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321B1 -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321B1
KR100201321B1 KR1019960039477A KR19960039477A KR100201321B1 KR 100201321 B1 KR100201321 B1 KR 100201321B1 KR 1019960039477 A KR1019960039477 A KR 1019960039477A KR 19960039477 A KR19960039477 A KR 19960039477A KR 100201321 B1 KR100201321 B1 KR 10020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exhaust device
shoe body
sho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840A (ko
Inventor
권택만
Original Assignee
권택만
주식회사레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택만, 주식회사레파드 filed Critical 권택만
Priority to KR101996003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321B1/ko
Priority to JP8291132A priority patent/JPH1085008A/ja
Priority to GB9702814A priority patent/GB2317096B/en
Priority to US08/801,320 priority patent/US5953835A/en
Priority to CN97102544A priority patent/CN1104213C/zh
Publication of KR1998002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29D35/0018Moul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안전화는 신발몸체와 신발밑창 사이에 단순히 쿠션력을 지닌 삽입 시켜 쿠션력만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안전화 내부의 환기성이 떨어져 신고 있는 발에 땀이 많이나고, 또한 발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습한 공기로 오염되어 피부에 유해한 각종균이 서식하게 되고,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11도와 같이 신발몸체(1)와 신발밑창(2) 사이에 발포성수지재로 성형된 중창(4)을 형성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사출성형식 제조방법과 제조장치를 통해 배기장치(50)를 설치하되, 배기장치 (50)는 신발몸체 (1)의 바닥판(3)과 중창(4)내에 설치된 에어펌프(52)와 에어호오스(54)로 이루어져 있어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안전화를 제조하기 위하여 지지틀(24)에 신발몸체(1)를 고정시키고, 배기장치(50)를 부착시키되, 상기 배기장치(70)의 저면에 차단판(58)을 부착시켜 밀폐된 상태에서 지지틀(24)을 수직하강시켜 배기장치 (50)를 중창(4)내에 매설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측금형(26)과 지치틀(24)의 내측면에 ㄱ 자형 돌기부(60)와 고정구(62)로 구성된 프레스 사출성형기(14)를 갖추도록하여 배출쵸크밸브(74)가 설치 되는 에어호오스(54)의 일단부를 중창(4)내에 매설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배기장치가 설치된 신발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신발몸체와 밑창 사이에 발포성수지재로 성형된 중창을 삽입시키되, 상기 중창내부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신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을 착용하고 장시간 움직이다 보면 사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발에서 발생되는 땀과 열기에 의해 신발내부의 공기가 습해지면서 피부에 유해한 각종 균들이 서식하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신발내부의 공기가 대기중의 외부공기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환기구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에어캡이 설치된 신발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신발은 세멘트식 제조방법과 사출성형식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지는데, 상기 세멘트식 제조방법은 신발본체와 밑창을 별도로 제작한 후, 신발본체의 하면과 밑창의 상면에 접합실러를 도포시켜 일체로 접합을 시키는 제조방법 이며, 사출성형식 제조방법은 완성된 신발본체와 밑창 사이에 발포성수지재로 제작된 중창을 삽입시켜 가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 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사출성형식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신발은 그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그 중 후술하는 본 발명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신게되는 안전화를 예를 들어 기술한 것이며, 안전화 이외에 등산화나 스포츠화등 여러종류의 신발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한편, 종래의 신발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 제1도 과 같이 신발몸체(1)의 밑면을 이루고 있는 바닥판(3)과 신발밑창(1)사이에 쿠션력을 지닌 중창(4)이 적층된 상태로 접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금속재의 