTMF-S 20 to make a call. The CPU controls the formation of the furnace and the dial transmission.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 keypad connected to the CPU 22, which is provided with a 3x4 matrix key, a dial dispensing key, a repeat dial key, and the like, installed in a general telephone.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재-다이얼링을 위한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제1도의 CPU(22)의 내부에 위치된 메모리(26)에 설정된 것이다. 특히, 제2a도는 다이얼버퍼(29)의 구조로서, 이는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다이얼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10개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29A~29J로 표기된 것이 다이얼 데이터영역이다. 이를 각각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A~29J)들 각각은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어드레스의 지정위치에 데이터를 저장 혹은 독출한다. 그리고, 제2b도는 상기 다이얼버퍼(29)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인덱스 카운터(Index counter)(34)와, 임시 인덱스버퍼(36)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인덱스 카운터(34)는 다이얼 디지트를 상기 다이얼버퍼(29)에 저장시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며, 임시 인덱스버퍼(36)는 상기 다이얼버퍼(29)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독출시의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이와 같은 인덱스 카운터(34)와 임시 인덱스버퍼(36)의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설명에 의해 보다 손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2A and 2B show the configuration of a memory for selective re-di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t in a memory 26 located inside the CPU 22 of FIG. In particular, FIG. 2A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al buffer 29, which includes at least ten dial data areas for storing dial digits for calling a counterpart. In the figure, denoted by 29A to 29J is a dial data area. Each of the dial data areas 29A to 29J has a unique address, and stores or reads data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address. 2B shows an index counter 34 and a temporary index buffer 36 for designating the address of the dial buffer 29. The index counter 34 designates an address when storing the dial digits in the dial buffer 29, and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designates an address when reading the dial digits stored in the dial buffer 29. The operation of the index counter 34 and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the operation description below.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 다이얼 저장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키패드상에 설치된 다이얼키가 입력시에 인덱스 카운터가 지정하는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A~29J)들중 하나의 저장영역에 상기 해당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과 동시에 다이얼 디지트를 송출하고, 인덱스 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 프로그램은 제1도에 도시된 CPU(22)내의 메모리(26)의 롬영역에 프로그램되어 있다.3 is a flow chart of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dial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torage area of one of the dial data areas 29A to 29J of the dial buffer 29 designated by the index counter when a dial key provided on the keypad is input. The dial digit is sent out at the same time as the dial digit is stored, and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is increased. Such a control program is programmed in the ROM area of the memory 26 in the CPU 22 shown in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재-다이얼링 송출 제어 흐름도로서, 반복 다이얼링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덱스 카운터의 값보다 1의 값이 작은 임시 인덱스버퍼가 지정하는 다이얼버퍼의 다이얼 데이터영역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반복 다이얼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을 감소하여 이전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표시하며, 송출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된 인덱스 신호를 전화선로로 송출하는 수순을 가진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역시 상기 제1도에 도시된 CPU(22)내의 메모리(26)의 롬영역에 프로그램되어 있다.4 is a flow chart of a selective re-dialing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ial digit stored in a dial data area of a dial buffer designated by a temporary index buffer having a value of 1 less than that of an index counter in response to input of a repetitive dialing signal is shown. Access and display. An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repetitive dial signal,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is decreased to display a previously stored dial digit, and the index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dial digit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line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play key. I have a procedure. Such a program is also programmed in the ROM area of the memory 26 in the CPU 22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저장 및 반복 선택 다이얼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제1도와 같이 구성된 하드웨어의 단말기는 이미 훅크-오프되어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라 가정한다. 즉, 통화로 제어부(18)가 CPU(22)로부터 출력되는 통화로 형성 제어신호(DP)에 응답하여 정류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전압을 통화회로부(16)로 공급하여 통화루프가 형성된 상태라 가정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ial storage and repeat selection dia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of the hardw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is already hooked-off to form a call path. That is, the call path controller 18 supplies the call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ier circuit 14 to the call circuit unit 16 in response to the call path formation control signal DP output from the CPU 22 to form the call loop. Assume a state.

지금,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4)상에 설치된 다이얼키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다이얼키 신호는 CPU(22)에 입력된다. 상기 CPU(22)는 상기 다이얼키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3도의 다이얼 루틴을 수행한다.Now, when the user selects the dial key installed on the keypad 24 in the above state, the selected dial key signal is input to the CPU 22. The CPU 22 performs the dial routine of FIG. 3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dial key signal.

