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088B1 - 오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088B1
KR100198088B1 KR1019960015368A KR19960015368A KR100198088B1 KR 100198088 B1 KR100198088 B1 KR 100198088B1 KR 1019960015368 A KR1019960015368 A KR 1019960015368A KR 19960015368 A KR19960015368 A KR 19960015368A KR 100198088 B1 KR100198088 B1 KR 10019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ntact
aeration
sewage
sepa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680A (ko
Inventor
요시노리 히와사
Original Assignee
김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현 filed Critical 김준현
Priority to KR101996001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088B1/ko
Publication of KR97007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오수도입관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제1 침전 분리조와, 이 제1 침전 분리조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1 유수관을 통해 제1 침전 분리조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일측에 접촉재가 충진되는: 예비여과조를 구비하는 제2 침전 분리조와, 이 제2 침전 분리조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2 유수관을 통해 처리수를 유입하는 내부에 드레프트 튜브가 설치되고 상기한 드레프트 튜브 안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이 배관되며 드레프트 튜브의 상부에 접촉재가 충진되는 접촉폭기조와, 상기한 접촉폭기조의 일측과 연통하며 상부에 소독조를 구비하는 침전조로 구성되며, 상기한 예비여과조의 하부에 폭기수단을 제공하고 상기한 접촉재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내주에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편을 형성하며, 상기한 제2 유수관의 일측에 수량 조절구로 이루어진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접촉 폭기조의 BOD부하의 감소와 유화물 이온의 결핍 조건을 부가하여 이온세균의 영양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증식 속도의 저하 또는 증식 불능 상태를 이루어 더욱 오수를 더욱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수 처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개략 평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재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량 조정 장치의 정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오수 처리 장치의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오수도입관 4 : 제1 침전 분리조
6 : 제1 유수관 8 : 접촉재
10 : 예비여과조 12 : 제2 침전 분리조
14 : 제2 유수관 16 : 드레프트 튜브
18,28 : 제1 송기관 20 : 접촉폭기조
22 : 소독조 24 : 침전조
26 : 폭기수단 30 : 폭기구
34 : 돌편 36: 수량 조절구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오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폭기조에 내설되어 있는 접촉재가 생물막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예비여과조로부터 접촉폭기조로 유수되는 유수량을 항상 균등하게 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5도는 종래의 오수 처리 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종래의 오수 처리장치는, 오수도입관(102)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제1 침전 분리조(104)와, 이 제1 침전 분리조(104)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1 유수관(106)을 통해 제1 침전 분리조(104)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일측에 접촉재(108)가 충진되는 예비여과조(110)를 구비하는 제2 침전 분리조(112)와, 이 제2 침전 분리조(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유수관(114)을 통해 처리수를 유입하며 내부에 드레프트 튜브(116)가 설치되고 상기한 드레프트 튜브(116)안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118)이 배관되며 드레프트 튜브(116)의 상부에 접촉재(108)가 충진되는 접촉폭기조(120)와, 상기한 접촉폭기조(120)의 일측과 연통하며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방류관(122)을 구비하는 소독조(124)를 형성하는 침전조(12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오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오수도입관(102)에서 제1 침전 분리조(104)에 도입된 오수는 제1 유수관(106)을 거쳐 제2 침전 분리조(112)에 유입되며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을 침전 또는 부상시켜 분리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2 침전 분리조(112)의 처리수는 접촉재(108)가 충진되어 있는 예비여과조(110)에 유입되며 제2 유수관(114)을 통해 접촉폭기조(120)로 유입된다.
