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854B1 -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 Google Patents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3854B1 KR100193854B1 KR1019960060889A KR19960060889A KR100193854B1 KR 100193854 B1 KR100193854 B1 KR 100193854B1 KR 1019960060889 A KR1019960060889 A KR 1019960060889A KR 19960060889 A KR19960060889 A KR 19960060889A KR 100193854 B1 KR100193854 B1 KR 100193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npp
- signal
- unit
- network
- nod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패킷 망(packet network)을 이용하는 페이징(paging)호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징 호처리에 필요한 정보교환 처리를 하는 TNPP(Telocator Network Paging Protocol)방식의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RS232C를 사용하여 TNPP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방법은 시스템간의 망구성 시 각 신호 노드간의 모뎀을 통한 전용선이 연결되어야 함으로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간의 망구성에는 부적합 했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페이징시스템에서 TNPP프로토콜 정보를 X.25프로토콜 형태로 변형하여 패킷망을 이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킷 망(packet network)을 이용하는 페이징(paging)호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징 호처리에 필요한 정보교환 처리를 하는 TNPP(Telocator Network Paging Protocol)방식의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페이징 시스템은 이동가입자의 호처리를 위해 귀속국 시스템에서 이동지 시스템으로 무선호출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와, 발신자에 대한 서비스로 호 접수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귀소국 시스템으로의 호의 전환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로 널리 이용된다. 그러한 상기 페이징 시스템은 타 페이징시스템과 연결 시 RS232C를 이용하여 TNPP프로토콜로 전송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페이징노드는 각 상대 페이징 노드들과 1:1로 전용선을 사용하는 풀 매쉬(full mash)형태의 망이나 혹은, 스타(star)망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신호의 착신,발신,중계역활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RS232C를 사용하여 TNPP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방법은 시스템간의 망구성 시 각 신호 노드간의 모뎀을 통한 전용선이 연결되어야 함으로 그에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간의 망구성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징시스템에서 TNPP프로토콜 정보를 X.25프로토콜 형태로 변형하여 패킷망을 이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에 있어서,
페이징 시스템에서의 각종 호처리, 운용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파트이며, 망을 통하여 응용서비스를 실현하고, 망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 시 후술되는 TNPP처리부로부터 정보의 송수신서비스를 받는 응용계층부와,
상기 응용계층부로부터 발생된 정보를 TNPP신호로 포멧하는 작업 및 타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TNPP신호를 상위 응용정보로 변환하여 보고하는 기능과, 수신한 신호의 목적지 주소가 자국주소가 아닐 시 타시스템으로 중계하는 기능의 망관리 기능등을 수행함으로서, 전체적으로 망을 관리하고 응용계층에 대한 신호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는 TNPP처리부와,
상기 TNPP처리부로부터 신호점에 대한 패스의 설정요구를 받아 망과 연동하여 논리적인 경로를 열고 신호의 송/수신 역활을 담당하는 X.25정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시스템의 계층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NPP처리부의 상세 블록구성도이다.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신호의 포맷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시스템의 계층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응용계층부(100)은 페이징 시스템에서의 각종 호처리, 운용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파트이며, 망을 통하여 응용서비스를 실현하고, 망(Network)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 시 후술되는 TNPP처리부(110)로부터 정보의 송수신서비스를 받는다. TNPP처리부(110)은 상위 응용계층부(100)로부터 발생된 정보를 TNPP신호로 포멧하는 작업 및 타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TNPP신호를 상위 응용정보로 변환하여 보고하는 기능과, 수신한 신호의 목적지 주소가 자국주소가 아닐 시 타시스템으로 중계하는 기능의 망관리 기능등을 수행함으로서, 전체적으로 망을 관리하고 응용계층에 대한 신호전달의 역할을 수행한다. X.25정합부(130)은 X.25패킷망과 정합되는 파트로서, 상기 TNPP처리부(110)로부터 신호점에 대한 패스(PATH)의 설정요구를 받아 망과 연동하여 논리적인 경로를 열고 신호의 송/수신 역활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TNPP처리부(110)의 상세구성을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NPP처리부의 상세 블록구성도로서, 망관리부(200)는 자국노드(신호점)과 타 노드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상태를 관리한다. 이때, 상기 망관리부(200)은 하기의 표1과 같은 테이블을 운용하여 노드 어드레스(node adress)와 노드와 X.25정합부(130)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파라메터(Xnet_no), 그리고, X.25정합 상태로 구성된 테이블을 운용한다. 이때, 상기 노드 어드레스(node adress)와 노드와 X.25정합부(130)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파라메터(Xnet_no)는 운용자에 의해 정해지며, 테이블의 각 노드 어드레스(node adress)의 상태를 접근 가능상태(노드 어드레스(node adress)과 통신가능)로 진입하기 위해 X.25정합부(130)에 신호점 연결요구 및 그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상기 Xne_no를 파라메터로 상기 X.25정합부(130)와 통신한다.
