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304B1 - 공중합체 및 하나이상의 윤활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및 하나이상의 윤활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304B1
KR100199304B1 KR1019910005226A KR910005226A KR100199304B1 KR 100199304 B1 KR100199304 B1 KR 100199304B1 KR 1019910005226 A KR1019910005226 A KR 1019910005226A KR 910005226 A KR910005226 A KR 910005226A KR 100199304 B1 KR100199304 B1 KR 10019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group
carbon atoms
polar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475A (ko
Inventor
아우구스티누스 브뢰쿠이스 안토니우스
크리스티안 그로엔란트 후란시스쿠스
마리아 베이옌 요한
Original Assignee
알베르투스 빌헬무스 요아네스 스트라텐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737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993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베르투스 빌헬무스 요아네스 스트라텐,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브이. filed Critical 알베르투스 빌헬무스 요아네스 스트라텐
Publication of KR91001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일산화 탄소 및 하나 이상의 일반식 X-R의 윤활 첨가제의 교호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조성물로서 이때, X는 하기 식중 하나인 극성 부분을 나타내며: (a) 알콜 -OH, (b) -O-R', (c) -CO-O-R', (d) -O-CO-R', 및 (e) -CO-OH, 이때, R'은, (1) -O-R, (2) -CO-O-R 및 (3) -O-CO-R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기로 치환될 수 있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R은 극성기(들중 하나)에 부착된 5-30개 탄소원자를 가지는 일가 히드로카르빌 라디칼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하나 아상의 상기 윤활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된 일산화 탄소의 교호 공중합체의 유동성을 개선하는 방법.

Description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윤활 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다량의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 및 소량의 하나 이상의 윤활 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련되는 공중합체들은 단위 A가 카르보닐 단위 사이의 좌우에 배치되는 선형 반복 구조(A-CO)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는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이다. 용어 공중합체는 또다른 단위 A가 존재하는 삼원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즉, 공중합체들은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선형 공중합체이다. 단위 A를 발생시키는 적합한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의 예는, 프로펜, 부텐, 옥텐, 스티렌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이다. 상기 언급된 공중합체는 그 자체로서, 예컨대 US-A 3694412, EP-A 121965 및 EP-A 181014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중합체들은 항복 응력, 인장 강도, 충격 강도 및 곡률탄성율과 같은 매력적인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한편, 몇가지 경우에 있어, 그들의 가공성은 개선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
높은 고유 점도, 또는 극한 점도수(limiting viscosity number, LVN)를 가지는 공중합체들은 보다 낮은 극한 점도수를 가진 공중합체들보다 공업용 열가소성 수지로서 더욱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다 특히 공중합체가 약 2.0 dl/g(60℃의 m-크레졸에서 측정될 때) 이상의 LVW을 가질 때 이들의 용융 가공, 예컨대, 압출은, 체류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용융물의 점성도의 주목할만한 증가로부터 명백해지는 열등한 용융 안정성에 의해 역으로 영향받는다. 특히 화이버 및 시트 적용시에 용융압출은 낮은 LVN을 가진 공중합체에 대해서 조차 결정적인 단계이다. 공중합체 용융물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카르복실산 아미드 및 알루미늄 수산화물 같은, 특정의 첨가제는, 이들이 공중합체의 유동성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윤활 첨가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중합체에 상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은 유동성의 개선을 야기하기는 하나, 특히 성형물의 상업적 생산시 용융 가공 조작 및 상업적 규모로 화이버 및 시트의 압출의 경우에 있어서의 유동성은 아직도 더욱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개선된 유동성을 가진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량의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 및 소량의 일반식 X-R(이때, X는 1-4개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극성부분을 나타내고, R은 극성기들(또는 이들중 하나)에 부착된 5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일가 히드로카르빌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극성 부분은 카르복실산 아미드기이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이 EP-A-326224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윤활 첨가제는, 포화 지방산 아미드, 불포화 탄소-탄소 결합을 가진 지방산 아미드, 및 방향족 카르복실산 아미드를 포함한다. 당업자들는 히드로카르빌 구조적 요소와 함께 극성 부분으로서 카르복실산 아미드기의 존재가, 공중합체 내에서 윤활 첨가제로서 작용할 비 중합성 유기 물질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결론지을 것이다. 또한, 예컨대, 폴리올레핀으로 알려진 임의의 윤활 첨가제는, 다량의 카르보닐기가 공중합체를 다른 중합체와 다소 상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반드시 공중합체에 바람직한 유동성을 야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것도 또한 명백할 것이다.
