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706B1 -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 Google Patents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706B1
KR100191706B1 KR1019950058349A KR19950058349A KR100191706B1 KR 100191706 B1 KR100191706 B1 KR 100191706B1 KR 1019950058349 A KR1019950058349 A KR 1019950058349A KR 19950058349 A KR19950058349 A KR 19950058349A KR 100191706 B1 KR100191706 B1 KR 10019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ransmiss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od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6451A (en
Inventor
껜 무라까미
도시히로 시까마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to KR101995005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706B1/en
Publication of KR97005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7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04L49/1553Interconnection of ATM switching modules, e.g.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a LAN segment, e.g. ring or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2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using shared medium, e.g. bus or 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3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using establishment or release of connections between ports
    • H04L49/255Control mechanisms for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04L2012/5609Topology
    • H04L2012/5612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Abstract

멀티미디어통신을 위한 ATM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노드에 관한 것으로서, 각 노드내의 리셋인식회로나 특정의 최번어드레스 설정/식별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표준셀포맷을 갖는 통신구간인 윈도우기간내에 각 통신노드에 할당된 통신셀을 송신하기 위해서, 링내의 윈도우사이즈가 W셀이고 이 W셀내의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의 수가 na라고 햐면 적어도 2(W-na) 셀에 대응하는 시간동안 송신셀을 그의 내부에 저장하는 전송버퍼, W윈도우사이즈내의 노드로부터의 송신셀 수를 계수하는 송신셀수 카운터 및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얻어진 수가 통신노드에 할당된 수에 대응하면 전송버퍼내의 송신셀을 전송로로 송신하는 전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ode that executes ATM communication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allocated communication cell, if the window size in the ring is W cell and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n this W cell is n a , the transmitting cell is selected for at least two (Wn a ) cells. When the number obtained by the transmission buffer stored internally,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count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from the node in the W window size, and the number obtained by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 counters correspond to the number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transmission cells in the transmission buffer ar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It was set as the structure containing the transmission control means.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전체 시스템에 결정된 지연보다 적은 지연으로 송신셀을 전송로로 송신할 수 있고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송신셀의 포기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transmission cell to the transmission path with a delay less than the delay determined for the entire system, and to prevent abandonment of the transmission cell in the communication node.

Description

링형 ATM 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Access Control Device of Ring ATM Nod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를 도시한 상세 블럭도.1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of a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ITU-T 권고 I.361에 규정된 UNI(user network interface)의 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2 shows the format of a cell of a user network interface (UN) as defined in ITU-T Recommendation I.361.

제3a도 및 제3b도는 슬라이딩윈도우제어에 대한 설명도.3a and 3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sliding window control.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윈도우제어 시스템의 통신노드로의 셀도달 패턴의 최악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the worst case of the cell delivery pattern to the communication node of the sliding wind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악의 경우에 전송로에서 셀이 수신될 때 송신셀이 통신노드에 삽입되는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transmitting cell is inserted into a communication node when a cell is received in a transmission path in the worst case as shown in FIG.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악의 경우에 셀이 전송로에서 수신될 때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송신셀 대기상태를 도시한 설명도.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ransmitting cell standby state in a communication node when a cell is received in a transmission path in the worst case as shown in FIG.

제7도는 1노드에 있어서의 송신셀 및 1전송로상의 셀의 대기상태를 구체적인 수치로 도시한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in concrete numerical terms, a standby state of a transmitting cell and a cell on one transmission path in one node. FIG.

제8도는 점프윈도우제어에 대한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jump window control.

제9도는 점프윈도우제어시의 송신셀 생성의 최악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the worst case of transmission cell generation in jump window control.

제10도는 점프윈도우제어 시스템의 통신노드로의 셀도달패턴의 최악의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worst case of a cell arrival pattern to a communication node of a jump window control system. FIG.

제11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통신노드로의 셀도달패턴의 최악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FIG. 11 shows the worst case of the cell delivery pattern to the communication node in FIG.

제12도는 점프윈도우제어시 셀 생성에 필요한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ime required for cell generation during jump window control. FIG.

제13도는 점프윈도우제어시 셀 생성에 필요한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me required for cell generation during jump window control. FIG.

제14도는 점프윈도우제어시 셀 생성에 필요한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ime required for cell generation during jump window control. FIG.

제15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최악의 경우에 전송로에서 셀이 수신될 때 통신노드로의 송신셀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sertion of a transmission cell into a communication node when a cell is received in a transmission path in the worst case shown in FIG.

제16도는 전송로에 있어서의 셀과 노드 사이의 송신셀 대기상태를 구체적인 수치로 도시한 도면.FIG. 16 is a diagram showing concrete states of transmission cell standby states between cells and nodes in a transmission path; FIG.

제17도는 종래의 ATMR에 있어서의 통신시퀀스를 도시한 도면.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sequence in a conventional ATMR. FIG.

제18도는 종래의 ATMR에 사용된 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18 illustrates the format of a cell used in a conventional ATMR.

제19도는 종래의 통신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를 도시한 상세블럭도.1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access control device for a communication nod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통신을 위한 ATM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이 포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신망의 상황에 따른 셀변화시의 지연시간을 억제하기 위한 버퍼를 갖는 통신 노드용 액세스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ode that executes ATM communication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ode having a buffer for preventing cell abandonment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ing a delay time when a cell chan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It relates to a control device.

여러개의 통신노드가 1개 또는 여러개의 전송로를 통해 서로 접속되고 이들 통신노드에 마련된 여러개의 단말 사이에서 패킷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망에 있어서의 액세스제어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고정 길이를 갖는 슬롯(셀)을 사용해서 패킷통신을 실행하는 슬롯링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고속 LAN(Local Area Network)를 실현하는 ATMR(ATM Ring)이 그 1예이다.In an access control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several communication n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or several transmission paths and perform packet communication between several terminals provided in these communication nodes, each slot having a fixed length ( A slot ring system for carrying out packet communication using a cell) is known. One example is an ATMR (ATM Ring) that realizes a high-speed LAN (Local Area Network).

ATMR프로토콜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50310/198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셀헤더정보가 사용된다. 모든 통신노드에 공통인 순회통신구간(윈도우사이즈)이 마련되고, 각각의 통신노드는 통신구간(통신대역)내의 송신셀수에 대한 한계값을 표시하는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를 갖고 있고, 모든 셀 또는 송신(전송)될 셀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각 통신구간의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에 의해 표시되는 최대셀로 통신노드를 송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TMR프로토콜에 있어서는 순회통신구간이 마련되고 또 통신구간에서 송신될 셀의 수가 각각의 통신노드에 대해 제한되고 있어, 짧은 허용 지연시간내에 음성 및 화상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17도를 참조해서 ATMR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ATMR protocol, specific cell header information is used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0310/1988. A circular communication section (window size) common to all communication nodes is provided, and each communication node has a window size register indicating a limit value for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communication band), and every cell or transmission ( If there is a cell to be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node is sent to the maximum cell indicated by the window size register of each communication section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in the ATMR protocol, a circulation communication section is provided and the number of cells to be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is limited for each communication node, so tha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n be executed within a short allowable delay time. Referring to FIG. 17, a communicat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ATMR protocol will be described.

기본순회통신구간을 윈도우라고 하고, 각 통신노드는 설정윈도우 사이즈시간 내에 송신되는 셀의 내용을 송신하고, 모든 노드의 송신이 완료되면 노드중의 어느 1개가 리세트셀을 설정하고 그것을 전송로로 송출하며, 각 노드는 리세트노드가 지정된 것을 검사하는 것에 의해 리세트용으로 마련되며, 리세트셀이 링을 회전시켜 개시노드로 복귀하면 각 노드가 리세트용으로 마련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다음 윈도우사이클이 실행되고 송신이 개시된다.The basic cyclic communication section is called a window. Each communication node transmits the contents of a cell to be transmitted within the setting window size time. When all nodes have completed transmission, one of the nodes sets the reset cell and transfers it to the transmission path. Each node is prepared for reset by checking that the reset node is assigned, and the next window recognizes that each node is ready for reset when the reset cell rotates the ring and returns to the initiating node. The cycle is executed and transmission begins.

