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6134B1 -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 Google Patents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6134B1
KR0186134B1 KR1019950050645A KR19950050645A KR0186134B1 KR 0186134 B1 KR0186134 B1 KR 0186134B1 KR 1019950050645 A KR1019950050645 A KR 1019950050645A KR 19950050645 A KR19950050645 A KR 19950050645A KR 0186134 B1 KR0186134 B1 KR 018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document
unit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949A (ko
Inventor
조병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5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6134B1/ko
Publication of KR97005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6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캠코더를 사용하여 문서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문서내용을 흑백의 디지털신호로 저장함으로써 기록되는 데이터량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 일반 영상신호가 아닌 문서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한다면 굳이 칼라 영상으로 기록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를 1비트로 표시할 수 있는 흑백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데이터 변환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프레임 단위가 아닌 트랙단위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축소시킴과 아울러 인터페이스된 각종 데이터 처리장치로의 전송이 용이하고, 문서인식 프로그램의 입력화일로의 변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등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한 다양한 문서편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된다.

Description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제1도는 종래의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의거한 비디오 신호 형식을 나타낸 도.
제3도는 제1도에 의거한 비디오 테이프의 트랙과 프레임의 형식을 나타낸 도.
제4도는 제1도에 의거한 디지털 비디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
제5도는 본 발명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의 블록도.
제6도는 제5도 흑백신호 발생부의 비디오 신호 형식을 나타낸 도.
제7도는 제5도에 의거한 디지털 비디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및 촬상부 2 : 카메라신호 처리부
3 : A/D 변환부 4 : 프레임 저장부
5 : 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 6 : 데이터 변환부
7 : 증폭부 8 : 기록부
9 : 출력부 10 : 화상 표시장치
11 : 디지털 인터페이스부 12 : 외부 데이터 처리장치
13 : 시스템 콘트롤러 14 : 흑백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촬영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특히 디지털 캠코더를 사용하여 문서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문서내용을 흑백의 디지털신호로 저장함으로써 기록되는 데이터량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에 관한 것이다.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는 촬영되는 문서의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화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저장 또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외부의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컴퓨터, DVC 등)와 인터페이스하여 문서 편집 기능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원색신호(R,G,B)를 출력하는 카메라 및 촬상부(1)와, 상기 카메라 및 촬상부(1)의 원색신호(R,G,B)를 입력받아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Cr,Cb)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신호처리부(2)와, 상기 카메라 신호처리부(2)의 출력(Y,Cr,Cb)을 인가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3)와, 상기 A/D 변환부(3)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를 서플링(shuffling)한 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부(4)와, 상기 프레임 저장부(4)의 출력을 프레임단위로 입력받아 압축한 다음 디서플링(deshuffling)을 행한 후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5)와, 상기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5)의 출력을 인가받아 트랙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6)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6)의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증폭하여 주는 증폭부(7)와, 상기 증폭부(7)의 증폭된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부(8)로 구성되며, 이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사체 즉, 기록하고자하는 문서는 카메라 및 촬상부(1)에 의해 원색신호(R,G,B)로 변환되고, 이 신호(R,G,B)는 카메라 신호처리부(2)에 입력되어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Cr,Cb)로 변환하게 되는데 그 변환관계는 다음 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Y= 0.30R + 0.59G + 0.11B
Cr = R-Y =0.70R - 0.59G-0.11B
Cb = B-Y = -0.30R - 0.59G +0.89B
이 신호(Y,Cr,Cb)는 A/D 변환부(3)에 인가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가 13.5MHz를 갖는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레임 저장부(4)에 입력된다.
