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191B1 - 모듈러 카운터에 설치된 액체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모듈러 카운터에 설치된 액체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191B1
KR100193191B1 KR1019910015420A KR910015420A KR100193191B1 KR 100193191 B1 KR100193191 B1 KR 100193191B1 KR 1019910015420 A KR1019910015420 A KR 1019910015420A KR 910015420 A KR910015420 A KR 910015420A KR 100193191 B1 KR100193191 B1 KR 10019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reservoir module
viscous fluid
extending
disp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944A (ko
Inventor
알렌이.브란덴버그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92000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모듈화된 카운터톱에 설치하는 액체 비누 분배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하우징,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을 통하는 작동 채널로 되는 배급 모듈을 포함한다. 작동 채널내에는 작동봉 조립품이 있다. 작동봉 조립품의 하부는 자유롭다. 프레임의 저부에 불어 있는 것은 켄이스터톱이다. 이것은 켄이스터로 쓰고 버리는 액체 비누 저장 모듈을 덮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모듈러 카운터에 설치된 액체 분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체비누 분배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라인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액체비누 분배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분배모듈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저장모듈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도면을 90° 회전시킨 본 발명의 분배모듈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프레임의 분해 정면도.
제7도는 흡입 노즐이 분해된 펌프 하우징의 등각투영도.
제8도는 상부를 투시되게한 가이드실린더와 깔때기형 구멍의 등각투영도.
제9도는 펌프 퍼스톤의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10-10라인을 따라 취한 펌프피스통의 단면도.
제11도는 펌프축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라인을 따라 취함 펌프측의 단면도.
제13도는 송출관의 종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배 장치 12 : 송출구 모듈
16 : 캐니스터 18 : 하우징
20 : 프레임 22 : 작동봉 채널
24 : 송출구 보어 26 : 상부 작동봉
27 : 슬리브 28 : 링크
32, 34 : 암형 커넥터 38 : 원통형 채널
48 : 버튼 56 : 카운터 톱
58 : 탄성 와셔 62 : 용기 벽
64 : 캐니스터 톱 68 : 용기 벽
74 : 슬롯 76 : 하부 캡
78 : 펌프 하우징 80 : 가이드 실린더
84 : 펌프 샤프트 90 : 펌프 피스톤
93 : 와셔 94 : 스프링
101 : 체크 밸브 102 :스프링
본 발명의 유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카운터톱에 장착된액체 비누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중에는 여러종류의 카운터톱에 장착된 유체 분배기가 알려져 있다. 이들 분배기는 대개 침지 튜브가 그 안으로 삽입되는 재충전식 비누 저장기를 포함한다. 침지 튜브는 통상 하나 또는 두 개의 체크 밸브와 피스톤형의 펌프를 가진다. 이들 펌프와 밸브 배열은 항상 영구시설이고 따라서 상당기간 후에는 밸브 그리고/또는 펌프는 고정이 나거나 막혀서 비누를 분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분배기의 하나가 미합중국 특허 제 1,229,556호로 와트로오우스에 허여된 것이다. 상기 특허는 침지 튜브가 그 기부에 볼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저장기내로 하향 연장하는 침지 튜브를 개시하고 있다. 저장용기를 재충전하기 위해서는, 저장기를 장착 브라켓으로부터 떼어내고 그리고 액체 비누를 열린 상부 리셉터클안으로 부어야 한다.
또 다른 비누 분배기가 미합중국 특허 제 923,447호로 스밋트에게 허여되었는데, 이것은 비교적 전형적인 피스톤 구동 펌프 구조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봉과 피스톤은 인접해 있고 그리고 영구시설로 설계되어 있다. 스밋트의 리셉터클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카운터톱으로부터 펌핑 장치를 제거하고 이어서 카운터톱 하부로부터 리셉터클을 제거해야 한다. 그 후 액체 비누는 용기내에 부어서 전체 조립체를 재설치할 수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중에서 어느 것도 사용후 버릴 수 있는 저장기 및 피스톤 펌프 모듈과 결합하는 영구 작동봉 분배 조립체가 있는 두 갈래로 나뉘어진 모듈 시스템을 개시하지 못했다.
