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085B1 -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085B1
KR100195085B1 KR1019940017601A KR19940017601A KR100195085B1 KR 100195085 B1 KR100195085 B1 KR 100195085B1 KR 1019940017601 A KR1019940017601 A KR 1019940017601A KR 19940017601 A KR19940017601 A KR 19940017601A KR 100195085 B1 KR100195085 B1 KR 10019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channel
mod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559A (ko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4001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085B1/ko
Publication of KR96000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고화질 텔레비젼 신호와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디지탈 신호처리 장치의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타 기록 밀도가 높은 고화질 텔레비젼의 다수개의 채널신호와 연결 가능한 복수개의 디지탈 신호처리 장치의 신호를 모드에 따라 채널별로 신호처리하여 자기 기록하는 기록계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고 이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기록된 모드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재생계로 구성됨으로써, 고화질 텔레비젼 신호와 다수개의 연결 가능한 디지탈 신호처리 장치의 신호를 동시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기록 밀도가 상이한 신호를 모드별로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를 나타내는 실시예.
제2도는 제1도의 신호처리계의 상세 블럭도.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실시예.
제4도는 제3도의 신호 처리계의 상세 블럭도.
제5도는 4개의 채널을 갖는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되는 패턴도.
제6도는 제5도의 패턴으로 기록되는 고화질 텔레비젼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택부 12 : 모드 설정부
14, 32, 34, 36, 38 : 멀티플렉서 16 : A/D 컨버터
18 : 채널분리기 20, 150 : 버핑부
22, 24, 26, 28, 152, 154, 156, 158 : 버퍼 30 : 모드별 스위칭부
40 : 신호처리계 42, 44, 46, 48 : 신호처리부
50 : 기록계 52, 54, 56, 58 : 기록부
60 : 입력 지연 조정부 62 : 동기신호 분리부
64 : 리세트 신호 발생기 66, 206 : 마스터 카운터
68 : 데이타 제어부 70 : 채널 제어신호 발생부
72 : 클럭 발생부 74 : 위상 동기회로
76, 80, 212, 216 : 래치 78, 214 : 메모리
82 : 보조 데이타 삽입부 84 : 변조부
100 : 재생계 102, 104, 106, 108 : 재생부
110 : 신호처리계 112, 114, 116, 118 : 신호처리부
120 : 모드 검출부 130 : 출력선택부
140 : 채널 믹서 160 : D/A 컨버터
이 발명은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타 기록 밀도가 상이한 고화질 텔레비젼 신호와 다수개의 디지탈 신호처리장치의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모드별로 기록 및 재생 가능한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데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는 신호처리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탈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에는 비데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가 신호원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됨에 따라 이 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하였었다. 그러나 최근 신호의 디지탈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비데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는 디지탈 신호로 전송되거나 기록된다.
특히 고화질, 고품위 고선명도를 갖는 텔레비젼의 경우에는 비데오에 대한 데이타의 량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고화질 텔레비젼(High Definition Televion: 통칭 'HD TV'라 함)의 비데오 신호를 기록시에는 데이타 기록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에 형성되는 트랙이 일반 텔레비젼 신호의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는 것과 상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데이타 기록 밀도가 상이한 일반 비데오 신호와 HD 텔레비젼의 비데오 신호를 호환성 있게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없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다수개의 디지탈 신호원을 연결시켜서 이들 디지탈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동시에 다중으로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고화질 텔레비젼 신호와 기록 밀도가 상이한 다수개의 방송신호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의 특징은,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제어신호 출력수단과;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영역이 다른 다수개의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채널 분리수단과; 상기 채널 분리수단의 채널별로 분리 출력되는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와 상기 분리된 채널수에 대응하여 입력 가능한 특정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한 후 각 채널별로 출력하는 모드별 스위칭 수단과; 상기 모드별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를 채널별로 상기 모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변형시키고 보조 데이타를 삽입한 후 변조시켜서 채널별 순서로 출력하는 신호처리 수단과; 상기 신호처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와 다수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중 모드에 따라 해당 신호를 채널별로 기록하는 점에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상기 모드별 스위칭 수단의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데이타를 변형하여 보조 데이타를 삽입하고 변조시켜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가 채널수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이 때 상기 신호처리부는; 입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하고 저장한 후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리세트 신호 출력수단의 리세트 신호를 참조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모드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모드별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클럭신호 제공수단과; 상기 리세트 신호 출력수단의 리세트 신호로서 세팅된 후 상기 클럭신호 제공수단의 클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하여 모드에 따른 상기 메모리 수단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모드에 해당하는 보조 데이타와 보조 데이타 삽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타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상기 데이타 제어수단의 보조 데이타를 삽입한 후 변조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의 특징은, 자기 테이프 상에 채널별로 구분 기록된 신호를 채널별로 재생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의 