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043B1 - C20-24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오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 Google Patents
C20-24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오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8043B1 KR100198043B1 KR1019920702033A KR920702033A KR100198043B1 KR 100198043 B1 KR100198043 B1 KR 100198043B1 KR 1019920702033 A KR1019920702033 A KR 1019920702033A KR 920702033 A KR920702033 A KR 920702033A KR 100198043 B1 KR100198043 B1 KR 100198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olefin
- foam
- weight
- blowing agent
- fatty aci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연질 발포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온레핀 발포체는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소량의 안정성 조절제를 사용할 경우 개선된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올레핀 조성물, 이로부터 발포체 또는 팽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개선된 승온 변형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경화된 형태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개선된 정전기 소산성을 지닌다.
열가소성 에틸렌계 중합체를 열 가소화시키는 단계; 열 가소화된 중합체를 가압하에서 클로로플루오로카본과 같은 휘발성 물질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 출구 또는 조형 오리피스를 통해 저압 영역으로 보내 휘발성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포 구조물(이는 냉각시에 상응하는 기포 고체 에틸렌계 중합체 발포체를 형성한다)을 형성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발포 공정에 의해 독립 기포 에틸렌계 중합체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이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압출 발포 공정의 개발(특히 저급 폴리올레핀의 비교적 낮은 밀도의 발포체의 경우에)은 다수의 상이한(및 때때로는 경합하는) 기술분야와 기술적 요구 조건의 균형을 요한다. 따라서, 대다수의 압출 발포 기술은 경험을 기초로 하며, 매우 특정한 물질 및 특정 시판용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허용되는 폴리올레핀 발포체 제품에 대한 요구조건 중의 하나는 경화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형태의 폴리올레핀 발포체 제품에 대한 승온 변형 특성(즉, 발포체기 기포 구조내의 최초 발포제가 공기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대체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저장 또는 숙성 전의 발포체의 승온에서의 치수 안정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는 (a) 비교적 경화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승온 변형 특성이 이의 제조시 사용되는 특정 성분(예를 들어. 발포제, 첨가제 등)에 상당히 의존하고, (b) 창고 보관 비용, 저장 장소 인자 및/또는 기타 고려사항으로 인해 종종 폴리올레핀 발포체 제품은 제조 설비에서부터 이들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까지 적하되어야 하며, (c) 이러한 부분적으로 경화된 발포체 제품은 특히 혹서기 또는 고온의 날씨에 밀폐된 차량으로 수송하는 동안, 비교적 높은 온도에 장기간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관심은 보다 광범위한 발포제와 함께 사용되어 주위 온도에서 치수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다양한 안정성 조절제를 사용하려는 최근의 경향에 의해 보다 더욱 심화되나, 불행하게도 이 안정성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발포체 제품을 이의 소위 완전 경화상태에 도달시키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연장시킨다.
또한. 최근에 연질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발포제, 특히 CFC-l42b(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이러한 연질 클로로 플루오로카본을 함유하는 혼합물 또는 이소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발포제가 공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한 화합물은 환경하에서 해로운 효과가 감소된 분해 생성물로 보다 쉽게 전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불리하게, CFC-142b 및 이소부탄은 에틸렌계 중합체를 공기보다 더 빨리 투과하므로 발포체 붕괴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정성 조절제를 사용하여 상기 할로카본 또는 탄화수소 발포제의 투과 속도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68.276호에는 폴리올레필 발포체내에서 안정성 조절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N-치환된 지방산 아미드가 기술되어 있다. 민감성 전자부품의 포장과 같은 특정의 목적 용도에서, 발포체는 발포체 표면상에 축적된 정전기 전하가 전자부품과의 접촉을 통해 방전되지 않도록 하는 정전기 소산성을 지녀야 한다. 상기한 N-치환된 지방산 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발포체가 비록 다수의 목적 용도에서 효율적으로 작동되나, 정전기 소산성면에서는 뚜렷한 개선점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알킬 아민과 같은 정전기 방지제를 제형에 가할 경우, N-치환된 지방산 아미드의 안정성 조절 특성에 역영향을 끼친다.
