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644B1 -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9644B1 KR100199644B1 KR1019940028027A KR19940028027A KR100199644B1 KR 100199644 B1 KR100199644 B1 KR 100199644B1 KR 1019940028027 A KR1019940028027 A KR 1019940028027A KR 19940028027 A KR19940028027 A KR 19940028027A KR 100199644 B1 KR100199644 B1 KR 100199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pin
- driven
- pieces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34)을 한쪽방향으로 연속회전 시킨채로, 적당한 부재에 설치된 계합핀(46)에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에서의 정지위치절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의 개발과 아울러, 구동측(34)에 편심캠(35)을 통하여 작동편(32)을 끼워두고, 이 작동편(32)에 크랭크형상의 개구를 보유한 핀통로(53)를 형성시킨다. 핀통로(53)의 상단우측끝(55)으로 계합핀(46)을 밀어서 이것을 후진시킨 다음은, 작동편(32)의 공왕복동이 된다. 작동편(32)을 위로 요동시키면, 핀통로(53)의 하단좌측끝(54)에서 계합핀(46)이 도로 복귀시켜져서 이것을 전진시키게 되고, 그 다음은 동일하게 작동편(32)의 공왕복동이 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가리키는 일부 파쇄평면도.
제2도는 II-II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III-III선 확대단면도.
제4도는 구동기구를 모식적으로 가리키는 도면.
제5도는 전후위치 절환장치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 VI-VI선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VII-VII선 확대단면도.
제8도는 작동편의 작동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전후위치 절환장치 31 : 전후종동편
32 : 작동편 46 : 계합핀
53 : 계합핀통로 54 : 핀당김부
55 : 핀밀기부
이 발명은,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상시 전후동하는 작동편의 한동작을 이용해서 전후종동편을 전진시키고, 그 다음은 작동편의 작용을 받지 않고, 전후종동편을 전진위치에서 정지유지시키며 또, 이 작동편의 위치지정을 상하방향으로 절환하므로써 계속 전후동하고 있는 작동편의 위치지정을 상하방향으로 절환하므로써 계속 전후동하고 있는 작동편의 한동작을 이용해서 전후종동편을 후진시키고, 그 다음은 작동편의 작용을 받지 않고, 전후종동편을 후진위치에서 정지유지시키도록한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장치는, 물품반송콘베이어 등과 조합해서 콘베이어 위를 이동하는 물품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동편을 상하동시키도록 해두므로써 물품을 검지한 후와, 물품이 통과한 후에 작동편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정후종동편에 의해 물품의 유무에 관련시킨 소정의 작동을 하게 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또, 구체적인 이용방법은 실시예를 참조 해주기를 바란다.
이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했다.
즉, 이 발명은 전후동자재하고, 또한 상하동자재한 작동편과 이 작동편에 의해 작동시켜지는 전후종동편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후종동편에 작동편으로 향하여 계합핀이 돌설되고, 작동편의 후단의 일단측에 핀당김부를 보유하며 타단측에 핀밀기부를 보유한 전후방향으로 따르는 계합핀통로가 설치되어서 이들 핀당김부와 핀밀기부가 상하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다. 작동편에 계합핀통로가 설치되고, 전후종동편에 이 계합핀통로에 끼워지는 계합핀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계합핀통로내의 계합핀에 대하여 핀밀기부가 맞닿음할 수 있는 상태로서, 작동편이 전후동하면 계합핀이 핀밀기부에 의해 뒤로 향하여 압압되고, 전후종동편은 후진한다. 이에 따라, 계합핀은 핀밀기부의 후진한도위치에 정지유지되고, 이후 작동편이 전후동을 속행시켜도 계합핀에 전후동은 전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작동편을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면 계합핀통로내의 계합핀에 대하여 이번에는 핀당김부가 맞닿음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것때문에, 계합핀이 핀당김부에 의해 앞으로 향하여 도로 당겨져서 전후종동편은 전진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핀은 핀당김부의 전진한도 위치에 정지유지되고, 이후, 작동편이 전후동을 속행시켜도 계합핀에 전후동은 전달되지 않는다.