보강판(5)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때, 신발몸체(1)의 바닥판(3) 및 신발밑창(2)의 상면과 외형이 일치되는 중창(4)을 삽입시켜 일체로 접합을 이룸으로써, 쿠션력을 지닌 중창(4)에 의해 신발몸체(1)에 가해지는 지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화를 산업현장에서 근로자가 신고 작업을 실시할 경우, 산업현장의 위험요소들로부터 근로자의 발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중창(4)의 쿠션력에 의해 근로자의 발바닥과 무릎관절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화를 제조하는 사출성형식 제조방법을 이용한 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의 회전원판(12) 위에 방사상으로 프레스 사출성형기(14)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원판(12)과 동일한 헝상의 작업대(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직선상의 양측단에 제 1 원액공급기(18)와 제 2 원액공급기(20)가 설치되어 로터리식 프레스 사출성형기(1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프레스 사출성형기(14)는 첨부된 에시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에 회전부(2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틀(24)과 상측금형(2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부에 하측금형(2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로터리식 프레스 사출성형기(10)를 통해 제조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예시도면 제4도와 같이 회전원판(12)위에 설치된 프레스사출성형기(14)가 제1원액공급기(18)와 제 2 원액 공급기(20)에 일직선상으로 이동이 되면, 제 1 원액공급기(18)로 부터 무발포성 용융상태의 1차원액 (30)이 하측금형 (28)에 투입되며, 이때 제 1 원액공급기(18)와 일직선상의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2원액공급기(20)로부터는 발포성 용융상태의 2차원액(32)이 하측금형(28)에 투입이 되는데, 상기 2차원액(32)이 투입되는 하측금형(28)에는 앞서 제 1 원액공급기(18)를 통해 1차원액 (30)이 투입되어 회전원판(12)이 180°회전함에 따라 이동이 되면서 상측금형(26)이 첨부된 예시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수직 하강하여 1차원액(30)을 압축시켜 신발밑창(2)이 성형된 상태에서 2차원액(32)이 투입되어 중창(4)을 성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사출성형기(14)의 하측부에 설치된하측금형(28)에 2차원액(32)이 투입되고 회전원판(12)이 회전할때, 상측부는 회전부(22)를 중심으로)에 상측금형(26)과 지지틀(24)이 회전되고, 이때 작업대(16)에서 별도로 제작된 신발몸체(1)를 상기 지지틀(24)에 안착시켜 고정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틀(24)에 고정된 신발몸체(1)는 첨부된 예시도면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방향으로 하강하여 하측금형(28)에 투입된 2차원액(32)이 경화되기 전에 지지틀(24)에 고정 된 신발몸체(1)를 중창(4)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안전화가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출성형식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안전화는 신발몸체(1)와 신발밑창(2) 사이에 보강판(5)과 쿠션력을 지닌 중창(4)이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중창(4)에 의해 쿠션력도 확보하게 되므로 지면으로부터 전해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화는 신발몸체(1)와 신발밑창(2) 사이에 단순히 쿠션력을 지닌 중창(4)을 삽입시켜 쿠션력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안전화 내부의 환기성이 떨어져 착용 중 악취가 발생하고 각종 균이 서식하였으며, 이를 개선한 환기 가능한 신발이 개량되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환기 효과가 미미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출성형식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안전화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몸체와 신발밑창 사이에 발포성수지재로 성형된 중창을 형성시키되, 상기 중창에는 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신발본체의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공정중에 발포성수지재인 2차원액으로 중창을 성형시키되, 상기 중창과 신발몸체에 에어호오스와 에어펌프로 이루어진 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신발몸체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신발몸체내의 공기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쿠션장치가 내장된 신발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로터리식 프레스기의 평면도.
제3도는 로터리식 프레스기의 일부측면도.
제4도는 로터리식 프레스기의 하측금형에 1차 원액을 주입하는 상태의 측면도.
제5도는 로터리식 프레스기의 일부와 하측금형의 측면도.
제6도는 지지틀에 신발몸체가 결합되기전 상태의 측면도.
제7도는 지지틀에 신발몸체가 결합된 후의 측면도.
