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156B1 - Tv튜너의 복동조회로 - Google Patents

Tv튜너의 복동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56B1
KR100194156B1 KR1019960062404A KR19960062404A KR100194156B1 KR 100194156 B1 KR100194156 B1 KR 100194156B1 KR 1019960062404 A KR1019960062404 A KR 1019960062404A KR 19960062404 A KR19960062404 A KR 19960062404A KR 100194156 B1 KR100194156 B1 KR 10019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uner
double
tuning circuit
intermediat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329A (ko
Inventor
마사끼 야마모또
다께오 스즈끼
마사시 스즈끼
야스하루 구도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062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3535B2/ja
Priority claimed from DE19547969A external-priority patent/DE19547969C1/d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5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6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의 변화에 대응하여 주파수 응답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를 제공한다.
결합된 1차측 동조회로(1)와 2차측 동조회로(2)로 이루어지고, 1차측 동조회로(1) 또는 2차측 동조회로(2)의 적어도 한쪽에, 댐핑저항(7, 8, 15, 16) 및 또는 공진용 콘덴서와 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직렬회로를 병렬 접속하고, 각 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를 신호수신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스위칭 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킴으로써,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선택채널이나 수신신호의 전계강도에 의존하지 않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TV튜너의 복동조회로
본 발명은, TV(텔레비젼)튜너의 복동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V튜너의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에 대한 주파수대 진폭특성(주파수 응답)의 불균일을 자동적으로 보정하고, TV튜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양호하게 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튜너는 수신안테나로 수신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와, 수신신호와 국부발진신호를 주파수 혼합하여 혼합신호를 얻는 주파수 변환부와,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국부발진부와, 혼합신호중으로부터 중간주파신호를 선택하는 중간주파 선택부(중간주파트랜스에 대응하고, 통상 복동조회로로 구성되어 있다)와, 중간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 증폭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0도는 이러한 공지의 중간주파 선택부, 즉 복동조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고, 제11도는 공지의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에 대한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동조회로는, 1차측 동조회로(51)와 2차측 동조회로(52)로 이루어지고, 1차측 동조회로(51)의 입력단은 전단의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2차측 동조회로(52)의 출력단은 다음단의 중간주파수 증폭부의 입력단에 결합된다. 1차측 동조회로(51)는 서로 병렬 접속된 제 1가조정 인덕터(53)와, 제 1콘덴서(54)와, 제 1댐핑저항(55)으로 이루어지고, 2차측 동조회로(52)는 서로 병렬 접속된 제 2가조정 인덕터(56)와, 제 2콘덴서(57)와, 제 2댐핑저항(58)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및 제 2가조정 인덕터(53, 56)는 유도결합되어 복동조회로가 구성된다.
또, 제11도에 있어서 종축은 출력신호 진폭, 횡축은 주파수이고, 통과대역내의 P점은 1차측 동조회로(51)의 공진주파수에 일치한 점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S점은 2차측 동조회로(52)의 공진주파수에 일치한 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공지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는, 통상 제 1가조정 인덕터(53) 및 제 2가조정 인덕터(56)의 각 인덕턴스치, 및 제 1, 제 2가조정 인덕터(53, 56)의 유도결합 상태를 각각 조정함으로써,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가,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TV튜너에 있어서는, 통상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TV튜너의 수신채널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고, 또 같은 수신채널이어도 자동이득제어(AGC)에 의해 고주파 증폭부의 증폭도가 변화하면, 그것에 따라 주파수 응답이 다르게 되어간다.
그런데, TV튜너의 중간주파 선택부에 공지의 복동조회로를 사용한 경우에는, 하나의 수신채널의 수신시에 복동조회로를 상기와 같이 조정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가,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도록 되었어도,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이 변화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고주파 증폭부에 가해지는 자동이득 제어전압이 변동하여, 고주파 증폭부의 증폭도가 변화한 경우나, 다른 수신채널의 수신으로 변환된 경우에는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변화하기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가,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고는 한정지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이상적인 것으로부터 크게 변화한 경우에는, 이미 중간주파 증폭부에서 수정이 불가능해지고, 그 결과 TV튜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부적절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공지의 복동조회로는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디지탈 신호의 수신시에는 이와 같은 점이 특히 