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835B1 - 신호의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의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835B1
KR100191835B1 KR1019910011131A KR910011131A KR100191835B1 KR 100191835 B1 KR100191835 B1 KR 100191835B1 KR 1019910011131 A KR1019910011131 A KR 1019910011131A KR 910011131 A KR910011131 A KR 910011131A KR 100191835 B1 KR100191835 B1 KR 10019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unction
frequency
leng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뢰더 에른스트
슈필레 옌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reducing bandwidth of signal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코드화된 그리고 디코드된 신호의 최적 주파수 선택성 및 높은 주관적 품질이 얻어지도록 1의 상기 개념에 의한 신호의 전송방법을 개량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윈도우에 이해 순차 연속되는 블럭으로 분할된 신호의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럭중에 포함되어 있는 부분신호를 각각 변환에 의해 하나의 스펙트럼변화 시키고 그것에 계속하여 해당 스펙트럼을 코드화하고, 전송하며, 전송후 디코딩하며, 역변환에 의해 다시 부분신호로 되돌리고, 더욱이 상기 부분신호를 포함하는 블럭을 중첩하여 상호 이어서 배열하고, 그때 상기의 블럭의 중첩된 영역을 겹쳐두고, 해당 윈도우 함수의 생성치를 1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를 상기 신호의 주파수변화에 의존하여 선정한다. 주파수 변화시의 인접한 브록에서의 노이즈의 회피를 위해 윈도우 함수 및 윈도우함수의 길이가 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의존하여 선정된다.

Description

신호의 전송방법
제1도의 a내지 c는 상이한 폭을 가지는 윈도우 함수의 특성도.
제2는 비대칭 윈도우 함수의 특성도.
제3도의 a 는 진폭점프를 가지는 입력신호의 특성경과.
제3도의 b 는 제3도의 a에 도시한 입력신호에 정합된 윈도우 함수.
제3도의 c 는 주파수 점프를 가지는 입력신호의 특성경과.
제3도의 d 는 제3의 c에 도시한 입력신호에 정합된 윈도우 함수.
제4도의 a 는 전송기 코더부분 블럭회로도.
제4도의 b는 수신기 디코더 부분의 블럭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4 : 윈도우
본 발명은 신호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신호의 전송시, 예컨대 방송전송, 케이블전송, 위성전송, 기록장치기기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소정의 분해능으로 디지틀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이 형태로 전송하고, 재생시에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공지이다. 디지틀 전송에 의해서는 특히 재생시 비교적 큰 S/N비가 얻어진다.
그와같은 신호의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이 실질적으로 각 단위시간당 전송되는 샘플링의 수와 분해능에 의하여 정해지고 있다.
실질적으로, 협 대역채널로 완료되거나 또는 하나의 기존채널을 통해서 가급적 많은 오디오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을 가급적 작게할 필요성이 있다. 소정의 대역폭은 샘플링값의 감소에 의하여, 또는 각 샘플링값 마다의 비트수의 감소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해서는 대체로 재생시 열화가 생기게 된다. 공지수법(독일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3506912.0호)에서는 재생품질의 개선을 위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시간적으로 순차 연속하는 영역에서 단시간 스펙트럼으로 변환되고, 상기 단시간 스펙트럼은 각각 시간간격 예를 들면 20ms 에 대하여 신호의 스펙트럼 성분을 형성한다. 상기 단시간 스펙트럼에서는 심리적-음향(법칙성)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청취자에는 인지되지 않는 성분, 즉 통신기술상 부적합한(중요하지 않은) 성분이 시간영역에서 보다 양호하게 발견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전송시 보다 작게 극도로 가중되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된다. 상기 수단에 의하여 전송시 통상적으로 필요한 데이터의 상당부분이 생략될 수 있으며, 그로인하여, 평균 비트율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 신호를 각 섹션으로 분할하기 위해서는 하기 간행물에 기재되어있는 방법이 적합하다. J. P. Princen and A. B. Bradley, Analysis/Synthesis Filterbank Design based on 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 IEEE-Trans actions Acoustics, Speech, Signal-Processing, Volume ASSP-34, pp. 1153-1161, October 1986.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변환에서는 중첩되는 블럭이 둥근 형상의 윈도우함수에 의하여 윈도우중에서 부가적 계수없이 주파수 영역에서 생겨지게 된다. 이 방법으로는 먼저 N 의 값이 길이 N 의 윈도우 함수 f(n)를 사용하여 잘라내지고, 그에 계속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N/2 의 계수로 변환된다. 역변환에 의해서는 N개의 샘플링값이 산출되고, 이 샘플링값은 다시 윈도우함수 f(n)으로 가중된다.
