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865B1 - 문서화상 독취장치 - Google Patents

문서화상 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865B1
KR100200865B1 KR1019950048070A KR19950048070A KR100200865B1 KR 100200865 B1 KR100200865 B1 KR 100200865B1 KR 1019950048070 A KR1019950048070 A KR 1019950048070A KR 19950048070 A KR19950048070 A KR 19950048070A KR 100200865 B1 KR100200865 B1 KR 10020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d
cis
image
digital data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483A (ko
Inventor
정낙호
박용우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4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865B1/ko
Publication of KR97004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문서를 읽어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무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CCD나 CIS 촬상소자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는, 상기 CCD 또는 CIS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유입하는 입력통로부; 상기 입력통로부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레벨을 CCD/CIS선택신호에 의해 클램프하는 레벨선택부; 상기 레벨선택부에서 클램프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데이터를 인버터시키는 인버터부; 상기 CCD/CIS의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A/D변환부 또는 인버터부에서 출력된 화상 디지털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여 CCD/CIS촬상소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디지털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화상 독취장치는 CCD나 CIS의 촬상소자를 겸용으로 사용하며 화상신호의 레벨변환시에 불안정한 신호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서화상 독취장치
제1도는 CCD(charged coupled device)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파형도이다.
제2도는 CIS(contacted image sensor)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파형도이다.
제3도는 종래 기술의 CCD를 사용한 문서화상 독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화상 독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문서를 읽어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무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문서화상 독취장치(document reader)는 다양한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핵심 장치로서 특히 팩스, 디지털복사기, 광학문자 독취장치(OCR ; optical character reader) 등에 문서를 리드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문서화상 독취장치의 구성은 크게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IS(contacted image sensor)의 A/D변환기로 이루어지며 CCD나 CIS에서 촬상된 아나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출력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문서화상 독취장치는 같은 피사체에 대하여 CCD와 CIS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출력레벨이 상이하기 때문에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후단에 바로 A/D변환기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OP앰프등으로 레벨을 반전시켜 조정한 후에 다수의 로직회로를 거쳐 아날로그 디지털(A/D)변환기에 입력시켰다. 따라서, OP앰프 자체가 높은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가 높은 대역을 차단하는 필터역할을 하고 센서의 출력파형이 A/D변환기에 직접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신호의 레벨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간소화된 로직회로로서 화상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신호처리를 제공하는 문서화상 CCD와 CIS겸용 문서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CD나 CIS 촬상소자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는,
상기 CCD 또는 CIS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유입하는 입력통로부;
상기 입력통로부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레벨을 CCD/CIS선택신호에 의해 클램프하는 레벨선택부;
상기 레벨선택부에서 클램프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데이터를 인버터시키는 인버터부;
상기 CCD/CIS의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A/D변환부 또는 인버터부에서 출력된 화상 디지털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여 CCD/CIS촬상소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디지털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CCD 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파형도이다.
CCD에서 출려되는 화상신호는 한 픽셀에 대하여 블랙(black)레벨과 화이트(white)레벨은 1.5볼트의 차이를 두고 구분된다. 여기서 하이레벨 6볼트가 검은색 레벨이고 4.5볼트인 로우레벨이 흰색을 나타낸다.
제2도는 CIS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파형도이다.
CIS에서 출려되는 화상신호는 한 픽셀에 대하여 블랙(black)레벨과 화이트(white)레벨은 1.5볼트의 차이를 두고 구분된다.
여기서 하이레벨 6볼트가 블랙 레벨이고 4.5볼트인 로우레벨이 화이트레벨을 나타낸다.
제3도는 종래 기술의 CCD를 사용한 문서화상 독취장치를 설명하기위한 블록도이다.
CCD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는 캐패시터(100)을 통하여 화상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이 제거된다. 이 때, 아날로그스위치(120)는 2.7 볼트의 전압을 유입하여 클램프클럭(CLPCK)의 제어를 받아 CLPCK가 하이레벨이 되는 구간에서만 턴온함으로써 블랙레벨은 2.7볼트, 화이트레벨은 0볼트가 되는 화상신호로 클램프한다. A/D변환기(130)은 클램프된 화상신호를 유입하여 8비트 디지털데이터의 화상정보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이 때, CCD에서 출력된 화상신호의 공용으로 CIS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를 입력하여 신호처리할 수 있는 문서화상 독취장치는 OP앰프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CCD와 CIS의 블랙과 화이트렐벨의 위상을 반전시켜 클램프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OP앰프 등을 추가로 설치해야 되고 화상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부분적으로 필터링하여 화상신호의 레벨이 불안정하게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화상 독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문서화상 독취장치를 살펴보면, 입력통로부(200), 레벨선택부(210), A/D변환부(220), 인버터부(230), 멀티플렉서부(240)를 포함한다.
레벨선택부(210)는 CCD/CIS의 선택신호의 제어에 의해 클램프전압 2.7볼트 또는 0볼트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제1선택부(212)와 클램핑클락을 유입하여 상기 제1선택부(212)에서 선택된 클램프전압을 A/D변환부(220)에 접속을 제어하는 제2선택부(214)를 포함한다.
제4도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CCD/CIS선택신호가 로우레벨을 인가하면 CCD모드가 설정되며 CCD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제1선택부(212)는 2.7볼트전압을 선택하여 제2선택부(214)에 출력된다. 또한 CCD/CIS선택신호가 하이레벨일 경우에는 CIS모드가 설정되며 CIS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제1선택부(212)는 0볼트전압을 클램프전압으로 선택하여 제2선택부(214)에 출력한다.
한 편, CCD/CIS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입력통로부(200)로 유입되어 캐패시터에 의해 직류성분은 제거되고 고류성분만 통과시킨다.
입력통로부(200)의 캐패시터에 의해 교류성분만 통과된 화상신호는 제2선택부(212)에서 제어된 클램프전압에 의해 클램프되어 A/D변환부(220)로 출려된다. A/D변환부(220)는 클램프된 전압을 VIN단자로 유입하여 0볼트에서 2.7볼트까지의 아날로그 화상신호레벨을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인버터부(230)와 멀티플렉서부(240)에 출력한다. 여기서, VT 및 VB단자는 입력된 전압레벨에 의하여 디지털로 변환되는 아날로그신호의 최고전압과 최저전압을 한정한다.
인버터부(230)는 A/D변환부(220)의 디지털신호를 인버터시킨 다음 멀티플렉서부(240)로 인가한다. 멀티플렉서부(240)는 CCD/CIS선택신호가 로우레벨이면 A/D변환부(220)에서 출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를 그대로 유입하는 멀티플렉서부(240)의 A입력단자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한편, CCD/CIS선택신호가 CIS화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하이레벨이면 A/D변환부(220)에서는 출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를 인버터부(230)에서 반전시켜 출력하는 화상신호를 유입하는 B입력단자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멀티플레서부(240)는 CCD/CIS선택신호가 로우레벨이면 2.7볼트에서 CCD화상신호를 클램프시켜 A/D변환부(220)에서 출려되는 신호를 그대로 출력시키고, 하이레벨이면 A/D변환부(220)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킨 값을 출력시킴으로써 CCD나 CIS로 촬상된 화상신호는 모두 블랙이 하이레벨이 되도록 하여 CCD/CIS 의 촬상소자에 관계없이 화상에 다라 동일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화상 독취장치는 CCD나 CIS의 촬상소자를 겸용으로 사용하며 화상신호의 레벨변환시에 불안정한 신호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Claims (5)