작동편에 계합핀이 설치되고, 전후종동편에 계합핀통로가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기본적 원리는 대략 동일하다.
이하에, 이 발명을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기초에 있어서 설명한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 앞이라는 것은 제1도 우측을, 그리고 뒤라는 것은 동도면의 하측을 말한다.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로울러콘베어이(1)는, 기틀(2)과 축심을 좌우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반송로울러(3)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로울러콘베이어(1)는 반송방향을 따라서 물품(W)보다도 긴 소정간격으로 구분된 복수의 조운(5)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조운(5)에는 전측4개로 조(組)가 되고, 후측 5개로 조(組)가 된 반송로울러(3)가 있고, 이들 전후의 반송로울러(3)의 조의 상호간에는 센서로울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로울러(6)는, 그 후측의 반송로울러(3)와 동축으로 기틀(2)에 상하요동자재하게 설치된 좌우한쌍의 역L자형상을 한 요동레버(7)에 대하여, 그 상측아암의 자유단 상호간에 축심을 좌우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서 회전자재하게 유지되어 있다.
요동레버(7)는 그 하측 아암이 스프링(4)에 의해 전방으로 인장부세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센서로울러(6)는 물품(W)이 없는 상태에서는 반송로울러(3)의 반송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부상한 상태로 유지되고, 물품(W)이 그위에 재치되면 물품(W)의 하중에 의해 센서로울러(6)의 상면이 반송로울러(3)의 반송상면과 면일형상이 될 때까지 하강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요동레버(7)의 하측아암의 자유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링크(9)가 접속되어 있고, 이 링크(9)의 후단부는 후속측, 즉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조운(5)에 설치된 후술하는 전후위치 절환장치(30)의 절환레버(33)에 연결되어 있다.
제3도와 같이 상기한 반송로울러(3)는 로울러동체(3a)가 좌우의 기틀(2)사이에 회전불능의 상태로 걸쳐진 추축(10)에 대하여, 베어링 등의 축받이부재(11)를 통하여 회전자재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로울러동체(3a)의 좌측끝부와 좌측기틀(2) 사이에는 전동(傳動)부(12)가 설치되고, 우측끝부와 우측기틀(2) 사이에는 부세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전동부(12)는, 추축(10)에 회전자재하게 끼워진 구동휘일(14)과, 이 구동휘일(14)의 우단면과 로울러동체(3a)의 좌단면의 맞붙이기에 의하여 구성되는 마찰부(15)를 보유하고 있으며, 구동휘일(14)에는 그 하측으로부터 구동엔드리스체인(16)(제4도참조)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부세부(13)는 우측의 축받이부재(11)와 일체적으로 약간의 좌우동이 자재하게 되도록 추축(10)에 끼워진 통형상의 압압슬리이브(17)와, 일단부를 우측기틀(2)에 압압해서 타단부를 상기한 압압슬리이브(17)내에 좌우접동자재하게 삽입한 상태로, 이 압압슬리이브(17)에 내장된 스프링(19)을 압축하는 떠받침편(20)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전동부(12), 로울러동체(3a), 부세부(13)의 전체적인 구성은 반송로울러(3)에 대한 클러치기구를 구성하도록 되어 잇고, 압압슬리이브(17)가 스프링(19)에 의하여 왼편으로 압압되어 있을 때에는, 마찰부(15)에서의 접촉압력이 소정이상으로 유지되고, 구동휘일(14)의 회전력이 로울러동체(3a)에 전달되어서 로울러동체(3a)는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압압슬리이브(17)를 스프링(19)에 저항하여 오른편으로 이동시키므로써, 마찰부(15)에서의 접촉압력이 해소(구동휘일(14)가 로울러동체(3a)가 떨어져 나감)되게 되므로, 로울러동체(3a)의 회전은 정지한다.