공중합체의 용융물이 전단(shear)하에 보유될 때, 이들 화합물 분자내에 하나 이상의 알콜, 에테르, 카르복실 또는 에스테르기 다음에 상기 히드로카르빌 구조적 요소를 갖는, 특정한 다른 산소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은 상기 용융물 내에 더 적은 마찰의 발생을 야기시키고, 놀랍게도, 용융 점성도의 증가에 미치는 이들 화합물의 효과는 지방산 아미드의 효과보다 더욱 뚜렷하다는 것이 현재 알려졌다. 이것은 윤활 첨가제로서 폴리올레핀, 예컨대, 왁스로 알려진 다른 화합물들이 어떤 효과도 가지지 않는 것과 비교해볼 때, 훨씬 더 놀랍다. 그들은 심지어 중합체 용융물 및 금속 표면사이에 미끄러짐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중합체를 심지어는 비가공성으로 만든다. 산소 함유 화합물은 공중합체 내에서 윤활첨가제로서 작용하고, 공지의 카르복실산 아미드 윤활 첨가제보다 더 우수하다. 더 나은 가공의 결과로서, 이러한 윤활 첨가제의 첨가는 충격 내성과 같은 가공된 공중합체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킨다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상기 언급된 산소 함유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조성물은 새로운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량의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 및 소량의 일반식 X-R의 하나 이상의 윤활 첨가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때 X는 1-4개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극성 부분을 나타내고 R은 극성기들(또는 이들중 하나)에 부착된 5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일가 히드로카르빌 라디칼을 나타내며, 상기 극성 부분 X는(a) 알콜 -OH, (b) -O-R', (c) -CO-O-R', (d) -O-CO-R', 및 (e) -CO-OH(여기서 R'은, 각각의 R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는(1) -O-R, (2) -CO-O-R 및 (3)-O-CO-R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내지 세개의 기로 치환될 수 있는 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냄)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X-R의 소량의 하나 이상의 윤활 첨가제를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에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윤활 첨가제는, 예컨대, 2-옥타데카놀, 4-이소프로폭시에이코산, 부틸 헥사데카노에이트, 에틸 2, 2, 4, 4, 6, 6-헥사-메틸헵타노에이트, 메톡시아세트산, 2-(2'-히드록시-에틸)옥시테트라데칸 4-도데실페닐 에틸 2'-부톡시-아디페이트, 및 아세톡시메틸 데카노에이트일 수 있다.
표현 소량은 조성물이 단지 중합체 및 윤활 첨가제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미만을 의미하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성능을 이루기 위해서 특정한 양 이상을 채택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을 것이다. 적합하게 윤활 첨가제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더욱 적합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더욱 특별히는 0.1 내지 1 중량%이다.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은 극성기에 부착된 일가 라디칼로서 앞서 설명되었다. 화합물 X-R은 극성부분 X 내에 두개 이상의 극성기를 함유하고,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은 극성기 중 하나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극성기를 상호 연결하는 다가 알킬 라디칼 R'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으로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메틸 4-메톡시-3-펜타데실펜타노에이트는 그의 이성체 메틸 4-헥사데실옥시펜타노에이트와 동등한 것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화합물들은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이 극성기에 부착된 화합물만큼 쉽게 화학 합성에 의해 합성될 수는 없다.