  1. CCD나 CIS 촬상소자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CCD 또는 CIS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유입하는 입력통로부; 상기 입력통로부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레벨을 CCD/CIS선택신호에 의해 클램프하는 레벨선택부; 상기 레벨선택부에서 클램프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데이터를 인버터시키는 인버터부; 상기 CCD/CIS의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A/D변환부 또는 인버터부에서 출력된 화상 디지털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여 CCD/CIS촬상소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디지털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통로부는 캐패시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선택부는 CCD/CIS선택신호에 의해 클램프전압을 선택하는 제1선택부와 클램프타이밍에 따라 상기 클램프전압을 스위칭하는 제2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부는 상기 CCD/CIS선택신호에 의해 CCD모드가 설정되면 2.7볼트, CIS모드가 설정되면 0볼트의 클램프전압을 각각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선택부는 아날로그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화상 독취장치.
KR1019950048070A 1995-12-09 1995-12-09 문서화상 독취장치 KR10020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070A KR100200865B1 (ko) 1995-12-09 1995-12-09 문서화상 독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070A KR100200865B1 (ko) 1995-12-09 1995-12-09 문서화상 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483A KR970049483A (ko) 1997-07-29
KR100200865B1 true KR100200865B1 (ko) 1999-06-15

Family

ID=1943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070A KR100200865B1 (ko) 1995-12-09 1995-12-09 문서화상 독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57B1 (ko) 2002-12-26 2007-04-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57B1 (ko) 2002-12-26 2007-04-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483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1312A (en) Image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4578711A (en) Video data signal digitization and correction system
US6580465B1 (en) Clamp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clamp level adjusting method
US4841376A (en) Shading correcting method enabling prevention of effect of noise and apparatus therefor
JPH03285459A (ja) 画像読取装置
KR100200865B1 (ko) 문서화상 독취장치
US4571573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to a binary signal
JP3091084B2 (ja) 信号処理回路
US7113647B2 (en) Removal of background noise of image data by an image processing device or image reading apparatus
JPH06164912A (ja) 画像読取装置
US4963875A (en) Device for coding an analog image signal into a binary signal
JP2675079B2 (ja) 2値化処理回路
JP2003174594A (ja) 固体撮像装置
SU16884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ррекции видеосигнала
SU1467790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окусировки электронного луча передающей телевизионной труб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KR920001799B1 (ko) 팩시밀리의 화신호 입력 및 처리회로
JPS59193619A (ja) 画像処理回路
JPH06197192A (ja) 密着イメージセンサの駆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181870A (ja) 画像読取装置
JPH0583558A (ja) 2色原稿読取り装置
JPH03295362A (ja) 画像読取装置
JPH06133166A (ja) 画像入力装置
JPH03273760A (ja) 画像読取装置
JPH04301968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H1028208A (ja) 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