제17도는 시스템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1)은 각 통신노드, (2)는 전송로, (3)은 통신노드에 접속되는 통신기기인 단말(terminal)을 나타낸다. 제18도는 이 시스템에 사용된 특정 셀포맷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중 헤더부(30a)는 표준 내역과 다르다. 제19도는 각 통신노드의 상세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면중 (11)은 수신된 통신셀의 수신지 어드레스를 식별하는 수신지어드레스 식별부, (10)은 헤더(30a)의 최번(busy)어드레스를 체크하고 리라이트하는 최번어드레스 식별/설정부, (12)는 송신되어 온 셀의 송신 또는 노드로부터의 송출을 제어하는 셀송신제어부를 나타낸다. 또, (16)은 수신셀 버퍼를 나타내고, (20)은 모든 다른 통신노드가 현재 송신중지상태에 있다는 데이타를 그의 내부에 저장하는 리셋플래그 저장부를 나타내고, 이 리셋플래그 저장부는 윈도우 사이클의 초기에 리셋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13a)는 윈도우제어부, (14)는 전송로로의 송신셀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제어부, (15)는 전송버퍼, (17)은 송신셀수 카운터, (18)은 윈도우사이즈로 각 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의 수를 그의 내부에 설정하는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 (19)는 비교기이다. 윈도우사이즈로 각 노드에 할당된 각 송신셀 수는 윈도우사이즈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윈도우사이즈 이하)의 각 송신셀 수의 합계이다.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where 1 is a communication node, 2 is a transmission path, and 3 is a terminal that is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18 shows a specific cell format used in this system, in which the header portion 30a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specification.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each communication node, in which (11) is a destination address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destination address of a received communication cell, and (10) is the busy of the header 30a. The highest address identification / setting unit for checking and rewriting the address, and 12 denotes a cell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mitted cell or the transmission from the node. 16 denotes a receiving cell buffer, and 20 denotes a reset flag storage for storing therein data indicating that all other communication nodes are currently in the transmission stop state, and this reset flag storage is stored at the beginning of a window cycle. It is reset.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3a denotes a window controller, 14 denotes a transmission controller which controls transmission cell transmission to a transmission path, 15 denotes a transmission buffer, 17 denotes a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18 denotes a window size. The window size register 19, which sets therein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allocated to each node, is a comparator.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assigned to each node in the window size is the sum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equal to or less than the window size (less than the window size).

또, 이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각각이 링형 전송로에 접속된 모든 통신노드(1)은 통신구간에서의 송신셀수의 한계값을 표시하는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18) 및 통신구간에서의 송신셀수를 계수하는 송신셀수 카운터(17)을 포함한다. 통신셀이 통신노드(1)에 접속된 단말(3)에서 송신되면, 통신노드(1)은 통신셀을 전송버퍼(15)에 저장하고, 이 통신셀을 FIFO기기에 의해 전송로(2)로 송출한다. 전송로(2)에 송출된 통신셀은 통신셀의 수신지인 단말이 접속된 통신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그 후 단말로 송신된다. 이 통신셀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셀이 송신되는 통신노드의 어드레스를 그의 내부에 설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영역과 ATM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노드가 이 통신노드에 대한 최번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최번어드레스영역을 갖는 셀헤더(30a) 및 그의 내부에 사용자데이타를 설정하는 사용자데이타영역을 포함한다. 통신노드 사이의 ATM통신을 위해서, 상술한 셀헤더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된 최번어드레스값에 따라 하기와 같이 제어를 실행한다. 이 통신셀은 통신노드 사이에서 규정된 타이밍(셀슬롯)에 따라 송신된다.All communication nodes 1 connected to the ring-shaped transmission path each have a window size register 18 indicating a limit valu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and a transmission cell number counter 17 for count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Include. When the communication cel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3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1, the communication node 1 stores the communication cell in the transmission buffer 15, and stores the communication cell by the FIFO device in the transmission path 2 Send it out. The communication cell sent to the transmission path 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node to which the terminal which is the destination of the communication cell is connected, and is the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18, this communication cell has an address area for setting the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to which the communication cell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time that the communication node which executes ATM communication sets the highest address for this communication node. And a cell header 30a having an address area and a user data area for setting user data therein. For ATM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nodes, control is perform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highest address value set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cell header described above. This communication cell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timing (cell slot) specified between communication nodes.

통신노드가 송신중지상태에 있을 때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된 리셋데이타를 갖는 통신셀이 수신되면, 리셋플래그(20) 및 송신셀수 카운터(17)이 리셋되고 다음 윈도우사이클은 윈도우제어를 개시한다.When a communication cell with the reset data set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is received when the communication node is in the transmission stop state, the reset flag 20 and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 counters 17 are reset and the next window cycle starts window control. do.

통신노드의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표시된 값이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에 설정된 송신셀수의 한계값 미만이고 또한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에 셀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다른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가 최번어드레스 식별/설정부(10)에 의해 수신된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이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는 하류 인접통신노드를 송신할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되고, 그 통신셀은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된다. 여기서, 하류(downstream)라는 것은 셀의 송신방향을 의미한다.If the value displayed by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counter of the communication node is less than the limit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set in the window size register and the cell exists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the highest address of the other communication node is the highest address identification / setting. When described in the address field of the communication node received by the section 10, the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is set in the address field of the communication cell to which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is to be transmitted, and the communication cell is located in the downstream neighbor.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Here, downstream means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cell.

또, 윈도우사이즈로 노드에 할당된 셀의 송신이 완료되었을 때, 전송노드의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표시된 값이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에 설정된 송신셀의 한계값 이상이거나 또는 이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에 셀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는 다른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가 수신된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수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된 값은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할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되고, 그 셀은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된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cell allocated to the node at the window size is completed, the value indicated by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counter of the transmitting nod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imit value of the transmitting cell set in the window size register, or the cell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is communication node. In the absence of a situation, when the highest address of another communication node is described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the value set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receiving cell is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to be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Is set, the cell is transmitted to a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셀의 처리(취급)에 있어서는 통신노드가 수신한 통신셀의 어드레스영역에 기재된 어드레스가 통신노드의 어드레스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신셀의 어드레스영역과 사용자데이타영역은 변화되지 않고 수신된 통신셀은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된다. 통신노드가 수신한 통신셀의 어드레스 영역에 기재된 어드레스가 통신노드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경우, 즉 수신셀이 통신노드로 송신된 통신셀이거나 또는 수신된 통신셀이 통신에 실제로 사용되는 셀이 아니고 동시에 통신노드의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표시된 값이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값 미만이고 또한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에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의 헤더에 존재하는 통신셀이 수신한 셀 대신에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된다.In the processing (handling) of the communication cell as described above, if the address described in the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node does not match the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the address area and the user data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are not changed.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is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When the address described in the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node matches the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that is, the receiving cell is a communication cel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or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is not a cell actually used for communication, If the value indicated by the communication cell counter of the communication node is less than the value in the window size register and the cell exists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the communication cell existing in the header of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replaces the received cell. Is sent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통신노드가 수신한 통신셀의 어드레스영역에 기재된 어드레스가 통신노드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경우 또는 수신된 통신셀이 통신시에 실제로 사용되는 셀이 아니고 동시에 전송노드의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표시된 값이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값 이상이거나 또는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에 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실제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셀은 수신한 셀 대신에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된다.When the address written in the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node matches the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or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is not a cell actually used at the time of communication, the value displayed by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of the transmitting node is displayed at If the cell is larger than the value in the size register or there is no cell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the cell not used for actual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instead of the received cell.