상기 프레임 저장부(4)는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서플링(shuffling)하게 되는데, 1프레임(10트랙(5256), 12트랙(625)) 기간동안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720T 기간에 해당하는 각 트랙데이터를 내부의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며, 1프레임의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이 저장된 1프레임의 데이터는 기 정해진 서플링 알고리즘에 의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매크로 블록을 1단위(1 Video Segment)로 하여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5)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5)는 전송되어진 비데오 데이터를 제4도의 매크로 블록 순서에 따라 5:1정도로 압축한 다음 서플링되기 전의 상태로 디서플링(deshuffling)한 후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며, 이때 오디오 및 서브코드(sub code) 데이터에도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된다.
이렇게 디서플링 및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된 오디오, 비디오, 서브코드의 데이터는 그 순서대로 트랙단위의 데이터 변환부(6)로 입력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다음 증폭부(7)로 입력되며, 상기 증폭부(7)에서는 자기기록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증폭 변환하여 기록부(8)로 인가됨으로써 자기 테이프에 제3도와 같은 형식으로 기록되어진다.
재생동작은 시스템 콘트롤러(13)에서 재생명령이 인가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의 역순으로 증폭부(7)→데이터 변환부(6)→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5)→프레임 저장부(4)→출력부(9)→화상표시장치(10)의 과정 또는 증폭부(7)→데이터 변환부(6)→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5)→디지털 인터페이스부(11)→데이터 처리장치(12)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기록 및 재생시의 데이터는 출력부(9)를 통해 화상표시장치(10) 즉, 텔레비젼이나 모니터등으로 시청가능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부(11)에 의해 각종 데이터 처리장치(12) 즉, 컴퓨터나 DVC 등과의 인터페이스로 인해 문서 편집까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문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일반 칼라 영상신호의 데이터와 동일하게 기록되므로 그에 따른 데이터량이 늘어나게 되어 상대적으로 기록 가능한 데이터량이 줄어들게됨과 아울러 전송시간 또한 증가하게 되고, 영상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되어짐으로 인해 컴퓨터등과 같은 외부기기에 의한 문서편집기능의 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일반 영상신호가 아닌 문서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한다면 굳이 칼라 영상으로 기록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를 1비트로 표시할 수 있는 흑백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데이터 변환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프레임 단위가 아닌 트랙단위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축소시킴과 아울러 외부기기에 의한 다양한 문서편집기능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원색신호(R,G,B)를 출력하는 카메라 및 촬상부(1)와, 상기 카메라 및 촬상부(1)의 원색신호(R,G,B)를 입력받아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Cr,Cb)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신호처리부(2)와, 상기 카메라 신호처리부(2)의 출력(Y,Cr,Cb)을 인가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3)와, 상기 A/D 변환부(3)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를 서플링(shuffling)한 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부(4)와, 상기 프레임 저장부(4)의 출력을 프레임단위로 입력받아 압축한 다음 디서플링(deshuffling)을 행한 후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5)와, 상기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5)의 출력을 인가받아 트랙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6)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6)의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증폭하여 주는 증폭부(7)와, 상기 증폭부(7)의 증폭된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부(8)로 구성된 디지털 캠코더에 있어서, 문서기록시 상기 카메라신호처리부(2)의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흑백신호로 파형정형하여 A/D 변환부(3)로 출력하는 흑백신호 발생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을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과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 포함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문서기록시 사용자가 시스템 콘트롤러(13)를 통해 문서기록모드의 신호를 인가하면 스위치(SW)는 흑백신호 발생부(14)로 절환되고, 상기 흑백신호 발생부(14)는 제6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메라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임계치(Threshold)에 의해 제6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백신호로 파형정형되어 A/D 변환부(3)로 입력되며, 이때 상기 임계치(Threshold)의 조절에 의해 흑과 백의 구분기준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흑백신호는 A/D 변환부(3)로 입력되어 8비트의 흑백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 데이터는 프레임 저장부(4)로 입력되어 종래와 동일한 서플 알고리즘에 의하여 서플링된 다음 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5)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5)는 문서기록모드시에는 데이터를 트랙단위로 변환시키는데, 상기 프레임 저장부(4)로부터 1 프레임분의 8비트의 흑백데이터는 트랙단위의 데이터 변환에 의해 1비트의 비트 맵(bit map) 데이터로 변환되어 8:1 의 압축이 이루어지고, 이후 색신호(Cr,Cb)에 대한 데이터는 버러져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체적으로 12:1의 데이터 압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 및 신호처리부(5)는 이 압축된 1프레임분의 흑백 데이터에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고, 서브 코드에도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지만, 오디오신호의 데이터는 문서기록에서는 의미가 없으므로 버리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1프레임분의 데이터는 데이터 변환부(6)에서 입력받아 트랙단위로 변환함으로써 증폭부(7)를 통해 앞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랙형식으로 1프레임분의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 것이다.