재생 출력신호를 채널별로 복조 저장 출력하고,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이용하여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하며, 모드에 따른 채널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 수단과; 상기 신호처리 수단으로부터 검출 출력되는 보조 데이타로서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신호처리 수단에서 모드에 따른 채널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검출수단과; 상기 신호처리 수단으로부터 복조 저장 출력되는 채널별 신호 출력방향을 상기 신호처리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제어신호에 의하여 결정하여 채널별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선택 수단과; 상기 출력 선택 수단으로부터 채널별로 출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믹서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비데오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출력 선택 수단으로부터 채널별로 출력되는 신호를 특정 채널별로 버핑한 후 연결 가능한 기기에 각각 출력하는 외부 출력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자기 테이프에 다중 기록된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모드별로 재생하는 점에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재생 출력되는 상기 채널별 신호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신호처리부로 구성되고, 이 때 각 신호처리부는 상기 재생수단에서 재생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 출력하는 복조 출력수단과; 상기 복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한 후 출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복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여 상기 모드 검출수단으로 출력하는 보조 데이타 검출 수단과; 상기 모드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채널별 스위칭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 선택 수단으로 출력하는 채널 제어수단과; 상기 보조 데이타 검출수단에서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이용하여 게이트 펄스에 제공하는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저장 및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 제어수단과; 상기 모드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타 제어수단의 동작 수행을 위한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발생수단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도와 제2도 그리고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자기 테이프에 디지탈 신호를 모드별로 기록하기 위한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 후 제3도와 제4도 그리고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기록된 신호의 모드별 재생을 위한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도와 제3도의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HD 텔레비젼 신호 입력원과 최소한 하나 이상의 디지탈 비데오 신호 입력원이 연결된 상태이다. 여기서 디지탈 HD 텔레비젼 신호를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라 하고 기타 다른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라 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의 실시예이고, 제2도는 신호처리계의 상세 블럭도이다.
디지탈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다중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1도는 입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키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10)의 출력신호가 모드 설정부(12)로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선택부(10)의 다른 출력신호가 멀티플렉서(14)의 제어신호 입력단(SEL)으로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멀티플렉서(14)의 입력단(A)에는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며 입력단(B)에는 아날로그 HD 텔레비젼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이하 'A/D 컨버터'라 함)(16)를 통하여 컨버팅된 디지탈 신호로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때, HD 텔레비젼 신호방식은 아날로그와 디지탈 두가지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컨버팅 한 후 멀티플렉서(14)에 인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멀티플렉서(14)의 출력단(Y)에 연결된 채널 분리기(16)는 데이타 밀도를 낮춤으로써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병렬 처리할 수 있도록 헤드 드럼에 취부된 헤드의 갯수와 동일한 채널수로 분할한다. 그리고 버핑부(20)는 헤드 드럼에 취부된 헤드의 갯수와 동일한 수의 버퍼(22,24,26,28)를 갖고, 이들 버퍼(22,24,26,28)의 입력측으로는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연결 가능한 디지탈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가 각각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드별 스위칭부(30)는 채널 분리기(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버핑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를 모두 설정부(12)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내부적으로 다수개의 채널별 멀티플렉서(32,34,36,38)가 구성되어 있어서 채널분리기(18)로부터 출력되는 각 채널(CH0~CH3) 신호가 각각 해당 멀티플렉서(32,34,36,38)의 입력단(A)에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버핑부(20)의 각 버퍼(22,24,26,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각각 해당 멀티 플렉서(32,34,36,38)의 입력단(B)에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멀티플렉서(32, 34, 36, 38)의 제어신호 입력단(SEL)에는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각각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계(40)는 모드별 스위칭부(30)의 각 멀티플렉서(32,34,36,38)의 출력단(Y)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신호가 각 채널별 신호 처리부(42,44,46,48)에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기록계(50)는 신호처리계(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각 기록부(52,54,56,58)에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5도와 같이 채널별 신호가 기록된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모드에 따라 제5도와 같이 자기 테이프 상 신호 기록에 대하여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인 HD 텔레비젼 비데오 신호는 일반적으로 제5도와 같이 기록된다. 이 때 채널의 수는 도시되지 않은 헤드 드럼에 취부된 헤드의 수에 연관되며 몇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가는 채널수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모드 설정에 의하여 4개의 헤드를 가진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주 디지탈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자 한다면, 제6도와 같이 HD 텔레비젼 스크린 영역이 4분할되고, 각 분할된 영역이 채널별로 할당된다.
