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223B1 -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223B1
KR100202223B1 KR1019960021116A KR19960021116A KR100202223B1 KR 100202223 B1 KR100202223 B1 KR 100202223B1 KR 1019960021116 A KR1019960021116 A KR 1019960021116A KR 19960021116 A KR19960021116 A KR 19960021116A KR 100202223 B1 KR100202223 B1 KR 10020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signal
voice
input device
in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7659A (en
Inventor
양진화
김상진
박정기
Original Assignee
윤혁기
주식회사서울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혁기, 주식회사서울방송 filed Critical 윤혁기
Priority to KR101996002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223B1/en
Publication of KR98000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2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 H04N7/0885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for the transmission of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Circui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캡션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영상신호안의 동기 신호(sync. 信號)를 분리하고 데이터 검출 위치를 데이터 검출부에 알려주는 동기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검출 위치에 의거하여 자막신호를 디코드하는 데이터 검출부와, 상기 자막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부와, 상기 병렬변환된 신호를 읽어 캡션방식이 다른 신호로 변환하는 CPU로 이루어진 대사자막 변환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imple caption, comprising: a sync separator for separating a sync signal in a video signal and notifying a data detection unit of the data detection position; and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subtitle signal based on the data detection position A data detection unit, a serial / paralle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aption signal into a parallel signal, and a CPU for converting the parallel-converted signal into a signal having a different caption scheme.

또한 영상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워하는 포맷에 맞는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 전달하는 표준변환장치와, 상기 표준변환장치에서 오는 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받고 이를 타입코드와 매칭시켜 자막신호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대사자막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tandard conversion device that extracts caption data from a video signal and converts the caption data into caption data conforming to a format to be watched and transmits the caption data to a computer for inputting a metabolic caption; And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for synthesizing the caption data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he video signal without caption, and an encoder for inputting the caption signal.

Description

대사자막 변환 및 입력장치Metabolic caption conversion and input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사자막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abolic film conver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본 발명의 대사자막 입력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abolic film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3도는 본 발명의 대사자막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abolic film inpu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 20 : 대사자막 변환장치(표준변환장치)10: Computer for inputting a metabolism subtitle 20: Metabolic subtitle conversion apparatus (standard conversion apparatus)

21 : 동기분리부(同期分離部) 22 : 데이터 검출부21: synchronization separator (synchronization separator) 22: data detector

23 : 직렬/병렬 변환부 24 : CPU(Central Processing Unit)23: serial / parallel conversion unit 24: CPU (Central Processing Unit)

25 : 버퍼(buffer) 30 : 대사신호 발생용 인코더25: buffer 30: encoder for generating a metabolic signal

40 : 번역기 50 : 응성인식기40: Translator 50: Adult tableware

51 : 마이크 60 : 문자인식기51: microphone 60: character recognizer

61 : 스캐너(scanner) 62 : 카메라61: scanner 62: camera

[산업상 이용분야][Industrial Applications]

본 발명은 TV 프로그램 및 비디오 테이프에 대사자막을 입력시키는 장치 특히 한국형 캡션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putting a subtitle into a TV program and a video ta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suitable for Korean caption.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Prior Art and Problems]

대사정보 부가방송은 보통의 TV 화면에 긴급뉴스나 알림사항등을 나타내는 자막과는 달리, 시청자의 선택에 의하여 TV 화면의 대사내용을 볼 수 있는 방송을 말한다.Unlike subtitles, which display urgent news or reminders on a normal TV screen, the metabolic information supplementary broadcast refers to a broadcast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TV screen can be viewed by the viewer's choice.

보통 자막방송은 시청자가 선택하여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방송자의 선택에만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이를 흔히 오픈 캡션(open caption)이라고 한다.Normally, closed caption broadcasting is determined not only by the viewer but also by the selection of the broadcasting person, and is often called an open caption.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방송자는 항상 대사정보를 보통의 TV 방송정보에 실어 송출하고, 이를 시청자의 선택에 의하여 대사정보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흔히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이라고 한다.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in which a broadcaster always transmits meta information to ordinary TV broadcast information, and allows the viewer to view the meta information by selecting a viewer,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closed caption.

한편 비데오 테이프의 녹화방법에 있어서도 TV 의 자막과 같은 문자를 삽입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대상인 대사정보를 방송시의 대사부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첨가하여 소위 클로즈드 캡션 비데오 테이프를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recording a video tape, a character such as a caption of a TV can be inserted, or a so-called closed caption video tape can be produced by adding the metabolism information which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대사 부가 TV 방송 및 비데오 테이프는, 화면은 볼수 있으나 음성을 들을 수 없는 농자(聾者; 청각 장애인)에게는 매우 절실한 것이며 외국어 학습용으로도 매우 유익한 것이다.Such TV programs and video tapes are very important for the deaf (hearing impaired) who can see the screen but can not hear the voice, and it is also very usefu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특히 농자 등의 복지를 위해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어 그에 대한 연구가 일찍부터 이루어졌다.In particular, the necessity for the welfare of farmers and others was emphasized and research on this was done early.

