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094B1 -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094B1
KR100200094B1 KR1019950033233A KR19950033233A KR100200094B1 KR 100200094 B1 KR100200094 B1 KR 100200094B1 KR 1019950033233 A KR1019950033233 A KR 1019950033233A KR 19950033233 A KR19950033233 A KR 19950033233A KR 100200094 B1 KR100200094 B1 KR 10020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xtended
recording
recording m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229A (ko
Inventor
황인욱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3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094B1/ko
Publication of KR97001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컴팩트 디스크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시 일반 기록모드와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여 디스크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기록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일반 기록모드 및 확장 기록모드를 구비하는 디스크 레코더에서 트랙 정보를 기록하는 디스크의 레이아웃 구조가, 일반 기록모드시 순차적으로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로 위치되는 피씨에이 영역, 피엠아이 영역, 리드인 여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들로 구성되고, 확장 기록모드 시 상기 리드-아웃 영역에 이어져 외주 방향으로 확장 피씨에이 영역, 확장 피엠에이 영역, 확장 리드-인 영역, 확장 프로그램 영역, 확장 리드-아웃 영역들이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일반 기록모드 수행 후 블랭크 량이 많으면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여 블랭크 위치에 데이터를 추가 기록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컴팩트 디스크에서 일반 기록모드를 수행한 후, 블랭크가 많으면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여 블랭크 위치에 데이터를 추가 기록하므로써, 디스크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기록한다.

Description

확장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컴팩트 디스크 레코더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컴팩트 디스크의 각 영역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기록 종료 후 컴팩트 디스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확장 기록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 레코더에서 확장 기록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의 구조 및 컴팩트 디스크의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확장 기록 모드를 수행할 수 방법 및 디스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 디스트(compact disc : 이하 CD라 칭함)는 1회에 한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후 영구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를 말한다. 이런 CD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스템을 CD-R(compact disc recordable system)이라 하며, CD-R은 개인용 컴퓨터에 CD 레코더를 설치하여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CD는 기록 매체로서 많은 종류의 포맷으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할 수 있는 CD-R의 주요 포맷으로는, CD-DA(Compact Disc-Digital Audio : audio CD의 포맷),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포맷), CD-I(Compact Disc-Interactive), CD-ROM/XA(CD-ROM Extended Architecture) 등으로 기록을 위한 소프트웨어(Authoring software)의 지원 능력에 따라, 지원환경 및 지원가능 포맷은 여러 가지가 된다. 초기 CD는 주로 오디용의 CD-DA로 싱글세션의 멀티트랙(single session multitreck) 방식의 기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기록은 최대 99 트랙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런 제한은 코닥(KODAK)사의 포토 CD가 등장한 이후의 멀티세션 멀티트랙(multi session multi track) 기록에 이르기까지 최대 기록 가능한 트랙의 수는 99 트랙으로 제한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CD-R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부 111은 기록할 디스크 및 재생할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픽업 등의 기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록/재생부111은 내주측의 리드인 영역(Lead-In Area)으로부터 다음 트랙 또는 세션의 프로그램 영역(program area)의 시작 어드레스(start adress)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광픽업을 이송시켜 프로그램 영역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한다. 데이터 처리부 112는 기록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코딩한 후 상기 기록/재생부 111에 출력하며, 상기 기록/재생부111에서 출력되는 재생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 포맷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기억부114는 CD-R의 주 기억장치로서 시스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억부 114는 기록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또는 재생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억부 114는 컴퓨터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hard disc)가 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 113은 CD-R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CD-R은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기록 모드시 상기 기억부 114에서 기록할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데이터 처리부 112에 출력하며, 재생 모드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 112에서 출력되는 재생데이터를 상기 기억부 114에 일시 저장시킨다.
제2도는 CD-R에서 기록을 종료한 상태에서 CD의 레이아웃(lay out)을 도시하고 있으며, 크게 리드인 영역(Lead-In Area)LIN, 프로그램 영역(Program Area)PGM,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LOT의 세영역으로 구분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와 같은 영역들로 나뉘어지는 CD에서 부분적으로 기록된 CD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들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록 방법을 살펴보면, 제1도와 같은 CD의 기록 포맷에 따라 기록용 소프트웨어(authoring software)를 시스템 제어부 113에 설치(install)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CD-DA, CD-ROM, CD-I, CD-ROM/XA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크 포맷으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실제 CD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도 싱글세션 또는 복수의 세션으로 기록하는 멀티세션의 기록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두 형태의 기록방법은 각 세션에 대해서 멀티트랙의 추가기록이 소프트웨어의 지원 환경에 따라 가능해진다. 그러나 어떤 기록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최대 기록 가능한 트랙의 수는 99트랙으로 한정된다.