또, 통신노드의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표시된 값이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에 설정된 송신셀의 한계값 이상이거나 또는 통신노드와 등가인 최번어드레스가 수신된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시스템내의 모든 통신노드가 갖는 송신셀수 카운터를 초기화하기 위한 리셋데이타는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될 송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리셋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설정되고, 통신셀은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되며, 그의 내부에 설정된 리셋데이타를 갖는 통신셀이 송신되었다는 사실에 관한 데이타는 통신노드에 저장된다. 리셋데이타가 송신된 통신노드에 있어서는 다른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가 수신된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이 (리셋데이타가 송신된)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는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될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설정되고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통신이 송신되며, 또 리셋데이타가 수신된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영역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이 통신노드는 노드가 리셋 데이타를 송신했다는 기억을 소거하고 하류 인접통신노드로 송신될 통신셀의 최번어드레스 영역에 통신노드의 최번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이 통신셀을 하류 인접통신셀로 통신셀을 송신한다.If the value displayed by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 counters of the communication nod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imit value of the transmission cell set in the window size register or the highest address equival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is set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reset data for initializ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 counters of all the communication nodes within is set as a trigger for resetting to the address area of the transmission cell to be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and the communication cell is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Data relating to the fact that the communication cell with the reset data set therein has been transmitted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node. In the communication node to which reset data is transmitted, when the highest address of another communication node is described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the highest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to which the reset data is transmitted) is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If communication is set in the lowest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to be communicated and communication is sent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and reset data is described in the address address area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cell, the communication node remembers that the node has transmitted reset data. Cancels and sets the highest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node in the highest address area of the communication cell to be transmitted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node,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cell to the downstream neighbor communication cell.

다음에, 내부에 설정된 리셋 데이타를 갖는 통신셀이 1회전하면, 다음 윈도우사이클이 실행되고 송신이 개시된다.Next, when the communication cell with the reset data set therein rotates once, the next window cycle is executed and transmission starts.

상술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단말로부터의 통신셀이 통신노드의 송신버퍼에 저장되는 시점부터 통신셀이 전송로를 거쳐서 목표단말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전송로를 통해 송신될 통신셀의 시간 또는 통신노드에서의 처리에 요구되는 시간 등의 고정지연시간과 전송로로의 전송액세스에 요구되는 시간이나 통신노드내의 대기에 요구되는 시간 등 통신망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지연시간으로 구분된다. 통신망에 접속된 각 통신노드의 윈도우사이즈와 모든 통신노드 사이에서 공통으로 설정된 통신구간은 통신망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지연시간에 밀접하게 관련된다.In the above communication system, the time from when the communication cell from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until the communication cell reaches the target terminal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is the time of the communication cel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or It is divided into a fixed delay time such as the time required for processing in the communication node and a delay tim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time required for access to the transmission path or the time required for waiting in the communication node. The window size of each communication nod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period set in common among all communication nod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lay tim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통신셀이 전송로를 통과하고 여러개의 통신노드가 링형 전송로로 서로 접속된 통신망에서 통신셀을 송신한 통신노드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의 지연시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No. 329045/1992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지연시간 확보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의 모든 통신노드는 ATMR프로토콜에서 사용된 통신셀에 따른 통신구간을 인식하고, 최대의 지연시간이 통신구간의 2배의 시간으로 억제되도록 각각의 통신노드의 윈도우사이즈가 결정된다.The method of securing a delay time until a communication cell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node passes through a transmission path and several communication nodes reach a communication node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cell agai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ing-shaped transmission path is provided in Japan. Patent Publication No. 329045/1992. In the above-described delay time securing method, all communication node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recognize the communic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ell used in the ATMR protocol, and the maximum delay time of each communication node is suppressed to be twice as long as the communication section. The window size is determined.

상술한 종래 기술의 예에 있어서, 먼저 모든 노드는 공통 윈도우기간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윈도우기간내에 각각의 전송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이 송신되도록 제어를 실행하여 각각의 노드에서 윈도우에 공통 리셋을 체크하는 리셋플래그 설정회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of the prior art, all nodes first determine a common window period and execute control so that the transmitting cell assigned to each transmitting node is transmitted within this determined window period, so that each node checks the common reset in the window.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set flag setting circuit.

또, ITU-T 권고 I. 361에 규정된 표준셀과 다른 고유의 셀포맷을 갖는 최번어드레스가 규정되고, 모든 통신노드가 각각의 통신노드 내의 셀헤더의 내용을 체크해서 통신하는 동안 공통의 윈도우를 인지하여 특정의 최번어드레스 설정/식별회로가 필요하다.In addition, a maximum address having a unique cell format different from the standard cell specified in Recommendation ITU-T I. 361 is specified, and a common window while all communication nodes check and communicate the contents of the cell header in each communication nod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pecific address setting / identification circuit.

또한, 적어도 고우선순위류로 분류된 통신셀의 지연에 대해 측정을 필요로 하는 지연시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어, 때때로 고우선순위를 갖는 셀이 지연되거나 포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lay time that needs to be measured for the delay of the communication cells classified at least in the high priority class, the cells having the high priority may be delayed or abandoned at times.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노드내의 리셋인식회로나 특정의 최번어드레스 설정/식별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표준셀포맷을 갖는 통신구간인 윈도우기간내에 각 통신노드에 할당된 통신셀이 송신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ng-type ATM in which communication cells assigned to each communication node are transmitted within a window period, which is a communication section having a standard cell format, without requiring a reset recognition circuit or a specific maximum address setting / identification circuit in each node. It is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device of a node.

본 발명에 따른 링형 ATM노드의 엑세스제어장치는 시스템에 규정된 윈도우사이즈내의 통신노드에서 송신을 대기하는 송신셀수가 통신노드에 할달된 송신셀수 이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고, 통신노드에 빈 셀(empty cell)이나 셀목표(cell target)가 있고 또한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수 이내의 송신셀이 있다고 결정되면 셀을 전송로로 송신한다. 송신을 대기하는 셀수가 통신노드에 할당된 셀수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 윈도우사이즈 기간이 개시할 때까지 통신노드로부터의 송신이 억제된다. 송신셀은 적어도 2(W-na) 셀시간 동안 전송버퍼에 유지된다. 여기서, 윈도우사이즈는 W셀시간과 동일하고, na는 통신노드가 윈도우W로 송신할 수 있는 셀수를 나타낸다.The ac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ring-type ATM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waiting for transmission in the communication node within the window size specified in the system is within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nd makes empty cells in the communication n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ell or a cell target and there are transmitting cells within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the cel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If the number of cells waiting to be transmitted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number of cells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transmission from the communication node is suppressed until the next window size period starts. The transmitting cell is held in the transmission buffer for at least two (Wn a ) cell times. Here, the window size is equal to the W cell time, and n a represents the number of cells that the communication node can transmit to the window W.

또한, 송신셀의 2na까지 통신노드 내의 전송버퍼에 유지되고, 다음 윈도우사이즈 기간동안 실패(fail)없이 전송로로 송신된다.Further, up to 2n a of the transmitting cell are hel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the communication node, and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without fail during the next window size period.

본 발명에 따른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는 시스템에 규정된 기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새로와지는 윈도우사이즈내의 통신노드에서 송신을 대기하는 송신셀수가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수 이내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통신노드에 빈셀이나 셀타겟이 있고 또한 통신노드에 할당된 셀수 이내의 송신셀이 있다고 결정되면 전송로로 송신셀을 송신한다. 송신을 대기하는 송신셀이 통신노드에 할당된 셀수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 윈도우사이즈기간이 개시할 때까지 통신노드로부터의 송신셀 전송이 억제된다. 다음에, 송신셀은 적어도 (N+3)W-(N+3)na셀시간 동안 전송버퍼에 유지된다. 여기서, N은 통신망내의 통신노드의 총수를 나타낸다.The ac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ring-type ATM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waiting for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ode within a window size periodically refreshed according to a period specified in the system is within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n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empty cells or cell targets in the communication node and there are transmitting cells within the number of cells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the transmitting cel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When the transmitting cell waiting for transmiss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number of cells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transmission cell transmission from the communication node is suppressed until the next window size period starts. Next, the transmitting cell is held in the transmission buffer for at least (N + 3) W− (N + 3) n a cell time. Here, N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송신셀의 (N+2)na까지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에 유지되고, 송신셀은 다음 윈도우기간 내에 전송로로 송신된다.Further, up to (N + 2) n a of the transmitting cell is held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and the transmitting cel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within the next window period.