청각장애인들은 수화장면이 없으면 TV방송 내용을 이해할 수 없으므로 미국에서는 1978년부터 자국의 청각장 애인들을 위해 영어로 대사내용을 문자화하는 방송을 실시하였다.Since hearing impaired people can not understand the contents of TV broadcasts without a sign language scene, the United States has broadcasted texts in English in 1978 for English audiences.

한편, 한극 대사정보에 대한 방법과 장치에 연구도 이루어져 그에 대한 결과가 최근에 발표되고 상용화도 추진중에 있다.On the other hand, researches 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formation on the ambassadorial information have been made, and the results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and commercialization is being promoted.

그러나 방송국이 보관하고 있는 캡션 비디오 테이프 또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캡션 비디오 테이프는 그 대사정보가 전부 미국방식으로 녹화되어 있다.However, caption videotapes kept by broadcasting stations or caption videotapes distributed on the market are all recorded in American way.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는, 한국형 캡션 방송이 시작되고 및 그에 따른 수상기, VTR 이 보급되면 소비자에게 많은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such conventional videotapes cause a lot of confusion to the consumers when Korean caption broadcasting starts and the receivers and the VTRs are supplied.

즉 한국형 캡션을 사용하는 방송, 수상기, VTR 에서는 미국방식의 캡션 테이프가 무용지물이 된다.That is, caption tapes of American type are useless in broadcasting, receiver, and VTR using Korean caption.

이렇게 무용지물이 될 테이프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그 테이프에 내장되어 있는 캡션 데이터를 한국방식의 캡션 데이터로 바꾸어야 한다.In order to use the obsolete tape, the caption data embedded in the tape should be replaced with Korean caption dat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미국방식의 캡션 데이터를 한국형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테이프에 녹화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onverting existing US-style caption data into Korean-style caption data and recording it on a ta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션 데이터를 보다 발전된 주변장치를 사용하여 손쉽게 입력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easily inputting caption data using a more advanced peripheral devic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안의 동기신호(sync. 信號)를 분리하고 데이터 검출 위치를 데이터 검출부에 알려주는 동기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검출 위치에 의거하여 자막신호를 디코드하는 데이터 검출부와, 상기 자막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부와, 상기 병렬변환된 신호를 읽어 캡션방식이 다른 신호로 변환하는 CPU로 이루어진 대사자막 변환장치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ync separator for separating a sync signal in a video signal and notifying a data detection unit of a data detection position, A data detection unit, a serial / paralle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aption signal into a parallel signal, and a CPU for converting the parallel-converted signal into a signal having a different caption scheme.

또한 영상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원하는 포맷에 맞는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 전달하는 표준변환장치와, 상기 표준변환장치에서 오는 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받고 이를 타임코드와 매칭시켜 자막신호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대사자막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tandard conversion device for extracting caption data from a video signal and converting the caption data into a caption data suitable for a desired format and delivering the caption data to a computer for input of a metabolic film; And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for synthesizing the caption data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he video signal without caption, and a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signal sent to the caption signal generation encoder.

또 영상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원하는 포맷에 맞는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 전달하는 표준 변환장치와, 상기 표준변환장치에서 오는 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받아 이를 편집하고 저장하며 운영자의 지시에 의하여 자막신호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대사자막 입력장치를 제공한다.A standard conversion device for extracting caption data from a video signal and converting the caption data into caption data suitable for a desired format and delivering the caption data to a computer for inputting a caption; And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for synthesizing the caption data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he caption signal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ransmitting the caption data to the outside, Device.

또한 음성입력장치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받고 이를 음성인식하는 음성인식기와, 상기 음성인식기로부터 받은 문자열을 운영자의 지시에 의하여 상기 문자열의 표시방법을 제어하는 캡션의 제어코드와 함께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대사자막 입력장치를 제공한다.A voice recognizer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a voice input device and recognizing the voice signal; and a control code for caption contro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operator, And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for synthesizing the caption data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he video signal without the caption.

또한 상기 음성인식기 대신에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를 받아 이를 대사정보로 입력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Also,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hrough an image input device instead of the voice recognizer and inputting the image signal as metabolism information is provided.

또한 문자입력기를 통하여 대사자막을 입력하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inputting a metabolic film through a character input devic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그에 다른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other drawings.

우선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사자막 변환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abolic film conver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대사자막 변환장치는 종래의 방식에의한 캡션 데이터를 한국형 대사자막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다.This metabolic transducer is a device for converting the caption data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to the Korean metabolic subtitle information.

도면에서 21 은 동기분리부로서, 외부에서 오는 콤포지트(composite)신호 즉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sync. 信號)를 분리하고 또한 그 영상 신호에 실려 있는 캡션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검출 위치를 데이터 검출부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synchronization separator which separates a composite signal (i.e., a sync signal) from an external video signal and detects a data detection posi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aption data carried on the video signal, It is the role of telling.