기록 동작을 살펴보면, 초기 기록시 디스크에 최적의 레이저 파워(LASER power)를 설정하기 위해 OPC(Optimum Power Calibration) 과정을 수행하며, 이는 PCA 영역(Power Calibration Area)을 활용하여 최적 레이저 파워를 설정한다. 즉, 상기 PCA 영역을 1회 사용시마다 레이저 파워를 바꿔가면서 1ATIP 프레임(13.3msec의 랜덤한 EFM 데이터)을 기록하며, 총 15회(15 ATIP 프레임) 기록 동작을 반복하면서 레이저 파워를 변경하여 최적의 레이저 파워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PCA 영역은 최대 99번 사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PMA 영역(Program Memory Area)은 추가 기록을 하여 기록종료(finalizing CD)를 하기전의 상태까지 기록한 트랙의 임시 TOC(Table Of Content)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상기 PCA 영역과 마찬가지로 최대 99번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기록종료(finalizing CD)라는 용어는 CD-R에서 CD에 데이터 기록을 종료한 후 더 이상의 기록을 할 수 없도록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CD-R은 99트랙까지 기록하면, 기록종료를 수행하여 PMA 영역의 모든 데이터를 리드-인 영역 LIN에 옮겨 저장한 후 종료한다.
리드-인 영역 LIN은 기록 종료 후 프로그램 영역 PGM에 저장된 데이터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기록종료를 수행한 후 기록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PMA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TOC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TOC 정보는 프로그램 영역 PGM에 기록된 정보의 위치 정보이다. 프로그램 영역PGM은 최대 99트랙의 정보들의 저장되는 영역이다. 리드-아웃 영역 LOT는 프로그램 영역 PGM에 이어져 할당되는 영역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 트랙으로 기록되는 CD는 싱글세션 기록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멀티세션 기록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무관하게 최대 99트랙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A 영역 및 PMA 영역의 이용 가능 회수도 최대 99번까지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CD는 최대 99트랙까지 기록되면, CD의 남은 용량에 관계없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아주 짧은 곡을 99곡 기록한 경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의 뒷 부분에 블랭크 영역이 많이 남아있더라도 CD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트랙의 수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에서 컴팩트 디스크의 남은 용량에 따라 확장하여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트랙의 수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를 기록하는 장치에서 기록 종료 후 컴팩트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분석하여 확장 기록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 기록모드 및 확장 기록모드를 구비하는 디스크 레코더에서 트랙 정보를 기록하는 디스크의 레이아웃 구조가, 일반 기록모드시 순차적으로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로 위치되는 피씨에이 영역, 피엠에이 영역,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들로 구성되고, 확장 기록모드시 상기 리드-아웃 영역에 이어져 외주 방향으로 확장 피씨에이 영역, 확장 피엠에이 영역, 확장 리드-인 영역 , 확장 프로그램 영역, 확장 리드-아웃 영역들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팩트 디스크 레코더 시스템의 기록 방법이, 기록 모드시 제1종료 데이터의 기록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종료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을 상태일 시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피씨에이 영역, 피엠아이 영역,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들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며, 기록 종료시 피엠아이 영역의 트랙 위치 정보를 리드-인 영역에 기록한 후 제1종료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반 기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2종료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일 상기 리드-아웃 영역에 이어져 외주 방향으로 확장 피씨에이 영역, 확장 피엠에이 영역, 확장 리드-인 영역, 확장 프로그램 영역, 확장 리드-아웃 영역들이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며, 확장 영역들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 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록종료데이타라는 용어는 CD에 데이터의 기록을 종료하였음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확정 모드를 수행하여 CD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CD-R 시스템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참조 부호도 동일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확정 모드의 데이터 기록 기능은 시스템제어부 113에 내장되는 프로그램(authring software)에 확장 기록모드를 추가하여 수행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확장모드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CD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확장된 CD의 레이아웃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 기록모드 수행시 CD 상에 할당되는 PCA, PMA, LIN, PGM, LOT와 동일한 배열의 순서를 가지는 EPCA(Extended PCA), EPMA(Extended PMA), ELIN(Extended LIN), EPGM(Extended PGM), ELOT(Extended LOT) 영역들이 확장 기록모드의 수행에 의해 할당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CD-R에서 데이터를 기록모드를 수행할 시 디스크의 남을 용량에 따라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CD-R에서 CD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은 크게 싱글세션 기록 방법과 멀티세션 기록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서 도시된 디스크의 레이아웃은 싱글세션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을 멀티세션의 기록 방법을 사용하여 무관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기록모드를 수행하여 99트랙의 데이터를 기록 완료하면 제1기록종료 데이터를 세트하고, CD의 남은 용량이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가 검사한다. 이 때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일반 기록모드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EPCA, EPMA, ELIN, EPGM, ELOT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때 CD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모드시 디스크의 앞면에 PCA, PMA, LIN, PGM, LOT 영역이 배치되고, 바로 이어져 확장 기록모드에 의해 기록되는 데이터들에 의해 EPCA, EPMA, ELIN, EPGM, ELOT 영역이 배치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먼저 기록모드이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13 단계에서 리드-인 영역 LIN에 제1기록 종료 데이터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 이 때 상기 제1CD종료 데이터가 세트되지 않는 상태이면, 일반 기록 모드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515 단계 및 517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일반 기록모드를 수행한다. 일반 기록모드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의 프로그램 영역에 트랙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들 트랙에 대한 위치 정보를 PMA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99트랙의 데이터 기록을 종료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19 단계에서 상기 PMA 영역에 저장된 트랙들의 위치 정보를 리드-인 영역 LIN에 옮겨 저장하고, 또한 일반 기록모드의 기록 종료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기록 종료 데이터를 세트한다. 