선행기술 중에서 어느것도 그 내부가 상시 대기성 오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밀봉된 비누 저장기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종래 기술은 또한 영구 분배 구가 액체 비누 송출용 제1차 도관으로 작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나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 장착된 작동봉과, 사용후 버릴 수 있는 비누 저장기 및 피스톤 펌프 모듈과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된 분배구 모듈을 포함하는 카운터톱에 장착된 액체 비누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비누가 상시 환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밀봉된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비누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봉 채널과 작동봉이 비누와 접촉하지 않는 비누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비누가 분배구의 내부시설과 접촉되지 않는 비누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자체의 용적형 펌프와 송출관을 포함하는 폐기가능한 비누 저장기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 피스톤이 펌프 피스톤과 체크 밸브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액체 비누 분배용 용적형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봉이 수직으로부터 사용자 쪽으로 작업성이 양호하도록 경사져 있는 카운터톱 비누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딩 또는 언로딩시에 저장기로부터 비누가 흐르지 않는 액체 비누 분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한 모든 목적들 그리고 기타의 목적들은 그리고 이들의 이점들은 다음에 기술한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될것이다. 이들 목적, 구성 내용 그리고 이점들은 용적형 펌프를 그 기부에 합체한 액체 비누용의 쓰고 버릴수 있는 저장기 모듈을 발명함으로써 이룩된다. 이 쓰고 버리는 저장기 모듈은 용적형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봉을 수용하는 가이드 실린더를 포함한다. 가이드 실린더 내부는 펌프와 비누 저장 주머니로부터 밀봉되어서 액체 비누가 이들에 노출되지 않는다.
쓰고, 버리는 저장기 모듈은 카운터톱 장착 분배 모듈과 함께 사용된다. 분배 모듈은 송출구와 쓰고 버리는 저장기 모듈내에 있는 용적형 펌프를 작동시키는 상술한 수동식 작동봉 조립체를 포함한다.
가요성 송출관은 또한 카운터톱 설치 분배기 모듈의 송출구를 통한 삽입을 위해 사용후 버릴 수 있는 저장기 모듈에 마련된다. 일단 쓰고 버리는 저장기 모듈이 제위치에 설치되면, 이것은 베이어니트 장착식 지지 캐니스터 내에 지지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도에 의해 설명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체비누 분배장치(10)를 나타낸다. 액체비누 분배장치(10)는 송출구 모듈(12) 그리고 저장기 및 펌프 모듈(14)를 나타낸다. 액체비누 분배장치(10)는 송출구 모듈(12) 그리고 저장기 및 펌프 모듈(14)를 포함한다. 저장기 및 펌프 모듈(14)는 캐니스터(16)내에 지지되어 있다. 송출구 모듈(12)는 프레임(20)을 함유하는 하우징(18)을 포함한다(제2도와 제3도 참조바람). 프레임(20)은 작동봉 채널(22)과 송출구 구멍(24)을 중간에 형성하는 두개의 인접한 조각으로 만들어져 있다. 프레임(20)의 두 조각은 나사와 육각 너트(25)으로 그리고 환상 청동 슬리브(27) 그리고 초음파 용접에 의해 유지된다. 작동봉 채널(22)과 송출구 구멍(24)은 각도가 있고 그리고 각각의 각도는 유사하게 둔각으로, 바람직하기는 수평으로부터 60°이다.
작동봉(22)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는 작동봉 조립체를 형성하는 상부 작동봉(26), 링크(28) 그리고 하부작동봉(30)이다. 상부 작동봉(26)이 저부는 박스형 단부 암형 커넥터932)에 접속된다. 비슷하게, 하부작동봉(30)의 상단은 복스 말단 암형 커넥터(34)로 끝난다. 암형 커넥터932)와 (34) 사이에 배치된 것이 링크(28)이다. 링크(28)는 실질적으로 원주형 말단(36) 두 개를 함유하며, 이것의 원통형축은 실질적으로 작동봉 채널(22)의 원통형축에 수직이다. 원통형말단(36)은 암형 커넥터(32, 34)의 원통형 채널(38)내에 실질적으로 결합되어 잇어서, 작동봉 채널(22)에서 상부 작동봉(26)이 하향 구동될 때, 암형 커넥터(33, 34) 그리고 링크(28)는 작동봉 채널(22)의 각진 부분을 통한 피봇팅 운동을 허용하여 작동봉 채널(22)내에서 하부 작동봉(30)을 동시에 하향 구동시키게 된다.
