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635B1 -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635B1
KR100188635B1 KR1019960076444A KR19960076444A KR100188635B1 KR 100188635 B1 KR100188635 B1 KR 100188635B1 KR 1019960076444 A KR1019960076444 A KR 1019960076444A KR 19960076444 A KR19960076444 A KR 19960076444A KR 100188635 B1 KR100188635 B1 KR 10018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gulator
housing
distribution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172A (ko
Inventor
김신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6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개선하여 정밀한 연료압력조절 및 동작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으로, 레귤레이터는 외부케이스인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2 하우징의 사이에 구성되어 연료의 충진압력으로 상/하 움직이는 진동막과, 상기 진동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와, 연료공급관과 연결되어 연료를 유입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일단을 밀봉하는 밀봉체와,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서 연료분배관에 유입된 연료의 역유입으로 상/하 움직이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 및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어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링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되어 레귤레이터를 통과한 연료를 연료분배관 내부로 유입하는 캡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개선하여 정밀한 연료압력조절 및 동작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료공급계통에서 레귤레이터는 연료가 충진된 연료분배관 내부의 연료충진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조절장치로 도 1과 같이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1)가 구성된 연료분배관(2)의 일단에 구성되어 연료유입구(3)를 통해 연료분배관(2) 내부로 유입된 연료의 충진압력을 조절하고 과도하게 충진된 연료는 연료탱크(미도시)로 귀송시킨다.
이와 같은 레귤레이터(4)의 구성은 도 2와 같이 연료분배관(2)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5)와, 상기 유입구(5)를 통해 유입된 연료의 과다한 충진압력으로 밀려 올려가도록 진동판(6)이 고정된 진동막(7)과, 상기 진동막(7)을 가압하는 탄성부재(8)와, 상기 탄성부재(8)로 가압되는 진동막(7)이 충진연료의 압력으로 밀려올라감에 따라 개방되어 연료탱크로 연료가 귀송되는 배출로(9)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 펌핑되어 연료유입구(3)를 통해 연료분배관(2)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연료의 충진압력이 과도한 경우 레귤레이터(4)에서 연료의 충진압력을 조절하여 연료탱크로 귀송한다.
이때, 레귤레이터(4) 내부는 레귤레이터(4)의 유입구(5)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연료분배관(2) 내부의 충진압력값을 고려한 탄성부재(8)의 탄성력으로 가압되고 있는 진동판(6) 및 진동막(7)을 밀어올리고, 연료의 충진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됨이 따라 진동판(6) 및 진동막(7)이 더욱 밀려올라가 배출로(9)를 개방하여 과충진된 연료를 연료탱크로 귀송하여 연료분배관(2) 내부에 충진된 연료의 충진압력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조의 레귤레이터(4)는 연료탱크로부터 펌핑되어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압력에 따라 진동판(6) 및 진동막(7)이 상/하 동작중에 레귤레이터(4)의 내부에서 소음을 유발하고 진동판(6) 및 진동막(7)이 전체적인 일자형태로 제작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하동작이 원할하지 못하여 연료의 충진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레귤레이터에서 연료의 충진압력이 조절된 후 연료분배관으로 연료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레귤레이터 내부에 구성된 진동막의 소음발생을 저감하도록 진동막을 드로잉하여 신축성이 용이한 구조로 개선하고, 엔진이 정지된 후 엔진의 과열열량을 전달받아 연료분배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레귤레이터로 역유입되는 연료를 연료탱크를 귀송하도록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는 이동편으로 구성된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연료분배관 및 레귤레이터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 레귤레이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연료분배관 및 레귤레이터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레귤레이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연료분배관102 : 레귤레이터(Regulator)
103 : 제 1 하우징104 : 제 2 하우징
105 : 진동막106 : 제 1 탄성부재
107 : 연료공급관108 : 연결구
109 : 밀봉체110 : 이동편
120 : 제 2 탄성체130 : 오링(O-Ring)
140 : 캡
본 발명인 자동차 레귤레이터의 연료공급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연료분배관(101)에 구성되어 연료분배관(101) 내부로 충진되는 연료의 충진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102)에 있어서, 레귤레이터(102)는 외부케이스인 제 1하우징(103) 및 제 2 하우징(104)과, 상기 제 1,2 하우징(103,104)의 사이에 구성되어 연료의 충진압력으로 상/하 움직이는 진동막(105)과, 상기 진동막(10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106)와, 연료공급관(107)과 연결되어 연료를 유입하는 연결구(108)와, 상기 연결구(108)의 일단을 밀봉하는 밀봉체(109)와, 상기 연결구(108)의 내부에서 연료분배관(101)에 유입된 연료의 역유입으로 상/하 움직이는 이동편(110)과, 상기 이동편(1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120)와, 상기 제 2 하우징(104) 및 상기 연결구(108)에 결합되어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링(130)으로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140은 제 2 하우징(104)에 결합되어 레귤레이터(102)를 통과한 연료를 연료분배관(101) 내부로 유입하는 캡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102)는 연결구(108)에 연결된 연료공급관(107)을 따라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 펌핑되어 레귤레이터(102) 내부로 유입되고, 레귤레이터(102)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연결구(108)와 이동편(110) 사이의 틈을 빠져나오며 밀봉체(109)와 이동편(110)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되어 제 1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으로 가압되는 진동막(105)을 밀어올린다.
이때, 연료의 충진압력으로 상/하 이동하는 진동막(105)은 유연한 곡선으로 드로잉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연료의 충진압력에 따라 원할하게 상/하 동작하며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된다.
이후, 진동막(105)을 가압하는 제 1 탄성부재(106)의 복원력과 평행을 이룰때까지 진동막이 상승하며 연료를 연료분배관(101)으로 유입시키고, 연료분배관(101)에 충진된 연료가 각실린더로 공급되어 소모되면 연료분배관(101) 내부의 압력이 떨어져 제 1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진동막(105)이 하강하며 연료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공급되는 연료의 충진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진동막(105)이 다시 밀려올라가며 연료를 연료분배관(101) 내부로 유입한다.
한편, 엔진이 정지된후 연료분배관(101)의 내부에 충진된 연료가 엔진의 과열열량을 전달받아 연료분배관(101)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연료분배관(101)에 충진된 연료가 레귤레이터(102)로 역유입 된다.
레귤레리터(102)로 역유입된 연료는 진동막(105)을 밀어올린후 제 2 탄성부(120)로 가압되는 이동편(110)을 밀어내며 연결구(108)와 이동편(110)의 틈을 통해 연료탱크로 귀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는 드로잉된 일체형의 진동막을 구성함으로서, 진동막의 상/하 동작을 원할하게 하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고, 엔진정지후 엔진의 과열열량을 전달받아 압력이 상승된 연료를 레귤레이터에서 조절하여 연료탱크를 귀송하도록 한 발명이다.