중대한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의 변화에 대응하여 주파수 응답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특성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집적회로내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내용을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특성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집적회로내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내용을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특성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집적회로내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내용을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공지의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11도는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있어서의 중간주파수 신호의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측 동조회로 2 : 2차측 동조회로
3 : 주파수 변환부 4 : 중간주파 증폭부
5 : 제 1가조정 인덕터 6 : 제 1공진용 콘덴서
7 : 제 1댐핑저항 8 : 제 2댐핑저항
9 : 제 1스위칭 다이오드 10 : 제 2스위칭 다이오드
11 : 제 1바이패스 콘덴서 12 : 제 2바이패스 콘덴서
13 : 제 2가조정 인덕터 14 : 제 2공진용 콘덴서
15 : 제 3댐핑저항 16 : 제 4댐핑저항
17 : 제 3스위칭 다이오드 18 : 제 4스위칭 다이오드
19 : 제 3바이패스 콘덴서 20 : 제 4바이패스 콘덴서
21 : 제어회로부 22 : 집적회로(IC)
23 : 제 1버퍼저항 24 : 제 2버퍼저항
25 : 제 3버퍼저항 26 : 제 4버퍼저항
27 : 제 1부가콘덴서 28 : 제 2부가콘덴서
29 : 제 1고정 댐핑저항 30 : 제 3부가콘덴서
31 : 제 4부가콘덴서 32 : 제 2고정 댐핑저항
33 : 제 5버퍼저항 34 : 제 6버퍼저항
35 : 제 7버퍼저항 36 : 제 8버퍼저항
37 : 제 5댐핑저항 38 : 제 5부가콘덴서
39 : 제 6부가콘덴서 40 : 제 6댐핑저항
41 : 제 9버퍼저항 42 : 제 10버퍼저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된 1차측 동조회로(2)와 2차측 동조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측 동조회로 또는 2차측 동조회로의 적어도 한쪽에 임피던스 소자와 스위칭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직렬회로를 병렬 접속하고, 상기 각 스위칭 다이오드를 신호수신 상태에 대응한 스위칭 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단에 있어서, 수신채널마다, 및 각 수신채널에 있어서의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마다, 복동조회로의 각 스위칭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스위칭 전압을 미리 정하여 두고, TV튜너가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그 수신채널 및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스위칭 전압을 각 스위칭 다이오드에 공급하고, 1차측 동조회로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에 병렬로 댐핑저항이나 공진용 부가용량 소자로 이루어지는 임피던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채널 마다, 및 각 수신채널에 있어서의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마다에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변화하여도,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이 그 변화를 없애도록 작용하여,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는 항상 이상적인 형에 가까운 주파수 응답으로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동조회로는 1차측 동조회로(1)와 2차측 동조회로(2)로 이루어지고, 1차측 동조회로(1)의 입력단은 전단의 주파수 변환부(3)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2차측 동조회로(2)의 출력단은 다음단의 중간주파 증폭부(4)의 입력단에 결합된다.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댐핑저항(7)과, 제 2댐핑저항(8)과, 제 1스위칭 다이오드(9)와, 제 2스위칭 다이오드(10)와, 제 1바이패스 콘덴서(11)와, 제 2바이패스 콘덴서(12)를 구비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3댐핑저항(15)과, 제 4댐핑저항(16)과,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와, 제 4스위칭 다이오드(18)와, 제 3바이패스 콘덴서(19)와, 제 2바이패스 콘덴서(20)를 구비한다. 또, 제어회로부(21)는 위상고정루프(PLL)를 구성하는 집적회로(IC)(22)와, 제 1버퍼저항(23)과, 제 2버퍼저항(24)과, 제 3버퍼저항(25)과, 제 4버퍼저항(26)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 1가조정 인덕터(5), 제 1공진용 콘덴서(6), 제 1댐핑저항(7)과 제 1스위칭 다이오드(9)와 제 1바이패스 콘덴서(11)로 이루어지는 제 1직렬회로, 제 2댐핑저항(8)과 제 2스위칭 다이오드(10)와 제 2바이패스 콘덴서(12)로 이루어지는 제 2직렬회로가 서로 병렬 접속되고, 1차측 동조회로(1)가 구성된다. 또, 제 2가조정 인덕터(13), 제 2공진용 콘덴서(14), 제 3댐핑저항(15)과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와 제 3바이패스 콘덴서(19)로 이루어지는 제 3직렬회로, 제 4댐핑저항(16)과 제 4스위칭 다이오드(18)와 제 4바이패스 콘덴서(20)로 이루어지는 제 4직렬회로가 서로 병렬 접속되고, 2차측 동조회로(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2가조정 인덕터(13)가 유도결합되어, 복동조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집적회로(22)는 적어도 8개의 출력포트(BS1 내지 BS8)과 두 개의 제어포트(S1 내지 S2)를 가지며, 내부에 제어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출력포트(BS4)는 UHF밴드 선택단자(UB)에 출력포트(BS2)는 VHF하이밴드 선택단자(HB)에, 출력포트(BS1)는 VHF로우밴드 선택단자(LB)에 각각 접속된다. 출력포트(BS5)는 제 1버퍼저항(23)을 개재하여 제 1스위칭 다이오드(9)와 제 1바이패스 콘덴서(11)의 접속점에, 출력포트(BS6)는 제 2버퍼저항(24)을 개재하여 제 2스위칭 다이오드(1)와 제 2바이패스 콘덴서(12)의 접속점에, 출력포트(BS7)는 제 3버퍼저항(25)을 개재하여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와 제 3바이패스 콘덴서(19)의 접속점에, 출력포트(BS8)는 제 4버퍼저항(26)을 개재하여 제 4스위칭 다이오드(18)와 제 4바이패스 콘덴서(20)의 접속점에 각각 접속된다. 제어포트(S1)는 SCL신호 공급단자(SCL)에, 제어포트(S2)는 SDA신호 공급단자(SDA)에 각각 접속된다.