여기에서 영상신호는 태이프를 재생하는 VTR 등에서 보내진다.Here, the video signal is sent from a VTR or the like that reproduces the tapes.

한편 22 는 데이터 검출부로서, 동기분리부(2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검출 위치에 의거하여 자막신호를 디코드하고 이를 직렬/병렬 변환부로 보낸다.On the other hand, a data detecting unit 22 decodes a caption signal on the basis of a data detection position transmitted from the sync separation unit 21, and sends the decoded signal to a serial / parallel conversion unit.

또 23 은 직렬/병렬 변환부로서, 상기 데이터 검출부(22)에서 보내지는 직렬의 자막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한다.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serial / 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a serial subtitle signal sent from the data detector 22 into a parallel signal.

그리고 제어기의 역할을 하는 CPU(24)는 상기 병렬변환된 신호를 읽어 캡션방식이 다른 신호로 변환한다.The CPU 24, which acts as a controller, reads the parallel-converted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signal having a different caption scheme.

또한 이 기능을 대사자막 변환장치내가 아닌 외부의 컴퓨터 등에 수용할 수도 있다.This function can also be accommodated in an external computer or the like other than the metabolic transducer.

한편 자막대사가 많아 CPU 자체의 메모리만으로 변환처리를 할수 없는 경우에는 버퍼(25)를 직렬/병렬 변환부(23)가 병렬변환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고 CPU(24)가 이를 읽어 다른 캡션방식의 신호를 바꿀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large amount of caption metabolism and the conversion processing can not be performed only by the memory of the CPU itself, the serial / parallel conversion unit 23 stores the parallel converted data in the buffer and the CPU 24 reads the buffer 25, Or the signal of the other.

상기 구성의 대사자막 변환장치를 사용하여 대사자막을 변환하는 예, 구체적으로는 미국 캡션방식의 대사자막을 한국 캡션방식의 대사자막으로 변환하는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An example of converting the metabolic subtitles using the metabolic transducer of the above configuration, specifically, an example of converting the US caption metabolic subtitles into the Korean caption metabolic subtit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미국 캡션방식은 미국의 FCC 에 의하여 그 규격이 상세히 규정되어 있다.First of all, the US caption method is specified in detail by US FCC.

이를 간단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A brief look at this is as follows.

대사자막과 무관한 텍스트(text)용으로는 15 줄 * 34 칸의 블랙박스(black box)가 생기며, 라인당 최대 글자수는 각 줄 가장 앞칸과 뒤칸의 블랭크(blank)부를 제외한 32 자이다.For texts that are unrelated to the subtitles, there are 15 lines * 34 black boxes. The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per line is 32 characters excluding the blank part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each line.

또 캡션을 위하여는 한 화면당 최대 4 줄만이 동시 표현 가능하며 3개의 표현 모드가 있다.In addition, for caption, only 4 lines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and there are 3 display modes.

즉 팝온(pop on), 페인트온(paint on) 및 롤업(roll up) 등이다.Pop on, paint on, and roll up.

한편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속성에서 2 가지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kinds of attributes for displaying characters.

즉 위치속성과 문자속성이 그것이다.That is, location property and character property.

위치속성은 칸(탭이나 인덴트), 줄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문자속성은 색, 이탤릭, 밑줄, 깜박임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location attribute indicates the location of a cell (tab or indent) or line, and the character property indicates color, italics, underline, or flicker.

2 번씩 전송하게 되어 있는 콘트롤 코드는 다음과 같다.The control codes to be transmitted twice are as follows.

우선 MSC(Mode Switching Code)는 텍스트와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코드이다.First, the MSC (Mode Switching Code) is a code for specifying text and mode.

PAC(Preamble Address Code)는 언어를 지정하고 칸, 줄 및 속성을 지정하는 코드이다.Preamble Address Code (PAC) is a code that specifies a language and specifies fields, lines, and attributes.

MRC(Mid-Row code)는 row 중간에 색, 밑줄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MRC (Mid-Row code) is for changing the attributes of color and underline in the middle of a row.

한편 EOC(End-of-caption code)는 팝온 모드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메모리를 바꾸는 코드이다.On the other hand, the end-of-caption code (EOC) is a code that changes the memory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n pop-on mode.

한편 문자코드는 아스키 코드로 이루어진 영문자와 특별한 문자로 구성된다.Character codes consist of alphabetic characters consisting of ASCII codes and special characters.

상기 문자코드 및 콘트롤 코드의 전송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character code and the control code is as follows.

먼저 팝온 모드에서는 CR(Cariage Return)이 스크롤업(scroll up)으로 작용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First, in the pop-on mode, the CR (Return Return) acts as a scroll up, and the order is as follows.

MSC + text + text + CRMSC + text + text + CR

팝온모드에서는 CR은 그 의미가 없으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In pop-on mode, CR has no meaning and the order is as follows.