상기한 바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승온 변형 특성을 지닌 경화되지 않은 발포체 형태의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공하고 또한 팽창하여 상기 개선된 중합체 발포체를 형성시키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증가된 정전기적 소산성을 지닌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잇점은 하기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관련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다.
또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추가로 휘발성 유기 발포제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팽창하여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팽창된 제품(즉. 중합체 발포체)을 형성시키는 상기한 유형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특히 이로운 양태는 비교적 경화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발포체에 폴리올레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한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약 0.1 내지 약 10중량%를 혼입(예를 들어. 압출 발포시에)시킴으로써 상기한 발포체의 승온 변형 특성(메를 들어, 승온, 예를 들어, 최대 열 변형 온도인 66℃에서의 치수 안정성 등)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은 CFC-l42b, 또는 유사한 연질클로로플루오로 카본, 이소부탄 또는 유사한 탄화수소,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수행시킬 때 특히 이롭다.
본 발명의 수행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에는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과 프로필렌,-부텐-1,1-옥텐과 같은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기타 폴리올레핀, 특히 탄소수의 α-폴리올레핀(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라 칭함); 포화된 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복실산의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수개의 부틸- 및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다양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된 카복실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크로톤산, 메사콘산 등과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원인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이다. 당연하게, 상기한 폴리올레핀 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을 또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한 특성은 상기한 폴리올레핀과 함께 소량의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승온에서 개선된 변형 및 안정성 특성을 갖는, 경화되지 않은 발포체 형태의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바람직한 안정성 조절제는 글리세를 모노베헤네이트이다.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는 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방산의 순도에 의존하여 기타의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모노베헨산은 C22지방산 약 60중량%, C18지방산 38중량% 및 C16-14지방산 2중량%를 함유하는 수소화된 평지씨 오일이다. 또한, 에스테르 혼합물 중 40중량% 정도가 디에스테르로 구성되며, 혼합물 중에 삼가산 에스테르 15중량%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이외에, 보조 안정성 조절제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214,054호, 미합중국 특허 제3,644,230호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4,368,276호에 기술된 특정한 기타의 화합물, 예를 들어, 고급 알킬 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또는 N-치환된 지방산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올레핀 발포체에서 주위 온도와 승온에서의 치수 안정성 특성간의 유리한 균형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정전기 소산제가 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에는 알킬 아민, 에톡시화 알킬 아민, 및 알케닐 아민 및 4급 암모늄 화합물이 포함되고, 이들은 놀랍게도 본 조성물의 안정성 조절 특성에 역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한, 핵형성 보조제(예를 들어, 활석 분말, 중탄산 나트륨, 규산 칼슘 등),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기타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상기한 지방산 모노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l5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가 단독으로 사용되는지 또는 상기한 보조 안정성 조절용 첨가제와 혼합되어 사용되는지에 무관하게, 이러한 혼합된 첨가제의 총 농도는 통상적으로 폴리올레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고, 사용되는 화합물의 최소량은 바람직하게는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화되지 않은 발포체가 66℃에서 장기간 노출되는 동안 이의 용적이 10% 이상 수축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일 것이다.