그러나 역변환의 출력신호는 순방향변환의 입력신호와는 다르다. 입력신호의 정확한 재생은 다음과 같이 하여 비로소 행하여진다. 즉, 순차연속하는 역변환의 출력값이 각각 N/2 의 샘플링값의 중첩영역에서 가산되도록하는 것이다. 상기 소위 오퍼랩-애드 (overlab-Add)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재생될 수 있도록, 윈도우함수 f(n)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상기 제1조건은 f(n)의 대칭성에 상응한다. 제2조건은 각각 하나의 윈도우 절반부에서의 f(n)의 제곱의 점대칭에 상응한다. 그들 조건의 고려하에서 변환의 유효 윈도우 길이는 샘플링값의 N/2 와 N 와의 사이에서 가변조정될 수 있다.
변환코더에서의 이 방법의 적용시 윈도우 길이의 선정에 의하여 다음과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가급적 둥근 형사을 갖는 긴 윈도우 길이에 의하여, 양호한 주파수 선택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계수의 양자화에 의한 오차는 역변환후 모든 유효 윈도우 길이에 걸쳐 확대된다. 이 사실은 특히, 코딩되는 신호진폭의 현저한 점프변화시, 이 코딩된 신호에 따른 질적인 면에서 음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교적 짧은 윈도우의 선정에 의하여 주파수 선택성의 열화 저하가 생기게 되며, 이 사실은 특히 가한 상관성이 있는 입력신호의 경우에 얻고자 하는 변환이득에 대하여 음의 영향을 미친다. 이에 반하여, 이 계수의 양자화에 의한 오차는 대신호 점프변화시 이 윈도우에 제한될 수 있고, 그 결과 인접한 윈도우로의 영향이 저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딩 및 디코딩된 신호에 최적 주파수 선택성 및 높은 품질이 얻어지도록 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 개념에 의한 신호의 전송방법을 개선하려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분에 규정된 구성요건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기술사상에 의하면, 일정한 에너지하에서 유효신호가 주파수 점프 변화를 갖는 경우에도, 윈도우 절환이 유효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심리-음향적특성 내지 관계성에 의하여 이것은 경우에 따라 필요할 때가 있다. 이 때문에 유효신호 주파수의 영역(예컨대 0… 20KHZ)이 심리-음향적 관점으로부터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주파수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주파수 영역에서 입력신호가 별개로 평가되고, 그에 계속해서, 별개의 결과의 논리결합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시 이 주파수 변화가 부대역 코더에 대한 필터대역 전환을 위하여 사용함으로써 변환 이득이 증가된다.
더욱이 주파수점프인식을 사용함으로써 어댑티브 양자화 및 코딩되는 블럭길이의 가변을 가능케하는 오디오 코딩방식(예컨대, NICAM, MUSICAM, 등)과 같이 제어할 수 있게한다. 더욱이 주파수 점프인식에 의하여,시점, 스칼라 요인의 빈도, 비트 할당요인 등이 계산될 수 있으며, 그로인하여 변환 및 전술한 오디오화 수법의 개선된 제어성 및 관측성이 가능하다.