또, 상기한 압압슬리이브(17)에는 그 우단측외주면에 플랜지부(21)가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우측기틀(2)에는 이들 각 압압슬리이브(17)에 대하여 그 하측으로부터 빗형상으로 삽입되어서, 상단 절곡구석부분을 각 플랜지부(21)의 좌측면에 맞닿게 되도록된 슬리이브조작편(23)(제5도와 제6도 참조)이 힌지부(26)에 의해 좌우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조작편(23)은, 조운(5)의 전측4개에 의해 조(組)가 된 반송로울러(3)의 각 압압슬리이브(17)에 대응하는 전측의 것과, 조운(5)의 후측5개에 의해 조(組)가 된 반송로울러(3)의 각 압압슬리이브(17)에 대응하는 후측의 것이 있다(또, 제5도에서는 후측의 슬리이브조작편(23)은 생략되어 있다). 각 슬리이브조작편(23)에는 힌지부(26)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요동전동편(2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요동전동편(24)의 우측면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해서 전측을 캠산(山), 후측을 캠곡(谷)으로 하는 캠편(25)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전후위치 절환장치(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3도와 같이 이 전후위치 절환장치(30)는 우측기틀(2)에 있어서의 반송로울러(3)보다도 밑에 설치되어 있다. 제5도와 같이 이 전후위치 절환장치(30)는, 연속적인 전후동이 자유자재하고, 또한 필요시의 단발적인 상하동이 자유자재하게된 작동편(32)과, 이 작동편(32)에 의해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로 절환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종동편(31)을 보유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후위치 절환장치(30)는 상기한 센서로울러(6)의 상하동(요동레버(7)의 요동)을 받아서 상기한 슬리이브조작편(23)을 자유요동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한 클러치기구를 작동시키기도 하고, 또는 부작동상태로 복귀시키기도 하고 있다.
상기한 전후종동편(31)은, 전후방향으로 긴 홈형상 강을 그 홈부분이 우측기틀(2)로 향하듯한 상태로 사용한 것으로서, 홈부분내에는 그 좌측벽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시킨 개구(47)(제7도 참조)로부터 그 왼편으로 향하여 외주부의 일부를 노출시킨 전후한쌍의 캠종동자(45)가 수직축(44)에 의해 수평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홈부분내로부터 우측기틀(2)로 향하여 외주부의 일부를 노출시킨 전후한쌍의 접동안내로울러(43)가 수직축(42)에 의해 수평회전자재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접동안내로울러(43)의 수직축(42)은, 전후종동편(31)의 상하양면으로 관통돌출하는 길이를 보유하고 있고, 이 돌출한 부분이 우측기틀(2)에 고정되는자형상 브래킷(37)의 상하면에 형성된 전후로 긴 장공(39)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기 때문에, 이들 접동안내로울러(43)와 수직축(42)의 조립은, 전후종동편(31) 브래킷(37)에 삽입한 다음에 이들 전후종동편(31)과 브래킷(37)의 부착과 병행해서 실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전후종동편(31)은 장공(39)내에서 수직축(42)이 전후동을 허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전후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접동안내로울러(43)의 우향외주면이 브래킷(37)의 내부면에 상시맞닿게 되는 것(제7도 참조)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전후종동편(31)이 후진후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한 캠종동자(45)의 좌향외주면이 상기한 슬리이브조작편(23)에 설치된 캠편(25)의 캠곡에 맞닿음하고, 또, 전후종동편(31)이 전진후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한 캠종동자(45)의 좌향외주면이 캠편(25)의 캠산에 맞닿음하게 되어 있다. 즉, 전후종동편(31)이 전진하므로써, 제6도와 같이 슬리이브조작편(23)을 요동시켜서 압압슬리이브(17)의 플랜지부(21)를 오른편으로 강하게 가압하여 클러치기구를 작동(전동을 절단)시키고, 반대로 이 상태로부터 전후종동편(31)이 후진하므로써, 슬리이브조작편(23)을 압압슬리이브(17)의 플랜지부(21)에 가볍게 접하는 각도로 복귀시켜서 클러치기구를 부작동(전동상태)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전후종동편(31)의 전단부에는 왼편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하는 계합핀(4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작동편(32)은, 후술하는 편심캠(35)용의 캠감합부(51)와, 이 캠감합부(51)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는 절환조작부(52)를 보유하고 있다. 