MSC(RCL : Resume Caption Loading) + PAC + text + (MRC) + text + EOCMSC (RCL: Resume Caption Loading) + PAC + text + (MRC) + text + EOC

MSC(RCL : Resume Caption Loading) 코드로 팝온임을 알 수 있으며 EOC 로, 표현되는 메로리를 바꾼다.MSC (RCL: Resume Caption Loading) code shows that it is pop-on, and EOC changes the displayed value.

다음에 페인트온 모드에서는 CR이 의미가 없으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Next, in the paint-on mode, CR is not meaningful and the order is as follows.

MSC(RDL :Resume Direct Loading) + PAC + text + (MRC) + text + (DER : Delete to End of Row)MSC (Resume Direct Loading) + PAC + text + (MRC) + text + (DER: Delete to End of Row)

또한 롤업모드에서는 CR은 윈도우내에서 스크롤업으 의미하며 그 순서는, MSC(2RU, 3RU, 4RU) + PAC + text + (MRC) + text + CR + text 이다.In the roll-up mode, CR means scroll up in the window, and the order is MSC (2RU, 3RU, 4RU) + PAC + text + (MRC) + text + CR + text.

여기서 PAC의 줄 지정은 베이스 로우(base row) 지정을 의미하며, 줄 지정 생략시 기본값은 15 이다.Here, the line designation of PAC means base row designation, and the default value of line designation is 15.

한편 한국형 방식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utline of the Korean method is as follows.

화면표시 모드는 대사정보(자막) 모드와 대사외의 정보(TEXT)모드 즉 텍스트 모드로 정한다.The screen display mode is set to the dialogue information (subtitle) mode and the non-dialogue information (TEXT) mode, that is, the text mode.

대사외 정보는 문자 표시영역 전체에 보이게 되며, 대사정보는 위 영역에서 일부만 선택하여 25 줄 정도씩 연속적으로 표시한다.The non-metabolic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entire character display area. Continuously display 5 lines or so.

대사정보 모드는 다시 팝온(Pop-on), 롤업(Roll-up), 롤다운(Roll-down)의 세가지로 나눈다.The dialogue information mode is again divided into pop-on, roll-up, and roll-down.

팝온모드는 대사가 화면에 갑자기 나타나는 형식으로서 여러 사람의 대사를 동시에 처리할 때에 주로 쓰이며, 문자표시 영역 중 필요한 행을 연속적이 아닌, 임의의 행으로 선택하여 동시에 표시한다.The pop-on mode is a form in which the dialogue appears on the screen suddenly. It is mainly used when processing a plurality of people's dialogue at the same time.

롤업모드와 롤다운모드는 롤업, 롤다운 제어코드를 수신할 때마다, 현재의 줄을 기준으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롤(Roll)시키며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The roll-up mode and the roll-down mode are to roll and display the current line up or down, respectively, each time a roll-up or roll-down control code is received.

한편 제어코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제어코드에 특정모드가 지정된 것이 아니라, 매 순간마다 필요에 따라 표시제어를 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using the control code does not specify the specific mode to the control code, but performs the display control as needed every time.

즉(화면지우기 제어코드) + 문자열 코드 + (화면표시 제어코드), 몇 초경과, (화면지우기 코드) + 문자열코드 + (화면표시 제어코드)가 연속적으로 전송됨으로써 팝온모드 제어코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It is necessary to use the pop-on mode control code by continuously transmitting (screen clear control code) + string code + (screen display control code), a few seconds, and (screen clearance code) + string code + none.

또한 롤모드에서는, 영역지정과 행바꿈의 기능이 통합된 2줄 롤업, 3줄 롤업 등의 개개의 제어코드를 이용하므로 (롤업모드 제어코드)와 (영역지정 코드)가 필요없다.Roll mode does not require (roll-up mode control code) and (area designation code) because it uses individual control codes such as 2-line rollup and 3-line rollup integrated with area designation and line feed function.

참고로 표1에 제어코드와 그 기능을 표시한다.Table 1 shows the control codes and their functions.

또한 최대 48워드(24글자) 전송마다 반드시 하나 이상의 제어코드를 전송해야 하고, 수직 위치 제어코드는 5줄 분량마다 1번씩 전송해야만 수신기에서 약 4초마다 1 번씩 수신되는 문자표시 줄위치를 정확히 따라간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ntrol code must be transmitted every 48 words (24 characters) transmiss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code must be transmitted once every 5 lines, Goes.

상기와 같은 미국방식에서 한국 방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즉 대사자막 변환장치의 CPU(24)가, 영상신호에서 검출한 미국방식의 캡션 데이터를 한국형 캡션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process of converting from the above-described US format to the Korean format, that i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US-style caption data detected by the CPU 24 of the metabolic subtitle conversion apparatus into the Korean cap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기본적으로는 문자코드는 ASCll에서 한글 완성형 코드로 변환한다.First of all, the character code is basically converted from ASCII to Hangul completion code.

또한 FCC 규격은 15 줄, 한국형은 10 줄이므로 변환시 줄위치 변환이 고려되야 한다.In addition, since FCC standard is 15 lines and Korean type is 10 lines, line position convers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version.