제8도는 하측금형에 2차 원액을 주입하는 상태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틀이 하향된 상태의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틀과 하측금형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가 내장된 신발의 분리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을 통해 완성된 신발의 배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틀에 신발몸체와 에어펌프를 설치하기전 상태의 분리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사출성형기의 요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몸체 2 : 신발밑창
3 : 바닥판 4 : 중창
10 : 로터리식 프레스 사출성형기 12 : 회전원판
14 : 프레스 사출성형기 16 : 작업대
18 : 제 1 원액공급기 20 : 제 2 원액공급기
22 : 회전부 24 : 지지틀
26 : 상측금형 28 : 하측금형
30 : 1차원액 32 : 2차원액
34 : 회전부 36 : 공급기혜드
50 : 배기장치 52 : 에어펌프
73 : 에어호오스 56 : 관통홀
58 : 차단판 60 : 돌기부
62 : 고정구 64 : 에어통로
66 : 접착층 68 : 흡입쵸크밸브
70 : 흡입구 72 : 배출구
74 : 배출쵸크밸브 76 : 회전손잡이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 및 쵸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신발몸체(1)와 신발밑창(2) 사이에 쿠션력을 갖춘 중창(4)이 삽입되고 환기 가능한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관통홀(56)을 형성하고 배기장치(50)를 설치하되, 배기장치(50)는 에어펌프(52)와 에어호오스(54)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기장치(50)의 저면에는 외주연에 접착층(66)이 형성된 차단판(58)이 부착되어 중창(4)과 신발밑창(2)이 일체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펌프(52)는 탄성력을 갖춘 고무재로 반구형상으로 구성되고, 흡입쵸크밸브(68)가 내장된 흡입구(70)와 배출구(72)로 이루어져 신발몸체(1)의 관통홀(56)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호오스(54)는 기역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일측부는 에어펌프(52)의 배출구(72)와 연통되도록 결함이 되고, 타측부는 그 단부에 배출쵸크밸브(74)가 내장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신발몸체(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안전화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스 사출성형기(14)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원형상의 회전원판(12)과 상기 회전원판(12)의 수직선상 양측에 제 1 원액공급기(18)와 제 2 원액공급기(20)로 이루어진 로터리식 프레스 사출성형기(10)에 의해 제작되는 안전화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 사출성형기(14)의 상측금형(26)과, 지지틀(24)의 하면파 내측면에 기역자 형상의 돌기부(60)와 고정구(62)를 형성시켜 하측금형(28)에 성형된 신발밑창(2)에 에어통로(64)와 신발몸체(1)에 부착된 에어호오스(54)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제 2 원액공급기(20)에서 투입되는 2차원액(32)에 의해 성형되는 중창(4)에 에어호오스(54)가 매설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안전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지지틀(24)에 고정된 신발몸체(1)에 배기장치(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배기장치(50)에 접착층(66)이 형성된 차단판(58)을 부착시켜 외부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틀(24)이 회전부(3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측금형(28)의 수직상방에 위치하도록 한 후 발포성수지재인 2차원액(32)을 하측금형(28)에 투입시켜 중창(4)을 성형시키되, 상기 중창(4)이 경화되기 전에 상기 신발몸체(1)가 고정된 지지틀(24)이 수직하강하여 중창(4)내에 배기장치(50)가 매설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제11도와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가 내장된 신발의 분리사시도와 완성된 상태의 안전화를 부분절개한 사시도로서,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관통홀(5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6)메 배기장치(50)를 설치하되, 상기배기장치(50)는 내부에 흡입쵸크밸브(68)가 내장된 에어펌프(52)와 외부에서 배출쵸크밸브(74)가 내장되는 기역자형의 에어호오스(54)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에 차단판(58)이 부착되어 중창(4)과 신발밑창(2)이 일체로 접합됨을 나타낸다.
상기 에어펌프(52)는 반구형으로 형상되며, 에어펌프(52)의 양측에 흡입구(70)와 배출구(72)가 형성되고, 흠입구(70)의 내측에 흡입쵸크밸브(68)가 설치되며, 돌출된 반구형의 상부가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형성된 관통홀(56)을 통해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진다.