입자들은 하나의 알킬기에 부착된 극성기들의 특정 결합이 불안정한 화합물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감마-히드록시카르복실 산 및 특정의 유사한 에스테르는 가열시 감마-락톤을 형성할 것이다. 현장에서 이렇게 형성된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일부로 간주된다.
분자가 하나의 알콜 -OH 기를 함유하는 극성 부분 X를 가지는 윤활첨가제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적합한 윤활첨가제는 4-도데실시클로헥실카르비놀, 알파-데실벤질알콜, 2-메틸-펜타데카놀-2 및 1-도데카놀이다. 매우 우수한 윤활 활성도는 1-도코사놀로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윤활 첨가제는, 하나의 카르복실 에스테르기-CO-O-R'을 함유하는 분자내에 적합하게 극성 부분 X를 가지고, 상기식에서 R'은, 각각의 R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4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O-R 및 -O-CO-R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내지 세개의 기들로 치환될 수 있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컨대, 2, 3, 4-트리히드록시부틸 헥사데카노에이트, 2, 3, 4-트리메톡시부틸 4'-데실벤조에이트 및 2-아세톡시-에틸 올레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 R'은, 각각의 R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를 나타내는 -0-R 및-0-CO-R으로부터 선택되는 두개의 기로 치환될 수 있는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극성 부분들의 예는 글리세롤로부터 유도되는 것들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윤활 첨가제는, 예컨대, 글리세롤, 1, 3-디아세테이트 2-모노라우레이트, 2, 3-디메톡시프로필 헥사데카노에이트 및 1, 3-디부톡시-프로필 펜타코사노에이트이다. R'이 2, 3-디히드록시프로필기를 나타낼 때 보다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윤활첨가제는 예컨대, 글리세롤 1-모노(2', 4'-디데실벤조에이트), 글리세롤 1-모노올레이트 및 글리세롤 1-모노헵타코사노에이트이다. 글리세롤 1-모노 스테아레이트는 매우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윤활 첨가제들은 -CO-O-R' 또는 -O-CO-R'기를 함유하는 분자내에 적합하게 극성부분 X를 가지며, 상기식에서 R'은 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윤활 첨가제의 예로는 몬타닐 아세테이트, 3-데실페닐 피발레이트 및 이소부틸 펜타데카노에이트이다. 바람직하게, 극성 부분은 -CO-O-R'기를 함유하고, 상기식에서 R'은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를 나타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메틸기를 나타낸다. 바람직스러운 첨가제는 예컨대, 부털 스테아롤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4-운데실페닐 아세테이트이고, 더욱 바람직한 첨가제는 예컨대, 메틸 알파-리놀레네이트 및 메털 도데카노에이트이다. 메틸 몬타네이트는 우수한 윤활 첨가제이다.
또한 극성부분 X가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할 때, 화합물 X-R은 공중합체에 대한 적합한 윤활 첨가제이다. 올레산, 몬탄산, 4-시클로헥실벤조산 및 팔메트산은 이러한 화합물들의 예이다. 스테아르산은 매우 효과적인 윤활 첨가제이다.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이 5-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할지라도, 이는 첨가제를 덜 휘발적이게 하기 때문에, 10-30개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을 가지는 것이 이롭다. 라디칼은 하나이상의 방향족 또는 지환식의 고리 구조이거나, 또는 탄소 원자들의 사슬이 분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 고리구조의 예는 벤젠 및 나프탈렌이다. 지환식의 고리구조는 예컨대,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및 노르보르난이다.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은 바람스럽게 1차 라디칼, 즉, 극성기에 대한 부착점이 두개의 수소원자를 가지는 탄소원자상에 있는 라디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은 탄소원자의 선형 사슬로 구성되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화되어 있다. 선형 및 포화 탄화수소 사슬을 가지는 일차 라디칼 R로부터 유도되는 윤활 첨가제는, 라디칼 경로를 거치는 분해 반응이 작용하는 경우에 더욱 안정하다. 보다 바람직한 라디칼 R의 예는 올레일 알콜, 리놀레산, 스테아롤산 및 리놀렌산의 탄화수소 사슬이다. 가장 바람직한 라디칼 R의 예는 미리스트산,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몬탄산의 탄화수소 사슬이다.
