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640B1 -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640B1
KR100189640B1 KR1019960011841A KR19960011841A KR100189640B1 KR 100189640 B1 KR100189640 B1 KR 100189640B1 KR 1019960011841 A KR1019960011841 A KR 1019960011841A KR 19960011841 A KR19960011841 A KR 19960011841A KR 100189640 B1 KR100189640 B1 KR 10018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polymer
polymer resin
impregnated
resin composi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150A (ko
Inventor
이규식
Original Assignee
이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식 filed Critical 이규식
Priority to KR101996001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640B1/ko
Publication of KR97006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통상의 합판 표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프레스 접착시킬 수 있는 차수 필름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크래프트지 또는 백상지 등으로 된 기재의 표면에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함침 시키고, 다시 그 표면에 불포화 지방산을 피막 처리한 구성으로 된 차수필름과,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크래프트지 또는 백상지 등으로 된 기재를 히팅 롤러에 2.5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120-160℃로 예열하고 함유 수분이 2% 이하로 되게 조절하는 예비 건조 공정과; 건조된 기재가 25m/min의 속도로 함침조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한 함침조에 수용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기재 표면에 스며들게 하는 함침 공정과; 실리콘 고분자 수지가 함침된 기재의 한쪽 표면을 박리 롤러로 긁어내어 다른 한쪽 포면에만 실리콘 고분자 수지조성물이 함침되게 하는 박리 공정과; 한쪽 표면의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박리된 기재를 25m/min의 속도로 건조로에 통과시켜 15㎏/㎠의 압력에서 함침된 수지의 유동률이 10-15%가 되게 하는 건조 공정과; 최종 건조된 기재의 전체 표면에 고형분 50-70%인 불포화 지방산을 산포하여 수지 함침면이 평활면으로 되게 하는 피막 처리 공정의 순으로 행해지는 차수 목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된 치수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재 2 : 히팅롤러
3 : 함침조 4 : 실리콘고분자 수지조성물
5 : 박리롤로 6 : 건조로
7 : 커터
이 발명은 거푸집 및 마이카 규석 등으로 접착 사용되어 콘크리트 면을 평활하게 하고, 또 거푸집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차수 필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티클 보드나 합판등을 기초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는 거푸집은 양생되는 콘크리트와의 박리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시공전에 오일이나 콜타르피막을 코팅함이 통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일 또는 콜타르를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은 양생후에 거푸집을 콘크리트 면에서 떼어 내기 쉽게 하여 줄 뿐이며, 그것으로 인하여 거푸집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거나 고열에 견딜 수 있고 절연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목질로 된 거푸집의 사용수명은 콘크리트 반죽에 함유된 수분이 목질로 침투하여 변질을 일으키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좌우된다.
이점에 착안하여 최근에는 합판의 표면에 피막 처리할 수 있는 수지 함침 TEGO 필름이 제안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나, 이것은 합판의 표면에 피막 처리할 때 열경화 시간이 8∼10분 정도 소요되어 거푸집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장시간 대기 노출시에는 태양광에 의한 광화학 반응으로 자연 경화되어 표면 피막에 쉽게 클랙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지 함침 합판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합판 표면에 용이하고 간편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는 차수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련된 차수 필름은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크래프트지 또는 그라스,마이카 규석 또는 백상지 등으로 된 기재의 표면에 실리콘 고분자 수지조성물을 함침 시키고, 다시 그 표면에 불포화 지방산을 피막 처리한 구성으로 된다.
또, 상기와 같은 차수필름은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크래프트지 또는 백상지 등으로 된 기재를 히팅롤러에 2.5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120∼160℃로 예열하고 함유 수분이 2% 이하로 되게 조절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건조된 기재가 25m/min의 속도로 함침조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한 함침조에 수용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기재표면에 스며들게 하는 함침 공정과,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기재의 한쪽 표면을 박리 롤러로 긁어내어 다른 한쪽 표면에만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함침되게 하는 박리 공정과, 한쪽 표면의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박리된 기재를 25m/min의 속도로 건조로에 통과시켜 15kg/㎠의 압력에서 함침된 수지의 유동물이 10∼15%가 되게 하는 건조공정과, 최종 건조된 기재의 전체 표면에 고형분 50∼70%인 불포화 지방산을 산포하여 수지 함침면이 평활면으로 되게 하는 피막 처리 공정의 순으로 행해진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함침 공정에 적용되는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실리콘 고분자 수지 고형분 50∼70wt%, 이형제2∼4wt%, 무기 안료 착색제2∼8wt%, 불연제 5∼10wt%. 파라핀 0.2∼0.5wt%, 계면활성제 0.05∼0.1wt%, 접착제30wt%, 안정제로서 가성소다 5wt%와 암모니아 1wt%로 된 조성비를 가지는 액상물질이다.
상기 조성물의 성분중에서 실리콘 고분자 수지는 페놀, 메라민, 요소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형제로는 Zinc-st/acid 이 적합하다. 또 불연제는 Br게, P계통이 적당하다.