상기 에어호오스(54)는 에어펌프(52)의 배출구(72)에 일측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는 그 단부에 배출쵸크밸브(74)가 설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신발몸체(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히, 에어펌프(52)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재로 성형되어 있어 일정한 복원력을 지니고 있으며, 신발몸체(1)의 바닥판(3)을 통해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신발몸체(1)내의 오염된 공기는 에어펌프(52)에 내장된 흡입쵸크밸브(68)를 통해 에어호오스(54)측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즉, 배기장치(50)가 설치된 안전화를 작업자가 신게 되면 발바닥에 돌출된 반구형의 에어펌프(72)를 압축시키게 되어 에어펌프(52)의 공기는 배출구(72)를 통해 에어호오스(54)측으로 흐르고, 발바닥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 복원력을 갖춘 에어펌프(52)의 반구형의 상측부가 복원되면서 흡입구(70)측에 내장되어 있는 흘입쵸크밸브(68)를 통해 신발몸체(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에어펌프(52)를 발바닥으로 다시 압축시키면 흡입된 신발몸체(1)의 공기 흡입쵸크밸브(68)에 의해 차단으로 배출구(72)를 통하여 에어호오스(54)측으로만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펌프(52)를 통해 에어호오스(54)에 유입된 신발몸체(1) 내부의 공기는 중창(4)에 매설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고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된 배출쵸크밸브(74)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배기장치(50)가 설치된 안전화를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신고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의 발바닥이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설치된 돌출상태의 에어펌프(52)를 짧은 순간 반복적으로 압축을 가하고 해지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신발몸체(1)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에어호오스(54)의 배출쵸크밸브(74)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이때, 에어펌프(52)와 에어호오스(54)에 설치된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흡입쵸크밸브(68)와 배출쵸크밸브(74)에 의해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 흙먼지나 오염된 분진 또는 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의 발에서 발생되는 땀과 열기에 의해 신발몸체(1)의 습하고 오염된 내부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관통홀(56)을 형성시켜 설치하는 에어펌프(52)와 에어호오스(54)로 구성된 배기장치(50)는,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화 뿐만아니라,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는 각종신발에도 사출성형식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켜 신발내부를의 공기를 신속히 환기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예시도면 제13도와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틀에 신발몸체와 에어펌프를 설치하기 전 상태의 분리사시도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사출성형기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사시도로서, 지지틀(24)의 내측관통홀에 신발몸체(1)를 안치시키고,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형성된 관통홀(56)에 반구형의 에어펌프(52)를 설치하되, 에어펌프(52)의 배출구(72)측에는 에어호오스(54)의 일단부를 결합하고 접착층(66)이 형성된 차단판(58)을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에어호오스(54)의 타단부는 지지틀(24)의 내측면에 돌출된 고정구(62)에결합되어 짐으로서 프레스 사출성형기(14)의 하측금형(28)에 경화되기전 상태의 중창(4)에 지지틀(24)을 하강·압착시켜 신발몸체(1)와 접합이 될때, 에어펌프(52)가 흡입구(70)측과 에어호오스(54)의 타단부내로 용융상태인 2차원액(32)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사출기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사시도로서, 프레스 성형사출기(14)의 상측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부(22)를 중심으로 지지틀(24)과 상측금형(26)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틀(24)의 내측면에 돌출형의 고정구(62)가 형성되고, 상측금형(26)의 저면에는 기역자 형상의 돌기부(60)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스 성형사출기(14)의 상측부는 로터리식 프레스 사출성형기(10)의 일정위치에 고정설치된 제 1 원액공급기(18)에 프레스 성형사출기(14)가 위치할 경우 상측금형(26)이 수직 하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원판(12)이 회동되어 프레스 성형사출기(14)가 제 2 원액공급기(2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측부는 회전부(22)를 중심으로 180°회전하게 된다.
상기 프레스 성형사출기(14)의 상측부에 설치된 지지틀(24)은 상측금형(26)과 정면상 수직선상에 설치되어 있으나 측면상에서 볼때 상측금형(26)파 경사각을 이룬 상태로 회전부(22)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원판(12)의 외주연에 설치된 작업대(16)에서 별도로 제작된 신발몸체(1)를 지지틀(22)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스 성형사출기(14)가 제 2 원액공급기(20)에 평면상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제 2 원액공급기(20)의 선단부에 설치된 공급기헤드(36)가 하측금형(28)의 수직상방에 위치하도록 돌출이 되고, 제 1 원액공급기(18)에서 무발포성 1차원액(30)이 투입되어 성형된 신발밑창(2)에, 돌출된 공급기혜드(36)로부터 발포성수지재인 2차원액(32)을 투입시켜 중창(4)이 성형되면서 프레스 성형사출기(14)는 회전원판(12)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프레스 성형사출기(14)의 하측금형(28)에서 성형되는 중창(4)이 완전히 건조되기전에 상측부의 지지틀(22)이 수직 하강하여 신발몸체(1)가 용융상태의 중창(4)을 압축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는 신발몸체(1)의 길이방향으로 기역자형의 에어호오스(54)가 부착이 되고, 상기 바닥판(3)의 관통홀(56)에 반구형의 에어펌프(54)가 결합되어 반구형의 상단부가 신발몸체(1)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배기장치(50)에 접착층(66)이 형성된 차단판(58)을 부착시켜 배기장치(50)가 중창(4)과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도록 밀폐가 된다.