도시되지 않은 헤드 드럼의 헤드가 자기 테이프를 지나갈 때 CH0의 영역은 CH0에 해당하는 헤드에 의하여 기록되고, CH1의 영역은 CH1에 해당하는 헤드에 의하여 기록되며, CH2의 영역은 CH2에 해당하는 헤드에 의하여 기록되고, CH3의 영역은 CH3에 해당하는 헤드에 의하여 기록된다.
따라서, HD 텔레비젼 스크린 영역이 제6도와 같이 분할된 경우 자기 테이프의 트랙에 기록되는 순서는 CH0 영역의 제1수평 라인, CH1 영역의 제1수평 라인, CH2 영역의 제1수평 라인, CH3 영역의 제1수평 라인, CH0 영역의 제2수평라인, CH1 영역의 제2 수평 라인등과 같이 된다.
또한 모드 설정에 의하여 4개의 헤드를 가진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채널수와 동일한 4개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4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다중으로 기록하고자 한다면, 하나의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는 특정한 채널로만 기록된다.
즉,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1은 CH0에 의해서 기록되고,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2는 CH1에 의해서 기록되며,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3은 CH2에 의해서 기록되고,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4는 CH3에 의해서 기록된다.
이 때 CH1에만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2가 입력된다면 나머지 CH0, CH2, CH3에 의하여 데이타가 저장되는 자기 테이프의 트랙에는 데이타가 저장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채널의 수에 따라 최대 연결 가능한 신호원 수가 좌우된다.
이와 같이 모드에 따라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 또는 다중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기록 동작을 제1도 구성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선택부(10)를 조작함에 따라 설정 가능한 모드로는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되는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모드와, 다수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부(10)을 조작함에 따라 멀티플렉서(14)는 제어신호 입력단(SEL)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두 입력신호 즉 디지탈 HD 텔레비젼 신호와 아날로그 HD 텔레비젼 신호중 하나를 채널분리기(18)로 출력한다. 이 때 아날로그 HD 텔레비젼 신호는 A/D 컨버터(16)에서 디지탈로 컨버팅된 후 멀티플렉서(14)로 입력된다.
한편, 채널분리기(18)에 입력된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는 헤드 드럼에 취부된 헤드의 갯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채널로 신호를 분리한다.
채널분리기(18)에 의하여 4개의 채널(CH0~CH3)로 분리된 각 채널 신호가 모드별 스위칭부(30)의 각 멀티플렉서(32,34,36,38)의 입력단(A)에 인가되고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1~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4가 버핑부(20)의 각 버퍼(22,24,26,28)를 통하여 모드별 스위칭부(30)의 각 채널별 멀티플렉서(32,34,36,38)의 입력단(B)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가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면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멀티플렉서(32,34,36,38)의 입력단(A)에 입력된 채널분리기(18)의 출력신호가 신호처리부(40)로 입력되고, 반면에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가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면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멀티플렉서(32,34,36,38)의 입력단(B)에 입력된 버핑부(20)의 출력신호가 신호처리부(40)로 입력된다.
이러한 선택동작에 따른 모드별 스위칭부(30)의 출력신호가 신호처리계(40)에서 신호처리된 후 기록계(50)에서 기록된다. 이 때 신호처리동작과 기록 동작은 각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모드별 스위칭부(30)에서 선택되어 멀티플렉서(32,34,36,38)로부터 출력되는 각채널별 신호가 해당 신호처리부(42)로 입력되고, 신호처리부(42)는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신호처리부(4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2도에 나타나 있다.
