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357B1 -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357B1
KR100194357B1 KR1019970018156A KR19970018156A KR100194357B1 KR 100194357 B1 KR100194357 B1 KR 100194357B1 KR 1019970018156 A KR1019970018156 A KR 1019970018156A KR 19970018156 A KR19970018156 A KR 19970018156A KR 100194357 B1 KR100194357 B1 KR 10019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compartment
refrigerat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3021A (ko
Inventor
박형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1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35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35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획벽에 의해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분되고, 상기 냉동실 내에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냉동실로 송풍하는 에프팬과 멀티덕트를 통하여 냉장실로 송풍하는 알팬이 설치된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도어의 개폐와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공기순환통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동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동실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동실 냉기단속수단과,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장실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장실 냉기단속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냉장실은 물론 냉동실의 전면에 수직하방으로 분출되는 에어커튼을 형성할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을 저감하며 고내온도를 정온으로 유지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에어커튼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장실 및 냉장실의 냉기 순환통로를 일체로 설치하고 그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에어커튼팬을 설치하며 냉기순환통로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연동하는 전자댐퍼와 이 전자댐퍼의 내측 냉기순환통로의 사이에 에어커튼팬을 설치하여 냉장실의 전면은 물론 냉기의 유출이 많은 냉동실의 전면에도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신선보존 능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커튼 냉장고는 냉장실 전면 상단에 슬릿 형상의 공기분출구를 설치하고 에어커튼 팬의 동작으로 이 공기분출구를 통해 강한 평면 냉기를 분사한후 이를 다수 회수함으로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내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한 냉장고이다. 보통 기존의 냉장고는 도어개방시 고온다습한 외기가 밀도차이에 의한 부력의 영향으로 자유롭게 고내로 유입되어 저장식품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기존 냉장고의 현상, 즉 냉장실 도어 개방시 외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에어커튼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실(76)의 도어 개방시 냉장실(76)상부 내측에 설치된 에어커튼 팬(73)이 동작함에 따라 발생된 공기는 전면 상부에 설치된 공기분출구(74)를 통해 약 5m/sec이상의 강한 평면 제트의 형태 분사된다. 이때 냉장실(76)의 상,중 및 하부의 내측에는 다단계의 흡입구가 형성된 멀티덕트(77)가 설치되어 있어 적절히 조절된 흡입력에 의해 냉장실 하단까지 평면제트가 분산되지 않고 L형상의 흐름을 유지함으로서 냉장실(76)도어를 열더라도 외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커튼 냉장고는 냉장실(76) 도어를 개방후 음식물의 투입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실(76)도어가 닫힌후에도 에어커튼팬(73)을 일정시간 동안 동작시킴에 따른 발생하는 큰 풍량으로 고내 전체에 빠르게 회전시켜 냉장실(76)이 급속냉각은 물론 균일냉각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에어커튼 냉장고의 에어커튼 팬의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고에 구동전원이 인가된 초기화상태(S21)는 냉장고통상운전단계(S22)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냉장고정상운전단계(S22)에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며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S23)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이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S23)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면 에어커튼팬동작단계(S24)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에어커튼팬동작단계(S24)에서는 도어의 개방에 따라 에어커튼팬을 동작시켜 냉기를 단속하게 되며 냉장실도어단힘판단단계(S25)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냉장실도어닫힘판단단계(S25)에서 판단한 결과 개방된 냉장실의 도어가 닫힘으로 판단되면 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26)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26)에서는 냉장실의 도어가 닫힘에 따라 어느정도 에어커튼 팬을 동작시키고 구동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에어커튼 팬은 동작을 중지하고 본 루프를 종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S23)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장고통상운전단계(S22)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기 냉장실도어닫힘판단단계(S25)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닫히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커튼팬동작단계(S24)로 복귀하여 계속적으로 에어커튼팬은 동작하며 루프를 반복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에어커튼 냉장고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될 