윤활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산화 안정성 및 UV 안정성과 같은 조성물의 다른 성질들을 개선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첨가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 첨가제는 입체적인 힌더드 페놀 화합물, 방향족 아민, 히드록시벤조페논,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알루미늄 수산화물, 모노카르복실산의 산 아미드, 및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중 몇몇은 잘 알려지고, 상업적으로 유용한 중합체용 첨가제들이다. 적합하게는, 힌더드 페놀 화합물은 2,5-디알킬페놀로부터, 직쇄 알콜 및 히드록시, 디알킬페놀-치환된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아세틸기기 히드록시, 디알킬페닐 치환체를 갖는 1, 2-비스-(아세틸)히드라진으로부터, 아세틸기가 히드록시, 디알킬페닐 치환체를 갖는 N, N'-비스-(아세톡시알킬)옥살아미드 치환체로부터, 아세틸기가 히드록시, 디알킬페닐 치환체를 갖는 알파-N, 오메가-N-비스(아세틸)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방향족 아민은 4, 4'-비스벤질-디페닐아민 또는 아닐리노-디페닐아민과 같은 디페닐아민, 및 N, N, N', N'-테트라알킬아미노나프탈렌과 같은 디아미노나프탈렌에 의해 형성되는 기로부터 선택된다. 알루미늄 수산화의 적합한 형은 바이어라이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부인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는, 특히, 에틸렌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또는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삼원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는 1.0 내지 5.0 d]/g,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4.0 dl/g, 특히 2.1 내지 3.0 dl/g인 LVN을 가지는 것들이다.
윤활 첨가제들은 다양한 연속 또는 불연속 과정들, 예컨대, 건조 배합 및 텀블링, 용매 침착 및 증발에 의한 용매의 제거에 의해 공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분말 형태로, 또는 입질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조성물들은 용융방사, 압출, 동시압출, 사출성형 및 압출성형과 같은 통상적인 가공기술에 의해 화이버, 필름, 라미네이트, 튜브, 파이프 및 복잡한 형태를 갖는 물품과 같은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 첨가제는 관련되는 일산화탄소/올레핀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의 흐름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또한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를 용융 가공시 중합체에 덜 분해시키는 경향이 있다. 알려진 카르복실산 아미드의 성능에 비교되는 이들 윤활 첨가제의 성능은 예기치 않은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은 본 발명 전에 거의 가공할 수 없었던 특정한 형태의 공중합체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
결정질 녹는점 222℃, 1.36 dl/g(60℃의 m-크레졸에서 측정된)의 LVN을 가지고, 0.5 중량%의 n-옥타데실 에스테르인 3-(3, 5-디-3차부틸-히드록시-페닐) 프로판 및 0.5 중량% 2, 6-디-3차부틸-4-메틸페놀(상업적으로 유용한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에텐, 프로펜 및 일산화탄소로 구성되는 삼원공중합체의 입질을 다양한 첨가제의 샘플과 함께 85분 동안 대기에서 건조 배합 및 덤블링시킴에 의해 혼합하였다. 얻어진 배합물의 샘플과 첨가제없는 삼원공중합체의 샘플을 240℃에서 작동되는 상업적 토크 점도계(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규명을 위해 디자인되고 두개의 스핀들로 장치됨)로 전달하였다. 토크는 60 rpm의 하나의 스핀들 및 40 rpm의 다른 스핀들의 속도로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2]
1.85 dl/g(60℃의 m-크레졸에서 측정됨) LVN 및 결정질 녹는점 222℃를 가지고 0.5 중량%의 3, 5-디-3차부틸-4-히드록실 톨루엔(상업적으로 유용한 항산화제)을 함유하는 분말형태로 된 에텐, 프로펜 및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삼원공중합체를 글리세롤 1-모노스테아레이트와 5분동안 대기에서 건조배합과 텀블링에 의해 혼합하였다. 얻어진 배합물 샘플과 첨가된 글리세롤 1-모노스테아레이트가 없는 삼원공중합체 샘플이 노즐 은도 250℃ 및 성형온도 70℃를 사용해서, 60-mm 직경을 가진 20 mm 두께디스크로 사출성형하였다. 상기 디스크를 15.7 mm 직경 및 42 mm의 디스크 지지체의 프런저를 사용해서 4.43 m/s의 프런저 속도로 기기장치된 충격 시험기 내에서 시험하였다. 시험동안 디스크의 온도는 -10℃였다. 결과는 표 2에 요약된다.