이어서, 제2(a)도 내지 제2(d)도는, 제1도에 도시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특성도이고, 제3도는 집적회로(22)내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2(a)는 주파수 혼합부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대략 이상적인 상태일 때, 2(b)는 동중간 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중간에서 돌출하고 있을 때, 2(c)는 동중간 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이 높은 영역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 2(d)는 동중간 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낮은 영역측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일 때를 각각 나타내고, 제2(a)도 내지 제2(d)도에 있어서, 특성 a는 주파수 혼합부(3)의 출력에 얻어진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 b는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 c는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다.
그런데, TV튜너는 그 출하전에 미리 복동조회로의 조정과, 집적회로(IC)(22)중의 제어테이블의 기입을 행하고 있으므로, 맨 먼저 그 조정 및 기입의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동조회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스위칭 다이오드(9, 10), 제 3 및 제 4스위칭 다이오드(17, 18)의 각각을 커트오프한 상태에서, 제 1가조정 인덕터(5) 및 제 2가조정 인덕터(13)의 각 인덕턴스치를 조정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가조정 인덕터(5, 13)의 결합도를 조정하고, 1차측 동조회로(1)를 중간주파수 통과대역의 저역측 주파수, 예를들어 제2(a)도의 특성 b의 f1점 근방에서 공진시키고, 또 2차측 동조회로(2)를 중간주파수 통과대역의 고역측 주파수, 예를들어 제2(a)도에 특성 b의 f2점 근방에서 공진시켜 제2(a)도의 특성 b와 같이,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중심주파수 f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되는 거의 이상적인 상태로 설정한다.
또, 집적회로(22)중의 제어테이블에 있어서는, TV튜너를 동작시켜, VHF로우밴드의 각 채널 신호를 수신했을 때, VHF하이밴드의 각 체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UHF밴드의 각 채널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각각에 대하여, 이들 각 채널의 신호를 고전계강도, 중전계강도, 약전계강도의 상태에서 각각 수신했을 때,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a)도 내지 제2(d)도 중 어느 것의 특성 a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 1 내지 6에 따라 온 또는 오프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이 점을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TV튜너가 VHF하이밴드의 하나의 채널 신호를 고전계 강도로 수신했을 때에,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예를들어 제2(a)도의 특성 a와 같이 되었다고 하면, 제3도에 도시한 분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테이블에는 4개의 출력포트(BS5 내지 BS8)의 출력을 오프전압으로 하는 4개의 오프정보를 이 채널 및 고전계 강도에 대응시켜 기입한다. 또, 같은 채널의 신호를 중전계 강도로 수신했을 때에,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예를들어 제2(b)도의 특성 a와 같이 되었다고 하면, 제3도에 도시한 분류 2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테이블에는 4개의 출력포트(BS5 내지 BS8)의 출력을 온전압으로 하는 4개의 온정보를, 이 채널 및 중전계 강도에 대응시켜 기입한다. 또, 같은 채널의 신호를 약전계 강도로 수신했을 때에,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예를들어 제2(c)도의 특성 a의 실선과 같이 되었다면, 제3도에 도시한 분류 3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테이블에는 3개의 출력포트(BS5, BS6, BS8)의 출력을 오프전압으로 하는 3개의 오프전압과 하나의 출력포트(BS7)의 출력을 온전압으로 하는 하나의 온정보를, 이 채널 및 약전계 강도에 대응시켜 기입한다.
이어서, TV튜너가 VHF하이밴드의 다른 하나의 채널 신호를 고전계 강도로 수신했을 때에,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예를들어 제2(c)도의 특성 a의 점선과 같이 되었다면, 제3도에 도시한 분류 4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테이블에는 2개의 출력포트(BS5, BS6)의 출력을 오프전압으로 하는 두 개의 오프정보와 2개의 출력포트(BS7,BS8)의 출력을 온전압으로 하는 두 개의 온정보를, 이 채널 및 고전계강도에 대응시켜 기입한다. 또, 같은 채널의 신호를 중전계 강도로 수신했을 때에,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예를들어 제2(d)도의 특성 a의 실선과 같이 되었다면, 제3도에 도시한 분류 5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테이블에는 하나의 출력포트(BS5)의 출력을 온전압으로 하는 하나의 온정보와 3개의 출력포트(BS6 내지 BS8)의 출력을 오프전압으로 하는 3개의 오프정보를, 이 채널 및 중전계 강도에 대응시켜 기입한다. 또, 같은 채널의 신호를 약전계 강도로 수신했을 때에,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예를들어 제2(d)도의 특성 a의 점선과 같이 되었다면, 제3도에 도시한 분류 6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테이블에는 두 개의 출력포트(BS5, BS6)의 출력을 온전압으로 하는 두 개의 온정보와 2개의 출력포트(BS7, BS8)의 출력을 오프전압으로 하는 2개의 오프전압을, 이 채널 및 약전계 강도에 대응시켜 기입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VHF하이밴드의 모든 채널, VHF로우밴드의 모든 채널, UHF채널의 모든 채널에 대하여, 그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a)도 내지 제2(d)도의 특성 a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 제3도에 도시한 분류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가를 판별하고, 제어테이블에는 그 분류에 해당하는 영역에 채널 및 전계강도를 각각 기입하여, 제어테이블의 기입이 종료된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복동조회로의 동작을, 제2(a)도 내지 제2(d)도 및 제3도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지금, TV튜너에 있어서 VHF하이밴드의 하나의 채널의 신호가 강전계 강도상태로 수신되고, 주파수 변환부(3)의 출력에 중간주파수 신호가 얻어졌을 때,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강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a)도의 특성 a로 나타내지는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1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4개의 출력포트(BS5 내지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제로 또는 부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오프전압은 제 1 내지 제 4버퍼저항(23 내지 26)을 개재하여 제 1 내지 제 4의 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에 가해지고, 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를 모드 오프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만으로,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2(a)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a)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이 채널 신호의 전계강도가 변동하고, 중전계강도 상태로 수신되게 되었다면,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중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b)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으로,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2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4개의 출력포트(BS5 내지 BS8)로부터 각각 온전압(정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온전압은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를 모두 온으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병렬로 제 1 및 제 2댐핑저항(7, 8)이 삽입 접속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병렬로 제 3 및 제 4댐핑저항(15, 16)이 삽입 접속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2(b)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b)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이 채널 신호의 전계강도가 더욱 변동하여, 약전계 강도상태로 수신되도록 