따라서 1-5 줄은 1-5 줄로, 5-10 줄은 1-5 줄로, 10-15 줄은 5-10 줄로 변환한다.Thus, 1-5 lines are converted to 1-5 lines, 5-10 lines are converted to 1-5 lines, and 10-15 lines are converted to 5-10 lines.

그러나 팝온시 5-6 줄 사이에 걸쳐 예를 들어 4, 5, 6 과 같이 대사자막이 존재한다면 내용이 뒤바뀔 수 있으므로 그 수정이 필요하다.However, if there are metabolic subtitles, such as 4, 5, and 6, for example, between 5 and 6 lines of pop-up, the contents may be reversed.

1)텍스트시의 변환1) Conversion of text poem

FCC의 MSC가 텍스트를 지정하면, 다시 캡션을 지정할 때까지 한국형에서 변환되어진 코드에서는 MSB(Most Significant Bit)가 1로 되야한다.If the MSC of the FCC specifies text, the MSB (Most Significant Bit) must be set to 1 in the code converted in Korean until the caption is specified again.

또한 한국형에서 부가정보는 페이지 단위로 전송을 원칙으로 하므로, FCC규격의 CR을 카운트하여 15 줄마다 페이지 시작과 끝을 넣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additional information in Korean format is transmitted on a page-by-page basis, count the CRs of the FCC standard and inpu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page every 15 lines.

또한 CR은 APDR(Active Position Down Roll)로 변환한다.The CR also converts to APDR (Active Position Down Roll).

2)팝온시 변환2) Pop-On Time Conversion

팝온시 한국형의 전송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pop-on Korean type is as follows.

수신저장 + (기타제어코드) + 문자열 + (기타제어코드) + --- + 화면지움 + 화면보임 따라서 FCC의 RCL을 팝온 시작으로 인식하고 PAC를 해당하는 기타제어코드로, EOC를 화면지움과 화면보임으로 변환한다.(+) + (+) + (+) + (+) + (+) + (+) + (+) + (+) + Converts to screen view.

역시 CR은 APDR로 변환한다.CR also converts to APDR.

3)페인트온시 변환3) Paint on-time conversion

한국형에서는 페인트온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페인트온은 팝온으로 변환시킨다.Because Korean does not support paint on, paint on converts to pop on.

즉 DER 등은 화면지움과 화면보임으로 변환해야 한다.In other words, DER, etc. should be converted to screen erasure and screen display.

4)롤업시 변환4) Converting during rollup

롤업시 한국형의 전송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transfer order of Korean type when rolling up is as follows.

화면보임 + (기타제어코드) + 문자열 + (기타제어코드) + 문자열 + (2 ~ 5 줄 롭업)Screen display + (other control code) + string + (other control code) + string + (2 to 5 lines up)

FCC의 2RU, 3RU, 4RU를 롤업 시작으로 인식하며, 이 코드로 해당하는 2 ~ 4 줄 롤업을 결정한다.FCC's 2RU, 3RU, and 4RU are recognized as roll-up start, and this code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2- to 4-line rollup.

롤업시 PAC에서 지정된 칸은 또다른 MSC(2RU, 3RU, 4RU)가 올 때까지 유효하므로, 매 라인마다 그 기타제어코드에 칸 위치 제어코드를 삽입시켜 주아야 한다.During roll-up, the designated space in the PAC is valid until another MSC (2RU, 3RU, 4RU) arrives, so you should insert the cell position control code in each other line in each other control code.

또한 매라인의 제일 앞에는 항상 화면보임을 넣어주어야 한다.Also, you should always put a screen view at the beginning of each line.

이상과 같이 하여 FCC 방식의 캡션을 한국방식의 갭션으로 변환한다.In this way, the caption of the FCC method is converted into the Korean type caption.

한편 상기 발명은 FCC방식에서 한국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도 가능하며 또한 다른 방식의 캡션도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is not only used for converting from the FCC method to the Korean method, but it is also possible to reverse the method.

제2도는 상기 대사자막 변환장치를 사용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다.Fig. 2 shows an example of a metabolic film input apparatus using the above-mentioned metabolic film conversion apparatus.

도면에서, 20 은 상기 대사자막 변환장치와 동일하거나 약간 변형한 표준변환장치로서, 영상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원하는 포맷에 맞는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 전달한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standard conversion apparatus which is the same as or slightly modified from the above-mentioned metabolic film conversion apparatus, extracts caption data from a video signal, converts the caption data into caption data suitable for a desired format,

10 은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로서 보통의 PC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전용 켬퓨터로도 구성될 수 있다.10 is a computer for caption input, which can be a normal PC or a dedicated computer.

상기 표준변환장치(20)에서 오는 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받고 이를 타임코드와 매칭시켜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Receives the caption data from the signal from the standard conversion device 20, and transmits the caption data to the caption signal generation encoder by matching with the time code.