제2도는 모드별 스위칭부(30)의 출력신호가 입력 지연 조정부(60)와 동기신호 분리부(62)에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동기신호 분리부(62)의 분리된 동기신호가 리세트 신호 발생기(64)에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리세트 신호 발생기(64)는 리세트 신호를 마스터 카운터(66)와 데이타 제어부(68)에 기준신호로서 입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마스터 카운터(66)의 카운팅 신호가 채널 제어신호 발생부(70)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채널 제어신호 발생부(70)는 모드 설정부(12)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채널별 데이타를 데이타 제어부(68)에 입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모드 설정부(12)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클럭발생부(72)는 위상동기회로(74)와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클럭 신호(FR1,FW1)를 데이타 제어부(68)에 입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타 제어부(68)는 래치(76)와 메모리(78)와 래치(80)에 래칭 제어신호와 리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각각 제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타 삽입부(82)에 모드에 관련된 정보인 보조 데이타와 그 데이타를 삽입하기 위한 데이타 삽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입력 지연 조정부(60)의 출력 데이타를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제공되는 래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칭시키는 래치(76)는 그 출력 데이타가 메모리(78)에 저장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메모리(78)는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제공되는 리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에 의하여 래치(76)의 출력 데이타의 저장 및 저장 데이타의 래치(80) 출력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래치(80)는 입력 데이타를 데이타 제어부(68)의 래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칭 후 데이타 삽입부(82)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데이타 삽입부(82)의 출력측에 연결된 변조부(84)는 그 출력신호를 해당 채널별 기록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도의 모드별 스위칭부(30)의 각 채널별 멀티플렉서(32,34,36,38)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비데오 신호가 입력 조정부(60)와 동기신호 분리부(62)로 입력되면, 동기신호 분리부(62)에서는 입력된 비데오 신호상의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리세트 신호 발생기(64)로 출력한다. 리세트 신호 발생기(64)는 입력되는 동기신호를 트리거하여 리세트 신호로서 출력하고, 이와같이 발생되는 신호는 마스터 카운터(66)와 데이타 제어부(68)의 동작을 리세트 시키기 위한 기준 신호로서 입려고딘다.
마스터 카운터(66)는 리세트 신호 입력시마다 초기값으로 리세트 되어 카운트 동작을 수행하고 그 카운트 결과에 해당하는 값을 채널 제어신발생부(70)로 출력한다.
그러면, 채널 제어신호 발생부(70)는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신호를 참조하여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인 경우에는 데이타 제어부(68)에서 데이타 기록 밀도에 따른 변환동작이 불필요하므로 메모리(78)에 데이타를 리드(Read)시키기 위한 인에이블(Enable) 구간과 메모리(78)의 데이타를 라이트(Write)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구간이 한 프레임(Frame) 또는 한 필드(Field) 전 구간에서 동일한 신호가 되면 반면에 다수개의 디지탈 신호원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입력되는 신호와 기록 데이타의 양이 상이하여 데이타 구간을 상이하게 변환시켜야 되므로 라이트 인에이블 및 리드 인에이블 구간을 서로 다르게 발생시킨다.
한편,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클럭 발생부(72)는 현재 모드에 따른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FR1,FW1)를 발생시키고 위상동기회로(74)에 의하여 위상을 동기시킨 후 데이타 제어부(68)로 제공한다.
데이타 제어부(68)는 리세트 신호와 클럭신호(FR1,FW1)를 참조하고 채널 제어신호 발생부(7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하여 채널별로 상이한 데이타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래치(76)와 메모리(78)와 래치(80)에 래칭 제어신호와 리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 모드에 맞도록 재생하기 위한 정보로서 보조 데이타를 보조 데이타 삽입부(82)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 보조 데이타가 보조 데이타 삽입부(82)에서 삽입되기 위한 데이타 삽입 제어신호를 보조 데이타 삽입부(82)로 더불어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우선 저장 수단인 입력 지연 조정부(60), 래치(76), 메모리(78), 래치(80)의 연관적인 데이타 리드 및 라이트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 지연 조정부(80)는 입력된 신호에 대해서 메모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타 제어부(68)과의 지연 시간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회로적으로 소정의 지연시간을 갖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입력 지연 조정부(60)로부터 소정 시간을 갖고 지연 출력되는 신호는 래치(76)에서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제공되는 래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칭된 후 메모리(78)로 라이트된다.
메모리(78)는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라이트 제어신호와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가 제공되면 래치(7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리드 제어 신호와 입출력 어드레스가 제공되면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하여 래치(80)로 출력한다.
그리고, 래치(80)는 메모리(78)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제공되는 래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칭한 후 보조 데이타 삽입부(82)로 출력한다.