상부 작동봉(26)의 상부 부분은 나사식 리셉터클(40)에 접속된다. 캡(40)은 나사(44)에 의해 나사식 리셉터클(40)에 부착되어 있다. 마개(42)는 하우징(18)의 상부와 미끄럼식으로 결합된 환상 채널(46)을 가진다. 마개(42)에는 스크류(44)의 상부를 덮는 스넵인 버튼(48)이 설치되어 있다.
송출구 구멍(24)내에는 배급주둥이(50)가 설치되어 있다. 배급주둥이(50)는 밖으로 퍼진 말단(52)을 가진다. 배급주둥이(50)는 바람직하기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든 것이다. 하우징(18)은 바람직하기로는 크롬으로 도금한 아크릴로니트릴 부다디엔 스티렌(ABS)이다.
프레임(20)으로부터 밖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간 것이 지지플랜지(54)이고, 이것은 카운터톱(56)과 맞닿음 위치로 존재하도록 설치된다. 탄성 와셔(58)가 하우징(18), 지지플렌지(54) 그리고 카운터톱(56)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봉 접촉이 되게 제공되어 있어서, 카운터톱(56)에서 하우징(18)로 수집되는 물이나 비누의 침투를 막는다.
프레임(20)의 하부는 나사식 니플(60)을 함유한다. 넛트(62)는 나사식으로 꼭지(60)에 결합한다. 넛트(62)는 카운터톱(56)의 저부에 접속되고 이로써 프레임(20)과 하우징(18)을 견고히 카운터톱(56)에 유지시킨다.
또한, 캐니스터 톱(64)은 나사식으로 니플(60)에 결합된다. 꼭지(60)로부터 캐니스터 톱(64)을 통해 밑으로 연장된 것을 작동봉 슬리브(66)이다. 작동봉 슬리브(66)은 저부 작동봉(30)와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그리고 작동봉(30)은 작동봉 슬리브(66)을 통하고 더 나오도록 혀 있다. 캐니스터 톱(64)은 캐니스터(16)에 베이어니 트식으로 장착된다. 캐니스터(16)와 캐니스터 톱(64) 내에 배치된 것으로는 저장 및 펌프 모듈914)이다. 저장 및 펌프 모듈(14)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용기부 또는 벽(68)을 포함한다. 밀폐 상부(70)는 용기(68)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 부분(70)은 개구(71)를 가지고 있다. 구멍(71)의 내부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이 복수개의 손가락부(73)이다. 상기 상부(70)을 통해 하부로 향해서 가이드 실린더(80)가 있다. 가이드 실린더(80)은 이들의 외부에 환상 융기부(75)를 가지는 깔때기형 구멍(72)을 포함한다. 손가락(73)의 끝은 가이드 실린더(80)이 상부 (7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꼭지(75)와 결합한다. 깔때기형 구멍(72) 내에는 소출관 슬롯(74)이 있다. 상부(70)로부터 나온 호형 자유단 손가락부(77)는 송출관 슬롯(74)와 배열한다.
벽(68)의 밑에는 실질적으로 원주형인 하부 캡(76)이 있다. 하부 캡(76) 내에 설치된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상부로 위치한 것이 펌프 하우징(78)이다. 펌프 하우징 (78)으로부터 원주쪽에 설치된 것은 벽(81)이고, 이것은 하부 캡(76)으로부터 내부로 설치된 환상 주둥이부(83)와 원주적으로 접촉한다. 펌프 하우징은 가이드 실린더 (80)의 환상 채널(85)에 압입 끼워맞춤되고 초음파 용접된다.