주파수 변화 인식동작 외에 부가적으로, 진폭 변화인식이 행하여지고, 양 결과의 논리결합에 의하여 어댑티브 윈도우화, 양자화, 코딩을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방법의 실시양태 내지 장치 구성예가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방법에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를 주파수변화에 의존해서 선정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윈도우 함수를 신호의 진폭변화에 의존해서 선정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윈도우 함수의 길이를 진폭변화에 의존해서 선정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후속 윈도우와 선행 윈도우와의 중첩영역에 있어서 상기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가 상기 선행 윈도우의 해당 중첩영역에 있어서 존재하고 있는 윈도우 함수의 경대칭화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를 큰 진폭변화의 경우는 작게, 또는 작은 진폭변화의 경우는 크게 선정한다.
상기방법을 실시하여 되는 장치구성에 의하면 주파수 및 진폭변화의 인식을 사용하여 윈도우 인식신호가 생기게되고, 해당 인식신호에 의해 어댑티브 윈도우화, 변환, 양자화, 송신기의 코더부분에 있어서의 코딩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의 엔코더 부분 및 수신기의 디코더 부분에서 윈도우 인식을 사용하여 디코딩, 변화, 윈도우화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여러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에는 다른 윈도우 함수 f(n)과 함께 일정촉 N(b)의 복수의 윈도우화가 나타나있다. 상기 윈도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합성된다. 즉 인접하는 윈도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합성된다. 즉 인접하는 윈도우가 반만 겹쳐지도록 합성된다. 그것에 의해, 제 1-a 도에 싸인 함수f(n)의 경우, 같은식으로 중첩부가 반이 생기고, 제 1-b 도에서는 부분적 중첩(이 중첩은 반보다 작다)이 생기고, 제 1-c 도에서는 윈도우 함수 f(n)의 두 개의 각부의 중첩상태가 나타나있다.
제2도에는 비대칭 윈도우 함수 f(n), g(n)과 함께 두 개의 윈도우의 중첩모양이 나타나있다. 단, 윈도우 함수는 그 공통의 중첩영역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즉 그생성값이 보완적으로 1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a도에서는 입력신호의 진폭특성 A(t)이 나타나있다. 같은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해당신호는 먼저 균일한 작은 진폭을 갖고, 이 작은 진폭특성에 원래의 진폭이 이어지는 신호점프가 뒤따른다. 그 아래의 제 3-b 도에는 해당신호를 최적으로 처리가공하는 윈도우에 대한 윈도우 함수가 나타나있다. 제1도의 영역 1에서는 사인파 윈도우함수가 나타나있고 이에의해 고주파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윈도우(3) (여기서는 신호가 높은 진폭으로 들어간다)는 현저하게 좁은 폭의 윈도우함수를 갖는다.
인접하는 윈도우 2와 4, 즉 선행 및 후행의 윈도우에 대한 윈도우함수는 중첩영역에 상응하도록 접합하게된 윈도우함수를 갖고, 따라서 보완적으로 합쳐져서 1이 된다. 또한 상기에 두 개의 인접하는 윈도우 2와 4에 있어서 해당 윈도우 함수는 비대칭의 형태를 갖는다. 윈도우(3)내에 생기게 되는 양자화 노이즈 (여기에 신호의 점프변화가 발생한다)는 윈도우(3)의 윈도우 함수의 영역에 제한되고, 따라서 사인파 특성을 갖은 윈도우 함수에 비하여, 시간적 확장(크기)의 반으로 감소된다. 신호점프의 마스킹 효과에 의해, 작게 감소된 주파수 선택성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품질의 개선이 가능하게
제3-c도에는 입력신호의 주파수특성 F(t)가 나타나있다. 도면에서 알가직 때 수 있듯이, 신호는 일정한 주파수(예를들면 10KHZ)를 갖고, 그것에 이어 현저하게 보다 낮은 주파수의 점프변화(에를들면 200HZ)가 이루어 진다. 그때 신호의 진폭은 일정하게 보존된다. 제3-d도에는 해당신호를 최적으로 처리가공하여 또는 윈도우의 윈도우함수가 나타나있다.