또한, 상위 2개의 고우선순위군에 속하는 송신셀은 통신노드 내의 전송버퍼에서 전송로로 송신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ells belonging to the upper two high priority groups ar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buffer in the communication node to the transmission path.

또, 고우선순위를 갖고 통신노드 내의 전송버퍼에 유지된 송신셀은 셀이 포기되기 전에 전송로로 송신된다.Also, a transmitting cell having a high priority and hel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the communication nod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before the cell is abandoned.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으로서, 다른 노드와 조합하지 않고 각각의 노드에 대해 윈도우사이즈가 결정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고, 윈도우는 소위 슬라이딩 윈도우제어 시스템에 따라 제어되고 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window size is determined for each node without combining with other nodes, the window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o-called sliding window control system It is becoming.

전송로에서 수신된 셀이 우선적으로 송신되는 릴레이우선전송시스템(relay-preferred transfer system)내의 전송로를 통해 서로 상호접속된 여러개의 통신노드 사이에서 셀이 송신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이하에서는 셀이 통신노드의 전송버퍼에 저장되는 시점부터 셀을 송신한 통신노드에 셀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동안 통신망에 있어서의 상황에 따른 지연시간 변화의 최대값과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셀이 통신노드에서 포기되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한(요구되는) 통신노드의 버퍼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윈도우 제어는 윈도우가 1셀시간에 1회 순차 갱신되는 슬라이딩윈도우제어에 따라서 실행된다.Suppose a cell is transmitted between several communication nodes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in a relay-preferred transfer system in which a cell received in a transmission path is transmitted first. The maximum value of the delay time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el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during the time from the time stored in the communicat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node until the cell reaches the communication node that transmitted the cell. Describes the number of buffers of the communication node (required) required to avoid giving up.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ndow control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window control in which the windows are sequentially updated once per cell time.

제1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를 도시한 상세블럭도로서, 도면중 (13)은 각각의 노드에 대해 윈도우 기간을 제어하는 윈도우제어부를 나타낸다. 그밖의 부분은 제19도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최번어드레스 식별/설정부와 리셋플래그 저장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셀헤더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준구성을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제3도는 슬라이딩 윈도우제어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3a도는 실제시간과 윈도우기간과 송신셀수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제3b도는 윈도우제어부(13)에 저장된 셀송신에 있어서의 경과데이타의 1예이다.FIG. 1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n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13) shows a window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window periods for each node. The other part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As is clear from the figure, this embodiment does not require the busy address identification / setting section and the reset flag storage section. That is, the cell header may be based on a standar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window control. FIG. 3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time, the window period and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and FIG. 3B is an example of the elapsed data in the cell transmission stored in the window control unit 13.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노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각각의 노드(1)은 윈도우사이즈 레지스터(18)내의 시스템에 결정된 윈도우사이즈와 송신셀수 카운터(17)내의 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수를 설정한다. 윈도우제어부(13)은 각 셀슬롯마다 송신셀수 카운터(17)을 스스로(자체) 체크하고, 체크된 수와 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수를 비교기(19)에 있어서 비교하고, 그 수가 미리 정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송제어부(14)가 노드의 송신셀을 전송버퍼(15)에서 전송로(2)로 송신한다.The operation of the nod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 system is initialized, each node 1 sets the window size determined by the system in the window size register 18 and the number of transmit cells allocated to the node in the transmit cell number counter 17. The window control unit 13 checks the number of transmitted cells counter 17 by itself for each cell slot, compares the checked number with the number of transmitted cells assigned to the node in the comparator 19, and the numbe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4 transmits the transmission cell of the node from the transmission buffer 15 to the transmission path 2.

릴레이우선전송시스템에서의 통신망의 상황에 따른 지연변화에 1예는 통신노드(1)에서 송신된 셀이 통신노드내의 전송버퍼(15)에 저장되는 시점부터 셀이 실제로 송신될 때까지의 액세스지연이다.An example of the delay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relay priority transmission system is an access delay from the time when the cel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1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15 in the communication node until the cell is actually transmitted. to be.

통신노드(1)에서 생성되는 송신셀은 아직 사용되지 않은 셀슬롯이나 통신노드로 송출된 셀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해서 통신노드내의 전송버퍼(15)에서 전송로(2)로 실제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셀은 아직 사용되지 않은 셀슬롯에 직접 삽입해도 좋고, 통신노드로 송출된 셀은 통신노드(1)에 페치(fetch)되며 동시에 송신셀이 삽입된다. 이 때문에, 릴레이우선전송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노드(1)내의 전송버퍼(15)에 셀이 저장되는 시점부터 셀을 송신한 통신노드에 셀이 도달할 때까지의 통신망에 있어서의 상황에 따른 지연시간 변화의 최대값을 얻기 위해서는 통신노드에서의 최대 액세스지연시간을 얻기만 하면 된다. 릴레이우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노드내의 전송로에서 통신노드로 도달하는 셀패턴이 이미 사용된 셀슬롯이거나 통신노드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최대수로 계속되는 패턴인 경우에는 액세스지연이 최대로 된다.The transmitting cell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node 1 can actually transmit from the transmission buffer 15 in the communication node to the transmission path 2 only when a cell slot or a cel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s received. . The transmitting cell may be inserted directly into a cell slot not yet used, and the cell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is fetched into the communication node 1 and the transmitting cell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the relay-first transmission system,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time when the cell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15 in the communication node 1 until the cell reaches the communication node that transmitted the cell.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value of the change, it is only necessary to obtain 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at the communication node. In the relay-first transmission system, the access delay is maximized when the cell pattern reaching the communication node from the transmission path in the communication node is a cell slot that is already used or a pattern in which the maximum number of cell slots that are not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continues. .

다음에, 제4도 및 제5를 참조해서 최대 액세스지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aximum access dela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이하, 통신노드a에 삽입된 송신셀을 갖는 셀슬롯에 개시위치를 갖는 윈도우(여기서, 윈도우사이즈는 W셀시간과 동일하다)에 대해 설명한다. 이 윈도우에 있어서, 통신노드a 이외의 통신노드에서 생성될 수 있는 셀의 최대수는 (ni-na)이다. 여기서,ni는 서로 접속된 모든 통신노드에서 윈도우W내의 전송로를 거쳐 전송로에 실제로 송신할 수 있는 셀의 총합이다. 또, na는 통신노드a가 윈도우W로 송신할 수 있는 셀수를 나타낸다.Hereinafter, a window having a start position in a cell slot having a transmitting cell inserted in the communication node a (where the window size is equal to the W cell time) will be described. In this window, the maximum number of cells that can be created in a communication node other than communication node a is n i -n a ). here, n i is the total number of cells that can actually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in the window W in all communication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N a indicates the number of cells that the communication node a can transmit to the window W.

모든 통신노드가 윈도우W로 송신할 수 있는 셀의 총합ni는 최대 W이다. 이 때문에, 통신노드a내의 전송로에서 도달하는 셀패턴으로서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에 설정된 셀슬롯의 최대 (W-na)로 윈도우W내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들 셀은 여러개의 윈도우에 걸쳐 확장되어도 된다. 그리고, 통신노드a에 삽입된 송신셀을 갖는 셀슬롯이 2개의 윈도우로 이루어지는 구간(대역)2W로 확장된다고 가정하면,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최대 2(W-na) 셀슬롯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달패턴이 생성되는 경우, 이 구간2W에 있어서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의 2(W-na)가 연속적으로 나타나기 전후에 아직 사용되지 않았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된 셀슬롯의 na가 항상 존재한다.Total number of cells that all communication nodes can send to Window W n i is at most W. For this reason, it appears continuously in the window W with the maximum (Wn a ) of the cell slots already used or set in the communication node as the cell pattern arriving at the transmission path in the communication node a. These cells may extend over several windows. In addition, assuming that a cell slot having a transmission cell inserted in the communication node a is extended to a section (band) 2W consisting of two windows, a maximum of 2 (Wn a )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are no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 are It may appear continuously. When the above-mentioned arrival pattern is generated, in this section 2W, 2 (Wn a ) of the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no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re not used before or after being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 or not. N a in the cell slot is always present.

