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385B1 -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385B1
KR100194385B1 KR1019970009301A KR19970009301A KR100194385B1 KR 100194385 B1 KR100194385 B1 KR 100194385B1 KR 1019970009301 A KR1019970009301 A KR 1019970009301A KR 19970009301 A KR19970009301 A KR 19970009301A KR 100194385 B1 KR100194385 B1 KR 10019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acuum cleaner
suction
cov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775A (ko
Inventor
김기만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7000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3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38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그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외부의 오물을 강제흡입 집진하는 본체와 본체에서 연장된 공기유로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오물을 최초 흡입안내하는 흡입체를 구비하고, 흡입체에 설치되어 청소부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마련된 램프와 램프를 덮으면서 상기 흡입체의 적소에 설치되는 덮개, 그리고 덮개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램프를 고정지지되는 밑판을 구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는 청소시 청소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명하여 사용자가 청소시 오물을 확인과 청소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설치된 램프의 설치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사용효율과 작동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외부의 청소부위를 조명하도록 설치된 조명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로 발생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흡입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에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집진부를 갖춘 본체(10)를 구비하고, 집진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힌지결합된 뚜껑(11)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구(미부호)에는 이에 결합되는 흡입호스(12)를 구비하고, 집진부에는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봉투가 설치된다. 그리고 흡입호스(12)의 끝단부에는 최초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흡입체(13)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구동부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면 이때 발생한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의 오물이 흡입체(13)를 통하여 안내되어 집진부에 설치된 먼지봉투에 집진되게 되고, 공기는 구동부를 거쳐서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 흡입체(13)에 청소바닥면에 있는 오물이나 먼지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흡입체(13)의 전면중의 흡입유로 부분에 설치홈(15)을 구성하고, 이 설치홈(15)에 램프(16)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에서 설치홈(15)의 전면은 개구되어 이 개구부분으로 램프(16)가 삽설되게 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램프(16)가 설치홈(15)에서 이탈하게 되거나, 외부의 물체가 설치홈(15)으로 침투하여 램프(16)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흡입된 먼지가 설치홈(15)부위에 끼게 되어 조명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며 설치홈(15) 내부에서의 공기유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램프(16)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대로 방열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결합구조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결합부분을 개선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에 내설되는 램프덮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체에 내설되는 램프밑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본체21...뚜껑
22...흡입호스23...흡입체
24...흡입구25...롤러
26...설치홈27...덮개
28...방열구29...밑판
30...램프36...조명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외부의 오물을 강제흡입 집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연장된 공기유로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오물을 최초 흡입안내하는 흡입체, 상기 흡입체에 설치되어 청소부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마련된 램프, 상기 램프를 덮으면서 상기 흡입체의 적소에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지지되는 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그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하여 발생한 흡입력으로 흡입된 오물이 집진되도록 뚜껑(21)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된 집진부가 설치된 진공청소기 본체(20)가 마련되고, 본체(20)의 흡입구(24)에는 흡입호스(22)가 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입호스(22)의 자유단에는 청소부위를 안내하여 청소부위의 오물이 최초 안내되도록 흡입구(24)가 형성된 흡입체(23)가 설치되며, 이 흡입체(23)에는 청소바닥면에서의 구동을 위한 롤러(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체(23)의 내측 전방부에는 설치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홈(26)에는 청소시 청소부위를 조명하는 조명장치가 마련된다.