저장기 및 펌프 모듈(14)내에는 주머니 배출 노즐이 초음파 용접된 액체 비누의 압착 주머니(82)가 있다. 주머니 배출 노즐은 펌프 흡입 노즐(98)에 압입 설치한다. 주머니(82)는 용기벽(68)이 내부의 가이드 실린더(80)의 주위를 에워싼다. 가이드 실린더(80)내에는 제4도에서 더 상세히 표시하는 펌프 샤프트(84)가 있다. 펌프 샤프트(84)의 상부는 하부 작동봉(30)의 말단부(88)와 인접하는 위치에 놓인다. 펌프 샤프트(84)의 하단은 펌프 하우징(78)에 이어진 펌프 피스톤(90)과 연결된다. 펌프 샤프트(84)의 단면은 제12도에 명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이다. 펌프 샤프트(84)로부터 원주로 이어지는 플랜지(86)이 있다. 환상, 탄성 시일(92)이 펌프 피스톤(90)에 있으며, 이것은 펌프 피스톤(90)과 펌프 하우징(78) 사이의 밀봉을 만든다. 시일(92) 상에는 와셔(93)가 있다. 스프링(94)은 플랜지(86)과 와셔(93) 사이에 있다.
펌프 피스톤(90)은 이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힌지식 날개 부재(96)를 포함한다. 펌프 피스톤(90)과 힌지식 날개 부재 (96)는 성형된 폴리프로필렌이다. 펌프피스톤(90)의 주본체로의 힌지식 날개 부재(96)의 결합의 좁음은 종종 리빙힌지로 불려진다. 힌지식 날개 부재(96)는 펌프 피스톤(90)의 하강 스트로크때에 펌프 하우징(78)의 내벽과 밀봉 작용을 위해 외부로 뻗어있다. 펌프 피스톤이 하우징(78) 내에서 흡입 또는 비압축 운동을 하기 위해 상부로 움직일때에는, 힌지부(96) 위의 펌프 하우징(78)내의 액체 비누의 점도와 중량이 힌지부(96)가 안으로 돌고 펌프하우징(78)의 내벽으로부터 이탈하여, 액체 비누가 펌프 피스톤(90)의 아래로 통과하여 다음의 하향 동작을 준비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펌프 피스톤(90)은 히지부(96)과 함께 정치환 피스톤과 체크 밸브의 역할을 겸한다. 펌프 피스톤(90)과 힌지부(96)이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액체 비누의 점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50 내지 15,000cps 이다.
펌프 하우징(78)으로부터 펌프 흡입 노즐(98)이 나와 있고, 이것음 펌프 하우징에 삽입되고 그리고 초음파 용접되고 벽(81)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펌프 하우징(78)은 배출 노증(100)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 노즐(100)은 볼 체크 밸브(101)가 초음파 용접되어 있고, 이는 스프링(102)과 볼(103)을 가지고 있다. 비누의 점도에 따라서 볼 체크 밸브(101)는 덕빌 체크 밸브로 대치될 수 있다. 볼 체크 밸브(101)는 비누가 펌프하우징(78)에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흡입 또는 비펌핑 행정시 힌지부(96)의 하향 운동을 증진시킴에 도움이 된다. 작동시에는, 볼(103)은 펌프 피스톤(90)의 각 펌핑 행정에는 앉지 않고 비누가 볼 체크 밸브(101)를 통해 흐르게 한다. 피스톤의 비펌핑 또는 흡입 행정시에는, 스프링(102)는 볼(103)을 하향으로 밀어서 체크 밸브(101)내에 앉도록 한다. 볼(103)이 다시 앉기 위해 이동할 때 송출관(104)내에 함유된 소량의 비누를 흡입 또는 인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말단 끝(110)으로부터 비누의 방울로 떨어지거나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체크 밸브(101)로부터 가요성 송출관(104)이 나와 있다. 송출관(104)는 가이드 실린더(80)의 외부에 따라서 브래킷(105)에 의해 지지되며 송출관 슬롯(74)을 통해 나온다. 아치형, 자유단 손가락부(77)는 슬롯(74)내의 송출관(104)의 비 접촉 지지를 한다.