본 발명의 팽창된 폴리올레핀 제품(이는 또한 본원에서 폴리올레핀 발포체라 칭함)은 목적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열 가소화시키고, 승온 및 승압하에서 이러한 열 가소화된 중합체에 (a) 휘발성 유기 발포제 및 (b) 상기한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또는 이 에스테르와 상기한 보조 안정성 조절제 1개 이상과의 혼합물) 0.1 내지 10중량%(폴리올레핀을 기준으로 하여)를 혼입시켜 팽창성 폰리올레핀 조성물의 유동성 겔을 형성시킨 후, 이 겔을 저압 및 저온 영역으로 압출시켜 실질적으로 독립-기포인 목적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형성시키는 통상의 압출 발포 기술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휘발성 유기 발포제는 생성되는 기포 발포체 생성물에 목적한 팽창도, 통상적으로 용적 100배 이하의 팽창도를 제공하여 숙성후의 발포체 밀도가 9.6kg/m3까지 낮아지도록 하기에 적합한 비율로 출발 폴리올레핀 수지와 배합한다. 발포제의 출발 비율에 의존하여, 본 발명의 생성된 발포체 제품의 밀도는 통상적으로 9.6 내지 160kg/m3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발포체 제품의 밀도는 비교적 낮고, (예를 들어, 16 내지 96kg/m3의 범위), 이러한 발명의 식시는 밀도가 16 내지 48kg/m3인 폴리올레핀 발포체의 경우에 특히 이롭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밀도 범위의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휘발성 유기 발포제의 양은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100g당 0.02 내지 0.35gmol의 범위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되는 특정 휘발성 유기 발포제의 종류는 특별히 중요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상기한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또는 상기한 보조안정성 조절제와의 이의 혼합물)를 사용함으로써, 이전에 가능했던 것 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휘발성 유기 발포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판용으로 바람직한 특성(예를 들어, 주위 온도에서 치수 안정성 및/또는 적합한 경화되지 않은 발포체 승온변형 특성 등)을 지닌 저밀도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의 특히 이로운 양상이다. 상기한 휘발성 유기 발포제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단독으로 또는 열 분해가능한 기체-방출 화학 발포제 또는 보조 발포제, 예를 들어, 물, 이산화탄소(이러한 보조 발포제는 단독 발포제로서 또는 주요 발포제로서 또한 유용하다)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차의 대기압 비점을 갖는 휘발성 유기 발포제가 사용된다. 적합한 휘발성 발포제의 예에는 탄소수 1 내지 4의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화합물(예를 들어,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1,1,2-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1,2-디 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디플루오로에탄, 에틸클로라이드, 메틸 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 및 휘발성 비-할로겐화된 탄화수소 화합물, 예를 들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부텐, 프로필렌, 펜탄 등이 포함된다. 당연하게, 상기한 발포제 2개 이상의 혼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실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 40 내지 90중량% 및 에틸 클로라이드 60 내지 10중량%(상기의 두 중랸%는 모두 혼합 발포제 시스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를 포함하는 혼합 발포제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한다.
지시한 바와 같이, 발포제는 통상의 방식으로 출발 폴리올레핀에 배합시켜, 바람직하게는 연속 방식으로, 예를 들어, 혼합 압출기에서, 통상적으로 고체인 중합체를 가소화시키기 위한 열, 발포제를 비-기체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 및 중합체와 발포제를 완전히 혼합시키기 위한 기계적 일을 사용하여 유동성 겔을 생성시킨다. 이어서, 경우에 따라 생성된 겔을 냉각시키고, 적합한 다이 오리피스를 통하여 저압, 예를 들어, 정상 주위 기압의 영역으로 보내며, 이곳에서 겔은 저밀도 기포성 매스로 팽창된다. 압출된 생성물이 발포되면, 이를 압출기로부터 회수하여 냉각시켜 생성된 중합체 발포체를 경화시키고, 추가의 가공, 저장 및 사용을 위해 수집한다.
생성된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실질적으로 독립-기포 구조로 이루어지고, 저밀도, 즉 16 내지 48kg/m3에서 및 경화되지 않은 발포체 형태일 때 조차도 주위 온도에서 뿐만 아니라 승온에 노출시에도 치수적으로 현저하게 안정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압출 발포체 제품의 치수 안정성은 관심있는 환경하에서 발포체 시험편에서 일어나는 용적 변화를 노출시간의 함수로서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 시험편은 압출 발포체 생성물을 압출 다이 오리피스로부터 꺼낸 직후, 예를 들어, 약 15분내에, 이로부터 빠르게 목적한 치수(편리하게는, 길이 13cm, 두께 1.3cm 및 폭 2.5cm의 샘플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의 시험편을 절단하고, 이의 전체 용적을, 예를 들어, 물의 입방 치환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수득된다. 각 시험편의 초기 용적은 추후의 치수 안정성 연구를 위한 기준 용적으로서 임의로 선택된다.