node_address | node_type | Xnet_no | 상 태 |
1 | HOME_NODE | - | - |
2 | DEST_NODE | 1 | 접속 |
3 | DEST_NODE | 2 | 접속 |
... | ... | ... | ... |
판별부(210)은 신호디코더(220)이 X.25정합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보고 자국에서 처리할 것인지 리라우팅(rerouting : 중계)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메시지라우팅부(230)은 응용계층부(100)로부터 신호인코더(240)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전송서비스 한다.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신호의 포맷으로서, 도 3a와 X.25정합부(130)간의 통신신호 포멧이고, 도 3B는 TNPP처리부(120)간의 통신신호 포맷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정보필드(information fleld)에는 TNPP처리부(110)로부터 X.25정합부(120)에 신호전송 요구 시 발생하는 전송 요구신호가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X.25정합부(120)에 전송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전송신호가 삽입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SOH(Start-Of-Header-flag)는 헤더의 시작을 의미하는 ASCLL코드이다. 헤더(HEADER)는 신호의 착/발신을 노드시리얼번호와 노드의 통과수를 의미하는 이너티아(inertia)로 구성된다. Destination Adress(귀착지 주소)는 신호의 귀착지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이너티아(inertia)는 신호가 통과해야 할 중계국수(n) + 1을 의미한다.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와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는 각 각 신호의 발신지와 신호의 일련번호를 의미하며, STX(Start-of-Text-flag)와 ETX(End-of-block)는 정보의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블록(data block)은 하나 이상의 단위정보 블록을 의미하고, ETB(End-of-Block)은 하나 이상의 단위 정보블럭이 존재할 시 블록과 블록을 구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 1, 도 2의 블록구성과 도 3a와 도3b의 통신신호의 포맷을 참조하여 본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TNPP처리부(110)은 내부의 망관리부(200)는 표 1과 같은 테이블의 각 node-adress의 상태를 접근가능상태(즉, node-adress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X.25정합부(120)에 신호점의 연결요구 및 그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상기 X.25정합부(120)와의 통신은 Xnet_no를 파라메터로 한다. 그런후, 상기 TNPP처리부(110)은 신호점의 연결 결과를 통보받고 상기 응용계층부(100)에 노드에 대한 접근가능성 여부를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통신경로 연결된 후 상기 X.25정합부(120)이 타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TNPP처리부(110)로 신호를 전송할 시 도 3a와 같은 포맷의 데이터를 도 3b와 같은 포맷으로 변경 통보한다. 이때, 상기 X.25정합부(1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TNPP처리부(110)의 신호디코더(220)에서 디코딩하여 신호판별부(210)에 인가된다. 그런후, 상기 신호판별부(210)은 상기 인가된 신호를 분석하여 자국에서 처리할 것인지 아니면, 리라우팅(rerouting)할 것인지 판별한다. 이때, 상기 신호판별부(210)의 판별은 도 3B의 귀착지 주소와 표 1의 망관리테이블의 node_address를 비교하여 결정하는데, 만약 노드타입이 HOME_NODE이면, 상기 응용계층부(110)로 보고함으로서 자국에서 처리 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노드타입이 DEST_NODE인 경우 메시지 라우팅부(230)로 신호를 넘긴다. 이때, 상기 메시지 라우팅부(230)는 표 1의 망관리 테이블에서 상태를 참조하여 연결확립상태가 접속상태이면, 상기 수신한 도 3B와 같은 포맷의 데이터와 표 1의 Xnet_no를 상기 X.25정합부(120)으로 전송함으로서 해당 노드신호를 리라우팅(rerouting) 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시 상기 응용계층부(100)는 상기 TNPP처리부(110)에 착신노드인 DEST_ADRESS와 그 곳에 전송할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라우팅부(230)는 표 1의 테이블에서 상태를 참조하여 연결확립상태가 접속상태이면, 상기 응용계층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신호인코더(240)에서 인코딩하여 만든 도 3b와 같은 신호와 표 1의 Xnet_no를 X.25정합부(120)으로 전송함으로서, 해당노드로 상기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페이징시스템에서 TNPP프로토콜 정보를 X.25프로토콜 형태로 변형하여 패킷망을 이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망의 형태가 단순해지고 각 노드는 최소 하나의 X.25 링크로서 상호연동이 가능한잇점이 있고, 또한 데이터전송의 신뢰성도 향상 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에 있어서,페이징 시스템에서의 각종 호처리, 운용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파트이며, 망을 통하여 응용서비스를 실현하고, 망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 시 후술되는 TNPP처리부로부터 정보의 송수신서비스를 받는 응용계층부와,상기 응용계층부로부터 발생된 정보를 