때 일정한 냉기를 공기분출구를 통해 직하면으로 불어주어 냉장실로 외기 유입 및 냉기의 유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나 정작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될때는 아무런 차단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필요에 의해 냉동실의 개폐가 잦은 때에는 더욱더 고내의 냉기가 외기의 고온다습한 공기와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잦은 냉동실의 개폐로 냉동실의 냉기는 상승하게되어 음식물의 저장기간이 단축되고 냉기의 유실에 따른 냉장고의 전력소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실 및 냉동실의 구획벽에 형성된 공용냉기 통로를 통해 냉동실의 상측 전면으로 연통된 냉기통로와 냉장실 하측 전면으로 연통된 냉기통로를 설치하고 각 냉기통로의 내측에 에어커튼 팬을 설치하며 냉동실 및 냉장실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공용냉기통로 일측에 형성된 전자댐퍼가 냉기 순환통로의 방향을 설정한다. 즉, 냉장실의 도어 개방시에는 냉장실의 전면 하단에 설치된 공기분출구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또한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시에는 냉동실의 전면 상단에 설치된 공기분출구로 공기가 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서 냉장실은 물론 냉동실의 전면에 수직하방으로 분출되는 에어커튼을 형성할수 있도록 한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모드에 의해 냉장실 및 냉동실의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과, 이 제 1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어 냉동실의 전면에서 냉기를 분출하여 냉동실의 냉기를 단속하는 제 1냉동실냉기단속과정과, 이 제 1냉동실냉기단속과정에서 전면의 냉기분출로 냉기를 단속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닫힘에 따라 냉각단속기능을 종료하는 냉동실냉기단속종료과정과, 상기 제 1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냉장실의 전면에 냉기를 분출하여 냉기를 단속하는 냉장실냉기단속과정과, 이 냉장실냉기단속과정에서 냉장실의 냉기를 단속하던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과, 이 제 2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냉기를 단속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열림으로 판단되어 냉장실의 냉기단속기능을 중지하고 냉동실의 전면에 냉기를 분출하여 외기유입을 차단하는 제 2냉동실냉기단속과정과, 상기 제2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상태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닫힘으로 판단되어 냉장실의 냉가단속기능을 중지하는 냉장실냉기단속기능종료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에어커튼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3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에따른 냉기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컴 2 : 냉장실도어감지부
3 : 냉동실도어감지부 4 : 댐퍼위치감지부
5 : 알센서 6 : 에프센서
7 : 댐퍼구동부 8 : 전자댐퍼
9 : 에어커튼팬 10 : 냉동 에어커튼팬
11 : 냉장에어커튼팬 12 : 콤프레샤
13 : 냉장실 14 : 냉동실
이에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a및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실(13) 및 냉동실(14)의 구획벽에 설치되어 냉동냉기통로(18) 및 냉장냉기통로(20)에 연통되는 공용냉기통로(19)와, 이 공용냉기통로(19)의 전후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이 냉장실(13) 및 냉동실(14)로 선택되도록 동작하는 전자댐퍼(8a,8b)와, 상기 냉동냉기통로(18)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냉동에어커튼팬(10)과, 상기 전자댐퍼(8a,8b)가 설치된 공용냉기통로(19)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에어커튼팬(9)과, 상기 냉장냉기통로(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장실(13)의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장에어커튼팬(11)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냉동냉기통로(18)의 전면 상측에는 수평에서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냉동공기분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냉장냉기통로(20)의 하측 전면에는 그 전면에서 상측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장공기분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댐퍼(8a,8b)는 힌지축이 동일한 각도로 연동되도록 크로스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은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디단속장치를 동작에 따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고는 크게 각종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으로부터 각각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냉장고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른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각종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냉동실(14)의 고내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F(F:이하에프라함)센서(6), 냉장실의 우측상단에 설치되어 고내온도를 감지하는 R(R:이하알이라함)센서(5)와, 상기 냉장실(13)의 도어 개방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냉장실도어감지부(2)와, 상기 냉동실(14)의 도어 개방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냉동실도어감지부(3)와, 상기 냉동실(14) 및 냉장실(13)의 도어개방에 따라 전자댐퍼(8)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는 댐퍼위치감지부(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따라 냉동 싸이클로 동작하는 콤프레샤(12)와, 이 콤프레샤(12)의 동작에 따른 냉각기의 고내 온도흡수로 냉동실이 적정온도로 유지토록 작동되는 에프팬(6), 상기 냉장실(13) 및 냉동실(14)의 도어개방에 따라 일정한 구동 신호를 댐퍼(8)로 인가하는 댐퍼구동부(7)와, 상기 냉동실(14)의 도어개방에 따라 구동하는 냉동에어커튼팬(10)과, 상기 냉장실(13)의 도어 