다이얼키의 입력에 의해 다이얼 송출 루틴을 수행하는 CPU(22)는 제3도의 42과정에서 내부의 메모리(26)의 영역에 설정된 인덱스 카운터(34)에 저장된 값을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CPU(22)는 상기 독출된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을 미리 설정된 값과 제3도 44과정에서 비교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값이라 함은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영역의 갯수 즉, 다이얼 데이터영역(29A~29J)의 갯수를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09H으로 설정된 일예를 나타낸다.The CPU 22, which executes the dial sending routine by the input of the dial key, reads out the value stored in the index counter 34 set in the area of the internal memory 26 in step 42 of FIG. The CPU 22 compares the value of the read index counter 34 with a preset value in FIG. 44. Here, the preset value means the number of dial digit storage areas of the dial buffer 29, that is, the number of dial data areas 29A to 29J.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set to 09H is shown.

상기 44과정에서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이 미리 설정된 값 09H과 같다고 판단되며 상기 CPU(22)는 46과정에서 상기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을 클리어하여 48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44과정의 검색결과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이 미리 설정된 값 09H보다 작거나 같다면 바로 48과정으로 점프한다. 상기 48과정에서 CPU(22)는 제2b도와 같은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으로서 제2a도와 같은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A~29J)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해당 어드레스의 위치에 키패드(24)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한다.In step 44,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the preset value 09H. In step 46, the CPU 22 clears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and performs step 48. If the value of the search result index counter 34 of step 44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09H, the process jumps to step 48 immediately. In step 48, the CPU 22 assigns the address of the dial data area 29A to 29J of the dial buffer 29 as shown in FIG. 2A as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as shown in FIG. The dial digit input from (24) is stored.

예를 들면, 상기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이 03H이라면, 상기 CPU(22)는 상기 인덱스 카운터(34)의 값 03H을 어드레스로 하여 제2a도와 같은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D)를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D)에 키패드(24)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인덱스 카운터(34)가 지정하는 디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D)에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CPU(22)는 제3도 50과정에서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색하여 하나의 상대방을 호출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한다.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is 03H, the CPU 22 uses the value 03H of the index counter 34 as an address to dial data area 29D of the dial buffer 29 as shown in FIG. ). The dial digit input from the keypad 24 is stored in the dial data area 29D of the dial buffer 29.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CPU 22 storing the dial digits in the dial data area 29D of the dial buffer 29 designated by the index counter 34 searches whether the storage is completed in FIG. To store the dial digit for calling one party.

상기 48과정 및 50과정에 의해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에 대응하는 다이얼버퍼(29)의 어드레스의 위치에 키패드(24)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얼 디지트가 완료되면, 상기 CPU(22)는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52과정에서 독출하여 DTMF-F(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DTMF-S(20)는 상기 CPU(22)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통화회로부(20)의 신호입력단자로 공급한다.When the dial digit output from the keypad 24 is completed at the address of the dial buffer 29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by the steps 48 and 50, the CPU 22 stores the stored dial digit. Read in step 52 and outputs to the DTMF-F (20). At this time, the DTMF-S 20 generates a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l digit output from the CPU 22 and supplies it to the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call circuit unit 20.

상기 통화회로부(16)는 상기 DTMF-F(20)로부터 발생된 DTMF 신호를 통상의 음성신호 송출경로를 통하여 전화선로(12)로 송출한다. 즉, 상기 통화회로부(16)는 입력된 DTMF신호를 통화전압의 통화전류에 중첩하여 라인(30), 통화로제어부(18), 라인(28), 정류회로(14)를 통하여 전화선로(12)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다이얼을 송출한 CPU(22)는 제3도의 54과정에서 제2b도와 같이 구성된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을 +1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다음번의 다이얼 디지트가 입력시 다이얼버퍼(29)의 차기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함이다.The call circuit unit 16 transmits the DTMF signal generated from the DTMF-F 20 to the telephone line 12 through a normal voice signal transmission route. That is, the call circuit unit 16 superimposes the input DTMF signal on the call current of the call voltage, and the phone line 12 through the line 30, the call path controller 18, the line 28, and the rectifier circuit 14. To be sent. The CPU 22 which sent the dial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configured as shown in FIG. 2B by +1 in step 54 of FIG. The reason why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is increased in this way is to designate the next address of the dial buffer 29 when the next dial digit is input.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새로운 다이얼링이 실행될 때 키패드(24)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는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A~29J)중 상기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에 대응되는 다이얼 데이터영역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차기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인덱스 카운터(34)가 자동으로 저장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2a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다이얼버퍼(29)는 인덱스 카운터(34)에 의해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자동으로 순환저장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10곳의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링을 행하였다면, 제2a도와 같이 구성된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A~29J)의 각각에는 모두 다이얼 디지트가 입력되어 저장됨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a new dialing is execut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dial digit input from the keypad 24 is the d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in the dial data areas 29A to 29J of the dial buffer 29. It can be seen that the index counter 34 for storing the next address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area automaticall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ial buffer 29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2A automatically rotates and stores the dial digit input by the index counter 34. For example, if dialing is performed to call 10 counterparts, it can be seen that dial digits are input and stored in each of the dial data areas 29A to 29J of the dial buffer 29 configured as shown in FIG. 2A. .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2a도와 같이 구성된 다이얼버퍼(29)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얼 디지트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전에 다이얼링하였던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 반복 다이얼키를 누르면, CPU(22)는 상기 반복 다이얼키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4도의 루틴을 실행한다. 상기 반복 다이얼키는 키패드(24)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지면, 이에 대응된 키신호가 상기 CPU(22)에 공급된다.By the above oper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repetitive dial key to call a counterpart who has previously dialed in the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dial digits are stored in the dial buffer 29 configured as shown in FIG. 2A, the CPU 22 repeats the repetition. The routine of FIG. 4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dial key signal. The repeat dial key is provided on the keypad 24, and when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is supplied to the CPU 22.