Figure kpo00002
글리세롤 1-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1-도코사놀 또는 메틸 몬타네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반면, 스테아르아미드 및 라우르아미드를 포함하는 실험은 비교를 위해 첨가된 것이다. 초기 토크에 대해 측정된 값은 글리세롤 1-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1-도코사놀 및 메틸몬타네이트가 중합체 용융물을 윤활하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
모든 경우에, 토크의 증가는 점도계에 잔류시간의 함수로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가는 공중합체의 마찰 및 고유 용융 불안정성의 결과로서 가교의 결과이다. 토크의 증가속도를 볼 때, 상기 속도가 모든 첨가제들의 윤활 활동에 의해 감소되고 글리세롤 1-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1-도코사놀 및 메틸 몬타네이트가 이러한 견지에서 스테아르아미드 및 라우르아미드 보다 더욱 효율적이라는 것이 관찰된다.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윤활 첨가제로 이루어진 더 우수한 가공결과로서 가공된 삼원 공중합체가, 취성 실패율이 더 적은 경향을 나타내고 충격 에너지가 더욱 많이 흡수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상된 충격내성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는 매우 명백하게 극성 부분이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 또는, 에스테르기와 이의 결합물을 함유하는지 또는 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실 에스테르기만을 함유하는지에 비교적 덜 관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본 윤활제는 입체적인 힌더드 페놀 화합물 및 알루미늄 수산화물과 같이, 매우 다른성질의 다른 첨가제와 결합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다량의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 및 소량의 일반식 X-R의 하나 이상의 윤활 첨가제를 포함하며, 이때 X는 1-4개의 극성기들을 포함하는 극성부분을 나타내고, R은 극성기들(또는 이들중 하나)에 부착된 5-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일가 히드로카르빌 라티칼을 나타내며, 상기 극성 부분 X는 (a) 알콜-OH, (b) -O-R', (c) -CO-O-R', (d) -O-CO-R', 및 (e) -CO-OH(여기서, R'은, 각각의 R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인 (1) -O-R, (2) -CO-O-R 및 (3) -O-CO-R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될 수 있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냄)중 하나인 공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윤활 첨가제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윤활 첨가제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성 부분이 하나의 알콜 -OH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성 부분 X가 하나의 카르복실 에스테르기 -CO-O-R' (여기에서, R'은 R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O-R 및 -O-CO-R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될 수 있는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R'이 2, 3-디히드록시프로필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성 부분 X가 -CO-O-R' 또는 -O-CR-R'기(여기에서, R'은 메틸기와 같은 4개 이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성 부분이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R이 일차 라디칼이고, C10-30포화 선형 사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스테아르산, 메털 몬타네이트, 1-도코사놀 및 글리세롤 1-모노스테아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로서 에틸렌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또는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고,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의 LVN이 1.0 내지 5.0 dl/g, 특히 1.3 내지 4.0 dl/g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X-R인 소량의 하나 이상의 윤활 첨가제를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에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교호 공중합체의 유동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19910005226A 1990-04-03 1991-04-01 공중합체 및 하나이상의 윤활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 KR100199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9007457A GB9007457D0 (en) 1990-04-03 1990-04-03 Copolymer compositions
GB9007457.6 1990-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75A KR910018475A (ko) 1991-11-30
KR100199304B1 true KR100199304B1 (ko) 1999-06-15

Family

