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359B1 - 복식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복식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359B1
KR100197359B1 KR1019970029422A KR19970029422A KR100197359B1 KR 100197359 B1 KR100197359 B1 KR 100197359B1 KR 1019970029422 A KR1019970029422 A KR 1019970029422A KR 19970029422 A KR19970029422 A KR 19970029422A KR 100197359 B1 KR100197359 B1 KR 10019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floor finishing
finishing material
compressor
integral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룡
Original Assignee
오성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룡 filed Critical 오성룡
Priority to KR101997002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1Poly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8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ixtures of the silica-lim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37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glue or binder for uniting building or structural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마감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복식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식분무장치는, 내부에 다수개의 공급 통로(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한쪽 단부에 원추형의 토출부(4)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5)에서, 다른 쪽 단부에는 공급통로(3)와 통하는 호오스 연결관(6)이 일체 결합되는 한편, 몸체(5)의 측면에는 밸브버턴(7) 및 콤프레셔 연결부(8)가 구비된 손잡이(9)가 일체 결합되어지되, 콤프레셔 연결부(8)에서 토출부(4) 선단까지 콤프레셔의 압축공기가 통하게 되는 공기통로(10)가 형성되며 또한 배출구(11)가 구비된 원추형 배출캡(12)이 몸체(5)의 토출부(4) 쪽으로 나사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하여 바닥마감재용 조성물을 동시에 분무함으로써 붙임재 형태의 바닥마감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식 분무 장치
본 발명은 복식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에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붙임재 형태의 바닥마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바닥마감재의 여러 재료를 동시에 분사하는데 효율적인 복식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바닥은 그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이 다종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바닥의 구조체 및 바닥바탕에 적절한 재질의 마감재를 선택하여 적절한 공법으로 시공해야 한다. 이러한 바닥마감재는 재질별로 보면, 목질재, 석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요업제품, 섬유재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를 공법별로 보면 붙임재와 바름재의 2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의 붙임재는 균일한 치수로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으로, 공법은 못으로 박거나 접착제에 의해 붙여 주는 것이기에 일반적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가 짧으나 공법이 적절하지 않으면 박리나 이음매에 공극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바름재는 이음매가 없고 평활하게 마감되는 장점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시공이 어렵고 공기가 길며 재료에 따라서는 균열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마감재는 각각 일장일단이 있으므르, 건축구조물 바닥의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내구성, 기능성, 장식성 등의 제 성능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바닥마감재와 시공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현재 일반화된 바닥마감재로는, 붙임재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의 석재류, 쉬이트나 타일 타입의 합성수지재가 있고, 바름재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모르타르 또는 인조석 등의 요업제품류가 있다. 그러나 시공의 간편성 또는 인건비의 절감효과 등을 고려하여 붙임재가 일반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최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바닥마감재는 고급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고급화 추세에 따라 백화점, 오피스 빌딩, 대형 상가, 아파트나 개인주택 등 주요 건물들의 바닥에는 화강암이나 대리석등과 같은 석재류 바닥마감재를 적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는데, 이러한 석재류 제품들은 시각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은 있지만, 가격이 높고 시공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재료의 공급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석재류와 외관효과가 유사한 인조석 물갈기공법에 의한 인조석 바닥재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천연 석재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천연 석재류의 외관 효과를 발휘하며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조석은 기본적으로 바름공법에 의하는 것으로, 대리석 등의 쇄석과 시멘트의 혼합물을 재료로 하여 이를 물에 개어서 바닥에 바르고 양생한 후 물갈기를 하는 복잡한 시공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과다한 