보조 데이타 삽입부(82)는 데이타 제어부(68)로부터 출력되는 보조 데이타를 데이타 삽입 제어신호에 의하여 특정 영역에 삽입시킨다. 이때 보조 데이타는 1필드 또는 1프레임내 어느 곳에 위치시켜도 상관없다.
변조부(84)는 보조데이타가 삽입되어 출력되는 보조 데이타 삽입부(82)의 출력신호를 변조한 후 제1도 기록계(50)의 해당 채널 기록부로 출력한다.
이와같이 제2도에서와 같은 신호처리과정을 거친 후 출력되는 신호는 기록계(50)에서 채널별로 제5도와 같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다중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제3도와 제4도와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다중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의 실시예이다.
제3도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계(100)는 채널별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재생부(102,104,106,108)를 구비하여 있고, 재생부(102,104,106,108)의 재생신호가 신호처리계(110)의 각 채널별 신호처리부(112,114,116,118)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는 도시되지 않은 헤드드럼으로부터 제공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이용하여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여 모드 검출부(120)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모드 검출부(120)는 입력된 보조 데이타에 의하여 채널 제어 동작을 하기 위한 신호를 신호처리계(110)의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130)는 신호처리계(110)의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에서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채널 믹서(140)와 버핑부(150)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채널 믹서(140)는 스위치(130)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D/A 컨버터(160)를 통하여 주 아날로그 비데오 신호를 처리하기위한 도시되지 않은 신호원 및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신호원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버핑부(150)의 각 버퍼(152,154,156,158)는 스위치(13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각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원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재생계(100)의 각 재생부(102,104,106,108)는 해당 채널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신호처리계(110)의 신호처리부(112,114,116,118)로 출력한다.
신호처리계(110)의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는 도시되지 않은 헤드 드럼으로부터 인가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이용하여 채널별로 재생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에서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조 데이타를 모드 검출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헤드 스위칭 펄스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헤드를 인에이블 시키도록 제공되는 펄스이다.
모드 검출부(120)는 입력된 보조 데이타로서 모드를 검출하여 신호처리계(110)의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에 입력하고, 각 신호 처리부(112,114,116,118)는 검출된 모드에 따라 신호 처리된 디지탈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 선택부(130)에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계(110)의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출력 선택부(130)는 신호처리계(110)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제어신호에 의하여 모드별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의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각 채널별 디지탈 신호를 채널 믹서(140)로 출력하고,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의 다중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버핑부(150)의 각 버퍼(152,154,156,158)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채널 믹서(140)는 입력되는 각 채널별 신호를 믹싱하여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HD 텔레비젼으로 출력하거나 디지탈 신호를 D/A 컨버터(160)로써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주 아날로그 비데오 신호를 HD 텔레비젼으로 출력하고, 버핑부(150)는 각 버퍼(152,154,156,158)를 통과하는 신호를 버퍼에 연결된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원들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계(110)의 각 신호 처리부(112,114,116,118)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신호처리부(112)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의 신호처리부(112)는 재생 입력되는 채널 0의 재생신호를 복조 출력하는 복조부(200)에 소정 시간 지연 동작을 수행하는 지연 조정부(2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지연 조정부(202)에는 입력 신호중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는 보조 데이타 검출부(204)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은 헤드드럼으로부터 제공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를 리세트 신호로서 소정 시간 카운트 동작을 수행하는 마스터 카운터(206)는 게이트 펄스 발생부(208)에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 펄스 발생부(208)는 소정 카운트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소정 구간을 갖는 게이트 펄스를 보조 데이타 검출부(204)에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데이타 검출부(204)는 입력되는 지연 조정부(202)의 신호와 게이트 펄스 발생부(208)의 게이트 펄스에 의하여 검출된 보조 데이타를 모드 검출부(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모드 검출부(120)는 신호처리부(112)의 채널 제어부(210)로 모드를 검출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널 제어부(210) 모드 검출에 따른 채널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 선택부(130)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직렬로 구성된 래치(212)와 메모리(214)와 래치(216)는 지연 조정부(202)의 출력신호를 출력 선택부(130)로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들 래치(212)와 메모리(214)와 래치(216)는 데이타 제어부(218)로부터 제공되는 래칭 제어신호와 리드/라이트 제어신호 및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타 제어부(218)는 클럭 발생부(220)에서 발생된 클럭신호에 의하여 리드 또는 라이트 제어신호와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클럭 발생부(220)에서 발생되는 클럭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키기 위한 위상 동기회로(222)가 클럭 발생부(22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클럭 발생부(220)는 모드에 따른 소정 주파수의 클럭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 검출부(12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계(110)내의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의 동작을 재생부(102)로부터 채널0의 재생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처리부(112)로서 설명한다.