또, 상기 제조방법에서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건조로는 열풍 건조로가 적당하고, 이 건조로는 내부가 전반부, 중반부 그리고 후반부로 구분되어서 전반부의 온도 90℃, 중반부의 온도 180℃, 후반부의 온도는 100℃로 설정된다.
상기 건조로의 내부를 구분하는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는 각각 8m, 8m, 9m의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건조로의 전장은 25m로 된다.
상기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차수 필름은 롤 프레스, 다단 프레스로 2∼4분만에 합판 표면으로 부착할 수있으며, 함침 평활도, 유연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게다가 10∼100년의 주기로 자연 분해 또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이 발명을 구체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예비 건조공정)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로서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그라스. 마이카 규석 또는 백상지를 롤상으로 감아 놓은 상태에서 120∼160℃의 온도를 가진 히팅 롤러(2)에 2.5 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기재(1)에 함유된 수분이 2%로 되게 조절한다.
(함침공정)
건조된 기재(1)가 25m/min의 속도로 함침조(3)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한 함침조(3)에 수용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기재(1)의 양 표면에 스며들게 한다.
기재(1)는 수분 함유율이 2% 이하로 조절된 것이기 때문에 함침 되는 수지층에 수분이 포함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또 함침조(3)에 수용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은 실리콘 고분자 수지 고형분 50∼70wt%, 이형제2∼4wt%, 무기안료 착색제2∼8wt%, 불연제 5∼10wt%, 파라핀 0.2∼0.5wt%, 계면활성제 0.05∼0.1wt%, 접착제30wt%, 안정제로서 가성소다 5wt%와 암모니아 1wt%로 된 조성비를 가지는 액상 물질이며, 이것은 함침조(3)의 내부에서 15℃로 유지된다.
상기 조성물의 성분중에서 실리콘 고분자 수지는 페놀, 메라민, 요소 수지중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형제로는 Zinc-st/acid이 적합하다. 또 불연제는 Br게, P계통이 적당하다.
(박리공정)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함침된 기재(1)는 함침조(3)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박리롤러(5)를 경유함에 따라 한쪽 표면에 함침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박리 제거되어, 단지 한쪽 표면에만 실리콘 고분자수지 조성(4)이 함침되어진다.
(건조공정)
한쪽 표면에만 실리콘 고분자수지 조성물(4)이 함침된 기재(1)는 함침조(3)에서 나오는 즉시 건조로(6)에 넣어지며, 여기에서 기재(1)는 25m/min의 속도로 통과한다.
건조로(6)는 이 발명에서 열풍 건조로가 채용되고 있고, 이 건조로(6)는 내부가 전반부(A), 중반부(B) 그리고 후반부(C)로 구분되어서 각각 건조 온도를 달리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전반부의 건조 온도는 90℃, 중반부의 건조 온도는 180℃, 후반부의 건조 온도는 100℃로 설정된다.
이와같이 함에 따라 함침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전반부(A)에서 외표면의 경화가 서서히 진행되고, 다음에 중반부(B)를 통과할 때 실리콘 규석과 마이카 규석이 자가 반응으로 실리콘 고분자 조성물로 접착되어지며 마지막으로 후반부(C)에서는 경화된 외표면의 안정화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은 경화 패턴을 가짐으로써 상기 건조로(6)의 내부를 구분하는 전반부(A), 중반부(B), 후반부(C)의 길이도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 발명에서는 각각 8m, 8m, 9m의 길이로 설정되어 건조로의 전장이 25m로 된다.
상기와 같이 건조로(6)를 통과하여 건조된 기재(1)는 그 바깥에서 커터(7)에 의해 적당한 규격으로 절단된다.
또, 표면에 건조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층은 15㎏/㎠의 압력에서 수지의 유동률이 10∼15% 범위로 되는 유연성을 가진다.
(피막처리 공정)
최종 건조되어 절단된 기재(1)의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 층의 표면 전체에 고형분 50∼70%인 불포화 지방산을 산포하여 평활면으로 되게 가공한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파라핀이 적합하다.
이렇게 얻어진 기재(1)는 그 한쪽 표면에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피막된 크래프트지 또는 그라스. 마이카 규석패널이 된다.
이것은 통상의 합판에 룰 프레스 혹은 다단 프레스법으로 접착되는 것이며, 이때 프레스 접착에 소요되는 시간은 2∼4분에 지나지 않아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이 관련된 차수 필름은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층의 평활도, 유연성, 내약품성 등이 특히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물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얻어지는 기재의 품질도 균일한 이점이 있다.
