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731B1 - 조립식 외장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외장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731B1
KR100198731B1 KR1019960061001A KR19960061001A KR100198731B1 KR 100198731 B1 KR100198731 B1 KR 100198731B1 KR 1019960061001 A KR1019960061001 A KR 1019960061001A KR 19960061001 A KR19960061001 A KR 19960061001A KR 100198731 B1 KR100198731 B1 KR 10019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late
exterior panel
hollow plat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218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이명규
주식회사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규, 주식회사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이명규
Priority to KR101996006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73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경량인 각 구성부재들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서 구조적인 강도와 함께 단열성, 방음성이 양호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하여 주는 조립식 외장판넬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성형되어지는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 개의 중공부(10a)들을 가지는 제1중공판(10)과, 상기 제1중공판(10)과 동일한 재질과 단면형상으로서 성형되어지는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 개의 중공부(20a)들을 가지는 제2중공판(20)과,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 사이에 배치되어서 일체로 접합되어지며 단열성 및 방음성이 양호한 소재로서 형성하여서 된 중간단열판(30)과, 상기 제1중공판(10)과 제2중공판(20)각각의 최 외측 표면에 일체로 접합 고정되어 미적인 외관을 가지도록 마감되는 한 쌍의 마감금속판(40)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외장판넬
제1도는 본 발명 외장판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외장판넬의 정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제1, 제2중공판의 중공부를 우레탄발포소지를 충진매립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제1, 제2중공판의 중공부에 보강심재를 삽입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제1, 제2중공판 상호간이 체결볼트로서 연결 고정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제1, 제2중공판과 그 외표면에 각기 부착되는 마감금속판이 핫멜트필름으로 접합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도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장볼트에 꿰어진 연결부재가 꿰어져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b)는 연결부재가 장볼트로서 꿰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도는 제1, 제2중공판들 각각의 중공부가 엇갈려지도록 배치고정하여서 된 외장판넬의 일부분 사시도.
(b)도는 (a)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제1, 제2중공판 10a, 20a : 중공부
30 : 중간단열판 40 : 마감금속판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와 외부를 구획하여 주는 외장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경량인 각 구성부재들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서 구조적인 강도와 함께 단열성, 방음성이 양호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하여 주는 조립식 외장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이전부터 건축물의 실내와 외부를 구획하여 주도록 조립 설치되어서, 외부기온이나, 비 바람등과 같은 외부의 자연적인 환경요인이 실내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 외장판넬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식 외장판넬은 그 사용상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조립식 외장판넬은 소재에 따라 석재 외장판넬, 콘크리트 외장판넬과 금속재 외장판넬등으로서 대별되어 진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장판넬을 구분하여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석재 외장판넬은 대리석이나 인조석등을 소요크기로서 절단 가공하여서 된 것으로, 이러한 석재 외장판넬은 그 재질적인 특성상 외력에 대응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면서도, 자연적인 재질감으로 인하여 시공된 건출물의 외관이 미려한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석재 외장판넬은, 첫째, 기초소재인 대리석이나 인조석등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인 관계로 건축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석재 외장판넬의 단위 면적당의 무게가 중량인 관계로 운반이나 취급상의 어려움을 감수하게 되었으며, 특히 고층 건축물 시공시에는 석재 외장판넬의 무게 부담으로 인하여 이를 양중하고 조립 설치하는 작업상의 제반 시공여건이 불량하였으며, 셋째, 석재 외장판넬은 그 자체로서 충분한 단열 및 방음 기능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단열, 방음 시공에 따른 공사비의 상승과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콘크리트 외장판넬은 혼합콘크리트를 성형틀로서 성형하여서 제작되므로, 외력에 대응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비교적 저렴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 역시도 중량인 관계로 무게 부담에 따른 문제점이 야기되었으며, 독자적으로는 단열성 및 방음성이 취약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금속재 외장판넬은 스테인레스박판이나 알루미륨박판등을 가공 성형하여서 만들어져서 제품의 경량화 된 만큼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 설치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재 외장판넬은 첫째, 국부적인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형태 변형이 발생되거나 훼손될 염려가 있었으며, 둘째, 금속재질이 가지는 재질적인 특정으로 인하여 기온의 변화에 따른 뒤틀림 변형이 발생될 염려가 있었으며, 셋째, 단열 및 방음 