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834B1 -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분리 처리되는 텔레비젼 장치 - Google Patents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분리 처리되는 텔레비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834B1
KR100191834B1 KR1019920701516A KR920701516A KR100191834B1 KR 100191834 B1 KR100191834 B1 KR 100191834B1 KR 1019920701516 A KR1019920701516 A KR 1019920701516A KR 920701516 A KR920701516 A KR 920701516A KR 100191834 B1 KR100191834 B1 KR 10019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signal
signals
color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카아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휘도신호(Y)는 일반적으로 넓은 대역폭을 가지므로 색신호보다 전송시간이 더 짧다. 이러한 전송시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지연단이 색신호(Y)의 패스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높은 대역폭의 휘도신호에서 이러한 것은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값비싼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전송시간의 상기 조화를 간단히 하기 위한 것이다. 휘도신호를 지연하는 대신 전송시간을 같게 하기 위하여 색신호는 화상이 나타나지 않는 시간동안 메모리(M2,M3)에서 빠른 속도로 판독된다. 본 발명은 높은 화상 주파수 및/또는 주사선 주파수를 가진 HDTV 셋트용 화상 저장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분리 처리되는 텔레비젼 장치
본 발명은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메모리에 기록되고 판독되며 색신호와 반대되는 휘도신호의 상대적 지연이 전송시간 보상을 위해 발생하는 상기 신호를 분리 처리하는 텔레비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휘도신호는 대략 1MHz인 색신호 보다 더 높은 대략 5∼8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이것은 상기 회로에서 휘도신호가 색신호보다 낮은 전송시간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상재생을 위하여,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정확한 시간 동기화는 확실해야만 한다. 따라서 휘도신호의 경로내에서 전송시간을 보상해야할 필요가 있다. 300-500ns 범위내의 전송 시간을 가지는 추가의 전송 시간 라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예컨대 텔레비젼 장치, 비디오 레코더, 캠코더, 표준 컨버터 및 화상 메모리에서 발생한다.
상술한 유형의 텔레비젼 장치는 점차로 증가하는 휘도신호의 대역폭을 가지며 특히 HDTV 시스템에서는 증가된 화상주파수 또는 주사선 주파수를 가진다. 더욱이 상기 색신호는 휘도신호와 비교하여 감소된 대역폭을 가진 분리단에서 처리된다. 이렇게 증가된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대역폭 차는 전송 시간 보상의 필요성을 고려하면, 상기 장치에서 증가된 대역폭 및 증가된 지연시간을 지연시키므로 상기 전송시간 보상에 대한 수고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신호의 높은 전송시간으로 휘도신호의 전송시간의 적응에 대한 회로의 수고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화상이 나타나지 않는 시간동안 색신호가 증가된 속도로 메모리에서 판독되어질 때 휘도신호의 상대적 지연이 발생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 재발된 장점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점에 의해 고려되었다. 목표한 전송시간의 적응을 위하여 휘도신호를 지연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전송시간 보상은 보상될 전송시간 차에 일치하게 색신호의 속력을 증가시킴에 의해 또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신호의 가속 즉 시간의 증가는 최초에 나타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용된 디지탈 메모리는 휘도신호와 반대로 한정된 시간에 의해 가속된 방법으로 색신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은 색신호의 가속은 목표된 휘도신호의 지연과 일치된다. 따라서 다른 목적을 위해 이용된 상기 메모리는 목표된 전송시간 보상을 위해 유리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전송시간 라인, 코일 또는 CCD 회로의 형태에서 취도신호 경로의 앞서 요구된 이산 전송 시간 요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CCD 라인을 이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순수 아날로그 방법으로 동작하는 모든 선행장치에 또한 응용될 수 있다.
휘도신호의 경로에서 지연단의 생략에 의한 장점은 고선명 시스템용 증가된 8∼10MHz의 대역폭을 가지고 그리고 전송시간에서 많은 차이가 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대역폭의 많은 차이를 가진 휘도신호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은 디지탈화된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가진 시스템에 대해 도면에 의해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 처리용 블럭회로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모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펄스 파형도.