이 때의 타임코드는 원 영상 신호의 소스인 VTR 등에 타임코드를 보내라는 명령을 보낸 뒤에 VTR 등이 타임코드를 보내면 캡션데이터와 매칭시켜 즉시 인코더(30)로 보내거나 혹은 컴퓨터가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 혹은 디스크에 저장하였다가 후에 편집 등을 하여 인코더로 보낸다.The time code at this time is transmitted to the encoder 30 immediately after matching the caption data if the VTR or the like sends a time code to the VTR or the like which is the source of the original video signal, Or stored on a disc, then edited, etc., and sent to the encoder.

즉 VTR 등에서 재생되는 매스터 녹화 테이프 혹은 비디오 테이프의 각 장면에 해당하는 문장을 표준변환장치(20)으로 받고 그에 대응하는 타임코드 및 위치정보 등을 함께 파일로 저장했다가 자막신호발새용 인코더로 출력시키기 위한 것이다.That is, a standard transcoding device 20 receives a sentence corresponding to each scene of a master recording tape or video tape reproduced by a VTR or the like, stores the time code and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n a file, and outputs the same to a subtitle signal embedding encoder .

이를 위하여는 VTR의 PLAY, REW, FF, STOP, SHUTTLE 등을 쉽게 리모트 콘트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대사정보 입력이 용이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the PLAY, REW, FF, STOP, and SHUTTLE of the VTR must be able to be remotely controlled easily, thereby facilitating the input of the metabolism information.

또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입력시킬 자막대사가 모니터에 오버레이되어 별도의 모니터가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input video signal and subtitle to be input are overlaid on the monitor so that a separate monitor is not required.

30 은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서,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which serves to synthesize caption data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he caption without caption.

이는 기존에 나와 있는 IC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is can be configured using the ICs already provided.

또한 본 자막신호 발새용 인코더(30)는 보드 형태로 상기 컴퓨터(10)에 장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ption signal embedding encoder 30 may be mounted on the computer 10 in a board form.

또한 40 은 번역기로서, 표준변환장치(20)에서의 캡션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기계이다.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translator, which translates the caption in the standard conversion device 20 into another language.

즉 영어를 한국어로 또는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한다.In other words, English is translated into Korean or Korean into English.

이 번역기(40)는 표준변환장치(20) 또는 자막대사 입력용 컴퓨터(10)내에 설치하여도 즉 표준변환장치(20) 또는 자막대사 입력용 컴퓨터(10)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The translator 40 may be provided in the standard conversion apparatus 20 or the subtitle substitution input computer 10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standard conversion apparatus 20 or the subtitle substitution input computer 10.

상기 구성의 대사자막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대사자막을 입력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inputting a metabolic film using the metabolic film inpu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VTR을 제어하여 대사에 해당하는 문장을 입력시키고 자동으로 읽혀지는 대사 시작 장면의 타임코드를 에디터 파일의 타임코드 영역에 저장시키고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난 VTR 영상에 오버레이된 자막을 마우스 등을 움직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뒤 에디터 파일의 위치 영역에 자동 입력되도록 한다.First, the VTR is controlled to input a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dialogue, and the time code of the automatically started metabolic start scene is stored in the time code area of the editor file, and the overlaid subtitle on the VTR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monitor is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So that it is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location area of the editor file.

대사정보 입력작업이 끝나면 대사정보를 영상신호에 실어 녹화 등을 하기 위하여 대사정보 입력용 VTR 에 입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When the input of the metabolism information is finished,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metabolism information into a video signal for inputting the metabolism information for recording or the like.

그 방법은 재생용 VTR과 녹화용 VTR를 사용하는 것이다.The method uses a VTR for reproduction and a VTR for recording.

제2도등에서 원영상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 재생용 VTR이고, 자막이 실린 영상신호 즉 대사자막 발생용 인코더(30)의 출력을 입력시켜 녹화하는 것이 녹화용 VTR 이다.It is the VTR for reproduction that outputs the original video signal in the second view, and the VTR for recording by inputting the video signal containing the caption, that is, the output of the encoder 30 for generating the metabolism film.

이렇게 구성된 재생용 VTR과 녹화용 VTR 의 타임코드를 일치시킨 후에 동시에 스타트시켜 재생용 VTR 타임코드를 읽어서 이 타임코드에 맞추어 대사자막 정보를 대사자막 발새용 인코더(30)에 출력시키도록 한다.After the time codes of the reproducing VTR and the recording VT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reproducing VTR time code is read at the same time to read the reproduction VTR time code, and the subtitle subtitle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subtitle subtitle encoder 30 in accordance with the time code.

그리고 대사자막 쓰기방향 및 그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코드가 부가비적으로 들어가게끔 한다.And the position designation code for designating the direction of the writing of the subtitle and the position of the subtitle is inserted in an additional non-specific manner.

이 모드에서만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10)의 정보가 대사자막 발새용 인코더(30)에 전달되는 것이다.In this mode, the information of the computer 10 for inputting the metabolism film is transmitted to the ambassador caption encoder 30.