개방에 따라 구동하는 냉장에어커튼팬(11)과, 상기 냉동실(14) 혹은 냉장실(13)의 도어 개방에 따라 구동하는 에어커튼팬(9)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에어커튼 냉장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고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콤프레샤(12)의 냉동 싸이클이 동작되고, 이에 따라서 미도시된 냉각기는 고내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즉, 이와같이 작동된 상태에서 에프팬(13) 및 미도시된 알팬은 일정한 구동전원을 받아 동작됨으로서 냉각기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는 각 냉동실(14) 및 냉장실(13)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이 냉동실(14) 및 냉장실(13)로 공급된 차가운 공기로 냉동실(14)은 음식을 장시간 동결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18℃가 유지되고, 또한 냉장실(13)은 육류나 생선 및 야채를 냉장상태로 보관가능한 상태인 0℃에서 9℃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냉동실(14)의 도어를 열게되면 상기 냉동실도어감지부(3)에서 일정한 신호가 감지된다. 그러면 이 냉동실도어감지부(4)에서 감지된 일정한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컴(1)은 소정의 제어신호로 에프팬 및 알팬의 동작을 멈추게 하며 또한, 상기 마이컴(1)은 상기 댐퍼위치감지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댐퍼구동부(7)로 일정한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냉동실(14)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댐퍼(8)의 위치가 공용냉기통로(19)의 A, A'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마이컴(1)은 에어커튼 팬(9) 및 냉동에어커튼팬(10)에 일정한 구동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또한 상기 댐퍼(8)의 위치가 공용냉기통로(19)의 B,B'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댐퍼구동부(7)로 일정한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서 상기 댐퍼(8)는 A,A'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마이컴(1)으로부터 상기 냉동에어커튼팬(10) 및 에어커튼팬(9)은 소정의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게 됨으로서 상기 냉동실(14)의 전면 상단에 설치된 냉동공기분출구(16)를 통해 직하면으로 공기는 분사되어 외기의 고내유입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14)의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냉장실(13)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냉장실도어감지부(2)에서 일정한 신호가 감지된다. 그러면 이 냉장실도어감지부(2)에서 감지된 일정한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컴(1)은 소정의 제어신호로 에프팬 및 알팬의 동작을 멈추게 하며, 또한 상기 마이컴(1)은 상기 댐퍼위치감지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댐퍼구동부(7)로 일정한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냉동실(14)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8)의 위치가 공용냉기통로(19)의 A, A'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마이컴(1)은 댐퍼구동부(7)에 일정한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서 댐퍼(8)의 위치를 공용냉기통로(19)의 B,B'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상기 댐퍼(8)의 위치가 공용냉기통로(19)의 B,B'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마이컴(1)은 상기 냉장에어커튼팬(11) 및 에어커튼팬(9)에 소정의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냉장실(13)의 하부 전면에 형성된 냉장공기분출구(17)를 통해 냉기는 직상면으로 분사되어 외기의 고내유입이 방지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13) 및 냉동실(14)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될 경우에는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8)의 위치는 공용냉기통로(19)의 A,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위에 상술한 냉동실(14) 도어의 개방에 따른 냉기 순환동작으로 냉동실(14)의 외기유입을 우선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냉장고의 구동전원을 인가한 초기화상태(S1)는 냉장고통상운전단계(S2)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냉장고통상운전단계(S2)에서는 설정된 모드에 의해 냉장실 및 냉동실의 적정온도유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S3)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S3)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면 댐퍼위치감지 및 AA'방향이동단계(S4)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 댐퍼위치감지 및 AA'방향이동단계(S4)에서는 현재의 댐퍼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댐퍼를 AA'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동작단계(S5)로 진행하는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동작단계(S5)에서는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 팬에 일정한 구동전원을 인가함으로서 냉기는 냉동실의 순환하며 냉동공기분출구를 통해 분출된 공기에 위해 외기 차단막을 형성하며 냉동실도어닫힘판단단계(S6)로 진행하다. 그러면 이 냉동실도어닫힘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닫힘으로 판단되면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7)로 진행하여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의 구동전원을 차단하고 본 루프를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S3)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S9)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이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S9)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면 댐퍼위치감지 및 BB'방향이동단계(S10)로 진행된다. 