반복 다이얼키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4도를 수행하게 되면, CPU(22)는 제4도의 60과정에서 제2b다이얼링와 같이 구성된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을 임시 인덱스버퍼(36)에 옮겨 저장한다. 상기에서 인덱스 카운터(34)의 값은 최종으로 다이얼된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고 있는 다이얼버퍼(29)의 어드레스 다음 위치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임시 인데스버퍼(36)의 값도 역시 마지막 다이얼+1의 위치를 지시하고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60과정을 수행한 CPU(22)는 62과정에서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이 0H인가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검색을 하는 이유는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 저장영역을 10개(09H)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When performing FIG. 4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repetitive dial key signal, the CPU 22 transfers and stores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configured as 2b dialing to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in step 60 of FIG. do.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34 indicates the address next to the address of the dial buffer 29 that stores the dial digit that was dialed las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sbuffer 36 also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last dial + 1. In step 62, the CPU 22 searches whether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has a value of 0H. The reason for such a search is that the dial data storage areas of the dial buffer 29 are set to 10 (09H).

상기 62과정에서 현재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이 0H가 아니라면 상기 CPU(22)는 마지막 다이얼링된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하기 위하여 다이얼버퍼(29)의 독출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을 -1 감소시킨다. 만약, 상기 62과정에서 현재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이 0H이라면 마지막으로 다이얼링된 다이얼 디지트가 저장된 어드레스가 09H임으로 상기 CPU(22)는 마지막으로 다이얼링된 다이얼 디지트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하여 66과정에서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을 09H로 변환한다.If the value of the current temporary index buffer 36 is not 0H in step 62, the CPU 22 assigns a read address of the dial buffer 29 to access the last dialed dial digit. Reduce the value of -1. If the value of the current temporary index buffer 36 is 0H in step 62, since the address where the last dialed dial digit is stored is 09H, the CPU 22 generates an address for reading the last dialed dial digit. In step 66,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is converted into 09H.

상기 64과정 혹은 66과정에서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을 감소시킨 CPU(22)는 임시 인덱스버퍼(36)가 지시하는 어드레스에 대응된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타영역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독출하여 표시기(도시하지 않았음)로 출력하여 현재 선택된 다이얼 디지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이 03H이라면, 상기 CPU(22)는 다이얼버퍼(29)의 데이터영역(29D)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킨다.In step 64 or step 66, the CPU 22 decreases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to store the dial digits stored in the dial data area of the dial buffer 29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dicated by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Read and output to an indicator (not shown) to display the currently selected dial digit. 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is 03H, the CPU 22 reads out the dial digit stored in the data area 29D of the dial buffer 29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그리고, 상기 CPU(22)는 70과정에서 키패드(24)로부터 송출키신호가 출력되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70과정에서 송출키신호가 출력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22)는 72과정에서 다이얼버퍼(29)의 다이얼 데이터영역(29D)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하여 DTMF-S(20)를 통하여 전술한 경로로 송출한다.In step 70, the CPU 22 searches whether the transmission key signal is output from the keypad 2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 that the outgoing key signal is output, the CPU 22 accesses the dial digit stored in the dial data area 29D of the dial buffer 29 in step 72 and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rough the DTMF-S 20. Send by one path.