한편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10)는 대사자막을 저장, 편집하지 않고 즉시 인코더(30)로 보내어 리얼 타임으로 녹화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10 for inputting a metabolic caption may immediately transmit the metadata to the encoder 30 for recording in real time without storing and editing the metabolism film.

이 장치는 또한 경우에 따라서 서로 형식이 다른 캡션 데이터를 원하는 포맷으로 바꿀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도 무방하다.The device may also have the capability to convert caption data of different formats into a desired format, as the case may be.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 실시예에서는 표준변환장치(20) 등의 변환장치 대신에 음성인식기(50) 또는 문자인식기(60)를 사용하여 대사자막을 입력시키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instead of the conversion device such as the standard conversion device 20,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50 or th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60 is used to input the metabolism film.

도면에서 50 은 음성을 입력시켜 그것을 인식하여 문자로 바꾸는 음성인식기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 voice recognizer for inputting a voice and recognizing it and converting it into a character.

본 음성인식기(50)는 현재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여 구성한다.The speech recognizer (50) is construct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one.

또한 그 하드웨어는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10)에 보드형태로 장착하고 음성인식을 하는 프로그램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10)의 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기억시켜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hardware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a storage device (not shown) of a computer 10 for inputting a program for metabolical subtitles to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board on the computer 10 for inputting the subtitle film and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have.

상기 음성인식기(50)에의 입력은 예를 들어 외부 마이크(51)를 통하여 할 수도 있고, 원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VTR 등의 출력신호를 연결하여 입력시킬 수도 있다.The input to the voice recognizer 50 may be via an external microphone 51, for example, or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signal such as a VTR for generating an original video signal.

한편 60 은 문자을 이미지 형태로 입력시켜 그것을 인식하여 문자로 바꾸는 문자인식기이다.On the other hand, 60 is a character recognizer that inputs characters in an image form, recognizes them, and converts them into characters.

본 문자인식기(60)는 현재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여 구성한다.This character recognizer (60) is constituted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one.

또한 그 하드웨어는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10)에 보드 형태로 장착하고 문자인식을 하는 프로그램을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10)의 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기억시켜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ardware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computer 10 for inputting a metabolic film and stored in a storage device (not shown) of the computer 10 for inputting a character image, It is possible.

상기 문장인식기(60)에의 입력은 예를 들어 스캐너(61) 또는 카메라(62) 등을 통하여 할 수도 있다.The input to the sentence recognizer 60 may be via the scanner 61 or the camera 62, for example.

상기 구성의 장치를 사용하여 대사자막을 입력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method of inputting the metabolic film using the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상기 음성인식기나 문자인식기에 대신하여 키보드 등의 문자 입력기를 통하여 대사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가공 즉 그 대사정보가 표시되는 콘트롤 코드 등과 함께 이를 인코드 등의 외부기기에 전달하여 대사정보를 들어간 영상을 만들 수 있다.Also, in place of the voice recognizer or the character recognizer, the user inputs the metabolism information through a character inputting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ncoding device, together with a control code for displaying the metabolism information, .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키보드 등의 문자입력기를 통하여 대사를 입력한다.First, the user inputs a dialogue through a character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이 대사를 받은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는 외부 조작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그 조작자가 지시하는 모드에 해당하는 콘트롤 코드와 함께 대사를 인코더(30)로 보낸다.The computer for metabolic caption inputting this metabolism sends the metabolism to the encoder 30 together with the control code corresponding to the mode instructed by the operator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external operator.

그 이후의 과정은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키보드 등의 문자입력기를 통하여 대사를 한꺼번에 입력하여 이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외부로 전달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possible to input a dialogue through a character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store it in a file form,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즉 파일로 저장된 대사를 조작자가 지정하는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불러내어 역시 조작자가 지정하는 표시모드에 해당하는 콘트롤코드와 함께 인코더로 전송한다.That is, a time designated by the operator, in order,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encoder together with the control cod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e designated by the operator.

이 때 조작자는 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그 영상에 맞게 대사를 전송하도록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 지시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operator should instruct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subtitles to display the video to be played and to transmit the subtitles to the video.

표시모드는 일일이 지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모드로 통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바꾸도록 하는 것이 현실적이다.When it is difficult to designate one by one, it is preferable to unify the display mode into a predetermined mode and change it only when necessary.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간편하게 기존의 미국방식의 캡션 데이터를 한국형 캡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테이프에 녹화할 수 하는 장치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ich can easily convert existing US-style caption data into Korean caption data and record it on a tape.

또한 본 발명은, 캡션 데이터를 보다 발전된 주변장치를 사용하여 손쉽게 입력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put caption data using a more advanced peripheral device.

따라서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FCC 방식의 비디오 테이프 등을 변환함으로써 기존의 중요한 테이프 등을 한국형 캡션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by converting the existing FCC type videotape, etc., it becomes possible to use an existing important tape in Korean caption.

또한 음성인식기, 문자인식기, 문자입력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대사자막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Also, by using a voice recognizer, a character recognizer,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the dialog subtitle.