주위 온도에서 치수 안정성 시험을 위해, 각각의 발포체 시험편을 대기압 및 통상의 실온(예를 들어, 23℃)에서 공기에 노출시키고 이의 용적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주위 온도에서 경화 공정(즉, 경화는 발포체 기포내의 기체상 발포제가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나가고, 그 동안에 방출되는 발포제를 대신하여 공기가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들어오는 현상을 칭한다)중에 수축되는 최소의 용적을 결정한다. 승온 치수 안정성 성능 평가를 위해, 시험편을 주위온도에서가 아닌 승온에서 대기압하에 노출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주위 온도에서의 공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예를 들어, 23℃) 또는 승온(주위 온도 내지 160℃) 시험 조건하에서 2주 동안의 숙성후, 그의 최초의 용적(압출 후 5분 후에 측정됨)의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수축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또 하나의 시험은 발포체의 정전기 소산성의 평가이다. 시험 방법은 표면 저항률(ASTM D-257) 및 정전기 감쇠 시간(Federal Test Standard 101C Method 4046.1)을 둘 다 측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하기 특정 작용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별다른 지시나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는 중량에 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장치는 공급, 계량 및 혼합을 위한 연속 영역의 말단부에 혼합 및 냉각을 위한 부가적인 영역을 갖는 1 스크류(screw)형 압출기이다. 발포제 첨가를 위한 개방부를 계량 영역과 혼합 영역사이의 압출기 배럴상에 제공한다. 냉각 영역의 말단에는 직사각형의 개방부를 지닌 다이 오리피스를 부착한다. 개방부(이후에는 다이 갭(gap)이라 칭함)의 높이는 이의 폭을 3.68mm로 고정시켜 놓고 조절할 수 있다.
과립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용융지수: 2.1, 밀도: 0.923g/cc) 100부를 농축된 형태의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케마스터(Kemaster) 6500. Humko Chemical Div.) 2.0부 및 활석 분말 0.25부와 균일하게 블렌딩시킨다. 블렌드를 약 61b/hr(2.7kg/hr)의 균일한 속도로 압출기에 공급한다. 압출기 영역에서 유지되는 온도는 공급 영역에서 95℃, 용융 영역에서 150℃, 계량 영역에서 180℃ 및 혼합 영역에서 200℃이다. CFC-142b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를 가압하에서 미리 결정된 속도로 혼합 영역에 주입시켜 목적한 밀도의 발포체를 생성시킨다. 냉각영역의 온도는 중합체/발포제 혼합물이 1.06℃±1℃의 최적의 발포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지시킨다. 다이 갭을 각각의 시험에서 조절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지닌 발포체 스트랜드를 제공한다.
0.9mm 내지 1.1mm의 다이 갭에서, 발포체 치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발포체 샘플을 취한다. 발포체 스트랜드는 치수가 약 1.1cm x 1.6cm인 타원형이고. 기포 크기는 약 0.45mm 내지 0.85mm이다. 이 스트랜드로부터 길이가 12.7cm인 4개의 발포체 시험편을 절단하고 약 5분내에 이의 초기 중량 및 용적을 측정한다. 2개의 조각을 주위 온도에서 숙성시키고, 54℃ 및 71℃에서 각각 1개씩 숙성시킨다. 발포체 시험편의 중량 및 용적을 주기적으로, 즉 처음 6시간 동안은 매 시간마다, 그리고 처음 1주 동안은 매일, 이후로는 매주마다 측정한다.
안정성 조절제를 중합체 용융물에 가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식으로 비교용 샘플을 제조한다.
