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038B1 -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038B1
KR100190038B1 KR1019960016258A KR19960016258A KR100190038B1 KR 100190038 B1 KR100190038 B1 KR 100190038B1 KR 1019960016258 A KR1019960016258 A KR 1019960016258A KR 19960016258 A KR19960016258 A KR 19960016258A KR 100190038 B1 KR100190038 B1 KR 10019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gnal
output signal
control signa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209A (ko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1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038B1/ko
Publication of KR97007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각 코너에 4개의 구동신호에 따라 임의의 점에 접촉이 가해질 때 전류 경로를 형성함에 의해 소정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판넬,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4개의 구동신호를 상기 판넬 상에 출력하는 판넬 구동부, 상기 판넬로부터의 출력신호 레벨을 쉬프트하기 위한 쉬프터, 상기 레벌 쉬프터의 출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 이득율로 증폭하기 위한 중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의 접촉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넬 구동부로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각 구성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출력하는 제어로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의 구성 블록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판넬 구동부의 출력 파형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판넬의 파형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레벨 쉬프터의 파형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저역통과필터의 출력 파형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DC 중폭부의 출력 파형도.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입력장치인 키보드나 마우스에 의한 입력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능에 대한 욕구로 인하여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여 일반펜(예 : 스타일러 펜)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 점차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 입력 방식은 펜의 접촉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감지된 좌표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처럼 어느 한 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점에 해당하는 디지탈 값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디지타이징(digitizing) 과정이라고 하고 그런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디지타이저(digitizer)라고 한다.
그런데, 종래의 디지타이저 시스템들은 개별 소자로 구현됨에 의해 그 부피가 크고 전력의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로를 최적화하여 회로크기를 대폭 줄여서 휴대가 적합하며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는 각 코너에 4개의 구동신호에 따라 임의의 점에 접촉이 가해질 때 전류 경로를 형성함에 의해 소정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판넬.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4개의 구동신호를 상기 판넬 상에 출력하는 판넬 구동부, 상기 판넬로부터의 출력신호 레벨을 쉬프트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상기 레벨 쉬프터의 출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 이득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의 접촉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넬 구동부로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각 구성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출력하는 제어로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입력장치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 부호 10은 마이컴을, 20은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를, 30은 제어로직을, 40은 판넬 구동부를, 50은 DC 증폭부를, 60은 저역통과필터(LPF)를, 70은 레벨 쉬프터(LS)를, 80은 판넬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점선 표시는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점선 표시는 제어신호의 흐름을, 실선은 일반 신호의 흐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마이컴(10)은 제어로직(30)을 통해 각 블록을 제어하며, 제어로직(30)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판넬(80)의 접촉 좌표를 인식하게 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는 제어로직(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DC증폭부(50)로부터 상보적인 포지티브, 네가티브, 네가티브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높은 리솔루션(resolution)을 위해 12비트 이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로직(3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마이컴(10)에 전달하며, 마이컴(1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블록을 제어하며, 그 데이터 입출력 포트는 8비트 이상의 쌍방향 포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판넬 구동부(40)는 제어로직(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판넬(80)을 구동하기 위한 4개의 구동신호(UL, UR, LL, LR)를 발생하며, 각 구동신호는 2 코너를 쌍으로 하여 4번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그 구동신호는 DC 0∼2.5(Vpp)이고, 1.25msec의 주기를 갖는다.
DC 증폭부(5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에 요구되는 적당한 신호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저역통과필터(60)를 통과한 신호에 대하여 소정 이득율로 증폭한다. 이때, DC 증폭부(5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의 변환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며, 판넬(80)의 임피이던스에 의한 이득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이득 조절을 위한 가변저항(VR)을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역통과필터(60)는 레벨쉬프터(70)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말하는 것으로, 1.25㎑의 차단 주파수를 갖으며, 초당 200좌표 쌍을 처리할 수 있는 셋팅 타임을 유지한다. 이때, 필터(60)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밴드폭을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 쉬프터(70)는 판넬(80)로부터 입력되는 DC 신호를 일정한 레벨(예 : 1.25V)로 쉬프트 시키며, 동시에 입력 버퍼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판넬(80)과는 DC 커플링되어 있으므로, 높은 임피던스가 요구된다.