재생신호가 재생부(102)로부터 입력되면 복조부(200)는 입력되는 재생신호를 복조한 후 지연 조정부(202)로 출력한다. 지연 조정부(202)는 데이타 제어부(218)로부터 제어신호 출력과 비데오 데이타의 딜레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시간 지연후 래치(212)와 보조 데이타 검출부(204)로 출력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헤드드럼으로부터 제공되는 헤드 스위칭 펄스가 마스터 카운터(206)로 입력되면, 마스터 카운터(206)는 헤드 스위칭 펄스를 기준 리세트 신호로하여 소정 시간 카운트 동작을 하고 그 카운트 결과에 대한 신호를 게이트 펄스 발생부(208)로 출력한다. 게이트 펄스 발생부(208)는 미리 성정된 카운터 값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펄스 폭을 갖는 게이트 펄스를 발생시켜서 보조 데이타 검출부(204)로 출력한다. 이 때 게이트 펄스는 재생된 비데오 신호에 삽입된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보조 데이타 검출부(204)는 게이트 펄스를 이용하여 특정 구간에 삽입된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여 모드 검출부(120)로 출력하고, 모드 검출부(120)는 입력된 보조 데이타를 이용하여 현재 모드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채널 제어부(210)와 클럭 발생부(220)로 출력한다.
채널 제어부(21)는 모드 검출부(120)로부터의 입력 신호로서 현재 모드에 해당하는 채널별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 선택부(130)로 출력하고, 클럭 발생부(220)는 모드 검출부(120)로부터의 입력신호로서 현재 모드에 맞는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발생한 후 위상 동기회로(222)와의 신호 인터페이싱에 의하여 발생된 클럭 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키고 클럭신호(FR2,FW2)를 데이타 제어부(218)로 출력한다.
데이타 제어부(218)는 클럭 발생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FR2,FW2)가 입력됨에 의하여 래치(212)와 래치(216)에 래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214)에 리드/라이트 제어신호와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지연 조정부(202)에서 지연 출력되는 신호가 래칭 제어신호에 의하여 래치(212)에서 래칭된다. 래칭된 신호는 데이타 제어부(218)에서 리드 제어신호와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가 메모리(214)로 제공되면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된다.
이와같이 저장된 신호는 메모리(214)에 데이타 제어부(218)에서 라이트 제어신호와 입출력 어드레스 신호가 제공되면 래치(216)로 출력되고, 데이타 제어부(218)에서 래칭 제어신호가 래치(216)에 제공되면 래칭된 신호는 출력 선택부(130)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채널별(CH0,CH1,CH2,CH3)로 각 신호처리부(112,114,116,118)에서 치리된 신호는 출력 선택부(130)로 출력한다. 이 때 재생된 신호가 모드 검출부에서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 모드라면 이 신호는 출력 선택부(130)에서 채널 믹서(140)로 출력되고, 재생된 신호가 다중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모드라면 이들 채널별 다수의 신호는 버핑부(150)의 각 버퍼(152,154,156,158)를 경유하여 해당 디지탈 신호처리 장치로 입력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데이타 기록 밀도가 높은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와 기록 밀도가 낮은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호환성있게 기록할 수 있고, 또 기록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 즉 HD 텔레비젼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에 디지탈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다수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처리 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의하면,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와 데이타 기록 밀도가 상이한 다수개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채널별로 특정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기록시 모드에 따라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원 또는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원으로 출력하므로, 채널 수에 해당하는 수의 부 디지탈 비데오 신호 처리 장치를 연결하여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이비젼모드와 표준모드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제어신호 출력수단과, 드럼에 취부된 헤드의 개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영역으로 주 디지탈 비데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채널을 분리하는 채널분리수단; 상기 채널분리수단에서 분리출력된 주 디지탈비데오신호와, 상기 분리된 채널수에 대응하여 입력가능한 부 디지탈비데오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채널별 스위칭수단; 상기 채널별 스위칭수단과 각각 대응하여, 상기 채널별 스위칭수단에서 출력된 채널별 데이타를 변형시키고, 보조데이타를 삽입한 후, 변조시켜 채널별 순서로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과 각각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자기테이프 상에 채널별로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하여, 주 디지탈비데오신호와 다수개의 부 디지탈비데오신호를 선택된 모드에 따라 채널별로 기록하는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분리수단은 아날로그 상태의 입력신호를 제1 주디지탈비데오신호로 컨버팅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의 제1 주디지탈비데오신호와 디지탈상태로 입력되는 제2 주디지탈비데오신호를 상기 모드 제어신호 출력수단의 모드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될 영역이 상이한 다수개의 채널로 분리하는 채널분리기로 구성되는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입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하고 저장한 후, 출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리세트 신호 출력수단의 리세트 신호를 참조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모드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모드별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클럭신호 제공수단과; 상기 리세트 신호 출력수단의 리세트 신호로서 세팅된 후 상기 클럭신호 제공수단의 클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하여 모드에 따른 상기 메모리수단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모드에 해당하는 보조데이타와 보조데이타 삽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타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상기 데이타 제어수단의 보조데이타를 삽입한 후 변조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