표 1에 요약된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는 71℃의 높은 온도에서도 발포체 치수 안정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시험에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장치, 온도 설정, 중합체 유형, 안정성 조절제 양, 활석 농도 및 고체 공급 속도를 사용한다. 시험3에서, 알킬 아만형 대전방지제[아트머(Atmer) 163 ; ICI Americas 제조] 1중량%를 포함시킨다. 발포제는 CFC-142b 또는 이와 에틸 클로라이드의 혼합물(55/45 몰비) (시험 4) 중에서 선택된다. 발포제는 본 실시예의 시험중에 중합체 100g당 약 0.15gmo1의 균일한 속도로 공급한다. 다이 개방부, 발포체 단면적 크기 및 기포크기는 실시예 1의 시험에서와 대략 동일한 범위에 속한다.
표 2에 요약된 시험 결과로부터 플리에텐 100부당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 2.0부와 함께 아트머(Atmer) 163 1pph(백부당 부)를 사용하면 발포체 치수 안정성의 손실 없이도 적합한 정전기 소산성이 제공된다는 것이 나타난다. 이롭게는,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지 않고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를 단독으로 가하면 측정가능한 정도의 정전기 소산성이 발포체에 부여된다. 연방 시험 표준(Federal Test Standard) 101C 방법 4046.1에 의한 정전기 감쇠 시간의 견지에서, 모든 발포체는 시험의 요구조건을 만족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지 블렌드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장치와 거의 동일한 배치를 갖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출 조건에서 작동하는 1 1/2 스크류 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시키고 발포시킨다. 직사각형 개방부가 6.35mm x 1.27mm인 다이 오리피스를 부착시킨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부를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 1.4부 및 핵형성제 혼합물(폴리에틸렌중의 중탄산나트륨과 시트르산의 혼합물, 하이드로세롤(HydrocerolR) CF-20, 베링거 인겔하임(Berlinger Ingelheim)으로부터 시판됨) 0.35부와 블렌딩시킨다. 블렌드를 4.5kg/hr의 균일한 속도로 압출기에 공급한다. 이소부탄을 0.841b 3.8kg/hr의 속도로 압출기에 주입한다. 110℃의 발포 겔 온도에서 밀도가 33kg/m3이고 기포 크기가 1.5㎜ 이며 단면적이 1cm x 3.2cm인 우수한 품질의 발포체가 수득된다. 발포체 스트랜드로부터, 길이가 10cm인 조각을 절단하고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치수 안정성 시험을 행한다.
표 3에서 요약된 데이타는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가 이소부탄 발포제로 팽창된 폴리에틸렌 발포체에 대해 바람직한 치수 안정성을 제공함을 나타낸다.
Claims (8)
- (a) 폴리올레핀을 열 가소화시키고, (b) 이 열 가소화된 폴리올레핀에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폴리을레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혼입시킨 후, (c) 휘발성 유기 발포제를 폴리 올레핀 100g 당 0.02 내지 0.35gmo1의 양으로 혼입시켜 팽창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유동성 겔을 형성시킨 다음, (d) 이 겔을 저압 영역으로 압출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독립-기포인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치수 안정성이 개선된 실질적으로 독립-기포인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주위 온도에서 2주 동안의 숙성 후에 발포체의 최초 용적의 80% 이상을 유지함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주위 온도에서 2주 동안의 숙성 후에 발포체의 최초 용적의 85% 이상을 유지함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발성 발포제가 이소부탄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가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독립-기포 폴리올레핀 발포체.