판넬(80)은 두 개의 필름막을 스페이스 도트(spade dot)로 분리시키고, 4개의 구동신호(UL, UR, LL, LR)가 인가되고 외부의 힘에 의해 (펜 또는 손가락 등) 두 필름막이 접촉이 되면 접촉된 부분에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넬 구동부(40)에 의해 4 개의 구동신호가 제2a도∼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코너를 쌍으로 하여 4번을 순차적으로 판넬(80)에 인가된다. 이때, 제2a도는 좌측 상단 구동신호(UR)를, 제2b도는 우측 상단 구동신호(UR)를, 제2c도는 죄측 하단 구동신호(LL)를, 제2d도는 우측 하단 구동신호(LR)의 파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펜이나 손가락을 통해 판넬(80)상의 임의의 점에 압력을 가하면, 판넬(80)을 구성하는 두 필름막이 접촉하게 되고, 그 접촉점을 통해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류 경로를 통해 DC 신호가 레벨 쉬프터(70)에 인가된다. 제3도는 레벨 쉬프터(70)에 인가되는 DC신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 DC 신호는 레벨 쉬프터(7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레벨로 DC신호를 쉬프트된 후, 저역통과필터(60)를 통해 노이즈가 제거되어 제5도에 도시된 파형이 된다. 이어서, 이 DC 신호는 DC 증폭부(50)를 통해 디지털 변환을 위해 소정 이득율로 증폭된 후,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보적인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신호 형태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에 입력된다. 이어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는 그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로직(30)의 변환 개시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시작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로직 (30)의 리드신호에 따라 제어로직(30)에 출력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로직(30)을 통해 마이컴(10)에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10)은 이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판넬(80)의 접촉 좌표를 인식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로를 최적화함에 의해 시스템 크기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휴대가 편리하며, 소비전류를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각 코너에 4개의 구동신호에 따라 임의의 점에 접촉이 가해질 때 전류 경로를 형성함에 의해 소정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판넬,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4개의 판넬 상에 출력하는 판넬 구동부, 상기 판넬로부터의 출력신호 레벨을 쉬프트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상기 레벨 쉬프터의 출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 이득율로 증폭하기 위한 중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의 접촉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넬 구동부로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각 구성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출력하는 제어로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신호는 4비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쉬프트는 상기 판넬과 DC 커플링되어 높은 인피이던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1.2㎑의 밴드폭을 가지며, 초당 200 좌표축 상을 처리할 수 있도록 셋팅 타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판넬의 임피던스에 의한 이득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KR1019960016258A 1996-05-15 1996-05-15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KR10019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258A KR100190038B1 (ko) 1996-05-15 1996-05-15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258A KR100190038B1 (ko) 1996-05-15 1996-05-15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209A KR970076209A (ko) 1997-12-12
KR100190038B1 true KR100190038B1 (ko) 1999-06-01

Family

ID=1945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258A KR100190038B1 (ko) 1996-05-15 1996-05-15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209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507750A (ja) デジタイザコントローラ
JPH06309087A (ja)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の座標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0073028A (ko) 펜의 위치 인식을 이용한 입력 장치
KR100190038B1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장치
TWI579746B (zh) 觸控感測電路及訊號解調變方法
JPH10240424A (ja) 座標入力装置
JP3066302B2 (ja) 無線ペン・タブレット
US20050179669A1 (en) [touch pad and position detec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KR20220089130A (ko) 다중 주파수 인식이 가능한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 센싱 방법
JP2622989B2 (ja) タブレット装置
JPH08171453A (ja) 圧力感応型入力装置
JPS63138415A (ja) 手書き文字・図形処理システム
JPH0350291B2 (ko)
JPS59119406A (ja) 座標入力装置
KR100262726B1 (ko) 디지타이저 컨트롤러
SU1156106A1 (ru) Съемник координат дл устройства считывани граф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RU2174253C2 (ru) Контроллер цифров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JP2946660B2 (ja) 座標位置入力方法
KR100365855B1 (ko) 감압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제어장치 및방법
JPH07182103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S62162127A (ja) 信号意義の多義化装置
KR20000050767A (ko) 펜 디지타이징 시스템의 패널 구동회로
JPH09120331A (ja) 位置座標認識装置および位置座標認識方法
KR2001001001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JPH07160400A (ja) 座標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