제1영역(1)에서는 고주파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사인파 윈도우 함수가 존재한다. 윈도우(2)와 (3)의 윈도우함수(이 중심 주파수의 점프변화가 들어있다)는 중첩영역에 상응하도록 적합하게된 윈도우 함수를 갖고, 여기에 있어서 해당 영역에 각 윈도우 함수는 보완적으로 합쳐져서 1이 되도록 적합하게된 윈도우함수를 갖는다. 그 경우, 중첩영역은 현저하게 좁은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상기 윈도우 함수는 양쪽의 인접하는 윈도우(2)와 (3)에 비대칭 형태를 갖는다. 신호점프가 들어가는 윈도우(3)내에 생기는 것으로 도는 양자화 노이즈는 윈도우(3)의 윈도우 함수 영역에 제한되고, 따라서 사인파 특성 윈도우 함수에 비하여 반만큼의 시간적 확대로 제한된다. 신호점프의 매스킹 효과에 의해 적게감소된 주파수 선택성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품질의 개선이 얻어진다.
가장 간단한 주파수 점프변화, 인식을 위해 유효신호 주파수영역 0 …20KHZ를 갖는 유효신호가, 두 개의 별개의 주파수 영역 0…1KHZ, 1KHZ…20KHZ 로 증폭된다. 각 주파수 영역은 별개로 평가되고 그것에 계속하여 별개의 결과가 상호 논리결합된다.
그것에 의해, 심리, 음향특성의 관점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윈도우 저로나이 이루어진다. 상부 주파수영역에서의 신호에너지의 감소와 동시에 하부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에너지의 증대시에, 심리적, 음향적 관점에서 필요하기 때문에 윈도우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제3-c도에 나타난것과 같은 주파수의 도약적 변화의 영역에서의 사례가 생긴다. 상부영역으로 에너지가 저하되는 때에 하부영역으로 에너지 증대가 없는 경우는 그와 같은 상황은 임계적이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변화가 불필요하다. 같은식으로 에너지 증대가 하부영역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같은식으로 윈도우변화가 불필요하다. 상부영역에서의 에너지 증대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통상으로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양의 영역으로 에너지 증대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신호가 펄스 함유성이 아니면 안되기 때문에 작은 윈도우 길이로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주파수변화, 식별에는 부대역 코더로도 사용되고 있는 해석필터가 적합하다. 더욱 간단한 필터(예를들면 최소위상필터, 또는 재생수법이 없는필터 뱅크)도 가능하다.
제4-a도에는 송신기에서의 코더부분의 블럭접속도를 나타낸다. 변환부는 여기서 실현된 코더로서, OBT(overlapping block transform)가 실현되어 있고, 이 OBT 는 반-중첩-변환의 클라스에 속한다. 시간영역에서의 N-샘플링값의 블럭의 순방향이동, 및 두 개의 N-샘플링값의 변환시의 영역에 있어서 역시 간단한 N-쌤플링값이 얻어지고, 그 결과 부가적 계수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상기의 OBT 는 다음과 같은 요구를 충족한다. 즉, 변환계수가 입력신호의 스펙트럼에 상승해야한다는 요구를 충족한다. 상기 OBT에 있어서 가능한 비구형의 윈도우의 사용에 의해 블럭효과가 적게 감소되고, 주파수 선택성이 개선된다. 상기 OBT로 가능한 어댑티브 윈도우화, 즉 변환길이 및 윈도우 형태 및 윈도우길이에 의해, 여기서에의 N 에 대한 상한 매스킹 시간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다. 그것에 의해, 어댑티브 윈도우화에 의하여 부가적인 개선이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즉, 변환길이의 길이에 의해 양호한 주파수 분해능 및 높은 분해능이 달성되고, 비교적 높은 변환이득이 얻어지며, 또 상응한 윈도우 적응화를 기초로하여 앞의 에코가 비교적 짧은 변환길이에의 절환에 의해 억압되는 것이다. 상기 윈도우 적응화를 위해서는 하나의 블럭으로 미리 펄스, 진폭, 위상, 주파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해 신호의 점프변화, 인식(진폭-점프변화 및 주파수 점프변화-인식의 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점프변화-인식에 의해서는 윈도우신호(이하 윈도우 인식으로 일컬어진다.)가 생기고, 상기 윈도우 인식에 의해서는 윈도우화, 변환, 어댑티브 양자화, 송신기의 코더부분에서의 코딩이 제어된다. 입력신호의 사전해석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 블럭이, 다수회 그리고 여러 가지의 변환길이로 변환되고, 코딩되며 그 후에 비교에 의해, 코딩된 값중에서 어느것이 전송되는가가 판정되는 것이 회피된다.