- 폴리올레핀 및 휘발성 유기 발포제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중량%의 C20-24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함유하고, 휘발성 발포제가 이소부탄이며, 지방산 에스테르가 글리세롤 모노베헤네이트이고,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하여 치수 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올레핀 발포체를 형성시킬 수 있는 팽창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7/484,745 US5089533A (en) | 1990-02-26 | 1990-02-26 | Olefi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glycerol monoesters of c20-24 fatty acids and foame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
US7/484745 | 1990-02-26 | ||
US7/484,745 | 1990-02-26 | ||
PCT/US1991/000743 WO1991013115A1 (en) | 1990-02-26 | 1991-02-04 |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glycerol monoesters of c20-24 fatty acids and foame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7003704A KR927003704A (ko) | 1992-12-18 |
KR100198043B1 true KR100198043B1 (ko) | 1999-06-15 |
Family
ID=2392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702033A KR100198043B1 (ko) | 1990-02-26 | 1991-02-04 | C20-24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오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5089533A (ko) |
EP (1) | EP0517748B1 (ko) |
JP (1) | JP3198334B2 (ko) |
KR (1) | KR100198043B1 (ko) |
BR (1) | BR9106085A (ko) |
CA (1) | CA2076872C (ko) |
DE (1) | DE69123734T2 (ko) |
FI (1) | FI923756A0 (ko) |
HU (1) | HU212810B (ko) |
TW (1) | TW249813B (ko) |
WO (1) | WO199101311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0093B1 (ko) | 2007-02-23 | 2008-05-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90822A (en) * | 1992-08-27 | 1994-03-01 | Astro-Valcour, Inc. | Ultra low density polyolefin foam, foam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US5225451A (en) * | 1992-08-27 | 1993-07-06 | Astro-Valcour, Inc. | Ultra low density polyolefin foam, foam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US5895614A (en) * | 1995-08-22 | 1999-04-20 | Tenneco Protective Packaging Inc. | Method of forming a microcellular foam plank |
US6245823B1 (en) * | 1995-10-20 | 2001-06-12 | Free-Flow Packaging International, Inc. | Composition and blowing agent for making foamed polyethylene material |
AU708997B2 (en) * | 1996-02-01 | 1999-08-19 | Dennis A. Knaus | Stability control agent composition for polyolefin foam |
US5776389A (en) * | 1996-06-20 | 1998-07-07 | The Dow Chemical Company | Process for making an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 having enlarged cell size |
KR19980025674A (ko) * | 1996-10-04 | 1998-07-15 | 김인환 | 고대전방지성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 |
US6225363B1 (en) | 1998-04-07 | 2001-05-01 | Pactiv Corporation | Foamable composition using high density polyethylene |
US6114025A (en) * | 1998-06-15 | 2000-09-05 | Tenneco Protective Packaging, Inc. | Foam and film/foam laminates using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US6454982B1 (en) | 1999-11-19 | 2002-09-24 | Wellman, Inc. | Method of preparing polyethylene glycol modified polyester filaments |
US6582817B2 (en) | 1999-11-19 | 2003-06-24 | Wellman, Inc. | Nonwoven fabrics formed from polyethylene glycol modified polyester fib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US6623853B2 (en) | 1998-08-28 | 2003-09-23 | Wellman, Inc. | Polyethylene glycol modified polyester fib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US6509091B2 (en) | 1999-11-19 | 2003-01-21 | Wellman, Inc. | Polyethylene glycol modified polyester fibers |
US6583190B2 (en) * | 2000-12-27 | 2003-06-24 | Sealed Air Corporation (U.S.) | Expandable composition, blowing agent, and process for extruded thermoplastic foams |
US7045556B2 (en) * | 2002-07-02 | 2006-05-16 | Pactiv Corporation | Polyolefin foams made with isopentane-based blowing agents |
GB2395948A (en) * | 2002-12-06 | 2004-06-09 | Pactiv Europ B V | Polyolefin foam |
US7166248B2 (en) * | 2003-01-03 | 2007-01-23 | Pactiv Corporation | Reduced VOC emission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s and processes |
US8158689B2 (en) | 2005-12-22 | 2012-04-1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Hybrid absorbent foam and articles containing it |
US7858681B2 (en) * | 2007-08-21 | 2010-12-28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roduct comprising ionomer and plasticizer |
US8648122B2 (en) * | 2011-12-01 | 2014-02-11 | Sealed Air Corporation (Us) | Method of foaming polyolefin using acrylated epoxidized fatty acid and foam produced therefro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44230A (en) * | 1968-02-19 | 1972-02-22 | Haskon Inc | Extrusion process for polyolefin foam |