제3도는 제1도의 블럭회로 다이어그램에 대한 전체 회로도.
제1도에서 휘도신호(Y)는 A/D 컨버터(1)를 통해 디지탈 메모리(M1)로 피드되고 또다른 타임 스케일에서 D/A 컨버터(2)를 통해 상기 휘도신호(Y)를 공급한다. 색차신호(B-Y)는 A/D 컨버터(3)를 통해 디지탈 메모리(M2)로 피드되고 변화된 타이 스케일에서 D/A 컨버터(4)를 통해 상기 색차신호(B-Y)를 공급한다. 또한 색차신호(R-Y)는 A/D 컨버터(5)를 통해 디지탈 메모리(M3)로 피드되고 대응하게 수정에 상기 색차신호(R-Y)를 D/A 컨버터(6)를 통해 공급한다. 상기 메모리(M1,M2,M3)는 논리회로(7)에 의해 제어되고 특히 상기 논리 회로는 도시된 메모리와 컨버터의 제어를 위한 동기 펄스 분리단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M2,M3)는 증가된 클럭율에서 수직소거 구간동안 논리회로(7)에 의해 판독된다. 이에 의하여 컨버터(4,6)의 출력에서 색차신호(B-Y 및 R-Y)는 D/A 컨버터(2)의 출력에서 휘도신호(Y)와 반대로써 가속된다. 이러한 가속은 한편으로는 Y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B-Y 및 R-Y 간에서와 같이 나타나는 전송시간 차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송시간 차는 출력에서 신호(Y, B-Y 및 R-Y)가 시간과 관계되도록 보상된다. Y의 경로에서 분리 전송시간 요소는 필요하지 않다.
제1도에 따른 회로는 50Hz의 화상주파수와 16kHz의 주사선 주파수를 가진 시스템을 100Hz의 화상주파수와 32kHz의 주사선 주파수를 가진 시스템으로 틀럭 펄스를 배가함에 의해 업컨버션(up-convertion)을 실행하는 화상메모리를 나타내고 이에의해 모든 출력신호는 주파수가 배가된다. 상기 메모리(M1,M2,M3)는 FIFO로 구성된 1M비트 비디오 메모리이다. 정보는 12.5MHz의 클럭 펄스 주파수에서 필드(20ms)동안 항상 메모리(M1,M2,M3)에 기록되어 진다. 수정발진식 클럭 펄스로 판독하기 위하여 두 배의 주파수 즉 25MHz를 가지고 인가된다.
제2도에서 도시된 파형은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BO : 메모리(M1,M2,M3)의 리셋신호
B1 : Y에 대한 메모리(M1)의 클럭 펄스
B2 : 색차신호에 대한 메모리(M2,M3)의 통상의 클럭 펄스로 B2는 2의 주파수로 분할된 신호(B1)이다.
B3 : 리셋신호의 실행후 발생된 색신호의대한 클럭 펄스 가속용 스위칭 신호
B4 : 색차신호에 대한 메모리(M2,M3)의 클럭 펄스. B3의 높은 시간동안 더 높은 주파수 클럭 펄스(B4s)의 시간간격을 도시할 수 있다.
판독될 때 상기 메모리(M2,M3)는 펄스 분리는 통해 재생된 신호(Y)로부터 분리된 수직동기 펄스의 시점에서 리셋된다. 이러한 리셋 임펄스 다음에, 상기 주파수로 배가된 상기 클럭 펄스(B4)는 짧은 시간간격 동안 메모리(M2,M3)로 인가된다.
제3도는 전체회로를 도시한다. 플립플롭(HC112)은 BO의 네가티브 구간에 의해 능동 상태인 Q=H에서 스위치 된다. 동시에 핀(9)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카운터(HC161)는 스위치(S1∼S4)에 의해 선택된 값으로 이미 셋트된다. 핀(2)에서 모든 플럭 펄스에 대해 카운터 상태인 0일 때 오버플로우 임펄스가 핀(15)에서 나타날 때가지 감소된다. 상기 임펄스는 수동상태인 Q=L 이상에서 플립플롭(HC112)을 플립한다. 플립플롭(HC112)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구성요소(HC125/II)는 멀티블렉서로 연산되며 두 개의 클럭 펄스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즉시 트리거 된다.