상기한 접촉폭기조(120)에 유입된 처리수는 드래프트 튜브(116)내의 송기관(118)에서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폭기되어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이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폭기된 물은 침전조(126)로 유입되고 침전조(126)의 상부에 형성된 소독조(124)에 의해 소독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소독조(124)에 형성된 방류관(122)을 통하여 방류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수 처리장치는, 사용되는 접촉재는 일반적으로 유산음료(야쿠르트 음료)용기의 저부를 절재한 부재로 저부가 관통되어 있고 접촉재가 서로 겹쳐지며 연결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단격 현상이 일어나고 본래의 표면적이 적게 되어 수질의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사용되는 유산음료 용기의 강도가 약하여 오물의 부착에 의해 압밀현상이 일어나고, 부분적인 폐쇄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접촉폭기조는 에너지원인 환원형 무기 이온 화합물이 존재하고 유기물 부하가 높아 이온세균(주로 실모양임)이 증식하여 접촉재가 막히어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접촉재의 폐쇄는 수면에 가까운 표층부로부터 시작되고, 점차 하층부로 진행하여 가기 때문에 폭기순환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단격형상이 발생하여 수질이 악화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폭기조의 BOD부하의 감소와 유화물 이온의 결핍 조건을 부가함으로서 이온세균의 영양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증식 속도의 저하 또는 증식 불능 상태를 이루어 더욱 오수를 더욱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이 안정된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는, 예비여과조의 하부에 폭기수단을 제공하고, 접촉재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내주에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편을 형성하며, 제2 유수관의 일측에 수량 조절구를 설치하여 예비여과조에서 접촉폭기조로 유수하는 유수량을 항상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용]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예비여과조에서 호기적 생물 처리가 행하여져, 접촉재의 표면에 부착된 생물막에 의해 예비여과조의 처리수 유입중의 유기물과 무기 이온 화합물이 제거되어 접촉 폭기조 내의 단격현상 및 좌밀에 의한 접촉재의 붕괴에 따른 폐쇄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는 오수도입관(2)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제1 침전 분리조(4)와, 이 제1 침전 분리조(4)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1 유수관(6)을 통해 제1 침전 분리조(4)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일측에 접촉재(8)가 충진되는 예비여과조(10)를 구비하는 제2 침전 분리조(12)와, 이 제2 침전 분리조(12)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2 유수관(14)을 통해 처리수를 유입하며 내부에 드레프트 튜브(16)가 설치되고 상기한 드레프트 튜브(16)안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18)이 배관되며 드레프트 튜브(16)의 상부에 접촉재(8)가 충진되는 접촉폭기조(20)와, 상기한 접촉폭기조(20)의 일측과 연통하며 상부에 소독조(22)를 구비하는 침전조(24)로 구성되며, 상기한 예비여과조(10)의 하부에 폭기수단(26)을 제공하고 상기한 접촉재(8)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몸체(32)와 이 몸체(32)의 내주에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편(34)을 형성하며, 상기한 제2 유수관(14)의 일측에 수량 조절구(3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오수도입관(2)에서 제1 침전 분리조(4)에 도입된 오수는 제1 유수관(6)을 거쳐 제2 침전 분리조(12)에 유입되며 오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을 침전 또는 부상시켜 분리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침전 분리조(4)(12)를 2개로 하여 설명하나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침전 분리조(12)의 처리수는 접촉재(8)가 충진되어 있는 예비여과조(10)에 유입되며 제2 유수관(14)을 통해 접촉폭기조(20)로 유입된다.