JPS5481370A (en) * | 1977-12-13 | 1979-06-28 | Japan Styrene Paper Corp | Method of making polyolefin foam |
US4663361A (en) * | 1985-12-24 | 1987-05-05 | The Dow Chemical Company | Expan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process utilizing isobutane blowing agent |
-
1990
- 1990-02-26 US US07/484,745 patent/US508953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
- 1991-02-04 CA CA002076872A patent/CA207687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2-04 KR KR1019920702033A patent/KR1001980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02-04 HU HU9202747A patent/HU212810B/h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02-04 WO PCT/US1991/000743 patent/WO1991013115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1-02-04 EP EP91904592A patent/EP051774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2-04 BR BR919106085A patent/BR9106085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1-02-04 DE DE69123734T patent/DE6912373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2-04 JP JP50491491A patent/JP31983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2-25 TW TW080101463A patent/TW249813B/zh active
-
1992
- 1992-08-20 FI FI923756A patent/FI923756A0/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0093B1 (ko) | 2007-02-23 | 2008-05-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49813B (ko) | 1995-06-21 |
HU212810B (en) | 1996-11-28 |
DE69123734T2 (de) | 1997-06-19 |
EP0517748B1 (en) | 1996-12-18 |
FI923756A (fi) | 1992-08-20 |
EP0517748A4 (en) | 1992-10-05 |
CA2076872C (en) | 2002-09-03 |
FI923756A0 (fi) | 1992-08-20 |
CA2076872A1 (en) | 1991-08-27 |
JPH05503545A (ja) | 1993-06-10 |
HU9202747D0 (en) | 1992-12-28 |
BR9106085A (pt) | 1993-02-02 |
WO1991013115A1 (en) | 1991-09-05 |
EP0517748A1 (en) | 1992-12-16 |
HUT62627A (en) | 1993-05-28 |
US5089533A (en) | 1992-02-18 |
JP3198334B2 (ja) | 2001-08-13 |
KR927003704A (ko) | 1992-12-18 |
DE69123734D1 (de) | 1997-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8043B1 (ko) | C20-24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오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 |
EP0647673B1 (en) | Expan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process utilizing isobutane blowing agent | |
AU708997B2 (en) | Stability control agent composition for polyolefin foam | |
US4694027A (en) | Expan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process utilizing isobutane blowing agent | |
EP0041167B2 (en) | Expan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olyolefin foam preparation process | |
US10059822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olystyrene foam with polymer processing additives | |
EP0036560B1 (en) | Foamable olefin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n-alkyl substituted amides, foaming process using them and foam article produced | |
EP0036562B1 (en) | Foamable olefin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certain higher ethers, esters or anhydrides, foaming process using them and foam article produced | |
EP0681522A4 (en) | FOAM WITH ENLARGED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4275168A (en) | Polyolefin resin foam and proces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the same | |
US5405883A (en) | Ethylene polymer foams blown with isobutane and 1,1-difluoroethane and a process for making | |
EP0025063B1 (en) | Low density, extruded ethylenic polymer foams | |
US5399592A (en) | Ethylene polymer foams blown with isobutane and 1,1,1-trifluoroethane or 1,1,1,2-tetrafluoroethane and a process for making | |
EP0019021B1 (en) | Proces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polyolefin resin foam | |
KR850000112B1 (ko) | 지방족 올레핀 중합체의 발포방법 | |
JP2932558B2 (ja) |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 |
KR840001712B1 (ko) | 고급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로 안정화시킨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 | |
JP3167201B2 (ja) |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 |
KR900001559B1 (ko) | 팽창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WO1994025255A1 (en) | Ethylene polymer foams blown with 1,1-difluoroethane and method of making same | |
EP0041234A1 (en) | Novel olefin polymer compositions and foame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having improved elevated temperature dimensional st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9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