되었다면,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약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c)도의 특성 a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3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3개의 출력포트(BS5, BS6,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7)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오프전압은 제 1, 제 2,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8)를 모두 오프로 하고,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만을 온으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만으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병렬로 제 3댐핑저항(15)이 삽입 접속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2(c)도의 특성 b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b)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또한, TV튜너가 VHFR하이밴드의 다른 하나의 채널 신호의 수신으로 전환되고, 이 신호가 강전계 강도상태로 수신되었을 때,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강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c)도의 특성 a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어테이블에 기입된 분류 4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6)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하고, 두 개의 출력포트(BS7, BS8)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오프전압은 제 1, 제 2스위칭 다이오드(9, 10)를 오프로 하고, 이들 온전압은 제 3, 제 4스위칭 다이오드(17, 18)를 온으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만으로,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병렬로 제 3 및 제 4댐핑저항(15, 16)이 삽입 접속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2(c)도의 특성 b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c)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 경우, 이 채널 신호의 전계강도가 변동하고, 중전계 강도상태로 수신되도록 되었다면,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중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d)도의 특성 a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5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5)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하고, 3개의 출력포트(BS6 내지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이 온전압은 제 1스위칭 다이오드(9)를 온으로 하고, 이들의 오프전압은 제 2 내지 제 4의 스위칭 다이오드(10, 17, 18)를 오프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병렬로 제 1댐핑저항(7)이 삽입 접속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2(d)도의 특성 b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d)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그 후, 이 채널 신호의 전계강도가 다시 변동하고, 약전계 강도상태로 수신되도록 되었다면,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약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d)도의 특성 a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6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6)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하고, 두 개의 출력포트(BS7,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온전압은 제 1, 제 2의 스위칭 다이오드(9, 10)를 온으로 하고, 제 3, 제 4스위칭 다이오드(17, 18)를 온으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에 병렬로 제 1, 제 2댐핑저항(7, 8)이 삽입 접속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2(d)도의 특성 b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d)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 경우, 제어테이블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VHF하이밴드의 또 다른 각 채널, VHF로우밴드의 모든 채널, UHF밴드의 모든 채널과, 수신시의 전계강도에 대응한 조합의 전부에 대해서도,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2(a)도 내지 제2(d)도의 특성 a중 어느 것에 따라, 제3도에 도시한 분류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가를 기입하고 있으므로, 집적회로(22)는 수신된 채널과 수신신호의 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거하여, 제어테이블의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고, 판정된 분류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전압을 각 출력포트(BS5 내지 BS8)에 출력하고, 제 1 내지 제 4댐핑저항(9, 10, 17, 18)을 선택적으로 1차측 동조회로(1)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2)에 병렬로 삽입 접속함으로써,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어떠한 특성의 것이어도,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2(a)도 내지 제2(d)도의 각 특성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TV튜너의 각 부의 특성에 의존하여,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수신채널 및 그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변화하여도, 복동조회로에 제 1 내지 제 4댐핑저항(9, 10, 17, 18)이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며, 그 주파수 응답을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에 근접하도록 보정하므로,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항상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제1도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 이외에, 제 1스위칭 다이오드(9)에 직렬 접속된 제 1부가 콘덴서(27)와, 제 2스위칭 다이오드(10)에 직렬 접속된 제 2부가 콘덴서(28)와, 공진회로에 병렬 접속된 제 1고정 댐핑저항(29)을 구비하고, 또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 이외에,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에 직렬 접속된 제 3부가 콘덴서(30)와, 제 4스위칭 다이오드(18)에 직렬 접속된 제 4부가 콘덴서(31)와, 공진회로에 병렬 접속된 제 2고정 댐핑저항(32)을 구비한다. 또, 제어회로부(21)는 제 1 내지 제 4버퍼저항(23 내지 26) 이외에,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의 음극(cathode)과 접지점 사이에,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에 가해지는 온전압의 귀로를 구성하는 제 5 내지 제 8버퍼저항(33 내지 36)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이하, 이것을 전자라고 한다)와,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이하, 이것을 후자라고 한다)와의 구성 차이는, 전자가 공진회로에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는 제 1 내지 제 4부가 콘덴서(27, 28, 29, 30)를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후자가 같은 공진회로에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는 제 1 내지 제 4댐핑저항(7, 8, 15, 16)을 구비하고 있는 점, 및 전자가 제 1 및 제 2고정 댐핑저항(29, 32)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후자가 이러한 고정 댐핑저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 또 전자가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에 가해지는 온전압의 귀로로 되는 제 5 내지 제 8버퍼저항(33 내지 36)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후자가 이러한 제 5 내지 제 8버퍼저항(33 내지 36)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 뿐이고, 그 이외에 전자와 후자의 사이에 구성상의 차이는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5(a)도 내지 제5(e)도는, 제4도에 도시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 