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002B1 -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002B1
KR100195002B1 KR1019920021309A KR920021309A KR100195002B1 KR 100195002 B1 KR100195002 B1 KR 100195002B1 KR 1019920021309 A KR1019920021309 A KR 1019920021309A KR 920021309 A KR920021309 A KR 920021309A KR 100195002 B1 KR100195002 B1 KR 10019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digital
tone
dtmf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870A (ko
Inventor
이흥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002B1/ko
Publication of KR94001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DTMF 수신기의 복호화 방법은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해당 주파수의 평균 에너지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에너지로부터 로우 및 하이 그룹 주파수의 톤 짝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어진 톤 짝의 에너지가 전체에너지의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클 경우에 해당톤의 숫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고속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디지털용에 적합한 디티엠에프(DTMF) 수신기
제1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DTMF 수신기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DTMF 수신기를 적용한 디지털 키폰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DMA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DTMF 수신기의 부호 제어 수순도.
본 발명은 디지털형의 키폰(Key Phone) 장치, 디지털 교환기, 티미널 어댑터 등의 디지털용에 적합한 DTMF(Dual Tone Muit; Frequency) 수신기(Receiver; Decord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TMF(Dual Tone Muit; Frequency)신호는 로우 주파수(low frequency)와 하이 주파수(high frequency)의 2개를 합성한 신호로서 이루어지며, 이의 디코딩 수신단이 그 주파수에 해당되는 번호를 찾아 CPU등의 제어부에 알려줌에 의해 달성된다.
종래의 DTMF 복호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된 것이 많았으며, 그 동작 구현 과정은 나이키스트(nyquist)음성대역폭으로 제한하기 위한 안티 엘리어싱 필터(anti-aliasing filter;2)를 거쳐 합성주파수를 분리해 내기 위한 로울-그룹(low-group) 및 하이-그룹(high-group)의 밴드 패스필터(4,6)를 통과시킨다. 여기서 상기 필터(4,6)는 아날로그 소자인 스위치드 커패시터(switched capacito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4,6)를 통과한 해당 주파수는 증폭기(8,10), 디지털 검출회로(12), 코드변환기(14)에 의해 에너지 레벨이 체크된 후 실제의 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은 그 기본 소자들이 모두 아날로그 소자이므로 현재와 같은 디지털용의 시스템에 접속시키는데 있어서, 적용 시스템의 안정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며 또한 칩으로 구현시 개발기간 및 수용용량의 제한성으로 인해 다수의 DTMF 복호기로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다 채널 DTMF 디코딩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는 아날로그 방식의 알고리즘의 복잡성에 기인되는데, 디지털용의 교환기 시스템에 적당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DTMF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용에 적합한 DTMF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 채널 DTMF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DTMF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칩에 의해 달성되며, 이의 처리 과정은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해당 주파수의 평균 에너지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에너지로부터 로우 및 하이 그룹 주파수의 톤 짝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어진 톤 짝의 에너지가 전체에너지의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클 경우에 해당 톤의 숫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동작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유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의, 상기의 설명으로써도 명백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세한 설명없이도 충분히 실시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회로 및 그의 기능은 본 발명을 불명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명을 약한다.
먼저,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 방식으로 구성된 본 발명은 다 채널(channel)의 실시간 처리를 위해 고속의 DSP 칩(chip) 및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이루었으며, 모든 알고리즘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였고 또한 DSP 칩과 외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하기 위한 DMA(Direct Memory Access)회로로 이루어져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DTMF수신기를 적용한 디지털 키폰의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상기 키폰에 적용되는 DTMF 복호기 방법의 수행은 키 그룹의 키에 의해 선택되어진 번호는 로우와 하이 주파수의 합으로 발생되며, 그러한 DTMF주파수는 해당 타임 슬롯의 PCM코덱(codec;200)으로 전송되어 A/D변환 및 PCM변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PCM데이터를 다시 DTMF복호화하기 위해서는 13비트 선형 신장기(expansion;300)으로 먼저 변환시킨 후 디코더(400)의 밴드패스필터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되어 진다.
상기 제2도의 DTMF 디코더(400)이 복호화 제어 수순은 제4도의 제400단계에서 p417단계로서 나타난다.
상기의 제4도를 참조하면, 8KHz로 샘플링되어 입력되는 PCM 8비트 데이터는 13비트 선형 데이터로 변환된 다음 본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샘플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우선 초기상태를 정해주어야 하며, 샘플링 시간에 맞추어 DMA 전송으로 DSP 칩에 입력시킨다.