  4. 자기 테이프 상에 채널별로 구분 기록된 신호를 채널별로 재생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채널별 신호의 수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재생출력신호를 채널별로 복조 저장 출력하고, 헤드 스위칭펄스를 이용하여 보조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하며, 모드에 따른 채널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검출 출력되는 보조 데이타로서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에서 모드에 따른 채널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검출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복조 저장 출력되는 채널별 신호출력방향을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의하여 결정하여 채널별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선택수단과; 상기 출력선택수단으로부터 채널별로 출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믹서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비데오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출력 선택수단으로부터 채널별로 출력되는 신호를 특정채널별로 버핑한 후 연결가능한 기기에 각각 출력하는 외부 출력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자기 테이프에 다중 기록된 디지탈 비데오신호를 모드별로 재생하는 다중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재생수단에서 재생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 출력하는 복조 출력수단과; 상기 복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한 후 출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복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보조데이타를 검출하여 상기 모드 검출수단으로 출력하는 보조 데이타 검출수단과; 상기 모드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채널별 스위칭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 선택수단으로 출력하는 채널 제어수단과; 상기 보조 데이타 검출수단에서 보조 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헤드 스위칭 펄스를 이용하여 게이트펄스를 제공하는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저장 및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 제어수단과; 상기 모드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타 제어수단의 동작 수행을 위한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중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
KR1019940017601A 1994-07-21 1994-07-21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19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601A KR100195085B1 (ko) 1994-07-21 1994-07-21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601A KR100195085B1 (ko) 1994-07-21 1994-07-21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559A KR960005559A (ko) 1996-02-23
KR100195085B1 true KR100195085B1 (ko) 1999-06-15

Family

ID=1938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601A KR100195085B1 (ko) 1994-07-21 1994-07-21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36B1 (ko) * 2005-11-21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44246B1 (ko) * 2005-12-28 2007-07-3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559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92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having multi-language capabilities
US5537216A (en) Circuit for including a copy-inhibit signal with a video signal
JP3884431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ストリームを記録して再生する装置及び方法
KR950011655B1 (ko) 방송방식명 표시장치
KR930000956B1 (ko) 복수개의 비데오신호 기록 및 재생 제어장치
GB2255437A (en) Video recorder with temporary storage device allowing for tape replacement
US4361852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video signal with buried audio signal
US5191437A (en) Digital image signal playback circuit for combining two channel parallel picture data into a single channel
KR920015344A (ko) 트리플 데크 녹화및 재생시스템
US6240245B1 (e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for various formats
KR100195085B1 (ko) 다중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
US4734792A (en) Record address data recor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VTR or the like
US4706134A (en) Playback unit for still pictures with sound
EP0631437B1 (en) System for recording teletext data
US5400148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eries connected timing control circuits
EP0704840B1 (en) Tape dubbing and copy guard signal ins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6226042B1 (en) Color encoder
US5264920A (en) Word rate conversion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or circuit for processing digital component video signals sampled by different sampling frequencies
KR940008491B1 (ko) 브이씨알의 재생방식 판별신호 삽입 및 검출장치
JPS60111369A (ja) 記録再生装置
KR100216913B1 (ko) 텔레비전의 외부신호모드판별에 따른 영상레벨제어장치
KR0153989B1 (ko) 브이씨알의 이중기록재생장치
KR900001590B1 (ko) 브이 씨 알의 자동모드 절환회로
KR0157556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트랙구분신호 생성장치
KR0132228Y1 (ko) 노이즈 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