각 부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특성도이고, 제6도는 집적회로(22)내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제5(a)도는 주파수 혼합부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대략 이상적인 상태일 때, 제5(b)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저역측 또는 고역측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일 때, 제5(c)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 대역의 고역측 또는 저역측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일 때, 제5(d)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저역측 및 고역측의 쌍방에서 넓어져 있는 상태일 때, 제5(e)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저역측 및 고역측의 쌍방에서 좁혀져 있을 때를 각각 나타내고, 또 제5(a)도 내지 제5(e)도에 있어서, 특성 a는 주파수 혼합부(3)의 출력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 b는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 c는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TV튜너는 그 출하전에 복동조회로의 조정과 집적회로(IC)(22)중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을 행하고 있다.
즉, 복동조회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3스위칭 다이오드(9, 17)를 온으로 하고, 제 2 및 제 4스위칭 다이오드(10, 18)를 오프로 한 상태에서, 제 1가조정 인덕터(5) 및 제 2가조정 인덕터(13)의 각 임피던스치를 조정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가조정 인덕터(5, 13)의 결합도를 조정하고, 1차측 동조회로(1)를 중간주파수 통과대역의 저역측 주파수, 예를들어 제2(a)도의 특성 b의 f1점 근방에서 공진시키고, 또 2차측 동조회로(2)를 중간주파수 통과대역의 고역측 주파수, 예를들어 제2(a)도의 특성 b의 f2점 근방에서 공진시켜, 제2(a)도의 특성 b와 같이,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중심주파수 f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되는 거의 이상적인 상태로 설정한다.
또, 집적회로(22)안에 있는 제어테이블에 있어서는, TV튜너를 동작시켜 VHF로우밴드의 각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VHF하이밴드의 각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UHF밴드의 각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각각에 대하여, 각 채널의 신호를 고전계 강도, 중전계 강도, 약전계 강도의 상태에서 각각 수신했을 때,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a)도 내지 제5(e)도중 어느 것의 특성 a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1 내지 분류 7에 따라 온 또는 오프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여기서, 제4도에 도시된 복동조회로의 동작을, 제5(a)도 내지 제5(e)도 및 제6도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TV튜너에 있어서, VHF하이밴드, VHF로우밴드, 또는 UHF밴드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신호를, 예를들어 강전계 강도상태에서 수신하고, 주파수 변환부(3)의 출력에 중간주파수 신호가 얻어졌을 때,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강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a)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며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1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7)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하고, 2개의 출력포트(BS6,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온전압은 제 1, 제 3버퍼저항(23, 25)을 개재하여 제 1, 제 3스위칭 다이오드(9, 17)에 가해지고, 이들을 온상태로 하고, 오프전압은 제 2, 제 4버퍼저항(24, 26)을 개재하여 제 2, 제 4스위칭 다이오드(10, 18)에 가해지고, 이들을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부가 콘덴서(27)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1부가 콘덴서(30)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a)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a)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다음에,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2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중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2채널과 중전 계전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b)도의 특성 a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2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5)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하고, 3개의 출력포트(BS6 내지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온전압은 제 1스위칭 다이오드(9)를 온상태로 하고, 오프전압은 제 2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10, 17, 18)를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부가콘덴서(27)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b)도의 특성 b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b)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3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약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3채널과 약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b)도의 특성 a의 점선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3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3개의 출력포트(BS5, BS6,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7)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오프전압은 제 1, 제 2,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8) 을 오프상태로 하고,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를 온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3부가콘덴서(30)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b)도의 특성 b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b)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또,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4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강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4채널과 강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c)도의 특성 a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4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4개의 출력포트(BS5 내지 BS8)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온전압은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를 모두 온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부가 콘덴서(27)와, 제 2부가 콘덴서(2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3부가 콘덴서(30)와 제 4부가 콘덴서(1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c)도의 특성 b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팟니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c)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5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중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5채널과 중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c)도의 특성 a의 점선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5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4개의 출력포트(BS5)내지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오프전압은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을 전부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c)도의 특성 b의 점선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c)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6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약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6채널과 약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d)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6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6)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하고, 두 개의 출력포트(BS7, BS8)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한다. 