또한, 상기 에어호오스(54)의 일측, 즉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는 지지틀(24)의 내측면에 돌출된 고정구(62)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하측금형(28)측으로 하강하여 경화되기전 상태의 중창(4)을 압축시킬때, 용융상태의 2차원액(32)이 배기장치(50)와 에어호오스(54)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중창(4)에 매설되는 에어호오스(54)의 위치는 항시 일정한 위치에 매설이 되는데, 이는 지지틀(24)의 내측면에 돌출된 고정구(62)에 에어호오스(54)의 일측단이 고정된 상태로 압축이 되므로, 에어호오스(54)는 일정위치에 매설이 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에어호오스(54)의 일단부는 중창(4)의 외면에 매설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틀(24)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구(62)는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76)에 의해 그 돌출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어, 배기장치(5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손잡이(76)를 이용하여내측면의 고정구(62)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한 안전화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프레스 사출성형기(14)의 하측부에 설치된 하측금형(28)에 제 1 원액공급기(18)를 통해 1차원액(30)이 투입되어 신발밑창(2)을 성형하고, 회전원판(12)이 회전함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회전원판(12)상에 다수설치된 프레스 사출성형기(14)의 하측금형(28)은 제 2 원액공급기(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신발밑창(2)에는 상측금형(26)의 저면에 형성된 기역자 형상의 돌기부(60)에 의해 에어통로(64)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제 1 원액공급기(18)로부터 무발포성수지재인 1차원액(30)이 하측금형(28)에 투입되어 회전원판(12)이 회전함에 따라 제 2 원액공급기(20)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중, 상기 상측금형(26)이 수직하방향으로 하강하여 1차원액(30)을 압축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측부에 형성된 회전부(34)를 축으로 상측금형(26)과 지지틀(24)이 180°회전이 되면, 상기 지지틀(24)에 별도로 제작된 신발몸체(1)를 안착시키고,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관통홀(56)을 형성시켜 배기장치(50)인 에어호오스(54)와 에어펌프(54)를 설치한 후, 접착층(66)이 형성된 차단판(58)을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지틀(24)이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첨부된 예시도면 제8도 내지 제10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하측금형(28)에 투입된 2차원액(32)으로 성형되는 중창(4)이 경화되기전에, 신발몸체(1)가 안착된 지지틀(24)을 하강시키면 신발몸체(1)에 중창(4)과 신발밑창(2)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신발몸체(1)의 바닥판(3)에 설치된 배기장치(50)는 차단판(58)에 의해밀폐되어 있어 용융상태의 2차원액(32)이 에어펌프(52)의 흡기구(70)측과 신발몸체(1)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배기장치(50)의 기능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신발몸체(1)가 고정된 지지틀(24)이 하측금형(28)측으로 점차 하강하게되면 상기 바닥판(4)에 부착된 에어호오스(54)의 일단부가 지지틀(24)의 내측면에 돌출된 고정구(62)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중창(4)을 가압시키게 되는데, 상기 중창(4)의 하측에 부착되는 신발밑창(2)의 기역자형 에어통로(64)측으로 상기 에어호오스(54)와 접하는 중창(4) 부분을 압착시키게 되어 에어호오스(54)는 중창(4)내에 매설된 상태로 형성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신발몸체(1)와 신발밑창(2) 사이에 발포성수지재로 성형된 중창(4)을 형성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사출성형식 제조방법과 제조장치를 통해 배기장치(50)가 설치되며, 배기장치(50)는 신발몸체(1)의 바닥판(3)과 중창(4)내에 설치된 에어펌프(52)와 에어호오스(54)로 이루어져 있어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중창(4)으로 인하여 신발몸체(1)와 신발밑창(2)을 접합시킴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지지틀(24)의 고정구(62)와 상측금형(26)의 돌기부(60)에 의해 에어호오스(54)를 중창(4)내에 매설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스 사출성형기(14)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원형상의 회전원판(12)과 상기 회전원판(12)의 수직선상 양측에 제1원액공급기(18)와 제2원액공급기(20)로 이루어진 로터리식 프레스 사출성형기(10)에 의해 제작되는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 사출성형식(14)의 상측금형(26)과 지지틀(24)의 하면과 내측면에 기역자 형상의 돌기부(60)와 고정구(62)를 형성시켜 하측금형(28)에 성형된 신발밑창(2)에 에어통로(64)와 신발몸체(1)에 부착된 에어호오스(54)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제2원액공급기(20)에서 투입되는 2차원액(32)에 의해 성형되는 중창(4)에 에어호오스(54)가 매설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2. 