기능이 취약하여 별도의 단열, 방음 시공에 따른 공사비의 상승과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경량성의 각 구성부재들을 복합적으로 접합 형성하여서, 첫째, 외장재로서 요구되는 구조적인 강도와 경량화를 동시에 충족시켜 주는 구조로서 궁극적으로는 운반 및 설치 시공상의 제반 여건을 개선하여 주며, 둘째, 별도의 단열 및 방음 공사를 배제한 합리적인 구조로서 경제적인 시공과 함께 공기단축을 실현시켜 주며, 셋째, 외적으로는 미려한 질감의 금속성 소재로서 마감되도록 하여서 제품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꾀하여 주는 조립식 외장판넬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건축용 외장판넬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성형되어지는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개의 중공부(10a)들을 가지는 제1중공판(10)과, 상기 제1중공판(10)과 동일한 재질과 단면형상으로서 성형되어지는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개의 중공부(20a)들을 가지는 제2중공판(20)과,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 사이에 배치되어서 일체로 접합되어지며 단열성 및 방음성이 양호한 소재로서 형성하여서 된 중간단열판(30)과, 상기 제1중공판(10)과 제2중공판(20) 각각의 최 외측 표면에 일체로 접합 고정되어 미적인 외관을 가지도록 마감되는 한 쌍의 마감금속판(40)으로서 구성됨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된 내부에 각기 형성된 중공부(10a)(20)들이 동일방향으로 지향된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 사이에 중간단열판(30)을 일체로 접합 고정하여서, 요구되는 구조적인 강도와 경량화를 만족시켜 주면서도, 단열 및 방음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한 쌍의 마감금속판(40)으로서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마감되는 만큼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켜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은 각기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성형되어지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 개의 중공부(10a)(20a)들을 가지는 형상의 경량화된 안정적인 단면구조로서 형성하여서, 외부의 하중이나 휨응력에 대응하는 구조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중공판(10)(20)은 각기 직각파형이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파형단판(11)(21)의 양측면에, 평활한 수평면으로 성형된 내부단판(12)(22)과 외부단판(13)(23)을 일체로 융착하여서 그 내부에 수 개의 중공부(10a)(20a)들이 형성되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은 그 각각의 중공부(10a)(20a)들의 내부에 우레탄발포수지(1)를 충진 매립하여서, 그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이 자체적으로 단열 및 방음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은 그 각각의 중공부(10a)(20a)들의 내부에 보강심재(2)들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서, 그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이 외적인 하중이나 휨응력에 적극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중간단열판(30)은 단열 및 방음성이 양호한 발포성합성수지를 압출성형하여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체로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중간단열판(30)은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 및 방음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접착제로서 일체로 접합하여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열판(30)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접합된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의 중공부(10a)(20a)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개의 체결볼트(3)들로서,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20)들과 상기 중간단열판(30) 상호간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마감금속판(40)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경량성, 내식성이 양호한 알루미늄박판으로 성형하여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 각각의 최 외측 표면에 일체로서 접합고정하여서, 미려환 외관으로 마감되도록 하여 주는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마감금속판(40)들이 알루미늄박판으로 성형하여서 된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재질적인 특성상 미감적인 질감을 가지면서도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판이나 동판 등으로 성형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과 그 각각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마감금속판(40)들 상호간은 핫멜트필름(4)으로서 용융접합되도록 하여서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과 이질의 재료인 한 쌍의 마감금속판(40)들 상호간이 작용되는 하중이나 휨응력에 의하여 재료분리됨이 없이 견고하게 접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제2중공판(20)의 중공부(20a)들을 가로질러서 관통되는 장볼트(5)들과, 그 각각의 장볼트(5)에 꿰어지도록 형성되는 고리부(6a)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끝단에 나사부(6b)를 형성하여서 된 연결부재(6)를 각기 1개조로 다수개를 구비하여서, 길이방향의 일정간격마다 장볼트(5)들이 가로질러 관통되는 중공부(20a)내에서, 그 각각의 장볼트(5)로서 꿰어지는 연결부재(6)들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제2중공판(20)의 중공부(20a)내에서 장볼트(5)에 의하여 꿰어져서 외부로 노출된 연결부재(6)들로서 건축물의 골조 등이나 조립틀과의 연결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제1중공판(10)의 중공부(10a)와, 제2중공판(20)의 중공부(20a) 상호간이 직각방향으로서 엇갈려지게 배치되는 사이에 중간단열판(30)을 두고 일체로서 접합하여서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상기 중간단열판(30)을 사이에 두고 제1중공판(10)과 제2중공판(20) 상호간의 중공부(10a)(20a)들이 엇갈려지는 형태로서 연결 접합되도록 하여서 전체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하여서, 외부의 하중이나 휨응력에 대응 하는 더욱 