TNPP신호로 포멧하는 작업 및 타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TNPP신호를 상위 응용정보로 변환하여 보고하는 기능과, 수신한 신호의 목적지 주소가 자국주소가 아닐 시 타시스템으로 중계하는 기능의 망관리 기능등을 수행함으로서, 전체적으로 망을 관리하고 응용계층에 대한 신호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는 TNPP처리부와,상기 TNPP처리부로부터 신호점에 대한 패스의 설정요구를 받아 망과 연동하여 논리적인 경로를 열고 신호의 송/수신 역활을 담당하는 X.25정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NPP처리부는,상기 X.25정합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국노드와 타 노드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그 상태를 관리하는 망관리부와,상기 망관리부의 제어하에 X.25정합부로부터 디코딩되어 수신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보고 자국에서 처리할 것인지 중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판별부와,상기 망관리부의 제어하에 상기 응용계층부로부터 인코딩되어 전송된 신호를 상기 X.25정합부로 전송 서비스하는 메시지라우팅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0889A KR100193854B1 (ko) | 1996-11-30 | 1996-11-30 |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0889A KR100193854B1 (ko) | 1996-11-30 | 1996-11-30 |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1585A KR19980041585A (ko) | 1998-08-17 |
KR100193854B1 true KR100193854B1 (ko) | 1999-06-15 |
Family
ID=6647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0889A KR100193854B1 (ko) | 1996-11-30 | 1996-11-30 |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3854B1 (ko) |
-
1996
- 1996-11-30 KR KR1019960060889A patent/KR1001938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1585A (ko) | 199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278121C (en) | Data communication system | |
US4761646A (en) |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and controlling a network of modems | |
US4580291A (en) |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and subscriber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 and teledistribution | |
KR900013762A (ko) | 팩시밀리 영상 신호 전송방법 | |
RU97111803A (ru) | Мобильная 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станциями и центр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 |
KR19980033165A (ko) |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RU99106677A (ru) |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услуг и протокола системы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 |
AU2001233127A1 (en) | Non-invasive remot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s | |
US649353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satellite and terrestrial communication | |
EP0632618B1 (en) | Multi-master supervisory system | |
KR100193854B1 (ko) | 패킷망을 이용한 페이징 호출시스템 | |
RU2121223C1 (ru) |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исковых вызовов в расширенной зоне обслуживания радиосистемы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 |
KR100329482B1 (ko) | 경비망용 전용회선 시스템 | |
JPS6330824B2 (ko) | ||
US7130407B1 (en) |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requests | |
JP3075508B2 (ja) | デジタル移動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 |
KR100298292B1 (ko) | 교환시스템에서의출중계신호에러시호처리방법 | |
KR100221840B1 (ko) | 복수의 운용자단말을 구비한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명령어 처리장치 | |
KR100728473B1 (ko) | 음성 메일링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
JPH04183140A (ja) | 多段中継機能における中継方式 | |
KR20000015564A (ko) |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호 해제 사유 전달 장치 | |
JP3016909B2 (ja) | センタ側網制御装置 | |
JPH01190156A (ja) | 放送型データ通信システム | |
KR20010059551A (ko) | 통합형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H04371060A (ja) | ネットワーク管理方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