또 향상된 수지의 유연성으로 인해 프레스 작업시에 순간적 확장성이 양호하여 합판의 표면에 도포되는 실리콘 수지의 두께가 충실하게 됨과 동시에 평활도가 좋아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관련된 차수 필름이 베풀어진 합판은 완벽한 차수효과로 인해 사용수명이 길어지고, 거푸집은 제작하기 위하여 절단할 때에도 칩핑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못질이나 구멍 뚫기 작업에도 수지층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건축용, 전기 절연재 테프로 사용시 실리콘 수지 및 패널수지는 300℃ 이상에 자가 소실되고 마이카 규석만이 남아 있게 되어 고열에도 변함이 없는 것이다.
게다가 장기간 방치 하였을 때에도 이 발명에 관련된 기재의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층은 10∼100년을 주기로 자연 분해되어 공해 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도 있어서 환경보호에도 일조를 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2)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크래프트지 또는 그라스. 마이카규석 패널으로 된 기재(1)의 표면에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을 함침시키고, 다시 그 표면에 불포화 지방산을 피막 처리한 구성으로 된 차수 필름.
160∼180℃로 5분간 가열하여 휘발 함량이 2wt%로 되는 40∼160g/㎡의 크래프트지 또는 그라스. 마이카규석 등으로 된 기재(1)를 히팅롤로(2)에 2.5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120∼160℃로 예열하고 함유수분이 2% 이하로 되게 조절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건조된 기재(1)가 25m/min의 속도로 함침조(3)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 함침조(3)에 수용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기재(1)의 양표면에 스며들게 하되, 상기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페놀, 메라민, 요소 및 규소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고형분 50∼70wt%, 이형제로서 Zinc-st/acid임을 2∼4wt%, 무기안료 착색제2∼8wt%, 불연제 5∼10wt%, 파라핀 0.2∼0.5wt%, 계면활성제 0.05∼0.1wt%, 접착제30wt%, 안정제로서 가성소다 5wt%와 암모니아 1wt%로 된 조성비로 되는 함침 공정과;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함침된 기재(1)의 한쪽 표면을 박리 롤러(5)로 긁어내어 다른 한쪽 표면에만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함침되게 하는 박리공정과; 한쪽 표면에만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이 함침된 기재(1)를 25m/min의 속도로 건조로(6)에 통과시키되, 상기 건조로(6)는 내부가 전반부(A), 중반부(B), 그리고 후반부(C)로 구분되어 있고, 전반부의 건조온도는 90℃, 중반부의 건조온도는 180℃, 후반부의 건조온도는 100℃로 설정되어 건조후 15kg/㎠의 압력에서 함침된 실리콘 고분자 수지 조성물(4)의 유동률이 10∼15%가 되게 하는 건조 공정과, 최종 건조된 기재(1)의 전체 표면에 고형분 50∼70%인 불포화 지방산을 산포하여 수지 함침면이 평활면으로 되게 하는 피막 처리공정의 순으로 행해지는 차수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60011841A 1996-04-19 1996-04-19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018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41A KR100189640B1 (ko) 1996-04-19 1996-04-19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41A KR100189640B1 (ko) 1996-04-19 1996-04-19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50A KR970069150A (ko) 1997-11-07
KR100189640B1 true KR100189640B1 (ko) 1999-06-01

Family

ID=1945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841A KR100189640B1 (ko) 1996-04-19 1996-04-19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6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5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35266T2 (de) In einer Presse durchgeführter Prozess zur Beschichtung von Verbundwerkstoff-Substraten
BRPI0614938A2 (pt) espuma processo para a produção da mesma, e, uso da espuma
US6063472A (en) Architectural material and a process of production thereof
FI970133A (fi) Menetelmä ja päällystysseos paperin ja kartongin päällystämiseksi
KR20160124728A (ko) 목재의 난연 방수 처리방법
KR100189640B1 (ko) 차수(遮水) 필름과 그 제조방법
JP4195813B2 (ja) 屋外使用のための撥水性及び水蒸気浸透性の多層材料
US3197529A (en) Asbestos-cement sheets
DE2022572A1 (de) Flammensichere,kleinen Rauch entwickelnde Holzplatte fuer das Bauwesen
RU267662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покрытия, выполненного из волокон, пропитанных битумом, с улучшенной огнестойкостью и композиция
US20200283961A1 (en) Construction Board
EP0785852A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late boards for construction
KR950012786B1 (ko) L.p.m.을 이용한 건축자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1574863A (zh) 防水渗透涂料、含有该涂料的硅酸钙板及其制备方法
JPH0143109B2 (ko)
US1901984A (en) Process of making heat insulating bodies
KR100362347B1 (ko) 콘크리트 거푸집패널용 필름
KR101025061B1 (ko) 난연성 화장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화장판
JPH01298086A (ja) 化粧繊維セメント板の製造方法
KR970069936A (ko) 표면인쇄 처리된 재생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RU2109784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DE2558200B2 (d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repregs auf der basis von loesungsmittelfreien, vorzugsweise duroplastischen kunstharzen
KR900002906A (ko) 건축용 목재의 불연성 피막층 형성 공법
JPS6150917B2 (ko)
JPH01464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