제4도에서는 펌프 하우징(78)이 저장 및 펌프 모듈(14)내에 비동심으로 설치된 것에 주목해야 한다. 비록 제4도는 체크 밸브(101)가 펌프하우징(78)으로부터 편심을 넓은 쪽으로 나와 있으나, 흡입 노즐(98)이 편심의 넓은 쪽으로 나오는 것이 더욱 유익하다. 이와 같이하여, 절첩 가능한 주머니(82)의 배출 노즐을 흡입 노즐(98)에 연결함에 장소가 넉넉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송출구 모듈(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토(56)에 영구히 설치된다. 저장 및 펌프 모둘(14)을 설치하기 위해서 그리고 이로서 본 발명의 분배장치(10)에 액체 비누를 적절히 공급하기 위해서, 지지 캐니스터(16)는 캐니스터 톱(64)에서 분리한다. 저장 및 펌프 모듈(14)는 이어서 지지 캐니스터(16)에 접촉시키고 그리고 지지 캐니스터(16)이 캐니스터 톱(64)에 다시 연결되게 올리고, 송출관(104)는 송출구(50)를 통해 깔때기형 개구(106)내로 삽입한다. 비슷하게, 작동봉(30)의 말단 끝(88)을 깔때기형 구멍(72)를 통해 가이드 실린더(80)에 넣는다. 지지 캐니스터(16)가 캐니스터톱(64)과 합쳐지면, 하부 작동봉(30)의 말단부(88)은 샤프트(84)와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벌어진 단부(52)는 송출관(104)가 삽입시 송출구(50)의 하부 모서리에 잡히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또한, 송출관(104)의 말단부(110)는 중심에 구멍이 있는 반구 상태이고 이 구멍을 통해 비누가 통과한다(제13도 참조). 말단부(110)의 반구 상태는 구멍(50) 속에 송출관(10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작동시에, 사용자는 오직 하우징(18) 위의 캡(42)을 아래로 누르면, 이로서 작동봉(30)은 펌프 샤프트(84)와 펌프 피스톤(90)을 하향시키고 이로서 액체 비누를 펌프 하우징(78)로부터 볼 체크 밸브(101)과 송출관(104)를 통해 사용자에 공급한다. 사용자가 버튼(72)을 놓으면, 스프링(94)가 실린더(80) 내의 펌프 샤프트(84)를 상방으로 움직여서 픔프 피스톤(90)이 펌프 하우징(78) 내에서 상방으로 움직여서 다음의 폄핑 행정에 준비하게 한다. 작동봉 채널(22)은 둔각으로 되어 있으므로, 캡(42)과 상부 작동봉(26)은 통상적인 수직으로 배치된 작동봉 보다 더욱 작동이 용이하게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송출관(104)는 송출구(50)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어서 말단부(110)가 송출구(50)의 단부 위에 존재하여 비누가 송출구(50)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아 장시간이 지나도 오염 그리고/또는 박테리어 감염이 없다.
펌프 하우징(78)의 저부에는 피봇 점(112)이 돌출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피봇 점(112)은 재충전 또는 저장기 모듈(14)의 원주축에 위치하고 있다. 피봇 점(112)은 지지 캐니스터(16)의 저부내에 존재 및 저부 내의 허브에 의해 지지되는 실제 원추형 잔부로 하강한다. 이러한 허브는 정합 원추형 리세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재충전 모듈(14)은 지지 캐니스터(16)내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피봇 점(112)상에서 수직으로 지지된다. 재충전 모듈(14)과 지지 캐니스터는 따라서 상호 회전할 수 있어서, 송출관(104)을 비틀리게 하거나 꼬이게 할 염려 없이 지지 캐니스터(16)을 캐니스터 톱(64)에 베이어니트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저장기 모듈은 사용후 버릴수 있으므로, 저장기 모듈(14)의 액체 비누가 소모될 때마다 새로운 모듈(14)로 교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새로운 저장기 모듈(14)은 새로운 펌프 피스톤(90) 및 새로운 볼 체크 밸브를 반드시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듈 교환 특징으로 인해 선행기술에서 발브와 펌프 마모로 인한 고장의 문제를 해결한다.
비록 도면에서 펌프 하우징(78)이 하부 캡(76)내에 설치되어 있으나, 펌프 하우징(78)은 상부 캡(70) 부근의 가이드 튜브(8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흡입 튜브는 흡입 노즐(98)부터 절첩 가능한 주머니(82)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것이 요구된다.