오프전압은 제 1, 제 2스위칭 다이오드(9, 10)를 오프상태로 하고, 온전압은 제 3, 제 4스위칭 다이오드(17, 18)를 온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3부가콘덴서(30)와 제 4부가콘덴서(1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d)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d)도의 특성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또,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7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중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7채널과 중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e)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7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6)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하고, 2개의 출력포트(BS7,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온전압은 제 1, 제 2스위칭 다이오드(9, 10)를 온상태로 하고, 오프전압은 제 3, 제 4스위칭 다이오드(17, 18)를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부가 콘덴서(27)와 제 2부가 콘덴서(2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5(e)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e)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 경우에, 제어테이블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VHF하이밴드의 각 채널, VHF로우밴드의 각 채널, UHF밴드의 각 채널과, 수신시의 전계강도에 대응한 조합의 전부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5(a)도 내지 제5(e)도의 특성 a중 어느 하나인가에 따라, 제6도에 도시한 분류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를 기입하고 있으므로, 집적회로(22)는 수신한 채널과 수신신호의 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거하여, 제어테이블의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고, 판정된 분류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전압을 각 출력포트(BS5 내지 BS8)에 출력하고, 제 1 내지 제 4부가 콘덴서(27, 28, 30, 31)를 선택적으로 1차측 동조회로(1)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2)에 병렬로 삽입 접속함으로써,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어떠한 특성의 것이어도,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5(a)도 내지 제5(e)도의 각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TV튜너의 각 부의 특성에 의존하여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수신채널 및 그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변화하여도, 복동조회로에 제 1 내지 제 4부가콘덴서(27, 28, 30, 31)가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며, 그 주파수 응답을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에 근접하도록 보정하므로,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항상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제4도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고정 댐핑저항(29)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 이외에, 제 1스위칭 다이오드(9)에 직렬 접속된 제 5댐핑저항(37)과, 제 2스위칭 다이오드(10)에 직렬 접속된 제 5부가콘덴서(38)를 구비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2고정댐핑저항(32)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 이외에,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에 직렬 접속된 제 6부가콘덴서(39)와, 제 4스위칭 다이오드(18)에 직렬 접속된 제 6댐핑저항(40)을 구비한다. 또, 제어회로부(21)는 제 1 내지 제 4버퍼저항(23 내지 26) 이외에, 제 2 및 제 3스위칭 다이오드(10, 17)의 음극과 접지점 사이에, 제 2 및 제 3스위칭 다이오드(10, 17)에 가해지는 온전압의 귀로를 구성하는 제 9 및 제 10버퍼저항(41, 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이하, 이것을 전자라고 한다)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이하, 이것을 후자라고 한다)와의 구성의 차이는, 전자가 공진회로에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는 제 5 및 제 6부가콘덴서(38, 39)와 제 5 및 제 6댐핑저항(37, 40)을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후자가 마찬가지로 공진회로에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는 제 1 내지 제 4부가콘덴서(27, 28, 30, 31)를 구비하고 있는 점, 전자가 제 2 및 제 3스위칭 다이오드(10, 17)에 가해지는 온전압의 귀로를 구성하는 제 9 및 제 10버퍼저항(41, 42)을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후자가 제 1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7, 18)에 가해지는 온전압의 귀로를 구성하는 제 5 내지 제 8버퍼저항(33 및 36)을 구비하고 있는 점 뿐이고, 그 이외에 전자와 후자의 사이에 구성상의 차이가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구성에 대한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8(a)도 내지 제8(d)도는, 제7도에 도시된 TV튜너의 복동조회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특성도이고, 제9도는 집적회로(22)내의 제어테이블로의 기입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제8(a)도는 주파수 혼합부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거의 이상적인 상태일 때, 제8(b)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고역측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일 때, 제8(c)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저역측에서 돌출하고 있는 상태일 때, 제8(d)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저역측 및 고역측의 쌍방에서 넓게 퍼진 상태일 때, 제8(e)도는 동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통과대역의 저역측 및 고역측의 쌍방에서 좁아져 있는 상태일 때를 각각 나타내고, 또 제8(a)도 내지 제8(e)도에 있어서, 특성 a는 주파수 혼합부(3)의 출력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 b는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 c는 복동조회로의 출력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TV튜너는 그 출하전에 복동조회로의 조정과 집적회로(IC)(22)안에 있는 제어테이블로의 기입을 행하고 있다.
즉, 복동조회로에 있어서는, 제 2 및 제 3스위칭 다이오드(10, 17)를 온으로하고, 제 1 및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8)를 오프로 한 상태에서, 제 1가조정 인덕터(5) 및 제 2가조정 인덕터(13)의 각 인덕턴스치를 조정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가조정 인덕터(5, 13)의 결합도를 조정하고, 1차측 동조회로(1)를 중간주파수 통과대역의 저역측 주파수, 예를들어 제2(a)도의 특성 b의 f1점 근방에서 공진시키고, 또 2차측 동조회로(2)를 중간주파수 통과대역의 고역측 주파수, 예를들어 제2(a)도의 특성 b의 f2점 근방에서 공진시켜, 제2(a)도의 특성 b와 같이 복동조회로에 있어서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중심주파수(f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되는 거의 이상적인 상태로 설정한다.