이 절환조작부(52)에는, 상기한 전후종동편(31)의 계합핀(46)이 끼워지는 후단 빛 좌우방향으로 개구하는 계합핀통로(5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계합핀통로(53)의 하부위치로부터 작동편(32)의 우측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가이드핀(5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캠감합부(51)에는 반송로울러(3)의 밑에 있어서 좌우의 기틀(2) 사이에 걸쳐진 구동측(34)(제3도참조)에 이것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부착된 편심캠(35)이 회전자재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 구동축(34)의 좌측끝부에는 구동휘일(36)이 부착되어 있고, 이 구동휘일(36)에는 그 하측으로부터 엔드리스체인(16)(제4도참조)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동축(34)은 구동엔드리스체인(16)의 구동시에는 상시회전한다. 회전방향은. 반시계회전디아. 또, 이 구동축(34)에는 작동편(32)과 전후종동편(31)의 사이에 위치지정할 수 있도록 해서 절환레버(33)가 회전자재하게 끼워져 있다. 이 절환레버(33)는 상기한 링크(9)와 접속되어서 상기한 요동레버(7)(제2도참조)의 요동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고, 센서로울러(6)가 부상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후단부를 요동범위의 하한위치로 유지하고, 센서로울러(6)가 하강했을 때에는 그 후단부를 요동범위의 상한위치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후단부는 항상 상기한 가이드핀(56)의 하방에 위치하여 절환레버(33)가 상방으로 요동할 때, 즉, 센서로울러(6)가 하강했을 때에는 가이드핀(56)과 당접해서 작동편(32)자체를 상방으로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구동축(34)이 회전할 때 작동편(32)은 캠감합부(51)가 편심회전을 하는 데에 맞추어서 절환조작부(52)도 마찬가지로 진동할려고 하는데, 가이드핀(56)의 하방으로 절환레버(33)가 대기하고 있으므로, 가이드핀(56)이 필요이상으로 하방으로 이동할려고 하는 것이 계합저지되는 동시에 구동축(34)의 회전방향이 반시계회전이므로, 가이드핀(56)에는 절환레버(33)로 향하여 밀어내리게 하는 작용이 작동되므로, 결과적으로 작동편(32)으로부터는 전후방향으로의 왕복동만이 효율적으로 이용해 쓰이게 된다.
상기한 절환조작부(52)의 계합핀통로(53)는, 후단이 개구한 전후방향으로 긴 상단(上段)측 개구부분과, 이 상단측개구부분과 일부를 연통시키도록 그 하측과 전측으로 어긋나게 설치된, 전후방향으로 긴 하단(下端)측 개구부분을 보유하고 있다.
제8도와 같이, 이들 상하의 개구부분이 연통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단측 개구부분의 앞부분개구 가장자리부가 핀빌기부(55)로 되어 있고, 하단측 개구부분의 뒷부분개구 가장자리부가 핀당김부(54)로 되어 있다. 이들 핀밀기부(55)와 핀당김부(54)의 앞 뒤 사이의 치수는, 적어도 계합핀(46)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또 이부분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개구높이의 치수는, 작동편(32)의 상하방향 요동에 맞추어서 계합핀(46)에 대한 상단측 개구부분과, 하단측 개구부분이 절환되는 치수에 꼭맞게 끼워져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하단측 개구부분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작동편(32)의 전후동 스트로우크에 계합핀(46)의 직경을 가산한 치수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센서로울러(6)가 부상상태에 있고 절환레버(33)와 작동편(32)이 공히 하강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편(32)이 전후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8도(a)와 같이 계합핀(46)이 핀밀기부(55)와 맞닿음하여서 뒤로 향해 압압되어서, 이 핀밀기부(55)의 후진한도 위치에 위치지정 되도록 된다. 이에 따라, 전후종동편(31)이 소정의 양 후진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으브조작편(23)을 통하여 클러치기구가 부작동상태(전동상태)를 유지하도록 된다. 그 수, 작동편(32)이 전후동을 반복해도 핀밀기부(55)가 다시 계합핀(46)을 압압하는 일은 없으므로, 전후종동편(31)의 후진후의 위치지정은 유지된다. 또, 센서로울러(6)가 물품(W)에 의해 하강되면, 절환레버(33)가 상방으로 요동함에 따라서 작동편(32)도 상방으로 요동하게 되므로, 제8도(b)와 같이 계합핀(46)에 대하여 계합핀통로(53)의 하단측 개구부분이 끼워지도록 된다. 그러므로, 계합핀(46)이 핀당김부(54)와 맞닿음해서 앞으로 향하여 도로 복귀되어서, 이 핀당김부(54)의 전진한도 위치에 위치지정되도록 된다. 이에 따라서, 전후종동편(31)이 소정량 전진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조작편(23)을 통하여 클러치기구가 작동상태(전동의 절단상태)가 된다. 그 다음, 작동편(32)이 전후동을 반복하여도 핀당김부(54)가 다시 계합핀(46)을 압압하는 일은 없으므로, 전후종동편(31)의 전진후의 위치지정은 유지된다.