만약 용기부분(68)이 하부 캡(76)과 상부 캡(70)과의 연결이 액체 밀봉상태로 만들어지면, 주머니(82)는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비누가 배출됨에 따라 재충전(14)에 공기가 흘러 들어가도록 상부 캡(70)을 통해 벤트의 설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에 부합되며, 본 발명의 장치에 관련된 다른 이점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구조는 세부 조합등은 다른 내용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실시태양이 있을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한 내용과 도면에서 표시한 내용은 설명을 위함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2)

  1. (가) 카운터톱을 관통 연장하는 니플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나)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니플을 관통 연장하는 작동봉과, (다) 상기 니플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작동봉 주위에 있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과 함께 사용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상기 슬리브 위로 연장하고, 상기 작동봉의 자유 말단부가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 내에 삽일될 때, 스프링 편의된 피스톤 펌프 조립체와 맞닿는 펌프 피스톤에 부착되지 않는 자유 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 연장하고, 그 인접 단부와 그 끝이 벌어져 있는 말단부를 구비한 송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가) 상기 송출구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내의 보어와, (나) 상기 보어와 정렬하는 상기 니플 내의 깔대기형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 상기 니플 상에 장착된 캐니스터 톱과, (나) 상기 캐니스터 톱에 결합될 수 있는 캐니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내에 존재하도록 된 펌프를 포함하는 사용후 버릴 수 있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은 (가) 밀폐 상부와 기부 캡을 포함하는 용기부와, (나) 상기 밀폐 상부로부터 상기 용기부를 거쳐 상기 펌프로 연장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카운터톱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니플과 결합 가능한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카운터톱과 맞닿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방사상 연장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은 (가)그에 부착된 밀폐 상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나) 상기 용기부에 부착된 펌프 하우징과, (다) 작동봉을 수용하도록 되고, 상기 펌프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상부로 연장하는 실린더와, (라) 상기 펌프 하우징 내의 스프링 편의된 피스톤과, (마) 일단부에서 상기 피스톤에 부착되고 상기 작동봉과 작동 결합하도록 상기 실린더 내로 연장하는 자유 단부를 구비한 펌프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1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관절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톱 장착식 비누 분배 장치.
  11. 지지 캐니스터와 송출구 및 자유 말단부를 갖춘 작동봉을 포함하는 액체 비누분배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에 있어서, (가) 밀폐 상부와 기부 캡을 구비한 용기부와, (나) 상기 용기부에 부착된 펌프와, (다) 상기 용기부 내의 밀폐 상부로부터 상기 펌프로 연장하는 실린더와, (라) 상기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이 상기 지지 캐니스터 내에 장착될 때 작동봉의 자유 말단부와 인접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로 연장하는 펌프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송출구 내 및 그 외부로 미끄럼 가능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송출구를 거쳐 연장하는 가요성 송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용적형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부의 기부벽 수단을 관통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벽 수단 하방의 상기 펌프에 부착된 펌프 흡입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비누 저장기 모듈.
  16. 송출구를 포함하는 점성 유체 분배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에 있어서,(가) 밀폐 상부와 그에 부착된 기부 캡을 구비한 용기부와, (나) 상기 용기부에 부착된 펌프 하우징과, (다) 상기 용기부 내의 밀폐 상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펌프 하우징에 정렬되는 가이드 실린더와, (라) 상기 펌프 하우징으로부터 송출구를 거쳐 연장하고, 송출구 내 및 그 외부로 미끄럼 가능하며, 송출구 위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구비하여 분배되는 임의의 점성 유체가 점성 유체 분배 장치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가요성 송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이 점성 유체 분배 장치에 장착될때 점송 유체 분배 장치로부터 연장하는 작동봉의 자유 말단부와 인접하고, 상기 펌프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실린더 내로 연장하는 펌프 구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내에 미끄럼식으로 내장된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다수의 힌지식 날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식 날개 부재는 상기 피스톤이 하향 이동할 때에 상기 펌프 하우징 벽과 밀봉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이 상부를 향해 이동할 때에 상기 펌프 하우징의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용기부의 기부벽 수단을 관통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
  20. (가) 지지면을 관통 연장하는 니플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나) 작동봉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내의 작동봉 채널을 포함하고, 펌프를 포함하는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과 함께 사용되고 지지면 상에 장착되는 점성 유체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니플을 관통 연장하고 펌프 피스톤에 부착되지 않는 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말단부가 점성 유체 저장기 모듈 내로 삽입될 때 펌프와 인접하여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분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 채널은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하부로부터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분배 장치.