통신노드a에서 이 구간2W로 송신가능한 셀수는 2na셀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최대 액세스지연은 통신노드a로 부터의 송신셀이 사용될 수 없는 일련의 2(W-na)셀슬롯의 헤드에서 생성되어 전송버퍼로 들어가는 시점부터 송신셀이 전송로로 송신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다.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transmitted in this section 2W in the communication node a is 2n a cells. In this case, the maximum access delay in this case is generated at the head of a series of 2 (Wn a ) cell slots in which the transmitting cell from communication node a cannot be used and enters the transmission buffer. It is a period of up to.

제5도에 있어서, 생성된 송신셀의 2na중 송신셀의 최초na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또는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의 일련의 2(W-na)후에 아직 사용되지 않았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된 셀슬롯의 na와 함께 송신되고, 송신셀의 나머지 na는 아직 사용되지 않았거나 다음구간 2W의 헤드에 존재하는 통신노드a로 송출된 셀슬롯의 na와 함께 송신된다. 이와 같이, 통신노드a에서 송신된 송신셀의 최대 액세스지연시간이 2(W-na)셀시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Fifth Fig, first transmission of the 2n a for the generated transmission cell cell to n a is either already in use or communication node after a series of 2 (Wn a) a non-transmission cell slot as not yet used or a communication node is transmitted with n a of the cell slot sent to a, the remaining n a of the transmission cell is sent is not already in use or with the communication node a a n a cell slot sent out to present the head of the next interval 2W.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of the transmitting cel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a is 2 (Wn a ) cell times.

전송로를 통해 서로 접속된 모든 통신노드에 있어서,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셀에 대해 슬라이딩 윈도우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전송로에서 도달하는 고정길이 셀이 우선적으로 송신되는 릴레이우선전송시스템에 따라서 셀송신을 실행하는 경우, 통신노드i에서 송신된 셀이 통신노드 i내의 전송버퍼에 저장되는 시점부터 셀을 송신한 통신노드i에 셀이 도달할 때까지의 최대 액세스 지연시간은In all communication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ransmission path, cell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relay-first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 fixed-length cell reaching the transmission path is preferentially transmitted while executing sliding window control on a cel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Is executed, 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from the time when the cell transmitted from communication node i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communication node i until the cell reaches the communication node i transmitting the cell is

이고, 이것으로부터 최대 액세스 지연시간이 윈도우사이즈W 셀시간의 2배 이내인 것을 알 수 있다.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is within twice the window size W cell time.

다음에,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셀이 통신노드에서 포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통신노드에 필요한(요구되는) 버퍼의 최소수에 대해 고려한다.Nex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ell transmitted at the communication node is not abandoned at the communication node, the minimum number of buffers required (required) for the communication node is considered.

제6도는 전송버퍼내의 잔여 송신셀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의 최대수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송신셀의 최대수가 통신노드내의 전송버퍼에 저장된다.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의 최대 2(W-ni)로 통신노드i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이 시간동안 통신노드i에서 송신된 송신셀은 전송버퍼에 저장되고, 2(W-ni)셀슬롯내의 통신노드i에서 생성된 송신셀의 최대수는 2ni이다. 이 때문에, 통신노드i에서 송신된 셀이 통신노드i에서 포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버퍼의 최소수는 2ni이다.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the remaining transmission cells in the transmission buff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maximum number of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no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ppear continuously,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the communication node. Up to two (Wn i ) of the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not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appear consecutively at the communication node i. The transmitting cell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i during this time are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and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genera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i in the 2 (Wn i ) cell slot is 2n i . For this reason, the minimum number of transmission buffers necessary for ensuring that the cell transmitted at the communication node i is not abandoned at the communication node i is 2n i .

제7도는 통신노드의 수가 4이고 W셀시간내에 각 통신노드에서 송신 가능한 셀수가 2이고 윈도우사이즈가 8셀시간인 경우에 전송로로부터의 도달패턴의 최악의 경우 및 이 경우에 필요로 되는 버퍼수를 도시한 것이다. 즉, 이 경우에 필요한 버퍼수는 2na인 4이다.7 shows the worst case of the arrival pattern from the transmission path and the buffer required 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is 4, 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transmitted by each communication node within W cell time and the window size is 8 cell time. It shows the number.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buffers required in this case is 4, which is 2n a .

상술한 실시예1의 설명에서는 다른 목적을 위한 각가의 개별 셀의 용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모든 형태(종류)의 통신에 동일셀이 사용된다고 가정하였다. 이 경우,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통신과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통신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처리된다. 이 때문에, 지연시간에 따라 우선적으로 처리되는 셀이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통신에 적용되고 지연시간에 따라 우선적으로 처리되지 않는 셀은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통신에 적용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또한 통신망내의 모든 통신노드의 각각에 다른 버퍼를 마련하고 우선적 셀을 저장하는 버퍼에 지연시간에 따라 우선적으로 처리된 셀을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우선적 셀은 항상 버퍼의 헤드에서 인출되어 송신된다. 이러한 형식의 구조를 사용하면,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통신에 있어서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통신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Embodiment 1, it is assumed that the same cell is used for all types (types) of communic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use of each individual cell for other purposes. In this case, communication in which the delay time is necessary and communication in which the delay time is not necessarily processed are proces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this reason, by using a structure in which a cell that is preferential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delay time is applied to a communication that requires a delay time, and a cell that is not preferential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delay time is used for a communication tha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 delay time. In addition, by providing a different buffer in each communication nod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ing the preferentially processed cells according to the delay time in the buffer for storing the preferential cells, the preferred cells are always drawn out from the head of the buffer and transmitted. By using this type of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delays caused by performing a communication in which a delay tim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communication in which a delay time is absolutely necessary.

또, 각각이 여러개의 우선순위대역을 포함하는 버퍼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개의 우선순위레벨이 도입된다.In addition, several priority levels are introduced to realize buffers each containing several priority bands.

통신망내의 각 통신노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면, 상술한 우선적 셀의 최대 액세스지연시간과 각 통신노드에 대한 우선적 셀의 최소수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는 것이 명확해진다.When the above described processing is executed in each communication nod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becomes clear that the above-described maximum access delay time of the preferred cell and the minimum number of preferred cells for each communication node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이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위 점프윈도우 제어시스템에 따라 윈도우제어가 실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window control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a so-called jump window control system.

이하, 송신셀이 버퍼에 저장되는 시점부터 여러개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는 링형 ATM시스템내의 릴레이우선 전송시스템에 따라 송신셀을 송신한 통신노드에 셀이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최대 지연시간과 통신노드에서 송신될 송신셀이 통신노드에서 포기되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로 되는 버퍼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ximum delay time from the time when the transmitting cell is stored in the buffer to the time when the cell reaches the communication node transmitting the transmitting cell according to the relay priority transmission system in the ring-type ATM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The number of buffers required to prevent the transmitting cell to be transmitted from being abandoned at the communication node will be described.

제8도는 윈도우가 매W셀시간마다 1회 갱신되는 점프윈도우제어에 대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W는 셀시간으로 규격화된 윈도우사이즈의 값을 나타낸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jump window control in which a window is updated once every W cell time. Here, W represents a value of the window size normalized to the cell time.