또, 로울러콘베이어(1)의 최전방위치의 조운(5)의 반송로울러(3)는, 구동엔트리스체인(16)(제4도참조)에 의하여 상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로울러콘베이어(1)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력이 필요하게 되는 반송로울러(3)의 클러치기구를 로울러콘베이어(1)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작용력을 발생하는 전후위치 절환장치(30)에 의하여, 작동 또는 부작동상태로 절환하도록한 것으로서, 전후위치 절환장치(30)는 우측기틀(2)에 대해서만 부착해도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기 때문에, 로울러콘베이어(1)로서 구조의 간결화와 대형화의 억지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든 센서로울러(6)가 물품(W)을 검지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든 조운(5)의 모든 반송로울러(3)가 회전하고 있다.
센서로울러(6)가 반송중의 물품(W)을 실어올림에 따라 하강시켜지면, 요동레버(7) 및 링크(9)를 통하여 그 센서로울러(6)가 있는 조운(5)의 후속측 조운(5)의 전후위치 절환장치(30)가 작동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전후위치 절환장치(30)에 의해 그 후속측 조운(5)의 모든 클러치기구가 작동되어서 반송로울러(3)의 회전이 정지시켜진다. 또, 이 때 주목해 주시기를 바라고 싶은 것은, 반송로울러(3) 위를 반송되는 물품(W)은, 센서로울러(6)를 하강시켜서 작동편(32)을 상하요동시키고 있을 뿐이고, 물품(W)의 하중을 이용해서 전후종동편(31)을 직접적으로 전진(그 후의 후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시키고 있는 것은 아니며, 전후종동편(31)을 실제로 전후동시키는 것은, 구동엔드리스체인(16)에 의한 구동축(34)의 회전에 의한 것이라고 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물품(W)의 무게에 관계없이 클러치기구의 작동 및 부작동의 절환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로울러(3)의 회전이 정지하므로써, 후속의 물품(W) 은 즉시 전방에 물품(W)이 있으면, 이것과 충돌하기 직전에 일단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W)이 전방의 물품(W)을 밀거나 또는 전방의 물품(W)에 충돌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최전방위치의 조운(5)의 반송로울러(3)가 상시 회전하고 있으므로, 전방위치의 조운(5)의 센서로울러(6)로부터 서서히 물품(W)을 검지하지 않는 상태(부상한 상태)로 복귀하여서, 그들 각각의 후속측 조운(5)의 전후위치 절환장치(30)가 초기상태로 복원작동해서 클러치기구를 부작동상태로 복귀시키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정지상태가 된 물품(W)은 다시 전방으로 이송된다.