어댑팁브 비트 할당 및 어댑티브 양자화(이것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인간의 청가의 미스킹특성을 이용한다)와 함께, 실현된 코더에 의해 심리적, 음향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윈도우 식별을 이요하여, 디코더(제 4-b 도 참조)로서, 상응한 어댑티브 디코딩 및 역 OBT 가 실행되고, 그것에 의해 출력신호로써 심리-음향적으로 관련이 있는(의미있는)신호만이 출력된다. 신호 X(n)은 객관적으로 신호 X(n)보다 적은 정보내용을 갖는데, 그 차이는 인간의 청각으로는 인지되지 않는것이며, 그 결과 심리-음향적 특성에 적합한 아주 적정의 신호가 인지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OBT 에 한하지 않고 가변의 블럭길이를 가능하게하는 전체의 공지의 오디오 코딩 수법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것이고, 그와 같은 공지수법에 의한 것이있다. 주파수 도약적 변화 식별을 써서 스케일인자, 할당인자등의 빈도, 시점이 계산된다.
본 발명에 의해, 코딩 및 디코딩된 신호의 최적 주파수 선택성 및 높은 주관적 품질이 달성되도록 청구항 1의 상위개념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윈도우 함수에 의해 연속적으로 중첩되는 블럭으로 분할되는 시간 영역에 있는 오디오 신호(X)를 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블럭내에 포함된 분할 신호는 항상 변환을 이용하여 스펙트럼(X)으로 전환되고, 상기 스펙트럼은 코딩되고 전송후에 역변환을 이용하여 분할 신호로 디코딩외어 전환되며, 분할 신호를 포함하는 블럭은 중첩되는 방식으로 어셈블되며, 블럭의 중첩 영역은 윈도우 함수(f(n), g(n))의 결과가 1로되도록 상기 윈도우 함수에 의해 가중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 평가되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선택되며, 윈도우 절환은 (a) 신호 에너지가 고주파 영역에서는 감소하고 저주파 영역에서는 증가하는 경우, (b) 신호 에너지가 고주파 영역에서만 증가하는 경우, 및 (c) 신호 에너지가 고주파 및 저주파 영역에서 증가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절환은 상기 신호의 고주파 및 저주파 영역에서 상기 신호의 진폭이 일정한 경우에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변환 길이 및 윈도우 길이는 어댑티브하게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상기 블럭의 길이(N)와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상기 블럭의 길이(N)와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공간은 주파수 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2, 5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큰 주파수 변화에 대해서는 짧게 작은 주파수 변화에 대해서는 길게 선택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큰 주파수 변화에 대해서는 짧게 작은 주파수 변호에 대해서는 길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큰 주파수변호에 대해서는 짧게 작은 주파수 변화에 대해서는 길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 2, 5, 6, 8,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 또는 그 길이 또는 변환 길이는 부가적으로 상기 진폭 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 또는 그 길이 또는 변환길이는 부가적으로 상기 진폭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함수 또는 그 길이 또는 변환 길이는 부가적으로상기 진폭 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 또는 그 길이 또는 변환 길이는부가적으로 상기 진폭 변화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큰 주파수 변화에 대해서는 짧게 작은 주파수 변호에 대해서는 길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12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의 길이는 큰 주파수변화에 대해서는 짧게 작은 주파수 변하에 대해서는 길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 2, 5, 6, 8, 9, 11 ,12, 13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선행 윈도우를 갖는 중첩 영역에 있는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는 상기 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선행 윈도우의 함수를 반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선행 윈도우를 갖는 중첩 영역에 있는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는 상기 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선행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를 반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4항에 있어서, 선행 윈도우를 갖는 중첩 영역에 있는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는 상기 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선행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를 반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7항에 있어서, 선행 윈도우를 갖는 중첩 영역에 있는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는 상기 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선행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를 반영하는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선행 