통신노드(1)의 상세한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윈도우제어부(13)은 제8도에 도시한 W셀슬롯시간이 통과할 때마다 다음 W셀슬롯시간을 모니터하고 필요한 제어를 실행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node 1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 and the window control unit 13 monitors the next W cell slot time every time the W cell slot time shown in FIG. 8 passes and controls necessary. Run

다음에, 상술한 동작에 따른 액세스시의 지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delay at the time of acces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아직 사용되지 않은 셀슬롯이나 통신노드로 송출된 셀이 수신되면, 통신노드(1) 내의 전송버퍼(15)에서 전송로(2)로의 송신이 실제로 실행된다. 아직 사용되지 않은 셀이 송신에 사용되거나 또는 통신노드로 송출된 셀에 페치되고, 그 후 송신셀이 삽입된다. 이 때문에, 통신노드(1) 내의 송신셀이 전송버퍼(15)에 저장되는 시점부터 송신셀을 송신한 통신노드에 송신셀이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의 최대값을 얻기 위해서는 실시예1과 같이 통신노드에서의 최대 액세스지연시간을 얻기만 하면 된다. 액세스 지연시간은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에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의 최대수가 전송로(2)에서 통신노드(1)에 도달하는 셀패턴으로서 연속될 때 최대로 된다.When a cell slot or a cell transmitted to a communication node that has not been used is received, transmission from the transmission buffer 15 in the communication node 1 to the transmission path 2 is actually executed. Cells not yet used are fetched into cells used for transmission or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and then the transmitting cells are inserted.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value of the delay time from the time when the transmission cell in the communication node 1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15 to the time when the transmission cell reaches the communication node that transmitted the transmission cell, Similarly, it is only necessary to obtain 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at the communication node. The access delay time is maximized when the maximum number of cell slots already used or not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is continued as the cell pattern reaching the communication node 1 in the transmission path 2.

점프윈도우제어에 있어서, 송신셀은 윈도우내의 어떠한 셀슬롯에서 생성되어도 좋다. 이 때문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연속 윈도우에서 송신가능한 셀이 연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셀이 전송로에서 통신노드a에 도달하고 있다고 가정한 경우,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셀이 모든 통신노드내의 동일한 셀슬롯에서 발생하면, 이미 사용하였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윈도우에서 송신가능한 수ni가 모든 통신노드에 있어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윈도우사이즈W는 다음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In jump window control, the transmitting cell may be generated in any cell slot in the window.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9, cells which can be transmitted in two consecutive windows can be generated continuously. Assuming that a cell is reaching communication node a in a transmission path, if a cell as shown in FIG. 9 occurs in the same cell slot in all communication nodes, a cell slot that has already been used or has not been sent to communication node a is It is generated continuously. Briefly, assuming that the number n i transmittable in the window is the same for all communication nodes, the window size W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N은 통신망내의 통신노드의 총수를 나타내고, W는 윈도우사이즈를 셀슬롯 수로 환산해서 얻어진 값을 나타낸다.Here, N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W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window size into the number of cell slots.

다음에, 전송로에서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는 주어진 통신노드a로의 셀도달패턴의 최악의 조건에 대해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윈도우사이즈W가 모든 통신노드에서 윈도우로 송신할 수 있는 셀의 총수로 결정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즉,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worst condition of the cell delivery pattern to a given communication node a which can be known from the above equation in the transmission path will be described. Here, it is important that the window size W is determined by the total number of cells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window in all communication nodes. In other words,

이다.to be.

여기서,이다. 이 때문에, 하기의 식이 성립된다.here, to be. For this reason, the following formula is established.

이하, 전송로에서 통신노드에 도달하는 셀패턴의 윈도우대역①이 송신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는 조건을 가정한다. 윈도우대역①에 포함될 수 있는 송신셀의 수는 하기의 식과 같이 표시되고,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window band 1 of the cell pattern reaching the communication node in the transmission path can be used by the transmitting cell.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window band ①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이 윈도우대역① 내의 모든 셀슬롯이 송신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게 된다. 다음에, 윈도우대역①과 순차 윈도우대역으로 이루어진 대역②가 송신셀에 의해 사용된다는 조건을 가정한다. 역②에 포함된 송신셀의 수는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It becomes clear that all cell slots in this window band 1 can be used by the transmitting cell. Next, assume a condition that a band ② consisting of a window band ① and a sequential window band is used by a transmitting cell.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included in station ②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이 대역②내의 모든 셀슬롯이 송신셀에 의해 사용된다는 조건하에서는Under the condition that all cell slots in this band ② are used by the transmitting cell

이고, 이것에 의해 하기의 식이 얻어진다.The following formula is obtained by this.

식(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식은 통신노드의 수 N이 2이상인 경우에 만족되는 조건을 나타내지만, 통신망내에 여러개의 통신노드가 있다는 전제로 가정해서 이 대역② 내의 모든 셀슬롯은 통신셀에 의해 사용된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the above equation shows a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N is two or more, but all cell slots in this band ② assuming that there are several communica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used by the communication cell.

마찬가지로, 헤드에 윈도우대역①을 갖는 연속적 윈도우대역③의 N이 송신셀에 의해 사용되는 조건을 가정한다. 대역③에 포함된 송신 셀의 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표시된다.Similarly, assume a condition that N in the continuous window band ③ having the window band? At the head is used by the transmitting cell.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included in the band ③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상기한 식은 식(1)에서 하기의 식으로 변형가능하다.The above formula can be modified from the formula (1) to the following formula.

이 대역③ 내의 모든 셀슬롯이 송신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은:The conditions under which all cell slots in this band ③ can be used by the transmitting cell are:

이고, 이것에 의해 하기의 식이 얻어진다.The following formula is obtained by this.

식(1)로 부터 상기 식의 등가부호가 유효로 되고, 이 대역③ 내의 모든 셀슬롯이 통신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대역의 길이는 대역④ 다음의 윈도우⑤에 있어서 통신노드a 이외의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셀을 포함하는 (N+2)W-(N+2)na셀슬롯이다.It can be seen from Equation (1) that the equivalent sign of the above equation becomes valid, indicating that all cell slots in this band ③ can be used by the communication cell.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band in which the cell slots which are already used or no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 continuously appear includes a cell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node other than the communication node a in the window ⑤ following the band ④ (N + 2). W- (N + 2) n a cell slot.

그의 헤드에 윈도우대역①을 포함하는 연속적 윈도우대역의 (N+1)을 포함하는 윈도우대역④가 송신셀에 의해 사용되는 조건하에서는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indow band④ including (N + 1) of the continuous window band including the window band① at its head is used by the transmitting cell

이고, 식(1)로 부터 상기 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이 명확해 진다.It is clear from equation (1) that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상기한 설명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최대 (N+2)W-(N+2)na로 연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FIG. 11,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have not been sent to communication node a may appear continuously at maximum (N + 2) W− (N + 2) n a .

이하, 전송로로부터의 셀이 상술한 패턴으로 통신노드a에 수신되는 경우의 송신셀에 있어서의 액세스지연시간에 대해 고려한다. 최악의 경우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일련의 (N+2)W-(N+2)na셀슬롯의 제1셀슬롯이고, 통신노드로부터의 송신셀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패턴으로 생성되며, 최대수의 송신셀이 순차 윈도우에서 생성되는 경우이다.Hereinafter, the access delay time in the transmitting cell when the cell from the transmission path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node a in the above-described pattern is considered. The worst case is the first cell slot of a series of (N + 2) W- (N + 2) n a cell slots that are already received or have not been sent to communication node a and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This is the case where the transmitting cells are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pattern as shown in FIG. 9, and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is generated in the sequential window.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N+2)W-(N+2)na셀슬롯의 대역에 있어서, 통신노드a에서 송신된 송신셀은 전송버퍼에 저장된다. 이하, (N+2)W-(N+2)na셀슬롯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에 있어서 통신노드a에서 생성된 최대수의 송신셀에 대해 고려한다. 통신노드a로 부터의 송신셀의 (N+1)na의 생성에 필요한 최소시간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2)W+2 셀시간이다. 따라서, 하기의 식In a band of (N + 2) W- (N + 2) n a cell slots in which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not transmitted to communication node a are continuously received, the transmitting cell transmitted from communication node a is sent to the transmission buffer. Stored. Hereinafter,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node a in the band consisting of (N + 2) W− (N + 2) n a cell slots is considered. The minimum time required for generation of (N + 1) n a of the transmitting cell from communication node a is (N-2) W + 2 cell tim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following formula

이 마련되고, 통신노드a에서 송신된 송신셀의 (N+1)na이상의 갯수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N+2)W-(N+2)na셀슬롯대역에서 생성되고, 하기의 조건만이 필요하며,(N + 2) W− (N +) in which the number of (N + 1) n a or more of the transmitting cell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a is already used or the cell slots that are not sent to the communication node a are continuously received. 2) generated in the n a cell slot band, only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required,

이것은 통신노드의 수가 2 이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통신망에 여러개의 통신노드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 통신노드a에서 송신된 (N+1)na이상의 갯수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N+2)W-(N+2)na셀슬롯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에서 생성된다는 조건이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is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is two or more. Assuming that there are several communication nodes in the network, the number of (N + 1) n a or more transmitted from communication node a has been consecutively received (N + 2) W− which has already been used or has not been sent to communication node a. It can be seen that the condition of generation in a band consisting of (N + 2) n a cell slots is satisfied.