작동편(32)에 계합핀(46)을 설치해서 전후종동편(31)에 계합핀통로(53)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작동편(32)의 요동방향이 수평요동이 되도록 전후위치 절환장치(30)를 전체적으로 90옆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은, 전후종동편(31)을 전진위치와 후진위치로 변경시키는 기구로서, 모든 곳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기타, 세부에 걸친 구성과 형상 등은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1에 있어서는, 작동편을 전후동 및 좌우동시키므로써 전후종동편을 용이하게 전진위치와 후진위치로 위치변경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2에 있어서는, 작동편을 필요에 따라서 상하동시키는 것 만으로 전후종동편을 보다 용이하게 전진위치와 후진위치로 위치변경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3에 있어서는, 전방에 정지하고 있는 물품에 대하여 후속의 물품이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는 로울러콘베이어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 전후동자재하고, 또한 상하동자재한 작동편(32)과, 이 작동편(32)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는 전후종동편(31)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전후종동편(31)에 작동편(32)으로 향하여 계합핀(46)이 돌설되고, 작동편(32)의 후단의 일단측에 핀당김부(54)를 보유하며, 타단측에 핀밀기부(55)를 보유한 전후방향으로 따르는 계합핀통로(53)가 설치되고, 이들 핀당김부(54)와 핀밀기부(55)가 상하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편(32)을 상시 전후동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편(32)은 구동휘일(14)을 구동하는 구동엔드리스체인(16)에 의해, 상시 전후동되는 동시에 센서로울러(6)가 작동하므로써 상하동되고, 이 작동편(32)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전후종동편(31)이 후속측의 조운(5)의 반송로울러(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콘베이어(1)에 사용되는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294231A JP2830721B2 (ja) | 1993-10-29 | 1993-10-29 | 前後従動片の前後位置切換装置 |
JP93-294231? | 1993-10-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1286A KR950011286A (ko) | 1995-05-15 |
KR100199644B1 true KR100199644B1 (ko) | 1999-06-15 |
Family
ID=1780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28027A KR100199644B1 (ko) | 1993-10-29 | 1994-10-28 |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830721B2 (ko) |
KR (1) | KR100199644B1 (ko) |
CN (1) | CN1106760A (ko) |
TW (1) | TW24730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919A (ko) * | 2000-12-04 | 2002-06-12 | 김봉희 | 개량된 가마에 의한 연속적인 밑실 공급 장치 |
KR101032967B1 (ko) * | 2009-07-06 | 2011-05-09 | 심용군 |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368A (ja) * | 1989-06-19 | 1991-02-01 | Kubota Corp | 農作業機の走行変速構造 |
-
1993
- 1993-10-29 JP JP5294231A patent/JP283072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09-23 TW TW083108846A patent/TW247306B/zh active
- 1994-10-28 CN CN94117654A patent/CN1106760A/zh active Pending
- 1994-10-28 KR KR1019940028027A patent/KR1001996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47306B (ko) | 1995-05-11 |
JPH07125818A (ja) | 1995-05-16 |
KR950011286A (ko) | 1995-05-15 |
JP2830721B2 (ja) | 1998-12-02 |
CN1106760A (zh) | 1995-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18248A (en) | Accumulation roller conveyor | |
JP4218773B2 (ja) | 取り扱い装置、特に挿入器 | |
US3856130A (en) | Apparatus for removing pipes from a conveyor | |
KR100199644B1 (ko) | 전후종동편의 전후위치 절환장치 | |
GB1601285A (en) | Conveyor apparatus | |
US6223875B1 (en) | Conveyor section having a stop | |
US3707216A (en) | Conveyor jogging mechanism | |
FR2826642A1 (fr) | Dispositif de transport de pieces pour l'alimentation de machines | |
US546563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belt-shaped member | |
JP2003146317A (ja) | 容器内収容物の反転取出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する搬送用ローラコンベア | |
CN210365520U (zh) | 一种承载量大的传送带 | |
KR900007523Y1 (ko) | 슬라이더 조작장치 | |
JPH05229649A (ja) | 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 | |
US3253693A (en) | Transfer mechanism for removing articles from conveyor | |
JP7372651B2 (ja) | シール装置 | |
JPH09132311A (ja) | エンドレスコンベヤ | |
US3184230A (en) | Document feeding | |
JPS63295311A (ja) | 送り装置 | |
JPS6041183Y2 (ja) | 電動カ−テンにおけるカ−テンの開閉位置制御機構 | |
JPS601873Y2 (ja) | 鍛縮機における素材搬送装置 | |
JPH06312815A (ja) | ローラー駆動装置 | |
US3898926A (en) | Automatic random case coder | |
JPS6315206B2 (ko) | ||
JPH02169410A (ja) | 板状体搬送装置 | |
JPS61210359A (ja) | 感光材料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