인력투입이 요구되고, 또한 물갈기 할때 발생되는 시멘트물로 인해 주위의 벽면이 더러워져 이를 다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작업여건이 열악하므로 작업자들이 기피하게 되고, 이는 다시 인력수급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며 결국은 시공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또한 이와 같은 공법에 의한 인조석은 그 무늬나 색조의 변화가 거의 제한되어 표면무늬의 다양한 표현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합성수지재로 된 타일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제품들은 붙임공법에 의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나름대로 천연석의 외관 효과를 발휘시키는데는 일정한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그 재질이 통상 시멘트로 된 바닥바탕과는 전혀 판이하기 때문에, 물리 화학적인 변화의 차이로 인하여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바닥 바탕과 마감재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율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온도변화가 있는 곳에서는 외부의 충격이 없어도 마감재가 저절로 박리되거나 깨어지고, 또한, 수분 함수율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바닥바탕과 마감재 사이에 수분의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역시 마감재가 저절로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바닥바탕과 동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부착성이 좋을 뿐만아니라 시공이 간편한 붙임재형태의 바닥마감재를 개발함과 동시에 바닥마감재를 제조함에 있어 여러 재료를 분사하는데 효율적인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바닥재 및 시공방법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균일한 치수로 공장에서 대량생산을 하여 붙임공법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시공의 안정성 및 공기 단축을 기할 수 있는 바닥마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감재의 여러 재료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분무하기 위한 복식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식분무장치는, 내부에 다수개의 공급 통로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한쪽 단부에 원추형의 토출부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에서, 다른 쪽 단부에는 공급통로와 통하는 호오스 연결관이 일체 결합되는 한편, 몸체의 측면에는 밸브버턴 및 콤프레셔 연결부가 구비된 손잡이가 일체 결합되어지되, 콤프레셔 연결부에서 토출부 선단까지 콤프레셔의 압축공기가 통하게 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또한 배출구가 구비된 원추형 배출캡이 몸체의 토출부쪽으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식분무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공급통로 4 : 토출부
5 : 몸체 6 : 호오스 연결관
7 : 밸브버턴 8 : 콤프레셔 연결부
9 : 손잡이 10 : 공기통로
11 : 배출구 12 : 배출캡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식분무장치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내부에 다수개의 공급통로(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한쪽 단부에 원추형의 토출부(4)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5)에서, 다른 쪽 단부에는 상기 공급통로(3)와 통하는 호오스 연결관(6)이 일체 결합되는 한편, 몸체(5)의 측면에는 밸브버턴(7) 및 콤프레셔 연결부(8)가 구비된 손잡이(9)가 일체 결합되어지되, 상기 콤프레셔 연결부(8)에서 상기 토출부(4) 선단까지 콤프레셔(미도시)의 압축공기가 통하게 되는 공기통로(10)가 형성되며, 또한 배출구(11)가 구비된 원추형 배출캡(12)이 상기 몸체(5)의 토출부(4) 쪽으로 나사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복식분무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동으로 바닥마감재를 판상으로 형성하게 할 뿐만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여러개의 조성물이 동시에 분사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표현한다.
콤프레셔에서 압축된 공기가 콤프레셔 연결부(8)를 거쳐 손잡이(9)에 설치된 공기의 분출을 조절하는 밸브버튼의 작동으로 분무장치의 몸체(5)속을 지나 분무장치의 토출부(4)의 선단에 설치된 공기통로(10)로 분사된다. 이렇게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배출캡(12)의 배출구(11)로 배출될 때 다수의 호오스 연결관(6)으로 공급된 다양한 재료가 토출부(4)의 측면에 형성된 공급통로(3)를 통해 분무장치의 토출부(4)와 배출캡(12)사이의 내부공간에서 배합되어 압축 공기와 함께 배출구(11)로 분무되는 것이다.
즉, 다양한 재료들이 각각 준비된 별도의 분무통에서 상기 호오스 연결관(6)에 연결된 호오스를 통해 분사시킬 재료를 분사기구의 몸체(5)로 공급하면, 상기 원추형 토출부(4)와 배출캡(12) 사이의 내부공간에서 각 재료들을 서로 합쳐서 적절한 배합상태를 이루게 하고, 이것을 상기 손잡이(9)의 콤프레셔 연결부(8)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동시에 분사시킴으로써 바닥마감재의 독특한 무늬와 다양한 색상을 표현해 주게 된다.
상기 복식분무장치는 바닥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무단계에 사용된다.
상기 바닥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규사, 세라믹 샌드, 고강도 시멘트, 무정형 실리카,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색소안료, 메틸셀룰로오스계 증점제, 금속비누계 기포방지제, 감수제 및 물을 배합하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분무장치제 투입하여 평판에 분무시키는 단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상기 조성물층에 투명상도제를 도포하는 단계;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물 준비단계는 일정비율로 조성물을 고르게 배합하여 주면 되고,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색소안료를 달리하여 여러개의 조성물을 준비해 두면 된다.