Claims (4)

  1. 휘도신호(Y)와 색신호(B-Y, R-Y)가 메모리(M)에 기록되며 메모리에서 판독되고, 색신호에 대한 휘도신호의 상대적 지연이 전송시간 보상을 위해 발생하며, 상기 2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나타나지 않는 시간동안 색신호(R-Y, B-Y)가 증가된 속도로 메모리(M2,M3)에서 판독되어질때 휘도신호(Y)의 상대적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 처리하는 텔레비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사선 및/또는 수직소거 구간동안 증가된 속도에서의 상기 판독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 처리하는 텔레비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색신호(B-Y, R-Y)에 대한 클럭 펄스(B4)의 판독을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수직동기 펄스로부터 임펄스가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 처리하는 텔레비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색신호(R-Y, B-Y)에 대한 메모리(M2,M3)의 클럭 펄스(B4)의 판독이 일시적으로 배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 처리하는 텔레비전 장치
KR1019920701516A 1990-03-07 1991-03-02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분리 처리되는 텔레비젼 장치 KR100191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07094.8 1990-03-07
DE4007094A DE4007094A1 (de) 1990-03-07 1990-03-07 Fernsehgeraet mit getrennter verarbeitung von leuchtdichtesignal und farbsigna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834B1 true KR100191834B1 (ko) 1999-06-15

Family

ID=640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516A KR100191834B1 (ko) 1990-03-07 1991-03-02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분리 처리되는 텔레비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518941B1 (ko)
JP (1) JPH05505075A (ko)
KR (1) KR100191834B1 (ko)
AT (1) ATE123613T1 (ko)
AU (1) AU7457091A (ko)
DE (2) DE4007094A1 (ko)
ES (1) ES2075434T3 (ko)
HK (1) HK111596A (ko)
WO (1) WO1991014345A2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149A (en) * 1983-06-24 1985-07-23 Rca Corporation Digital variable group delay equalizer for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4792846A (en) * 1987-06-26 1988-12-20 Tektronix, Inc. Component television timing corr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8941B1 (de) 1995-06-07
JPH05505075A (ja) 1993-07-29
ES2075434T3 (es) 1995-10-01
EP0518941A1 (de) 1992-12-23
AU7457091A (en) 1991-10-10
DE59105672D1 (de) 1995-07-13
WO1991014345A3 (de) 1991-10-31
DE4007094A1 (de) 1991-09-12
ATE123613T1 (de) 1995-06-15
HK111596A (en) 1996-07-05
WO1991014345A2 (de) 199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2824A (en) Selective zoom camera and display
EP0249281B1 (en) Television picture display device
US3949416A (en) Drop out compensation system
US4689676A (en) Television video signal synchronizing apparatus
US4376291A (en) Method of compensating time faults in a digital color television signal
JPS6033022B2 (ja) テレビジヨンカメラ
US50634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olor video signal
US4722007A (en) TV receiver having zoom processing apparatus
JPS6023556B2 (ja) カラ−ビデオ信号のドロップアウト補償装置
USRE37508E1 (en) Fast video multiplexing system
KR930010690B1 (ko) 시간축 보정 장치의 서입 클럭 발생회로
JPS60203094A (ja) ビデオ信号を時間圧縮または時間伸長する回路装置
JPH0817008B2 (ja) 映像信号時間軸補正装置
US5309233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the scanning period of a video signal to a period not necessarily an integer times the original period
KR100191834B1 (ko) 휘도신호 및 색신호가 분리 처리되는 텔레비젼 장치
EP0658046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4774594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mponent color video signals time-axis compressed on a recording medium using write clock signals centered between read clock signals
KR910005254B1 (ko) 영상기억장치
EP0290183B1 (en) Pal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US40979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uppression of switching disturbances
KR910004286B1 (ko) 칼라텔레비젼신호의 전송, 기록 및 재생방법
JPS62155691A (ja) カラ−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2711392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時間軸圧縮装置
EP0469241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elay time between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EP0334335A2 (en) Video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