만약, 70과정에서 송출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22)는 74과정에서 반복 다이얼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반복 다이얼키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CPU(22)는 마지막 다이얼-2의 다이얼 디지트를 선택하기 위하여 76과정에서 임시 인덱스버퍼(76)의 값을 감소시키어 전술한 68과정으로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반복 다이얼키라 입력되면 제2a도와 같이 구성된 다이얼버퍼(29)의 데이터영역(29A~29J)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들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 that the transmission key has not been input, the CPU 22 searches for the repetition dial key in step 74. In this case, if the repetitive dial key is input, the CPU 22 repeats the above-described step 68 by decreasing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76 in step 76 to select the dial digit of the last dial-2. Therefore, when a repetitive dial key is input, one of the dial digits stored in the data areas 29A to 29J of the dial buffer 29 configured as shown in FIG. 2A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의해 임시 인덱스버퍼(36)의 값을 감소시키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프트웨어적인 타이머 카운트를 두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을 자동적으로 감소하여 이미 기억된 다이얼 디지트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of reducing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36 by the input of the repetitive dial key, if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puts a software timer count, if a certain time elapses You will notice that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is automatically reduced so that you can select the dial digits already sto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통신단말기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단축키를 이용하여 일일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지 않더라도 순환 다이얼버퍼에 자동으로 기록되고, 상기 순환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선택하여 자동 송출하므로써 재다이얼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al function is automatically recorded in a circular dial buffer even if a dial digit frequently used is not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by using a shortcut key, and the circular dial digit is simply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dial can be simplified by selecting and automatically dispensing by the operation.

Claims (5)