Claims (1)

  1. 연료분배관(101)로 충진되는 연료의 충진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102)에 있어서,
    레귤레이터(102)는 외부케이스인 제 1 하우징(103) 및 제 2 하우징(104)과,
    상기 제 1,2 하우징(103,104)의 사이에 구성되어 연료의 충진압력으로 상/하 움직이는 진동막(105)과,
    상기 진동막(10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106)와,
    연료공급관(107)과 연결되어 연료를 유입하는 연결구(108)와,
    상기 연결구(108)의 일단을 밀봉하는 밀봉체(109)와,
    상기 연결구(108)의 내부에서 연료분배관(101)에 유입된 연료의 역유입으로 상/하 움직이는 이동편(110)과,
    상기 이동편(1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120)와,
    상기 제 2 하우징(104) 및 상기 연결구(108)에 결합되어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링(130)과,
    제 2 하우징(104)에 결합되어 레귤레이터(102)를 통과한 연료를 연료분배관(101) 내부로 유입하는 캡(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KR1019960076444A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KR10018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444A KR100188635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444A KR100188635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72A KR19980057172A (ko) 1998-09-25
KR100188635B1 true KR100188635B1 (ko) 1999-06-01

Family

ID=1949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444A KR100188635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593B1 (ko) * 2006-09-20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연료파이프와 슬리이브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72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294B1 (ko) 연료공급장치
US5727529A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a fuel system
US5577479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JP3156218B2 (ja) 燃料供給装置及び調圧装置
US5971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 volumetric fuel flow between a feed pump and a high-pressure pump
US5692476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538187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8189432A (ja) 自動車用燃料供給システム用アキュムレータ
JPH07224740A (ja) マニホールドとの相関関係を有した戻しなし燃料システム
US6431149B1 (en) Fuel supply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77529A (ko) 복귀 도관 내의 압력이 제어되는 연료 분사 시스템
US7188782B2 (en) Fuel injector provided with a servo leakage free valve
US4852808A (en) Fuel injection valve used i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261451A (ja) 燃料送出システム
US6089529A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KR100188635B1 (ko) 자동차 연료공급계통의 레귤레이터
EP0972933B1 (en) Fuel supply unit for an endothermal engine
JP4732425B2 (ja) 燃料供給装置
JPH08334078A (ja) 流体圧力調整器
US6298828B1 (en) Adjustable fuel pressure regulator
CN213510993U (zh) 一种可平衡压差的恒压输油泵
JP3909480B2 (ja) 燃料噴射装置における燃料圧力制御装置
KR20030017632A (ko) 연료 분사 장치
KR20100030232A (ko) 솔레노이드 밸브
ITRM20000188A1 (it) Iniettore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preferibilmente motori die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