상기 제1기록 종료 데이터가 세트되면, 일반 기록모드의 트랙 데이터를 종료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런 경우 최대 99트랙의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데이터의 기록을 종료시킨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 기록모드 수행 후 다시 기록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11단계에서 기록모드를 인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13단계에서 리드-인 영역 LIN 영역에서 제1기록종료 데이터의 세트 유무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제1기록 종료 데이터의 세트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31 단계에서 사용자가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하였는가 검사한다. 이 때 확장 기록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 113은 531 단계에서 상기 제1기록 종료 데이터의 세트에 의해 일반 기록모드의 종료를 감지하고 더 이상의 기록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기록모드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531 단계에서 확장 기록모드가 설정된 경우이면, 533 단계로 진행하여 CD의 블랭크 영역이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크기가 되는가 검사한다. 이 때 상기 CD의 블랭크 영역이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크기인 경우에도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기록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533단계에서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크기의 블랭크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35 단계에서 확장 기록모드시 데이터를 기록할 확장 기록 영역인 EPCA, EPMA, ELIN, EPGM, ELOT영역들을 할당한다. 그리고 537단계 및 539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확장 기록모드에서는 상기 확장 프로그램 영역 EPGM에 기록되는 트랙들의 위치 정보를 확장 PMA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 기록모드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41 단계에서 상기 확장 PMA 영역에 기록된 확장 트랙들의 위치 정보를 확장 리드-인 영역 ELIN에 옮겨 저장하고, 또한 확장 기록모드의 종료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2기록 종료 데이터를 세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D-R에서는 기록 모드시 일반 기록모드와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크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을 가진다.
기록모드 종료 후 상기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 113은 551 단계에서 재생모드임을 감지하고 553에서 설정된 트랙의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일반 기록모드 종료 후 디스크의 블랭크 영역이 많은 경우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여 디스크에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일반 기록모드 및 확장 기록모드를 구비하는 디스크 레코더에서 트랙 정보를 기록하는 디스크의 레이아웃 구조에 있어서, 일반 기록모드시 순차적으로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로 위치되는 피씨에이 영역, 피엠에이 영역,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들로 구성되고, 확장 기록모드시 상기 리드-아웃 영역에 이어져 외주 방향으로 확장 피씨에이 영역, 확장 피엠에이 영역, 확장 리드-인 영역, 확장 프로그램 영역, 확장 리드-아웃 영역들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2. 컴팩트 디스크 레코더 시스템의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모드시 제1종료 데이터의 기록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종료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을 상태일 시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피씨에이 영역, 피엠에이 영역, 리드-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아웃 영역들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며, 기록 종료시 피엠에이 영역의 트랙 위치 정보를 리드-인 영역에 기록한 후 제1종료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반 기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2종료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일 시 상기 리드-아웃 영역에 이어져 외주 방향으로 확장 피씨에이 영역, 확장 피엠에이 영역, 확장 리드-인 영역, 확정 프로그램 영역, 확장 리드-아웃 영역들이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며, 확장 영역들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확장 기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디스크 레코더 시스템의 기록방법.
KR1019950033233A 1995-09-30 1995-09-30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KR10020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233A KR100200094B1 (ko) 1995-09-30 1995-09-30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233A KR100200094B1 (ko) 1995-09-30 1995-09-30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229A KR970017229A (ko) 1997-04-30
KR100200094B1 true KR100200094B1 (ko) 1999-06-15

Family

ID=1942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233A KR100200094B1 (ko) 1995-09-30 1995-09-30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801A (ko) * 2001-06-15 200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606707B1 (ko) * 2004-02-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기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22B1 (ko) * 1998-09-02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용량정보를가지는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기록용량가변방법과이를이용한기록/재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801A (ko) * 2001-06-15 200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606707B1 (ko) * 2004-02-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기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229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1153B2 (ja) マルチセッションディスク及び高速アクセス方法
EP0724263B1 (e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2074658A (ja) ディスクのタイプ判別方法ならびにその再生装置
JPH08329468A (ja) 光情報記録再生方法
US6473380B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formatting a rewritable recording medium by an easy formatting method
JPH0916966A (ja) 情報記録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EP1067552A2 (en)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JPH02187979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5303743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再生終了制御方法
KR100200094B1 (ko) 확장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조 및 기록 방법
JPH0935270A (ja) Cd−rドライブ装置
JP2000348347A (ja) 光ディスク
JPH03122713A (ja) 情報記録装置
JP2002358642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記録用ソフトウェア
JP3486486B2 (ja) Cd−rドライブ装置
JP2727837B2 (ja) 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KR100228477B1 (ko) 멀티 세션 디스크 및 고속 억세스 방법
JP3384732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941771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記録方法
KR20020072089A (ko) 결함 디스크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
JPH11283341A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媒体
JP3941834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再生方法
JPH03286474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465160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016265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