그러면 이 댐퍼위치감지 및 BB'방향이동단계(S10)에서는 댐퍼의 위치가 정상적인지를 감지하고 그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경우에는 댐퍼를 BB'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단계(S11)로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단계(S11)에서는 일정한 구동전원을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에 인가하여 일정한 냉기순환통로를 유지하여 냉장실의 외기유입을 방지하고 냉장 및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S12)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 냉장 및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면 냉장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13)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냉장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13)에서는 냉장에어커튼팬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댐퍼위치감지 및 AA'방향이동단계(S4)로 복귀하여 위에 상술한 루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 및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냉장실도어닫힘판단단계(S14)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냉장실도어닫힘판단단계(S14)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의 닫힘으로 판단되면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15)로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S15)에서는 일정한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의 구동전원은 차단되고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닫힘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닫히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동작단계(S5)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S3)에서 판단한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냉장고통상운전단계(S2)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냉장실 및 냉동실의 냉기 순환통로를 일체로 형성하고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에어커튼 팬을 설치하며 또한 냉동실 및 냉장실의 개폐여부에 따라 순환통로의 일측에 형성된 댐퍼가 냉기 순환통로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하여 냉장실의 도어 개방시 냉장실의 전면 하단에 설치된 냉장공기분출구로 냉기를 분출하며, 또한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시에는 냉동실의 전면 상단에 설치된 냉동공기분출구로 냉기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서 냉동실 도어 개방에 따른 외기 유입을 방지하고 냉장고의 열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설정된 모드에 의해 냉장실 및 냉동실의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과, 이 제 1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어 냉동실의 전면에서 냉기를 분출하여 냉동실의 냉기를 단속하는 제 1냉동실냉기단속과정과, 이 제 1냉동실냉기단속과정에서 전면의 냉기분출로 냉기를 단속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닫힘에 따라 냉각단속기능을 종료하는 냉동실냉기단속종료과정과, 상기 제 1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냉장실의 전면에 냉기를 분출하여 냉기를 단속하는 냉장실냉기단속과정과, 이 냉장실냉기단속과정에서 냉장실의 냉기를 단속하던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과, 이 제 2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냉기를 단속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열림으로 판단되어 냉장실의 냉기단속기능을 중지하고 냉동실의 전면에 냉기를 분출하여 외기유입을 차단하는 제 2냉동실냉기단속과정과, 상기 제2냉동실도어개방판단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상태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닫힘으로 판단되어 냉장실의 냉가단속기능을 중지하느 냉장실냉기단속기능종료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냉동실냉기단속과정은 전자댐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자댐퍼위치판단단계와, 이 전자댐퍼위치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자댐퍼의 위치를 상향으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판단되면 전자댐퍼를 하향으로 이동조정하는 전자댐퍼위치조정단계와, 이 전자댐퍼위치조정단계에서 전자댐퍼의 하향이동 조정후에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을 구동시키는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동작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냉기단속과정은 냉동실이 닫힌상태에서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와, 이 냉장실도어개방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어 전자댐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자댐퍼위치판단단계와,이 전자댐퍼위치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하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판단되면 전자댐퍼를 상향으로 이동조정하는 전자댐퍼상향조정단계와, 이 전자댐퍼상향조정단계에서 전자댐퍼를 상향으로 조정한 후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 팬을 구동시키는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냉동실냉기단속과정은 냉장실의 냉기를 단속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와,이 냉동실도어개방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냉장실 냉기단속중에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됨으로 판단되어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와, 이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동작중지단계에서 에어커튼팬 및 냉장에어커튼팬의 동작을 중지시킨후 전자댐퍼의 하향으로 이동조정시키는 전자댐퍼하향조정단계와, 이 전자댐퍼하향조정단계에서 전자댐퍼를 하향으로 이동시킨후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을 동작시키는 에어커튼팬 및 냉동에어커튼팬동작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5. 