여기서, 예비여과조(10)의 하단에 상기한 송기관(18)에서 연장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또다른 송기관(28)과 이 송기관(28)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한 예비여과조(10)에 폭기하는 폭기구(30)로 이루어진 폭기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의 폭기수단(26)에 의해 폭기되는 예비여과조(10)에서는, 호기적 생물 처리가 행하여져, 접촉재(8)의 표면에 부착된 생물막에 의해 예비여과조(10)의 처리수 유입중의 유기물과 무기 이온 화합물이 제거되어 접촉 폭기조(20) 내의 단격현상 및 좌밀에 의한 접촉재(8)의 붕괴에 따른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예비여과기(10) 및 접촉폭기조(20) 내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버섯모양의 접촉제(8)가 충진되어 있으며, 처리수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예비여과조(10)와 접촉폭기조(20)를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2 유수관(14)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량 조절구(36)는 예비여과조(10)에서 어느 정도 호기 처리된 처리수를 접촉폭기조(20)로 유수할 때 유수량을 항상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접촉폭기조(20)에 유입된 처리수는 드래프트 튜브(18)내의 송기관(18)에서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양수되고, 시회류로 되어 폭기순환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폭기되는 처리수는 접촉재(8)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생물막의 작용에 의해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이 흡착 및 산화분해가 행하여져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물 처리된 처리수는 침전조(24)로 유입되고 침전조(24)의 상부에 형성된 소독조(22)에서 소독되어 방류관(38)을 통하여 방류된다.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는 접촉 폭기조의 BOD부하의 감소와 유화물 이온의 결핍 조건을 부가함으로서, 이온세균의 영양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증식 속도의 저하 또는 증식 불능 상태를 이루어 더욱 오수를 더욱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4)

  1. 오수도입관(2)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제1 침전 분리조(4)와, 이 제1 침전 분리조(4)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1 유수관(6)을 통해 제1 침전 분리조(4)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일측에 접촉재(8)가 충진되는 예비여과조(10)를 구비하는 제2 침전 분리조(12)와, 이 제2 침전 분리조(12)의 일측에 설치하며 제2 유수관(14)을 통해 처리수를 유입하며 내부에 드레프트 튜브(16)가 설치되고 이 드레프트 튜브(16)안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18)이 배관되며 드레프트 튜브(16)의 상부에 접촉재(8)가 충진되는 접촉폭기조(20)와, 상기한 접촉폭기조(20)의 일측과 연통하며 상부에 소독조(22)를 구비하는 침전조(24)로 구성되는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예비여과조(10)의 하부에 폭기수단(26)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폭기수단(26)은 상기한 송기관(18)에서 연장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또 다른 송기관(28)과 이 송기관(28)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한 예비여과조(10)에 폭기하는 폭기구(30)로 이루어진 오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접촉재(8)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몸체(32)와 이 몸체(32)의 내주에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편(34)을 형성하는 오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유수관(14)의 일측에 수량 조절구(36)를 설치하여 예비여과조(10)에서 접촉폭기조(20)로 유수하는 유수량을 항상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
KR1019960015368A 1996-05-10 1996-05-10 오수 처리 장치 KR10019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368A KR100198088B1 (ko) 1996-05-10 1996-05-10 오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368A KR100198088B1 (ko) 1996-05-10 1996-05-10 오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680A KR970074680A (ko) 1997-12-10
KR100198088B1 true KR100198088B1 (ko) 1999-06-15

Family

ID=1945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368A KR100198088B1 (ko) 1996-05-10 1996-05-10 오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884B1 (ko) * 2023-09-21 2024-07-04 조원준 Mbr 방식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884B1 (ko) * 2023-09-21 2024-07-04 조원준 Mbr 방식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680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529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4073722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US4615807A (en)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RE22144E (en) Sewage treatment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US5075015A (en) Method for color removal from thermally conditioned sludge liquors
KR100198088B1 (ko) 오수 처리 장치
US3227648A (en) Method of controlling noxious odors in sewage
KR101699682B1 (ko) 전기분해와 스펀지 여과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JPS6254072B2 (ko)
US200701023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nitrification of treated water from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CN207259330U (zh) 一种餐厨垃圾厌氧消化废水处理装置
KR100470215B1 (ko) 하수처리방법
KR200295835Y1 (ko) 자연유하방식 침지식막분리시스템
JP2001314883A (ja) 生物処理装置
US6010629A (en) Microthrix Parvicella forming and bulking controlling method for waste water treatment
KR100298278B1 (ko) 미생물활성조장형축산정화조
US4915829A (en) Activated-sludge aeration system
JPH0751668A (ja) 汚水の浄化処理方法
JPH07299492A (ja) 浄化槽
GB2153808A (en) Purification of water and other aqueous liquids
RU2023685C1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органических загрязнений
SU1244105A1 (ru) Способ доочистки биохимически очищ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JPH11221562A (ja) 分離膜による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305361B1 (ko) 생활오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