ID=1067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226A KR100199304B1 (ko) 1990-04-03 1991-04-01 공중합체 및 하나이상의 윤활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450695B1 (ko)
JP (1) JPH04224863A (ko)
KR (1) KR100199304B1 (ko)
CN (1) CN1032863C (ko)
AU (1) AU636730B2 (ko)
BR (1) BR9101315A (ko)
CA (1) CA2039604A1 (ko)
CZ (1) CZ284905B6 (ko)
DE (1) DE69116412T2 (ko)
ES (1) ES2084085T3 (ko)
FI (1) FI101972B1 (ko)
GB (1) GB9007457D0 (ko)
HU (1) HU214013B (ko)
PL (1) PL173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7432D0 (en) * 1990-04-03 1990-05-30 Shell Int Research Copolymer compositions
JPH05247259A (ja) * 1992-01-18 1993-09-24 Hoechst Ag 熱可塑性成形組成物
AU658320B2 (en) * 1992-08-20 1995-04-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Co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 copolymer and one or more lubricating additives
US5973048A (en) * 1997-08-08 1999-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lt and color stabilization of aliphatic polyketones
US6001955A (en) * 1998-09-15 1999-12-14 Shell Oil Company High modulus polyketon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7741A (ja) * 1981-10-16 1983-04-22 Sekisui Chem Co Ltd 医療器材用樹脂組成物
US4956412A (en) * 1988-11-09 1990-09-11 Shell Oil Company Polymer ble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14013B (en) 1997-12-29
EP0450695A1 (en) 1991-10-09
CA2039604A1 (en) 1991-10-04
HU911069D0 (en) 1991-10-28
GB9007457D0 (en) 1990-05-30
PL289707A1 (en) 1991-10-21
EP0450695B1 (en) 1996-01-17
CN1055375A (zh) 1991-10-16
JPH04224863A (ja) 1992-08-14
DE69116412D1 (de) 1996-02-29
HUT57807A (en) 1991-12-30
BR9101315A (pt) 1991-11-26
FI911579A (fi) 1991-10-04
KR910018475A (ko) 1991-11-30
FI101972B (fi) 1998-09-30
CS9100902A2 (en) 1991-11-12
DE69116412T2 (de) 1996-09-05
AU636730B2 (en) 1993-05-06
FI911579A0 (fi) 1991-04-02
CZ284905B6 (cs) 1999-04-14
AU7401891A (en) 1991-10-10
PL173867B1 (pl) 1998-05-29
FI101972B1 (fi) 1998-09-30
ES2084085T3 (es) 1996-05-01
CN1032863C (zh) 199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2930A (en) Esterified olefin-maleic anhydride copolymers
US3207716A (en) Strippable coating comprising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and release agent
US4994513A (en) Polyketone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or aluminum compound
KR100199304B1 (ko) 공중합체 및 하나이상의 윤활첨가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
AU636731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 carbon monoxide copolymer and one or more lubricating additives
US4749750A (en) Method for lubricating PVC plastics
EP0060178A1 (fr) Compositions anti-bloquantes à base de polyéthylène et films obtenus
CA1134859A (en) Olefin-maleic anhydride copolymers
JPH04268371A (ja) 安定化ポリケトン組成物
KR880006311A (ko) 염색성 폴리-α-올레핀 조성물
JP2805519B2 (ja) 合成樹脂用帯電防止剤
USH1652H (en)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lubricating additives
US5990259A (en) Polyketone polymer composition
RU97107765A (ru) Тройные сополимеры этилена,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рисадок для дистиллятов минеральных масел
JP2002275336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加工助剤及びプレートアウト抑制方法
JPH0366754A (ja) ポリアミド樹脂用溶融粘度低下剤
EP0443685A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with one or more olefinically unsaturated compounds
RU97107767A (ru) Тройные сополимеры этилена, их получение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рисадок для дистиллятов минеральных масел
JPH0243239A (ja) 超高分子量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