견고한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 외장판넬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량성의 각 구성부재들을 복합적으로 접합 형성하여서, 외장재로서 요구되는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서 견실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주면서도, 경량화된 만큼 취급 설치 시공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독자적으로 단열 및 방음성을 가지는 구조로서 별도의 단열 및 방음 공사를 배제된 만큼의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을 감축시켜 주며, 셋째,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마감 형성되도록 하여서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켜 주어서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시켜 주는 등의 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합성수지재로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성형되어지는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 개의 중공부(10a)들을 가지는 제1중공판(10)과, 상기 제1중공판(10)과 동일한 재질과 단면형상으로서 성형되어지는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 개의 중공부(20a)들을 가지는 제2중공판(20)과,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 사이에 배치되어서 일체로 접합되어지며 단열성 및 방음성이 양호한 소재로서 형성하여서 된 중간단열판(30)과, 상기 제1중공판(10)과 제2중공판(20) 각각의 최 외측 표면에 일체로 접합 고정되어 미적인 외관을 가지도록 마감되는 한 쌍의 마감금속판(40)으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은 그 각각의 중공부(10a)(20a)들의 내부에 우레탄발포수지(1)를 충진 매립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은 그 각각의 중공부(10a)(20a)들의 내부에 보강심재(2)들이 삽입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열판(30)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접합된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의 중공부(10a)(20a)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 개의 체결볼트(3)들로서,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20)들과 상기 중간단열판(30) 상호간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중공판(10)(20)들과 그 각각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마감금속판(40)들 상호간은 핫멜트필름(4)으로서 용융 접합되도록 하여서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판(20)의 중공부(20a)들을 가로질러서 관통되는 장볼트(5)들과, 그 각각의 장볼트(5)에 꿰어지도록 형성되는 고리부(6a)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끝단에 나사부(6b)를 형성하여서 된 연결부재(6)를 각기 1개조로 다수개를 구비하여서, 길이방향의 일정간격마다 장볼트(5)들이 가로질러 관통되는 중공부(20a)내에서, 그 각각의 장볼트(5)로서 꿰어지는 연결부재(6)들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판(10)의 중공부(10a)와, 제2중공판(20)의 중공부(20a) 상호간이 직각방향으로서 엇갈려지게 배치되는 사이에 중간단열판(30)을 두고 일체로서 접합하여서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장판넬.
KR1019960061001A 1996-12-02 1996-12-02 조립식 외장판넬 KR10019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001A KR100198731B1 (ko) 1996-12-02 1996-12-02 조립식 외장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001A KR100198731B1 (ko) 1996-12-02 1996-12-02 조립식 외장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218A KR19980043218A (ko) 1998-09-05
KR100198731B1 true KR100198731B1 (ko) 1999-06-15

Family

ID=1948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001A KR100198731B1 (ko) 1996-12-02 1996-12-02 조립식 외장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452B1 (ko) * 2000-06-01 2003-05-12 주식회사 동아지질 지하터널 작업구 벽체 조성 구조
KR20020024212A (ko) * 2002-02-04 2002-03-29 이선일 발코니 천정 복합단열판 설치공법
KR100643592B1 (ko) * 2002-02-21 2006-11-10 (주)청원씨엠에스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KR200448261Y1 (ko) * 2007-11-13 2010-03-29 신세계산업(주) 방음판의 흡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218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704B1 (en) Building panels with plastic impregnated paper
CA1310461C (en) Prefabricated panel having a joint thereon
US6584742B1 (en) Oriented strand board wall panel system
US20030033774A1 (en) Building panels with plastic impregnated paper
WO2006109932A1 (en) High-strength and ultra lightweight panel
KR100198731B1 (ko) 조립식 외장판넬
KR101447001B1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CA2571303C (en) Disc-shaped/plate-shaped component
GB2107258A (en) Vehicle bodies
WO2015131241A1 (en) Improved composite panel
KR100456228B1 (ko) 조립식 물탱크
JPS62260942A (ja) サンドイツチパネルの目地構造
JP3116064B2 (ja) 建築用外装材及び建築用外装材を使用した建築用外装パネル
US3903663A (en) Pick-up cover
KR200341889Y1 (ko) 마감재와 버팀 지지대가 부착된 샌드위치 패널
KR19980032322U (ko) 조립식 내장판넬
JPS63431Y2 (ko)
KR100404535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판재
JP2812499B2 (ja) 両面薄層石貼りパネル
KR930004843Y1 (ko) 건축용 경량 판넬
JPS637829Y2 (ko)
KR970015963A (ko) 조립식건축용 복합단위부재
JP3708257B2 (ja) 壁パネル
KR930012070B1 (ko) 조립식 벽체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H01156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