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923B1 -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923B1
KR100193923B1 KR1019960049234A KR19960049234A KR100193923B1 KR 100193923 B1 KR100193923 B1 KR 100193923B1 KR 1019960049234 A KR1019960049234 A KR 1019960049234A KR 19960049234 A KR19960049234 A KR 19960049234A KR 100193923 B1 KR100193923 B1 KR 10019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plug
neutral position
shaft
plu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903A (ko
Inventor
박헌일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4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9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23B1/ko

Links

Landscapes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변속레버(1)와 컨트롤 로드(2)를 연결시키는 축(25)의 양단과 근접되는 변속레버(1)의 커버(20)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축(25)을 향하는 내측부의 직경이 외측부의 직경보다 짧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플러그 홈(21); 상기 플러그 홈(21)의 외측부로부터 체결된 플러그(22); 상기 플러그(22)에 일단이 고정된 리턴 스프링(23); 및 상기 리턴 스프링(23)의 타단에서부터 씌워져 플러그 홈(21)의 내측을 통해 커버(20)내로 진입되어 상기 축(25)과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홈(21)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후단 외곽에는 플러그 홈(21)의 내측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24a)가 형성된 소켓(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동변속기에서 소정 속도단의 기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속도단의 기어를 치합시키는 조작기구의 변속레버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기란 엔진에 클러치를 통하여 연결된 입력축과,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 사이에서 자동차의 주행상태의 변화에 따라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일종으로서, 양축간에 배치된 복수조의 기어장치중 1조를 선택적으로 구동 전달상태가 되도록 하는 기어식 수동변속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수동변속기에는 통상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진 기어장치의 기어 스플라인과 허브, 및 슬리브의 맞물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동기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동기장치중 마찰결합부를 2개소와 3개소로 하여 동기용량을 높이도록 한 것이 소위 삼중동기와 삼중동기 치합장치로서, 모두 통상 인너 링, 아우터 링, 더블콘, 및 싱크로나이저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중동기 치합장치는 허브 및 슬리브가 기어 스플라인에 맞물리는데 선행하여 인너 링 및 아우터 링이 더블콘에 양쪽으로부터 2개소에서 마찰결합하고, 삼중동기 치합장치는 전술된 2개소에다 인너 링과 기어의 보스부간의 마찰결합부 1개소가 더 추가되어, 이에 의해 기어 스플라인과 허브 및 슬리브를 동기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동기 치합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수동변속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에 연결된 입력축과 차동장치에 연결되는 출력축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각 축에 순차적으로 한 쌍의 1단 기어, 2단 기어, 3단 기어, 4단 기어, 및 5단 기어가 끼워져 있다. 한편, 입력축 및 출력축과 평행하게 리버스 아이들 축이 마련되어, 그 일단은 클러치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은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지지된다. 리버스 아이들 축상에 변속레버와 연동되는 리버스 아이들 기어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리버스 아이들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리버스 구동기어가 입력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리버스 아이들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버스 종동기어가 출력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리버스 구동 및 종동기어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리버스 아이들 축을 따라 이동한 리버스 아이들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서 후진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동기장치가 적용되는 전진용 기어들은 강도가 강하고 치합소음이 적은 헬리컬 기어인 반면에, 후진용 기어들은 동기치합이 아닌 선택습동식으로 치합되므로 스퍼어 기어가 사용된다.
상기된 기어들 사이에, 변속레버에 의해 선택된 속도단의 기어로 입력축의 동력을 동기회전시키며 전달하는 동기장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동기장치들중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적절한 기어비의 동기장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속도단의 각 기어를 치합시키는 조작기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1)의 하단에 컨트롤 로드(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컨트롤 로드(2)의 타단에는 각 동기장치로 변속레버(1)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체인지 암(3)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소정의 속도단 위치로 이동된 변속레버(1)를 다시 중립위치로 정확히 복귀시키는 장치가 컨트롤 로드(2)에 구비되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 로드(3)의 외주에 제 1 스프링(4)이 끼워져 있고, 그 사이에는 스페이서(5)가 끼워져 있다. 또한, 제 1 스프링(4)의 후단은 컨트롤 로드(2)에 끼워진 스토퍼(7)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스토퍼(7)는 트랜스미션 케이스(11)에 체결된 볼트(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스프링(4)은 컨트롤 로드(2)를 한 방향으로만 복귀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컨트롤 로드(2)의 다른 방향에서의 복귀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스프링(9)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로드(2)의 외주에 수 회 감겨져 고정된 제 1 스프링(4)의 일단은 트랜스미션 케이스(1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롤러(12)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12)는 트랜스미션 케이스(11)에 중간부가 힌지연결된 리턴 플레이트(10)의 일단에 접촉되어 있고, 리턴 플레이트(10)의 타단이 제 2 스프링(9)에 의해 탄력지지를 받고 있다. 제 2 스프링(9)은 트랜스미션 케이스(11)에 체결된 플러그(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도 2를 기준으로 컨트롤 로드(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스프링(4)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써, 제 1 스프링(4)의 일단이 신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속레버(1)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면, 신장되었던 제 1 스프링(4)이 원래대로 복귀되면서 변속레버(1)가 자연스럽게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반대로, 컨트롤 로드(2)가 시계반대 방향을 회전하게 되면, 제 1 스프링(4)의 타단에 고정된 롤러(12)가 리턴 플레이트(10)의 일단을 누르게 되므로써, 리턴 플레이트(10)의 타단은 제 2 스프링(9)을 압축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속레버(1)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면, 제 2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리턴 플레이트(10)의 타단이 눌려지게 되므로써, 롤러(12)가 상승되어 변속레버(1)가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종래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는, 컨트롤 로드(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스프링(4,9)과 리턴 플레이트(10)가 필요하고, 또한 제 1 스프링(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트(6)와 스토퍼(7)도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많아서 변속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크게 줄여서 변속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레버 2 - 컨트롤 로드
20 - 커버 21 - 플러그 홈
22 - 플러그 23 - 리턴 스프링
24 - 소켓 25 - 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변속레버와 컨트롤 로드를 연결시키는 축의 양단과 근접되는 변속레버의 커버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축을 향하는 내측부의 직경이 외측부의 직경보다 짧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플러그 홈; 상기 플러그 홈의 외측부로부터 체결된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 일단이 고정된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타단에서부터 씌워져 플러그 홈의 내측을 통해 커버내로 진입되어 상기 축과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홈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후단 외곽에는 플러그 홈의 내측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변속레버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가 변속레버를 감싸는 커버에 간단한 구조로 직접 설치되므로써,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크게 줄어들게 되어 변속기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변속레버(1)는 커버(20)에 의해 감싸져서 지지되어 있고, 그 하단에 컨트롤 로드(2)가 축(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축(25)의 양단은 종래에 비해서 외곽으로 좀더 돌출되도록, 긴 길이를 갖는 것이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커버(20)에 변속레버(1)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를 직접 구비시킨다.
즉, 축(25)의 양단과 근접되는 커버(20) 부분을 관통하는 한 쌍의 플러그 홈(21)이 축(25)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특히, 플러그 홈(21)의 내측부, 즉 축(25)을 향하는 부분의 직경은 외측부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다. 플러그(22)가 플러그 홈(21)의 외측부에 체결되고, 리턴 스프링(23)의 일단이 플러그(2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플러그 홈(2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소켓(24)이 리턴 스프링(23)의 외주에 끼워지는데, 소켓(24)은 축(25)을 향하는 부분이 리턴 스프링(23)의 타단을 완전히 감싸도록 만곡진 형상을 갖고, 이 부분의 직경은 플러그 홈(21)의 내측부를 통해 커버(20)내로 진입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한편, 소켓(24)의 반대편 부분은 스프링(23)이 끼워지도록 개구된 형상이고, 그 외곽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플랜지(24a)가 형성된다. 즉, 이 플랜지(24a)의 외주가 플러그 홈(21)의 직경이 긴 부분을 따라 이동되고, 또한 직경이 짧아지는 내측부와의 경계면에 접촉되므로써, 플러그 홈(21)에서 소켓(24)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소켓(24)의 중심을 잇는 플랜지(24a)의 직경은 플러그 홈(21)의 외측부보다는 짧고, 내측부보다는 긴 길이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변속레버(1)를 조작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축(25)의 일단이 소켓(24)의 만곡진 부분을 밀게 되어, 소켓(24)은 리턴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플러그 홈(21)내로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속레버(1)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조작하면, 변속레버(1)를 고정하고 있던 힘이 제거되었으므로, 리턴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소켓(24)이 축(25)의 일단을 강하게 밀게 되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1)는 운전자가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중립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변속레버(1)를 우측으로 이동시켜도, 우측에 마련된 복귀장치에 의해 상기와 같은 동작이 진행되어, 변속레버(1)가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레버(1)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가 변속레버(1)를 지지하는 커버(20)에 직접 설치되면서, 플러그(22)와 리턴 스프링(23) 및 소켓(24)의 3개 부품으로 구성되므로써, 부품수가 종래에 비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변속기 구조가 한층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변속레버와 컨트롤 로드를 연결시키는 축의 양단과 근접되는 변속레버의 커버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축을 향하는 내측부의 직경이 외측부의 직경보다 짧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플러그 홈; 상기 플러그 홈의 외측부로부터 체결된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 일단이 고정된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타단에서부터 씌워져 플러그 홈의 내측을 통해 커버내로 진입되어 상기 축과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홈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후단 외곽에는 플러그 홈의 내측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KR1019960049234A 1996-10-28 1996-10-28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KR10019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234A KR100193923B1 (ko) 1996-10-28 1996-10-28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234A KR100193923B1 (ko) 1996-10-28 1996-10-28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03A KR19980029903A (ko) 1998-07-25
KR100193923B1 true KR100193923B1 (ko) 1999-06-15