또, 집적회로(22)중의 제어테이블에 있어서는, TV튜너를 동작시켜 VHF로우밴드의 각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VHF하이밴드의 각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UHF밴드의 각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각각에 대하여 각 채널의 신호를 고전계 강도, 중전계 강도, 약전계 강도인 상태로 각각 수신했을 때,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a)도 내지 제8(e)도중 어느 것의 특성 a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 1 내지 분류 5에 따라 온 또는 오프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여기서 제7도에 도시된 복동조회로의 동작을, 제8(a)도 내지 제8(e)도 및 제9도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TV튜너에 있어서, VHF하이밴드, VHF로우밴드, 또는 UHF밴드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신호를, 예를들어 강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하고, 주파수 변환부(3)의 출력에 중간주파수 신호가 얻어졌을 때, 집적회로(22)는 이 채널과 강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a)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6, BS7)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온전압은 제 2, 제 3스위칭 다이오드(10, 17)를 온상태로 하고, 오프전압은 제 1,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8)를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고정 댐핑저항(29)과 부가콘덴서(3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2고정 댐핑저항(32)과 제 6부가콘덴서(39)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8(a)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8(a)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2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중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2채널과 중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b)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2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7)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하고, 3개의 출력포트(BS5, BS6,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온전압은 제 3스위칭 다이오드(17)를 온상태로 하고, 오프전압은 제 1, 제 2,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0, 18)를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고정 댐핑저항(29)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2고정 댐핑저항(32)과 제 6부가콘덴서(39)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8(b)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8(b)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3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약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3채널과 약전계 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c)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3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2개의 출력포트(BS5, BS6)로부터 각각 온전압을 발생하고, 2개의 출력포트(BS7, BS8)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온전압은 제 1, 제 2스위칭 다이오드(9, 10)를 온상태로 하고, 제 3, 제 4스위칭 다이오드(17, 18)를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고정 댐핑저항(29)과 제 5댐핑저항(37)과 제 5부가콘덴서(3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2고정 댐핑저항(32)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8(c)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8(c)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또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4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강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4채널과 강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d)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4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5)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하고, 3개의 출력포트(BS6 내지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한다. 온전압은 제 1스위칭 다이오드(9)를 온상태로 하고, 오프전압은 제 2 내지 제 4스위칭 다이오드(10, 17, 18)를 오프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고정 댐핑저항(29)과 제 5댐핑저항(37)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2고정 댐핑저항(32)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8(d)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8(d)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어서, 채널의 선택을 전환하고 제 5채널의 신호를, 예를들어 중전계강도 상태로 수신했을 때, 집적회로(22)는 제 5채널과 중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해,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e)도의 특성 a에 나타낸 것이고, 제어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분류 5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3개의 출력포트(BS5, BS7, BS8)로부터 각각 오프전압을 발생하고, 하나의 출력포트(BS6)로부터 온전압을 발생한다. 이들 오프전압은 제 1, 제 3, 제 4스위칭 다이오드(9, 17, 18)를 오프상태로 하고, 제 2스위칭 다이오드(10)를 온상태로 하므로, 1차측 동조회로(1)는 제 1가조정 인덕터(5)와 제 1공진용 콘덴서(6)와 제 1고정 댐핑저항(29)과 제 5부가콘덴서(3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되고, 2차측 동조회로(2)는 제 2가조정 인덕터(13)와 제 2공진용 콘덴서(14)와 제 2고정 댐핑저항(32)으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은, 제8(e)도의 특성 b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8(e)도의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 경우에도 제어테이블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VHF하이밴드의 각 채널, VHF로우밴드의 각 채널, UHF밴드의 각 채널과, 수신시의 전계강도에 대응한 조합의 전부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제8(a)도 내지 제8(e)도의 특성 a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 제9도에 도시한 분류 1 내지 분류 5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를 기입하므로, 집적회로(22)는 수신한 채널과 수신신호의 전계강도와의 조합에 의거하여, 제어테이블의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가를 판정하고, 판정한 분류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전압을 각 출력포트(BS5 내지 BS8)에 출력하고, 제 5, 제 6댐핑저항(37, 40) 및 제 5, 제 6부가콘덴서(38, 39)를 선택적으로 1차측 동조회로(1)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2)에 병렬로 삽입 접속함으로써,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어떠한 특성의 것이어도,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은, 제8(a)도 내지 제8(e)도의 각 특성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TV튜너의 각 부의 특성에 의존하여 주파수 변환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수신채널 및 그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변화하여도, 복동조회로에 제 5, 제 6댐핑저항(37, 40) 및 제 5, 제 6부가콘덴서(38, 39)가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되고, 그 주파수 응답을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에 근접하도록 보정하므로, 복동조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항상 통과대역내에서 거의 평탄한 특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테이블에 기입하는 정보의 분류을 1 내지 5의 5개로 하고 있으나, 제어테이블 내에 그 이외의 분류, 예를들어 분류 6으로서 BS5온, BS6온, BS7온, BS8온의 것, 분류 7로서 BS5오프, BS6오프, BS7오프, BS8오프의 것 등을 기입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채널마다, 및 각 수신채널에 있어서의 자동이득제어전압의 크기마다. 