상기 DMA 인터페이스 블록도 및 파형도는 제3도에 나타내었다.
제3a도에서, 3개의 포토어드레스(EA0, EA1, EA2)에 의해 해당포트가 셀렉터(22)에서 선택 출력되며, 상기 PCM데이터를 해당 타임 슬롯의 2.048MHz로 클러킹하여 S/P변환기(20)로써 변환시켜 3b도의 인터럽트에 의해 DTMF주파수는 로우 글부의 각 4개(697Hz, 770HZ, 852HZ, 941HZ)와 하이 그룹의 각 4개(1209HZ, 1336HZ, 1477HZ, 1633HZ)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해당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8개의 밴드패스필터를 통과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BPF는 타원 필터(Elliptic Filter)를 사용하였는데, 이 필터의 규격은 통과대역의 리플(Ripple)이 0.3dB, 중지대역 리플이 26dB, 그리고 통과 차단 주파수와 중지 차단 주파수는 각각 중심 주파수 ±1.5%와 중심주파수 ±3.5%인 2차 IIR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의 주파수에 대한 동작 범위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따라서, 제4도의 각 단계와 같이 필터를 통과한 해당주파수의 평균 에너지를 구한 다음 로우 및 하이 그룹의 톤 짝을 구하며, 여기서 선택된 짝은 전체에너지의 0.95배 보다 커야하므로 작으면 오프타임 구간으로 넘어가고 크면(두 신호와 비교 즉 하이 에너지와 로우 에너지의 차가 7dB보다 크다)실제 톤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해 해당 톤의 숫자가 디코딩 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교할 경우 상기한 본 발명은 DSP 칩을 적용한 디지털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쉽게 에이직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고리즘의 단순화를 통한 다 채널 복호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도시하고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정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DTMF 수신기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해당 주파수의 평균 에너지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에너지로부터 로우 및 하이 그룹 주파수의 톤 짝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어진 톤 짝의 에너지가 전체에너지의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클 경우에 해당톤의 숫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의 미리 설정된 비율이 0.9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021309A 1992-11-13 1992-11-13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KR10019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309A KR100195002B1 (ko) 1992-11-13 1992-11-13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309A KR100195002B1 (ko) 1992-11-13 1992-11-13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870A KR940012870A (ko) 1994-06-24
KR100195002B1 true KR100195002B1 (ko) 1999-06-15

Family

ID=5680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309A KR100195002B1 (ko) 1992-11-13 1992-11-13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0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870A (ko) 199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344A (en) Fixed coefficient high decimation filter
JP3027047B2 (ja) Dtmf信号検出装置及び方法
EP0041536B1 (en) Programmable multifrequency tone receiver
Khorramabadi et al. Baseband filters for IS-95 CDMA receiver applications featuring digital automatic frequency tuning
US4893266A (en) Alias tagging time domain to frequency domain signal converter
JPH0783233B2 (ja) サンプリングされたデータ用バンド・パスろ波方法
RU2117404C1 (ru) Двухтональный многочастотный детектор и способ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двухтонального многочастотного сигнала
CA1238128A (en) Digital multifrequency signal receiver
KR100195002B1 (ko) 디지탈용 적합한 디티엠에프 수신기
US3959603A (en)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receiver/decoder
US3715509A (en) Method and means for providing resolution level selection in a spectrum analyzer
US4395595A (en) Digital pushbutton signalling receiver
JP2004254016A (ja) ハウリング抑制装置
KR0175732B1 (ko) 다채널 오디오 디코더의 역정규화장치 및 그의 역정규화방법
WO1991004552A1 (en) Information compressing device
JPH0630450A (ja) トーンの広帯域検出を改良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228790B1 (ko) 디지탈 키폰 주장치용 콘트롤러
KR960003979B1 (ko) 디지탈신호프로세서 코아를 이용한 디티엠에프(dtmf)수신기
KR930006549B1 (ko) 디지틀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다중채널 r2mfc/dtmf 겸용 수신방법
KR100283388B1 (ko) 교환기에서 가입자 신호 인식방법
Foxall et al. A switched capacitor bandsplit filter using double polysilicon oxide isolated CMOS
RU2022483C1 (ru) Адаптивный демодулятор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Fleischer et al. A single-chip dual-tone and dial-pulse signaling receiver
KR930006544B1 (ko) 디지틀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dtmf 수신방법
JPS61156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