안전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틀(24)에 고정된 신발몸체(1)에 배기장치(50)를 부착시키고, 상기 배기장치(50)에 접착층(50)이 형성된 차단판(58)을 부착시켜 외부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틀(24)이 회전부(3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측금형(28)의 수직상방에 위치하도록 한 후 발포성수지재인 2차원액(32)을 하측금형(28)에 투입시켜 중창(4)을 성형시키되, 상기 중창(4)이 경화되기전에 상기 신발몸체(1)가 고정된 지지틀(24)이 수직하강하여 중창(4)내에 배기장치(50)가 매설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방법.
KR1019960039477A 1996-09-12 1996-09-12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20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477A KR100201321B1 (ko) 1996-09-12 1996-09-12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8291132A JPH1085008A (ja) 1996-09-12 1996-10-14 排気装置が設置された安全靴と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GB9702814A GB2317096B (en) 1996-09-12 1997-02-12 Ventilated shoe, device and process for reproducing such a shoe
US08/801,320 US5953835A (en) 1996-09-12 1997-02-18 Ventilated shoe
CN97102544A CN1104213C (zh) 1996-09-12 1997-02-26 通气鞋以及制造这种鞋的设备和工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477A KR100201321B1 (ko) 1996-09-12 1996-09-12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40A KR19980020840A (ko) 1998-06-25
KR100201321B1 true KR100201321B1 (ko) 1999-06-15

Family

ID=1947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477A KR100201321B1 (ko) 1996-09-12 1996-09-12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52A (ko) 2015-08-13 2017-02-22 임택기 충격 흡수 및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61B1 (ko) * 2007-06-21 2009-03-11 (주)레오파드 신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52A (ko) 2015-08-13 2017-02-22 임택기 충격 흡수 및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40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85008A (ja) 排気装置が設置された安全靴と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20220039514A1 (en) Composite sports article
AU2010360090B2 (en) Shoe, sole assembly for a sho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US10849385B2 (en) Footwear assembly having a vulcanized rubber layer and polyurethane layer
US354693A (en) Insole foe boots or shoes
US5657556A (en) Footwear sole component and production method
CN112702932B (zh) 用于形成鞋类中底的方法
KR100201321B1 (ko) 배기장치가 설치된 안전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4333193A (en) Shoe molding process
KR20150026229A (ko) 상면에 폴리우레탄코팅필름이 동시 융착된 미드솔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188844B (zh) 具有插入件的直接装底鞋类制品
EP2413729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reathable waterproof shoes
KR20090004784A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20090108344A (ko) 미끄럼방지와 쿠션기능을 갖춘 신발창
JP4778278B2 (ja) 踏抜き防止板を有する射出成形靴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87661B1 (ko)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3933A (ko) 중창의 중량을 줄인 신발 및 그 제조방법
EP4378342A1 (en) Base or tread component for a footwear as well as footwear including the same component
KR940010005B1 (ko) 삼중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통기성 신발중창
KR200154919Y1 (ko) 습기제거부를 갖춘 안전화
CN113712334A (zh) 一种耐磨损除臭皮鞋及其加工工艺
KR100687283B1 (ko) 신발 밑창
KR200382265Y1 (ko) 신발 밑창
KR200433473Y1 (ko) 방사선 관리 구역용 안전화
KR20070117233A (ko) 충격흡수용 작업화의 제조방법 및 그 작업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