  2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 조립체는 상부 작동봉과, 하부 작동봉,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봉 모두에 피봇 연결된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유체 분배 장치.
KR1019910015420A 1990-09-05 1991-09-04 모듈러 카운터에 설치된 액체 분배장치 KR100193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807390A 1990-09-05 1990-09-05
US7/578,073 1990-09-05
US07/578,073 1990-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944A KR920005944A (ko) 1992-04-27
KR100193191B1 true KR100193191B1 (ko) 1999-06-15

Family

ID=2431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420A KR100193191B1 (ko) 1990-09-05 1991-09-04 모듈러 카운터에 설치된 액체 분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125942B2 (ko)
KR (1) KR100193191B1 (ko)
AU (1) AU641801B2 (ko)
CA (1) CA2046481C (ko)
MX (1) MX9100812A (ko)
MY (2) MY1070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2019B2 (ja) * 2006-10-31 2011-11-09 エスアイアイ・ナノ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試料操作装置
JP2008111735A (ja) * 2006-10-31 2008-05-15 Sii Nanotechnology Inc 試料操作装置
GB0912065D0 (en) * 2009-07-10 2009-08-19 Reckitt & Colman Overseas A fluid delivery system
KR101627076B1 (ko) * 2015-12-17 2016-06-02 황규완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매입형 거품비누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5875A (en) * 1937-11-09 1940-06-25 Jasper M Coffey Liquid dispenser
US2562111A (en) * 1947-07-23 1951-07-24 Michel Daniel Dispensing container for fluid under pressure with separable dispensing unit
US2540890A (en) * 1948-02-11 1951-02-06 Kestenbaum Saul Pump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8941A (en) 1996-11-30
CA2046481C (en) 2002-02-26
JPH0654771A (ja) 1994-03-01
KR920005944A (ko) 1992-04-27
MX9100812A (es) 1992-05-04
AU8345991A (en) 1992-03-12
CA2046481A1 (en) 1992-03-06
AU641801B2 (en) 1993-09-30
JP3125942B2 (ja) 2001-01-22
MY107032A (en) 199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6566A (en) Modular counter mounted fluid dispensing apparatus
US6186367B1 (en) Metered liquid squeeze dispenser
DK2582467T3 (en) Foam pump
DK2459316T3 (en) Foam pump
US20030071058A1 (en) Device for dispensing soap-solution in a dispenser
AU2002343848B2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fluid, housing for such a dispenser, storage holder destined for placement therein and arrangement for the dosed pumping of a fluid from a fluid reservoir
US6082593A (en) Low maintenance cosmetic dispenser with a slideable nozzle hood
US11655075B2 (en)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080264974A1 (en) Liquid dispenser
EP0484615B1 (en) Manually operated pump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WO2006101388A1 (en) Dosing head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ontainer
FI76712B (fi) Handmanoevrerad sprayanordning.
US20090302067A1 (en) Device for metered dispensing of pasty mass, and a container therefor
KR100193191B1 (ko) 모듈러 카운터에 설치된 액체 분배장치
JPH09501347A (ja) ハンド・レバー作動ポンプ
EP0010963A1 (en) Dispensing pump
US20040060947A1 (en) Metering pump and valve assembly for use in the same
US20070246486A1 (en) Conversion Kit to Retrofit Kitchen Sink Soap Dispenser to a Liquid Soap Bottle
CN110650809B (zh) 喷洒装置及其制造方法
EP0434126B1 (en) Device for dosed pumping of viscous products
AU709023B2 (en) Cosmetic dispenser
GB2292374A (en) Valved liqui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