상기의 분무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준비된 조성물을 복식 분무장치의 각 분무통에 구분하여 투입하여 수평으로 고정된 평판에 동시에 소정의 두께로 분사시켜 주는 공정인데, 여기에서 상기 평판은 평활한 유리판을 사용하면 적당하고, 유리판의 표면에 얇은 비닐을 깔고 분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건조단계는 통풍이 잘되고 건조한 장소에서 충분히 건조시켜 주면 된다. 상기의 투명상도제 도포단계는, 아크릴 수지 40 - 60 중량%, 용제 39 - 59 중량% 및 기포방지제 0.05 - 2.0 중량%로 구성된 투명상도제를 통상의 분무기구로 분사하여 주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식분무장치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여러개의 조성물을 동시에 분사되게 함으로써, 천연대리석과 같은 외관은 물론 다채로운 무늬를 갖는 바닥마감재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Claims (1)

  1. 내부에 다수개의 공급 통로(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한쪽 단부에 원추형의 토출부(4)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5)에서, 다른 쪽 단부에는 상기 공급통로(3)와 통하는 호오스 연결관(6)이 일체 결합되는 한편, 몸체(5)의 측면에는 밸브버턴(7) 및 콤프레셔 연결부(8)가 구비된 손잡이(9)가 일체 결합되어지되, 상기 콤프레셔 연결부(8)에서 상기 토출부(4) 선단까지 콤프레셔의 압축 공기가 통하게 되는 공기통로(10)가 형성되며, 또한 배출구(11)가 구비된 원추형 배출캡(12)이 상기 몸체(5)의 토출부(4) 쪽으로 나사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분무장치.
KR1019970029422A 1994-11-10 1997-06-30 복식분무장치 KR10019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422A KR100197359B1 (ko) 1994-11-10 1997-06-30 복식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452A KR0120614B1 (ko) 1994-11-10 1994-11-10 건축구조물의 바닥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0029422A KR100197359B1 (ko) 1994-11-10 1997-06-30 복식분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452A Division KR0120614B1 (ko) 1994-11-10 1994-11-10 건축구조물의 바닥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7359B1 true KR100197359B1 (ko) 1999-06-15

Family

ID=193975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452A KR0120614B1 (ko) 1994-11-10 1994-11-10 건축구조물의 바닥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0029421A KR0127242B1 (ko) 1994-11-10 1997-06-30 바닥마감재 부착용 접착제(Floor covering adhesive)
KR1019970029422A KR100197359B1 (ko) 1994-11-10 1997-06-30 복식분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452A KR0120614B1 (ko) 1994-11-10 1994-11-10 건축구조물의 바닥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0029421A KR0127242B1 (ko) 1994-11-10 1997-06-30 바닥마감재 부착용 접착제(Floor covering adhes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0120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6690A (zh) * 2016-08-25 2016-11-09 道晟拉链科技(太仓)有限公司 一种拉链齿喷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264B1 (ko) * 2000-08-04 2003-03-29 (주) 이스코 발포폴리스티렌 표면강화용 플라스터
KR100476104B1 (ko) * 2001-08-16 2005-03-17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고성능 타일 시멘트
KR100436208B1 (ko) * 2001-11-02 2004-06-16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통기성 기능을 갖는 발수 마감재
KR101246710B1 (ko) * 2010-08-23 2013-03-25 이미화 몰탈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6690A (zh) * 2016-08-25 2016-11-09 道晟拉链科技(太仓)有限公司 一种拉链齿喷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0614B1 (ko) 1997-10-27
KR960017557A (ko) 1996-06-17
KR0127242B1 (ko) 199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29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ornamental concrete surface
US5942072A (en) Process of making a decorative resilient floor covering
US5927034A (en) Flexible cement textured building tile and tile manufacturing process
KR100197359B1 (ko) 복식분무장치
JP2832424B2 (ja) 御影石調の多彩模様形成用の塗材とこれに用いる樹脂フレーク
US4959250A (en) Simulated marble
CN1903954A (zh) 复层仿岩壁外墙涂料及其涂装工艺
JPS635791Y2 (ko)
CN105350775B (zh) 一种仿石材干挂效果的建筑外墙装饰的施工工艺
CN109162417A (zh) 一种仿石多彩涂层及其制作方法
US20050186362A1 (en) Weathered ston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239074A (en) Process of coating surfaces.
JP2002106140A (ja) 建築物用壁装体及び建築物の吹き付け塗装方法
CN107366399B (zh) 一种无机壁材墙艺配料及其使用方法
US20030194502A1 (en) Process for coating a concrete surface
KR100276211B1 (ko) 천연 화강석 질감의 고강도 색조 바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254968Y1 (ko) 인조 대리석
CN108457389A (zh) 一种外墙用柔美软石成品贴的施工工艺
KR0165096B1 (ko) 유리 대리석 제조 방법
JPH0338346A (ja) 防水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防水化粧シート複合パネル
JP2003103213A (ja) 模様付けローラーの製造方法、模様付け用塗材および石調模様の彩描方法
CN1453442A (zh) 一套建筑外墙装饰新工艺
CN1332300A (zh) 一种墙体装饰板及其制作工艺
KR100514766B1 (ko) 벽바름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540507Y2 (ja) 天然石調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