윈도우를 갖는 중첩 영역에 있는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상기 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선행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를 반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선행 윈도우를 갖는 중첩 영역에 있는 후속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는 상기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선행 윈도우의 윈도우 함수를 반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시간 영역에서 윈도우화 유니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중첩되는 블럭으로 분할되는 오디오 신호(X)를 코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블럭내에 포함된 분할 신호는 항상 변환 유니트에 의해 스펙트럼(X)으로 전환되고, 상기 스펙트럼은 어댑티브 양자화 및 코딩을 위한 유니트에 의해 코딩되며, 상기 블럭의 중첩 영역은 윈도우 함수(f(n)), g((n))의 결과가 1이 되도록 상기 윈도우 함수에 의해 가중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함수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 평가되는 신호의 주파수변화에 따라 신호 레벨 점프 검출 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윈도우 인식 신호를 사용하여 선택되며, 윈도우 절환은 (a) 신호 에너지가 고주파 영역에서는 감소하고 저주파 영역에서는 증가하는 경우, (b) 신호 에너지가 고주파 영역에서만 증가하는거우, 및(c) 신호 에너지가 고주파 및 저주파 영역에서 증가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10011131A 1990-06-29 1991-06-29 신호의 전송방법 KR100191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20656A DE4020656A1 (de) 1990-06-29 1990-06-29 Verfahren zur uebertragung eines signals
DEP4020656.4 1990-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835B1 true KR100191835B1 (ko) 1999-06-15

Family

ID=640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131A KR100191835B1 (ko) 1990-06-29 1991-06-29 신호의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21729A (ko)
EP (1) EP0464534B1 (ko)
JP (1) JP3187077B2 (ko)
KR (1) KR100191835B1 (ko)
AT (1) ATE153486T1 (ko)
CA (1) CA2045970C (ko)
DE (2) DE4020656A1 (ko)
ES (1) ES2102987T3 (ko)
HK (1) HK118997A (ko)
SG (1) SG44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3618B1 (en) * 1994-03-11 2002-07-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ssion system for quasi-periodic signals
CA2164025A1 (en) * 1995-01-04 1996-07-05 David Goodwin Shaw Sub-band signal processor
WO1997032402A2 (en) * 1996-02-27 1997-09-04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ding and decoding signals
TW384434B (en) 1997-03-31 2000-03-11 Sony Corp Encoding method, device therefor, decoding method, device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US6931291B1 (en) * 1997-05-08 2005-08-16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domain downmixing with block-switch forcing for audio decoding functions
JP3806770B2 (ja) * 2000-03-17 2006-08-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窓処理装置および窓処理方法
US6654827B2 (en) 2000-12-29 2003-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an operating system-independent digital data player
FR2828949A1 (fr) * 2001-08-27 2003-02-28 Serge Glories Systeme d'analyse de signaux a niveaux multiples permettant leur caracterisation par un nombre reduit de parametres
US7630902B2 (en) * 2004-09-17 2009-12-08 Digital Rise Technology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digital audio coding using codebook application ranges
US8744862B2 (en) * 2006-08-18 2014-06-03 Digital Rise Technology Co., Ltd. Window selection based on transient detection and location to provide variable time resolution in processing frame-based data
US7895034B2 (en) * 2004-09-17 2011-02-22 Digital Rise Technology Co., Ltd. Audio encoding system
US7937271B2 (en) * 2004-09-17 2011-05-03 Digital Rise Technology Co., Ltd. Audio decoding using variable-length codebook application ranges