전화선로, 상기 전화선로의 통화전압에 실린 교류신호를 재생하고, 교류신호를 상기 통화전압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교류신호 송수신수단, 통화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선로와 상기 교류신호 송수신수단을 접속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제어수단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서 기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 디지트신호를 저장하는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저장위치를 지시하며, 다이얼 송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위치의 값을 증가시키는 인덱스 카운터와,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전화선호로 송출하는 다이얼신호 송출수단과, 상기 인덱스 카운터가 지시하는 저장수단의 위치에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다이얼신호 송출수단으로 공급하며, 반복 다이얼신호의 입력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인덱스 카운터의 값에 대응되는 저장영역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하여 표시하고, 송출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다이얼 디지트를 상기 다이얼 디지트 송출수단으로 공급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 기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장치.An AC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for reproducing an AC signal carried in a communication voltage of the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an AC signal superimposed on the communication voltage, and outputting the telephone line and the AC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n response to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signal. A selective redialing device of a dial digit sent out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ans for connecting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storage means having at least one area for storing a dial digit signal for calling a counterpart; An index counter for indicating a storage location of the storage means, increasing a value of the storage location in response to a dial transmission, a dial signal sending means fo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dial digit and transmitting the dialing signal to a telephone preference; A dial d input at a location of the storage means indicated by the index counter. It stores the jits and supplies them to the dial signal transmitting means, and decreases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imes of the repeated dial signal and accesses the dial digits stored in the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reduced index counter. And a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nd supplying the displayed dial digit to the dial digit dispensing means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outgoing signal. 전화선로, 상기 전화선로의 통화전압에 실린 교류신호를 재생하고, 교류신호를 상기 통화전압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교류신호 송수신수단, 통화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선로와 상기 교류신호 송수신수단을 접속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제어수단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서 기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 디지트신호를 저장하는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트신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전화선로로 송출하는 다이얼신호 송출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기록 어드레스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이얼신호 송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기록 어드레스신호를 증가시키는 인덱스 카운터와,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의 이전의 값을 독출 어드레스신호로 출력하는 임시 인덱스버퍼와,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상기 인덱스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어드레스신호에 대응되는 저장수단의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로부터 출력되는 독출 어드레스신호가 지시하는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하여 상기 다이얼신호 송출수단으로 공급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산단말기에서 기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장치.An AC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for reproducing an AC signal carried in a communication voltage of the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an AC signal superimposed on the communication voltage, and outputting the telephone line and the AC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n response to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signal. A selective redialing device of a dial digit sent out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path control means for connecting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storage means having at least one area for storing a dial digit signal for calling a counterpart; And a dial signal sending means fo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git signal output from the storing means and transmitting the dial signal to a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a recording address signal of the storing means, and record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dial signal sending means. Index counter for incrementing the address signal and repetition dial key input A temporary index buffer for outputting a previous value of the index counter as a read address signal in response to the output, and a dial digit input from the keypad at an address of a storage means corresponding to a write address signal output from the index counter, And a control means for accessing the dial digit stored in the area indicated by the read address signal output from the temporary index buffer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repetitive dial key, and supplying the dial digit to the dial signal transmitting means. Optional redialing device for dialed digits.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 디지트신호를 저장하는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저장위치를 순환선택하는 인덱스 카운터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다이얼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임시 인덱스버퍼와,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트신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전화선로로 송출하는 다이얼신호 송출수단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서 기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가 지시하는 저장영역에 상기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상기 다이얼신호 송출수단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인덱스 카운터를 증가하는 다이얼 디지트 순환저장과정과, 상기 인덱스 카운터의 값을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횟수에 대응하여 감소하여 이를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억세스하여 송출하는 다이얼 디지트 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 기송출된 다이얼 디지트의 선택적 재다이얼링 방법.A storage means having at least one area for storing a dial digit signal for calling a counterpart, an index counter for cyclically selecting a storage location of the storage means, a temporary index buffer for reading a dial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 selective redialing method of a dial digit transmitted by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al signal transmitting means fo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 signal output from the storage means and transmitting the dial signal to a telephone line, In response, storing a dial digit corresponding to the dial key in a storage area indicated by the index counter, supplying the stored dial digit to the dial signal transmitting means, and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index counter; Of the index counter Is reduc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dial keys, stored in the temporary index buffer, and a dial digit sending process of accessing and transmitting dial digits sto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is performed. Selective redialing method of dial digits sent out from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디지트 순환저장과정은,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가 지시하는 어드레스의 위치에 상기 다이얼키에 대응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저장과정과, 상기 다이얼 디지트의 저장 완료시에 상기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송출하고, 상기 인덱스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순환저장영역 지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ircular digit rotation storing step comprises: storing a dial digit corresponding to the dial key at a location of an address indicated by the index counter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dial key; And a cyclic storage area indica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dial digit upon completion of storing and incrementing the index counter.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디지트 송출과정은,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인덱스 카운터의 값을 임시 인덱스버퍼에 복사하고, 상기 복사된 값이 상기 저장영역의 마지막 영역의 값인가를 검색하는 저장영역 검색과정과, 상기 저장영역 검색과정에서 상기 복사된 값이 상기 저장영역의 마지막 영역의 값인 경우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을 초기화하고, 상기 복사된 값이 상기 저장영역의 마지막 영역의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을 감소하는 재다이얼영역 설정과정과, 상기 재다이얼 영역 설정과정에서 설정된 임시 인덱스버퍼가 지시하는 저장영역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를 표시하는 표시과정과, 송출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되는 다이얼 디지트를 송출하며, 반복 다이얼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 인덱스버퍼의 값을 감소하고 상기 표시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다이얼 디지트 선택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 or 4, wherein the dial digit sending process copies the value of the index counter to a temporary index buffer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repetitive dial key, and the copied value is stored in the last area of the storage area. A storage area retrieval process for retrieving whether the value is a value; and if the value copied at the storage area retrieval process is a value of the last area of the storage area,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is initialized, and the copied value is stored in the storage area. A redial area setting process of decreasing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when the value of the last area is smaller, a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a dial digit stored in a storage area indicated by the temporary index buffer set in the redial area setting process; The displayed dial digit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outgoing key, an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repeat dial key. And a dial digit selective transmission process of reducing the value of the temporary index buffer and repeating the displaying process.
KR1019940014354A 1994-06-22 1994-06-22 Re-dialing apparatus KR970002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354A KR970002345B1 (en) 1994-06-22 1994-06-22 Re-dia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354A KR970002345B1 (en) 1994-06-22 1994-06-22 Re-dia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239A KR960003239A (en) 1996-01-26
KR970002345B1 true KR970002345B1 (en) 1997-03-03

Family

ID=1938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354A KR970002345B1 (en) 1994-06-22 1994-06-22 Re-dial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34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239A (en)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576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US5283818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JPH0595399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US5966436A (en) Redialing method
KR970002345B1 (en) Re-dialing apparatus
EP0999691A1 (en) Ring type based on call related information
KR100298153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transmitting local number of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312183B1 (en) Redialing method in isdn terminal
WO1994010781A1 (en) Display telephones with automatic repertory dialler control system
JP2633253B2 (en) Telephone terminal device
JPS61144951A (en) Telephone
KR19980082968A (en) How to automatically call continuously
JPS61161854A (en) Telephone device
KR950007506B1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KR10020241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aling signal of terminal
CN1074877C (en) Telephone system of utilizing infrared tech. and its control method
JP3118334B2 (en) Telephone equipment
KR19980015992A (en) How to register and call group phone numbers on your phone
CA2429739C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JPH0697996A (en) Telephone system with abbreviated dial calling function
JPS61184954A (en) Key telephone set
KR19980013824A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phone
JPH0215759A (en) Autodialer
JPH06141062A (en) Redialling controller
JPH0421242A (en) Automatic di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