복동조회로의 각 스위칭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스위칭 전압을 미리 정하여 놓고, TV튜너가 신호를 수신했을 때 그 수신채널 및 자동이득제어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미리 정한 스위칭 전압을 각 스위칭 다이오드에 공급하고, 1차측 동조회로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에 병렬로 댐핑저항이나 공진용 부가용량 소자로 이루어지는 임피던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수신채널마다, 및 각 수신채널에 있어서의 자동이득제어전압의 크기마다,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변화하여도, 복동조회로의 주파수 응답이 그 변화를 없애도록 작용하며, 복동조회로의 출력측에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는, 항상 이상적인 형태에 가까운 주파수 응답으로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결합된 1차측 동조회로와 2차측 동조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측 동조회로 또는 2차측 동조회로 중 적어도 한쪽에, 임피던스 소자와 스위칭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직렬회로를 병렬 접속하고, 상기 각 스위칭 다이오드를 신호수신상태에 대응한 스위칭 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소자는, 각각 상기 1차측 동조회로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에 있어서의 Q댐핑용 저항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상태에 대응한 스위칭 전압은, 수신신호 채널마다, 및 수신채널에 대응한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에 의존하여 미리 정해져 있고, 제어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동조회로와 2차측 동조회로는, TV튜너의 주파수 변환부와 중간주파 증폭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주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소자는, 각각 상기 1차측 동조회로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의 공진용 용량소자의 일부의 용량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 상태에 대응한 스위칭 전압은, 수신신호 채널마다, 및 수신채널에 대응한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에 의존하여 미리 정해져 있고, 제어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동조회로와 2차측 동조회로는, TV튜너의 주파수 변환부와 중간주파 증폭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주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1차측 동조회로 및/ 또는 2차측 동조회로에 있어서의 Q댐핑용 저항소자 및 공진용 용량소자의 일부인 용량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 상태에 대응한 스위칭 전압은, 수신신호 채널마다, 및 수신채널에 대응한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에 의존하여 미리 정해져 있고, 제어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동조회로와 2차측 동조회로는, TV튜너의 주파수 변환부와 중간주파 증폭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주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 상태에 대응한 스위칭 전압은, 수신신호 채널마다, 및 수신채널에 대응한 자동이득 제어전압의 크기에 의존하여 미리 정해져 있고, 제어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동조회로와 2차측 동조회로는, TV튜너의 주파수 변환부와 중간주파 증폭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주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동조회로와 2차측 동조회로는, TV튜너의 주파수 변환부와 중간주파 증폭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주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튜너의 복동조회로.
KR1019960062404A 1995-12-08 1996-12-06 Tv튜너의 복동조회로 KR100194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20624 1995-12-08
JP32062495A JP3273535B2 (ja) 1995-12-08 1995-12-08 Tvチューナの複同調回路
JP7-323154 1995-12-12
JP7-325423 1995-12-14
US8/572,550 1995-12-14
DE19547969A DE19547969C1 (de) 1995-12-22 1995-12-22 Elektrisches Filter
DE19547969.6 1995-12-22
JP7-343585 199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329A KR970055329A (ko) 1997-07-31
KR100194156B1 true KR100194156B1 (ko) 1999-06-15

Family

ID=6647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404A KR100194156B1 (ko) 1995-12-08 1996-12-06 Tv튜너의 복동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1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329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7953A (en) Tunable high-frequency input circuit
US7418247B2 (en) Radio-frequency receiver
US6795128B2 (en) Television tuner capable of receiving FM broadcast
US6108050A (en) Television tuner
US7106149B2 (en) Switchable tuneable bandpass filter with optimized frequency response
JP3273535B2 (ja) Tvチューナの複同調回路
US6876401B2 (en) FM-broadcast-receivable television tuner for preventing adjacent-channel interference
US4710973A (en) Varactor diode tuner with band switched coils and lines
EP1213837A1 (en) Tuner for receiving television signal in VHF band and UHF band
KR100194156B1 (ko) Tv튜너의 복동조회로
JP2008294844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の複同調回路
EP1104103B1 (en) Switchable band filter
KR19990072525A (ko) 디지털자동이득제어제어장치및제어방법
EP1109312B1 (en) Double-tuned circuit featuring restrained degradation of selectivity
KR100406353B1 (ko) 텔레비전 튜너의 입력동조 스위칭회로
US7363015B2 (en) Wide-frequency-range television tuner
JPH0758599A (ja) チューナ回路
KR100397112B1 (ko) 텔레비젼튜너
JP2010154232A (ja) 周波数可変フィルタ回路
CN1196615A (zh) 宽频带低噪音低互调失真接收机
JP3103017U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EP1455441B1 (en) Television tuner
US6172578B1 (en) Oscillation circuit suitable for upper heterodyne receiver
JPS6276914A (ja) 入力フイルタ回路
KR960002201Y1 (ko) 튜너의 복동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