Family

ID=6631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234A KR100193923B1 (ko) 1996-10-28 1996-10-28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9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03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682B2 (en) Transfer case with synchronizer clutch
US4602525A (en) Continuously variable speed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forward-reverse changeover mechanism
US8079928B2 (en) Transfer case with overdrive mode
JPS60151461A (ja) 自動車用のレンジギヤボツクス
CN113090753B (zh) 换档机构、两档换档系统及车辆
US4292860A (en) Transfer device associated with power transmission
US4627308A (e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 vehicle
KR100354029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장치
US5711186A (en) Reverse synchronizer mechanism of manual transmission for a vehicle
US5862900A (en) Transmission synchronizer mechanism
KR100193923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US1949167A (en) Change speed gearing
KR200151299Y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위치 복귀장치
KR100333853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후진 조작장치
KR100225960B1 (ko) 수동변속기의 레버식 싱크로메시 기구
JP2000274446A (ja) ドッグクラッチ機構およびこのドッグクラッチ機構を用いた自動変速機
JP3655955B2 (ja) 自動車用トランスファ装置
JPS645158Y2 (ko)
KR19990012042A (ko)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메시 기구
JP2523661Y2 (ja) 多段変速機の同期噛合装置
KR100489402B1 (ko) 수동 변속기의 스피드 기어 결합구조
KR0149348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치합장치
JP3206391B2 (ja) 変速装置
CN118128866A (zh) 三轮车多挡位变速系统
KR19980042103U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5단/후진 속도단용 싱크로나이저 키 이탈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