통신노드a에서 생성될 (N+2)na의 송신셀에 필요한 최소의 시간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W+2na셀시간이다. 즉, 하기의 식The minimum time required for a transmission cell of (N + 2) n a to be generated in communication node a is NW + 2n a cell tim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ollowing formula

가 마련되고, 통신노드a에서 송신된 (N+2)na이상의 송신셀은 조건 N4를 만족하는 경우 즉 통신노드의 수가 4 이상인 경우에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통신노드로 송출되지 않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N+2)W-(N+2)na셀슬롯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에서 생성된다.Is provided, and the transmission cell of (N + 2) n a or more transmitted from communication node a is condition N. When 4 is satisfied, i.e.,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is 4 or more, it is generated in a band consisting of consecutively received (N + 2) W- (N + 2) n a cell slo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or no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마찬가지로, 통신노드a에서 생성될 (N+3)na의 송신셀에 필요한 최소시간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1)W+2na셀시간이다. 즉, 하기의 식Similarly, the minimum time required for a transmission cell of (N + 3) n a to be generated in communication node a is (N + 1) W + 2n a cell tim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ollowing formula

가 마련되고, 이것은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N+3)na이상의 송신셀은 이미 사용되지 않았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N+2)W-(N+2)na셀슬롯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에서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N + 2) W- (N + 2) n which is received continuously from the communication node, where more than (N + 3) n a transmitting cells are not already used or are not sent to communication node a. a not generated in the band consisting of cell slots.

상기 설명에 있어서, 통신노드a에서 송신된 (N+2)na의 송신셀이 이미 사용되지 않았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되지 않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N+2)W-(N+2)na셀슬롯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에서 생성되는 경우 및 송신셀에서의 액세스 지연시간인 경우에 최대 수의 송신셀이 생성되는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consecutively received (N + 2) W- (N + 2), in which a transmitting cell of (N + 2) n a transmitted from communication node a has not already been used or has not been sent to communication node a. It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is generated in the case of being generated in a band consisting of n a cell slots and in the case of an access delay time in the transmitting cell.

제15도는 액세스 지연에 대한 설명도이다.1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access delay.

제11도에 도시한 도달패턴에 있어서, 통신노드a로부터의 송신셀을 제1 N윈도우에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직 사용되지 않았거나 통신노드a로 송출된 셀슬롯의 적어도 na가 다음 윈도우에 존재하므로, 먼저 생성된 na의 송신셀이 여기에 삽입된다. 즉, 송신셀에서의 액세스 지연시간은 (N+2)W-(N+2)na셀시간이다. 두번째로 생성된 na의 송신셀은 먼저 생성되어 그의 내부에 삽입된 na의 송신셀과 함께 셀슬롯으로부터 1윈도우(W셀시간)만큼 더 지연된다. 즉, 송신셀에서의 액세스 지연시간은 (N+3)W-(N+3)na셀시간이다. 또, 순차 생성되는 송신셀에 있어서, 액세스지연시간은 (N+3)W-(N+3)na셀시간이다.In the arrival pattern shown in FIG. 11, it is impossible to insert the transmission cell from the communication node a into the first N window. Since at least n a of the cell slots not yet used or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 exists in the next window, the previously created transmission cell of n a is inserted therein. That is, the access delay time in the transmitting cell is (N + 2) W− (N + 2) n a cell time. Transmitting a cell in the n generates the second is further delayed by a first window (W-hour cell) from the cell slot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cells n a first insert is produced in its interior. In other words, the access delay time in the transmitting cell is (N + 3) W− (N + 3) n a cell time. In the transmission cells sequentially generated, the access delay time is (N + 3) W- (N + 3) n a cell time.

모든 전송노드에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통상의 윈도우 내에서 송신 가능한 동일수의 셀이 있다는 조건 하에서, 도달하는 셀이 통신노드에서 송신된 셀에 대해 점프윈도우제어를 마련해서 우선적으로 전송되는 릴레이우선 전송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통신노드i 내의 전송버퍼에 송신셀이 저장되는 시점부터 송신셀을 송신한 통신노드i에 송신셀이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최대 액세스지연시간은 통신망내의 통신노드의 수N은 물론 윈도우사이즈W에 의존하고, 이것은 지연시간이 (N+3)W-(N+3)ni셀시간을 갖는 것이 확실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Relay priority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arriving cell preferentially transmits by providing jump window control for the cel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node under the condition that all transmitting nodes have the sam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normal window having the same size. In this case, 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from the time when the transmitting cell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the communication node i to the time when the transmitting cell arrives at the communication node i transmitting the transmitting cell is not only the number N of communica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Depending on the window size W, this means that the delay time is made sure to have (N + 3) W− (N + 3) n i cell time.

통신노드에서 송신될 셀이 통신노드 내에서 포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통신노드내의 최소 버퍼수에 대해 고려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cell to be transmitted at the communication node is not abandoned in the communication node, the minimum number of buffers in the communication node is considered.

제11도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사용되지 않았거나 통신노드로 송출되지 않은 셀슬롯의 최대수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송신셀의 최대수가 통신노드내의 전송버퍼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셀슬롯이 최대 (N+2)W-(N+2)ni로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이 셀시간내에 생성가능한 통신노드i로부터의 송신셀은 전송버퍼내에 저장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N+2)ni의 셀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문에, 통신노드i에서 송신될 셀이 통신노드i내에서 포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버퍼의 최소수는 통신노드i에서 윈도우내로 송신가능한 셀수는 물론 통신망내의 통신노드수에 의존하고, 그 수는 (N+2)ni이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when the maximum number of cell slots that have not been used or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ppear continuously,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the communication node. The cell slots as described above appear consecutively at maximum (N + 2) W− (N + 2) n i . The transmitting cell from the communication node i that can be generated within this cell time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and can generate a cell of (N + 2) n i a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minimum number of buffers required to ensure that a cell to be transmitted at communication node i is not abandoned in communication node i depends on 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transmitted into the window at communication node i as well as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number is (N + 2) n i .

참고로, 제16도는 전송로로부터의 도달패턴의 최악의 경우와 통신노드의 수가 4인 경우에 필요로 되는 버퍼수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통신노드에서 W셀시간 내에 송신가능한 셀수는 2이고, 윈도우사이즈는 8셀시간이다.For reference, FIG. 16 shows an example of the number of buffers required when the worst case of the arrival pattern from the transmission path and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are four. 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transmitted within W cell time in each communication node is shown in FIG. 2 and the window size is 8 cell hours.

상술한 실시예3에 있어서, 통신에 있어서 다양한 목적으로 각 통신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고, 동일셀이 모든 종류(형태)의 통신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통신과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통신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지연시간에 있어서의 우선적 셀이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통신에 적용되고 비우선적인 셀이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통신에 적용되면, 통신망 내의 모든 통신노드에 다른 버퍼를 마련하고 또 그의 내부에 우선적인 셀을 저장하는 셀에 우선적인 셀을 저장하는 것에 의해서, 버퍼의 헤드로 부터 우선적인 셀이 항상 인출되어 송신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한 통신에 있어서 지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통신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지연시간을 방지할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은 여러개로 분류해도 좋다.In Example 3 mentioned above, the case where each communication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communication is not considered, and the case where the same cell is used for all types (types) of communication is demonstrated. In this case, communication in which the delay time is not necessary and communication in which the delay time is necessarily proces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refore, if the preferential cell in delay time is applied to communication that requires delay time, and the non-priority cell is applied to communication tha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delay time, provide another buffer in all communica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storing the preferential cell in the cell that stores the preferential cell, the preferred cell is always drawn from the head of the buffer and transmitted. In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delay time caused by performing a communication in which a delay tim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communication in which a delay time is absolutely necessary. The priority levels may be classified into several.