이때, 기록부(8)의 캡스탄은 종래와 같이 정속회전을 시키지 않고 정지상태에서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한다.
이후 기록이 완료되면 시스템 콘트롤러(13)에 의해 재생모드로 절환되어 자기 테이프의 트랙 데이터를 읽어서 오류의 데이터수를 화상 표시장치(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의 오류 데이터수를 보고 기록의 양부를 판단함으로써 기록상태가 불량하면 다시 기록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문서 기록시 문서의 내용을 1비트의 비트 맵화일로 기록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축소시킴과 아울러 인터페이스된 각종 데이터 처리장치로의 전송이 용이하고, 문서인식 프로그램의 입력화일로의 변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등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한 다양한 문서편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3)

  1.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원색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및 촬상부와, 상기 카메라 및 촬상부의 원색신호를 입력받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신호처리부와, 상기 카메라 신호처리부의 출력을 인가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를 서플링한 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부와, 상기 프레임 저장부의 출력을 프레임단위로 입력받아 압축한 다음 디서플링을 행한 후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변환 및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인가받아 트랙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증폭하여 주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증폭된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된 디지털 캠코더에 있어서, 문서기록시 상기 카메라 신호처리부의 휘도신호를 입력받아 흑백신호로 파형정형하여 A/D 변환부로 출력하는 흑백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흑백신호 발생부는 임계치의 조절에 의해 흑과 백의 구분기준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3.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및 신호 처리부는 문서 기록모드인 경우에는 입력을 트랙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KR1019950050645A 1995-12-15 1995-12-15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KR018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45A KR0186134B1 (ko) 1995-12-15 1995-12-15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45A KR0186134B1 (ko) 1995-12-15 1995-12-15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949A KR970056949A (ko) 1997-07-31
KR0186134B1 true KR0186134B1 (ko) 1999-05-01

Family

ID=1944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645A KR0186134B1 (ko) 1995-12-15 1995-12-15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61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949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4143B2 (en) Digital camera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US7292273B2 (en) Digital camera accommodating recording media from other digital cameras
US5614946A (en) Still camera with time division recording of audio and video signals
US7535495B2 (en) Digital camera,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JPH0779449A (ja) Vtr装置
JP3182289B2 (ja)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US6192190B1 (en) Digital imag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compression methods
KR100377697B1 (ko) 영상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KR0186134B1 (ko) 문서기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캠코더
JPH0879790A (ja) ディジタルスチルビデオレコーダーの磁気記録方法及び装置
US5949949A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or
US6175685B1 (en) Recording/reproducing of video signals, with video signals played back as a frame or a twice-outputted single-field depending on whether the recorded signals are directed as still or moving pictures
JP2000138941A (ja) 符号化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3295208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200146061Y1 (ko) 퍼스널컴퓨터를 위한 저장기능을 갖는 캠코더
KR0158637B1 (ko) 컴팩트 디스크를 구비한 캠코더
KR100212996B1 (ko) 디지탈 카메라 겸용 캠코더
KR100266269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정지영상 출력 장치
JPH1033648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40002417B1 (ko)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카메라 레코더
KR100242641B1 (ko)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카메라
JPH08298644A (ja) 画像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KR100282942B1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처리장치
JPH08149403A (ja) モニタ画面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2856556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