구획벽에 의해 냉동실(14) 및 냉장실(13)로 구분되고, 상기 냉동실(14) 내에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냉동실(14)로 송풍하는 에프팬과 멀티덕트를 통하여 냉장실(13)로 송풍하는 알팬이 설치된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14) 및 냉장실(13)도어의 개폐와 냉동실(14) 및 냉장실(13)의 공기순환통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동실(14)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동실(14)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동실 냉기단속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냉장실(13)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장실(13)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장실 냉기단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냉기단속수단은 냉동실(14) 하측 구획벽 전면에서 상측 전면으로 연통되는 냉동냉기통로(18)와, 이 냉동냉기통로(18)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냉동에어커튼팬(10)과, 상기 냉동냉기통로(18)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동에어커튼팬(18)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에어커튼팬(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에어커튼팬(10)은 냉동실(14) 전면으로 공기를 송풍하고, 에어커튼팬(9)은 냉동실(14) 후면으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냉기통로(18)는 냉동실(14) 전면 상측에 수평에서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냉동공기분출구(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냉기단속장치는 냉장실(13) 상측 구획벽에 형성된 공용냉기통로(19)에서 냉장실(13)하측 전면으로 연통되는 냉장냉기통로(20)와, 이 냉장냉기통로(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장실(13)의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장에어커튼팬(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냉기통로(20)는 냉장실(13) 하측 전면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냉장공기분출구(1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냉기통로(19)의 전후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공기의 흐름이 냉장실(13) 및 냉동실(14)로 선택되도록하는 댐퍼(8a,8b)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댐퍼(8a,8b)는 힌지축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고무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댐퍼(8a,8b)의 힌지축은 동일한 각도로 연동되도록 크로스 체인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KR1019970018156A 1997-05-12 1997-05-12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156A KR100194357B1 (ko) 1997-05-12 1997-05-12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156A KR100194357B1 (ko) 1997-05-12 1997-05-12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021A KR19980083021A (ko) 1998-12-05
KR100194357B1 true KR100194357B1 (ko) 1999-06-15

Family

ID=6599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156A KR100194357B1 (ko) 1997-05-12 1997-05-12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367B1 (ko) * 2004-11-05 200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021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175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184775B2 (ja) エアカーテン生成装置を利用したドアからの冷気吐出機能を有する冷蔵庫
US6625998B2 (en) Device for controlling cooling air supply of refrigerator
JP2000081264A (ja) 冷蔵庫の均一冷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819878B2 (ja) 冷蔵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5826441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generating air curtains
KR19990001157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및 냉기제어방법
KR100323340B1 (ko) 냉장고
KR100194357B1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05792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방법 및 장치
KR100220971B1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KR100227096B1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83060A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9543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194353B1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쾌속 포켓기능 제어방법
KR0159715B1 (ko) 냉장고의 도어개폐 제어방법
JPH05106958A (ja) 冷蔵庫
KR100595434B1 (ko) 냉장고
KR100232148B1 (ko) 냉장고
KR19980083066A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KR100220394B1 (ko)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 구조
KR19980083067A (ko) 에어커튼 냉장고의 냉기단속방법
KR100220972B1 (ko) 에어커튼생성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195451B1 (ko) 냉장고
KR0159696B1 (ko) 에어커튼구조를 갖춘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