조명장치는 흡입체(23)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덮개(27)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덮개(27)는 전면과 밑면이 개구되어 있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방열구(2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방열구(28)는 흡입체(23)의 흡입유로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27)의 밑면에는 밑판(29)이 결합된다. 밑판(2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마련되어 이의 중간부에 봉상의 램프(30)와 결합되는 단자(31)가 설치되는 두개의 단자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결합돌기(34)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밑판(29)에서 상측으로 돌출하여 있고, 돌출부위의 바깥부분은 일부절개되어 단자(31)에 접속된 전선이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결합돌기(34)는 두개가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결합돌기(34)의 절개부위의 연장선상에는 각각에 전선안내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7)의 전면개구부에는 판상의 조명창(36)이 설치된다. 조명창(36)은 판상의 투명체로 마련되어 램프(30)에서 발하는 빛을 조명부위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흡입되는 오물등이 덮개(27)내부로 일부흡입되어 이에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조명창(36)은 면상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램프(30)에서 발하는 빛이 확산되어 조명부위로 보다 용이하게 비추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한편 밑판(29)의 단자결합돌기(34)에 결합되는 단자(31)는 판상의 원형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부위의 상부는 절단되어 램프(30)의 접속부위가 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고리의 하부는 상술한 단자결합돌기(34)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리의 하부에서 수직연장된 전선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선접속부는 전선(미도시)의 고정을 위한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의 결합은 먼저 밑판(29)의 단자결합돌기(34)에는 전선(미도시)을 접속한 단자(31)를 설치하며 그리고 설치된 단자(31)의 고리부위에 램프(30)의 접속부를 끼워넣게 된다. 이와 같이 밑판(29)에 램프(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이 밑판(29)을 덮개(27)의 하측부에 끼우게 되면 덮개(27)와 밑판(29)의 결합이 완료되게 되고, 조명창(36)을 덮개(27)의 전면부에 끼우고, 흡입체(23)의 설치홈(26)에 삽입하면 조명장치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조명장치의 결합이 완료된 진공청소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청소바닥면에 흡입체(23)를 접하도록하고, 진공청소기를 가동하게 되면 조명장치는 청소부위를 비추게 된다. 청소부위가 빛에 의하여 비추어지면 청소부위에 있는 먼지 등의 오물은 이 주사된 빛에 의하여 그림자가 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먼지의 존재유무를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청소효율이 보다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램프(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발생열은 진공청소기의 작동으로 덮개(27)의 후반부에 형성되어 흡입구(24)와 연통된 방열구(28)를 통하여 열이 방열되게 되어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는 청소시 청소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명하여 사용자가 청소시 오물의 확인과 청소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설치된 램프의 설치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사용효율과 작동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외부의 오물을 강제흡입 집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연장된 공기유로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오물을 최초 흡입안내하는 흡입체,
    상기 흡입체에 설치되어 청소부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마련된 램프,
    상기 램프를 덮으면서 상기 흡입체의 적소에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지지되는 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단자가 결합되는 단자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면개구부에는 이에 결합되어 램프에서 발산한 빛을 조명부위로 안내하는 조명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19970009301A 1997-03-19 1997-03-19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KR10019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301A KR100194385B1 (ko) 1997-03-19 1997-03-19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301A KR100194385B1 (ko) 1997-03-19 1997-03-19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75A KR19980073775A (ko) 1998-11-05
KR100194385B1 true KR100194385B1 (ko) 1999-06-15

Family

ID=6595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301A KR100194385B1 (ko) 1997-03-19 1997-03-19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3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75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3504A (ko) 진공청소기
US5987697A (en) Vacuum cleaner having a brush lamp
RU2286078C2 (ru) Узел пылесоса с всасывающими каналами и пылесос
SE9702261D0 (sv) Möbelmunstycke
KR100194385B1 (ko)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JP5899427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194386B1 (ko)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PT1062900E (pt) Dispositivo de limpeza por succao
KR101811140B1 (ko) 고정식 배기환류 진공청소기
US20030109854A1 (en) Nasal cleaner
CN210612012U (zh) 手持吸尘器
KR100354391B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설치구조
CN218247068U (zh) 手持吸尘器
CN212816110U (zh) 一种吸尘器附件及具有其的吸尘器
KR200165801Y1 (ko)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WO2021248739A1 (zh) 用于吸尘器的地刷及其吸尘器
CN218186603U (zh) 一种便携式吸尘器
KR200178902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CN214631941U (zh) 一种吸尘器用吸头
KR19990037290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43204Y1 (ko) 램프 부재를 갖는 휴대형 청소기
JP3451896B2 (ja) 電気掃除機
DE59808738D1 (de) Kleinstaubsauger mit Zusatzrohr
SE9900122D0 (sv) Sughuvud för golvdammsugare
SE0100085D0 (sv) Sughuvud för golvdammsug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