또한 번역기를 사용함으로써 영어 대사자막을 한글 대사자막으로 또는 그 역으로 또는 다른 종류의 언어로 바꿀 수 있으므로 다양한 캡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translator, English subtitles can be replaced with Hangul dialog subtitles or vice versa or other kinds of languages, so that various captions can be provided.

Claims (12)

음성입력장치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받고 이를 음성인식하는 음성인식기와, 상기 음성인식기로부터 받은 문자열을 운영자의 지시에 의하여 상기 문자열의 표시방법을 제어하는 캡션의 제어코드와 함께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캠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A voice recognizer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a voice input device and recognizing the voice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string received from the voice recognizer to a caption signal generating encoder together with a caption control cod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character string And a subtitle signal generation encoder for synthesizing the subtitle video signal and the camming data coming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subtitle film. 음성입력장치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받고 이를 음성인식하는 음성인식기와, 상기 음성인식기로부터 받은 문자열을 받아 운영자의 지시에 의하여 편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문자열의 표시방법을 제어하는 캡션의 제어코드와 함게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A voice recognizer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a voice input device and for voice recognition of the voice signal;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 character string from the voice recognizer and editing and storing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n operator's instruction; And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for synthesizing the caption data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and the video signal without the caption. 제1항에 있어서, 음성입력장치는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input device is a microphone. 제1항에 있어서, 음성입력장치는 VTR의 음성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dio input device is an audio output of the VTR.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를 받고 이를 문자인식하는 문자인식기와, 상기 문자인식기로부터 받은 문자열을 운영자의 지시에 의하여 상기 문자열의 표시방법을 제어하는 캡션의 제어코드와 함께 자막 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A character recognizer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hrough an image input device and recognizing the character, and a character string received from the character recognizer to a caption signal generation encoder together with a caption control cod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n operator's instruction And a caption signal generation encoder for synthesizing a caption data input from a computer for inputting a caption without caption and a caption data from a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caption.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를 받고 이를 문자인식하는 문자인식기와, 상기 문자인식기로부터 받은 문자열을 받아 운영자의 지시에 의하여 편집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문자열의 표시방법을 제어하는 캡션의 제어코드와 함게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보내는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와, 외부의 자막없는 영상신호와 상기 대사자막 입력용 컴퓨터에서 오는 캡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자막신호 발생용 인코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A character recognizer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hrough an image input device and recognizing the character,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haracter string received from the character recognizer, editing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operator, storing the character string, And an encoder for generating a caption signal for synthesizing a caption data input from an external caption free video signal and caption data input from the computer for inputting the caption caption. 제 5 항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장치는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mage input device is a scanner. 제5항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장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mage input device is a camera. 제2항에 있어서, 음성입력장치는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voice input device is a microphone. 제2항에 있어서, 음성입력장치는 VTR의 음성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udio input device is an audio output of the VTR. 제6항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장치는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mage input device is a scanner. 제6항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장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자막 입력장치.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mage input device is a camera.
KR1019960021116A 1996-06-13 1996-06-13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KR100202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116A KR100202223B1 (en) 1996-06-13 1996-06-13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116A KR100202223B1 (en) 1996-06-13 1996-06-13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59A KR980007659A (en) 1998-03-30
KR100202223B1 true KR100202223B1 (en) 1999-06-15

Family

ID=1946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116A KR100202223B1 (en) 1996-06-13 1996-06-13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2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444B1 (en) * 1999-12-27 2002-06-21 조종태 Subtitle management method for digital video disk
KR100559964B1 (en) * 2004-08-26 2006-03-15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DVD player capable of converting audio data in DVD disk to MP3 format 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59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4491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user selected advanced closed captions
EP2356654B1 (en) Method and process for text-based assistive program descriptions for television
US70471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captioning for AV signals
KR1011617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through subtitles of an audio video data stream
US5576768A (en) Captio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KR20030060079A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separate display means for textual information
JP2002374494A (en) Generation system and retrieving method for video contents file
EP1672919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exts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thereof
KR100202223B1 (en) Words caption input apparatus
JP4500957B2 (en) Subtitle production system
KR100728929B1 (en) Personal's data insert apparatus using digital cap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3259445B2 (en) Video / audio signal recording / playback device
KR100565726B1 (en) Method of caption data transmission of caption broadcasting system
JP2003018534A (en) Reproducing equipment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657146B2 (en) Caption decoder device
KR100224095B1 (en) Display method for translating data in dual caption broadcasting signal
CN1241089A (en) Closed caption translation method and translator
KR20020072752A (e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laying Caption Data, Video Data And Audio Data
KR100254487B1 (en) Caption print apparatus of vcr and its control method
KR970059962A (en) Speech Recognition Translation Device and Transl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KR950009451B1 (en) Multiple cap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11234611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index signal for video deck, its system and medium recording the method
KR19990035599A (en) Automatic translation display method of caption signal
JPH11331701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elop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with the method recorded therein
KR19990035597A (en) Caption signal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caption broadcasting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