BRPI0621733B1 (pt) * 2006-06-05 2019-09-10 Exaudio Ab método adaptável para extrair pelo menos um sinal, e, aparelho para extrair adaptavelmente pelo menos um sinal
US8630848B2 (en) 2008-05-30 2014-01-14 Digital Rise Technology Co., Ltd. Audio signal transient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8443A (en) * 1975-12-12 1977-09-1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Digital speech communication system for minimizing quantizing noise
DE3015234C2 (de) * 1980-04-21 1986-07-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Signals
CA1242279A (en) * 1984-07-10 1988-09-20 Tetsu Taguchi Speech signal processor
DE3506912A1 (de) * 1985-02-27 1986-08-28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Verfahren zur uebertragung eines audiosignals
EP0207774B1 (en) * 1985-07-02 1992-03-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lock encoder
US5027376A (en) * 1985-10-30 1991-06-25 Microcom Systems, Inc. Data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ata
DE3703143A1 (de) * 1987-02-03 1988-08-11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uebertragung eines audiosignals
US4845859A (en) * 1988-01-19 1989-07-11 Evans Norval T Toothbrush holder and dryer system
US4821119A (en) * 1988-05-04 1989-04-1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bit-rate interframe video coding
ATE111271T1 (de) * 1988-05-26 1994-09-15 Telefunken Fernseh & Rundfunk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audiosignals.
US5109417A (en) * 1989-01-27 1992-04-2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Low bit rate transform coder, decoder, and encoder/decoder for high-quality audio
DE3902948A1 (de) * 1989-02-01 1990-08-09 Telefunken Fernseh & Rundfunk Verfahren zur uebertragung eines signals
US5042069A (en) * 1989-04-18 1991-08-20 Pacific Communications Scienc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nstructing non-quantized adaptively transformed voice signals
KR930004311B1 (ko) * 1989-04-18 1993-05-22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부호화 복호화장치
AU5811390A (en) * 1989-05-17 1990-12-18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Process for transmitting a signal
US5040217A (en) * 1989-10-18 1991-08-13 At&T Bell Laboratories Perceptual coding of audi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8997A (en) 1997-09-05
ATE153486T1 (de) 1997-06-15
CA2045970C (en) 1999-12-07
EP0464534A2 (de) 1992-01-08
SG44927A1 (en) 1997-12-19
DE59108708D1 (de) 1997-06-26
US5321729A (en) 1994-06-14
EP0464534B1 (de) 1997-05-21
EP0464534A3 (en) 1993-02-17
JP3187077B2 (ja) 2001-07-11
ES2102987T3 (es) 1997-08-16
JPH04233836A (ja) 1992-08-21
CA2045970A1 (en) 1991-12-30
DE4020656A1 (de) 199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3817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Reconstructed Audio Signal
JP2923406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USRE39080E1 (en) Rate loop processor for perceptual encoder/decoder
KR970007661B1 (ko) 스테레오포닉 오디오 신호의 입력세트 코딩방법
KR100191835B1 (ko) 신호의 전송방법
KR100242864B1 (ko) 디지탈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5852806A (en) Switched filterbank for use in audio signal coding
US5752224A (en) Informa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55816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encoding and decoding
US5214742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5832426A (en) High efficiency audi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RE40280E1 (en) Rate loop processor for perceptual encoder/decoder
KR970002686B1 (ko) 오디오 신호의 전송방법
JP3827720B2 (ja) 差分コーディング原理を用いる送信システム
JP3513879B2 (ja) 情報符号化方法及び情報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