통신노드에서 필요로 하는 우선적 셀의 최대 액세스지연시간과 최소 버퍼수는 상술한 처리가 통신망 내의 각각의 통신노드에 실행되는 조건상에서 실시예3과 동일하다.The maximum access delay time and the minimum number of buffers of the preferred cell required by the communication nod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on the condition that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executed on each communication nod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정 값보다 큰 용량을 갖는 전송버퍼, 송신셀수 카운터 및 윈도우의 전송을 감시 제어하는 전송제어수단이 각 통신노드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에 결정된 지연보다 적은 지연으로 송신셀을 전송로로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communication node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buffer having a capacity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 counters,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of the window, each communication node is provided with a delay less than the delay determined in the entire system. The transmitting cell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

또, 미리 정한 값보다 많은 수의 전송버퍼가 각 노드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송신셀이 포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larger number of transmission buffers are provided in each nod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mission cell from being abandoned.

또한, 일정 값 보다 큰 용량을 갖는 전송버퍼, 송신셀수 카운터 및 윈도우의 전송을 감시 제어하는 전송제어수단이 각 노드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에 결정된 것보다 적은 지연으로 송신셀을 전송로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node has transmission buffers having a capacity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ransmission cell counters, and transmission control mean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windows, the transmission cells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paths with a delay less than that determined in the entire system. Can be.

또한, 점프윈도우제어를 위해 미리 정한 값 보다 많은 수의 전송버퍼를 각 노드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통신노드에 있어서의 송신셀의 포기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node has a larger number of transmission buffer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for jump window control, it is possible to prevent abandonment of the transmission cell in the communication node.

또, 2이상의 형태의 우선순위를 갖는 전송버퍼가 각 노드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고우선순위를 갖는 송신셀이 우선적으로 전송되어 고우선순위의 송신셀이 포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transmission buffer having two or more types of priorities is provided in each n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igh priority transmission cell from being abandoned because a transmission cell having a high priority is preferentially transmitted.

또한, 미리 정한 값보다 많은 수의 우선적 셀의 전송버퍼가 각 노드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고우선순위를 갖는 송신셀이 포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more than one predetermined number of priority cells transmit buffers are provided in each n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bandonment of a transmission cell having a high priority.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8)

링내의 윈도우사이즈가 W셀이고 이 W셀내의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의 수가 na라고 하면 적어도 2(W-na) 셀에 대응하는 시간동안 송신셀을 그의 내부에 저장하는 전송버퍼, 상기 W윈도우사이즈내의 노드로부터의 송신셀 수를 계수하는 송신셀수 카운터 및 상기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얻어진 수가 상기 통신노드에 할당된 수에 대응하면 상기 전송버퍼내의 송신셀을 전송로로 송신하는 전송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If the window size in the ring is W cell and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n the W cell is n a , a transmission buffer for storing the transmitting cell therein for a time corresponding to at least 2 (Wn a ) cells. A transmission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ells in the transmission buffer to the transmission path if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count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from the node within the window size and the number obtained by the transmission cell number counter correspond to the number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ccess control device for a ring-type ATM nod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의 수는 na이고, 적어도 2na의 전송버퍼가 마련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The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a ring ATM no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s n a , and at least 2n a transmission buffer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노드내의 송신셀의 우선순위는 2이상의 레벨로 분류되고, 우선순위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전송버퍼가 마련되며, 고우선순위의 전송버퍼로부터의 송신셀이 저우선순위의 전송버퍼로부터의 송신셀 전에 송출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The transmission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ority of the transmitting cells in the node is classified into two or more levels, and transmission buffers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levels are provided, respectively. An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a ring-type ATM node sent before a transmitting cell of th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전송버퍼의 최소수는 적어도 2na인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4.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minimum number of transmission buffers is at least 2n a . 각각의 노드가 링내의 노드 수가 N이고 윈도우사이즈가 W셀이며 상기 W셀내의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의 수가 na라고 하면 적어도 (N+3)W-(N+3)na셀에 대응하는 시간동안 송신셀을 그의 내부에 저장하는 전송버퍼, 상기 W셀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W셀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신규 윈도우사이즈를 설정하도록 윈도우를 재설정하는 윈도우 제어회로, 상기 윈도우사이즈의 통신노드로부터의 송신셀수를 계수하는 송신셀수 카운터 및 상기 송신셀수 카운터에 의해 표시된 셀수가 통신노드에 할당된 수와 일치할 때에는 상기 전송버퍼내의 송신셀을 전송로로 송신하는 전송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If each node is N in the ring, the window size is W cell, and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n the W cell is n a , at least (N + 3) W- (N + 3) n a cells A transmission buffer for storing a transmission cell therein for a corresponding time; a window control circuit for counting the W cell time and resetting the window to set a new window size each time the W cell time elapses; communication of the window size A ring type comprising a transmission cell number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 cells from the node and transmission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ells in the transmission buffer to the transmission path when the number of cells indicated by the transmission cell number counter matches the number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ode; Access control device of ATM node. 제5항에 있어서, 통신노드에 할당된 송신셀의 수는 na이고, 적어도 (N+2)na의 전송버퍼가 마련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6.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a ring ATM nod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number of transmitting cell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ode is n a and at least (N + 2) n a transmission buffer is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노드내의 송신셀의 우선순위는 2이상의 레벨로 분류되고, 우선순위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전송버퍼가 마련되며, 고우선순위의 전송버퍼로 부터의 송신셀이 저우선순위의 전송버퍼로부터의 송신셀 전에 송출되는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The transmission cel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iority of the transmitting cells in the node is classified into two or more levels, and a transmission buff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iority levels is provided. An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a ring-type ATM node sent before a transmitting cell from the same. 제7항에 있어서, 전송버퍼의 최소수는 적어도 (N+2)na인 링형 ATM노드의 액세스제어장치.8.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minimum number of transmission buffers is at least (N + 2) n a .
KR1019950058349A 1995-12-27 1995-12-27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KR100191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349A KR100191706B1 (en) 1995-12-27 1995-12-27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349A KR100191706B1 (en) 1995-12-27 1995-12-27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451A KR970056451A (en) 1997-07-31
KR100191706B1 true KR100191706B1 (en) 1999-06-15

Family

ID=1944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349A KR100191706B1 (en) 1995-12-27 1995-12-27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70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451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2483C (en) Packet-switched communications network for efficiently switching non-burst signals
US4500987A (en) Loop transmission system
US5546389A (en)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 buffer and a device for temporary storage of data packets and an exchange with such a device
US5140587A (en) Broadband ring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50816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queue multiple ac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4482999A (en)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stations attached to a _unidirectional transmission ring
US4538263A (en) Variable-band switching system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KR0161613B1 (en) Atm interface and shaping method
JPH10224377A (en) Path designation switch for digital signal two-way transmission
US5331316A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llocating free signalling channels to individual substations having data to transmit
JPH10303906A (en) Atm device and port shaping method
US5265094A (en) Channel accessing process for a local transmission network configured as a bus system
US7039066B2 (en) Dynamic bandwidth assignment system and dynamic bandwidth assignment method capable of reducing cell transmission delay
KR100191706B1 (en) Atm control device for ring type atm node
EP0802698B1 (en) Cell output contention control apparatus for traffic shaper
US5742586A (en) Access control device for ring-type ATM node
US5247514A (en) Multiple channel transit call control apparatus
JPH07711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ing information in LAN system
US6636479B1 (en) Communication unit having packet multiplexing function
JP3154526B2 (en) Buffer access control method in concentrator
JP3099244B2 (en) Packet communication method with limited number of transmitted packets
JPH0145261B2 (en)
EP0614585B1 (en) Method and unit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orrect sequence of atm cells
JP2521368B2 (en) Packet adapter device for ATM
JP3471222B2 (en) Cell readout schedu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