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816B1 -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84816B1 KR0184816B1 KR1019960004148A KR19960004148A KR0184816B1 KR 0184816 B1 KR0184816 B1 KR 0184816B1 KR 1019960004148 A KR1019960004148 A KR 1019960004148A KR 19960004148 A KR19960004148 A KR 19960004148A KR 0184816 B1 KR0184816 B1 KR 0184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lignment
- support bracket
- fixed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에 관한 것으로, 작업판을 기준면으로 하여서 프레임의 제작시 한쌍의 가로부재가 갖는 데이텀 및 그 사이의 폭과 동일한 기준치를 가지도록 설치부재를 수직부재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 수직부재가 일정한 자체 강성을 가지도록 지지부재가 보강된 4개의 지지브라켓과, 추돌/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한 변형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가로부재의 중간부위를 정렬작업의 기준선으로 하기 위해 이 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고정구가 구비된 또 다른 지지브라켓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이 외력을 받아서 가장 많은 변형을 일으키는 위치 및 가장 적은 변형을 일으키는 위치에 받혀질 수 있도록 작업판에 설치하여서 정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프레임의 정렬작업에 들어가기 이전에 이미 정렬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데이텀 및 폭이 정해지게 되어, 정렬 후에도 별도의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쉽게 프레임의 정렬상태를 알 수 있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프레임 수정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정렬지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정렬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정렬지그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브라켓 11 : 막대부재
12 : 수직부재 13 : 지지부재
14 : 설치부재 15 : 고정홀
16 : 끼움고리 16a : 끼움고정고리
17 : 고정구 18 : 가이드부
19 : 고정부 20 : 검사블럭
21 : 경사면 22 : 구배부
23 : 고정수단 30 : 프레임
31 : 가로부재 32 : 엔진자리면
33 : 서스펜션자리면 34 : 세로부재
35 :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36 : 심볼 포인트(SYMBOL POINT)
100 : 작업대 110 : 작업판
111 : 고정홈 120 : 유니버셜 앵커링장치
121 : 아암 122 : 타우어
123 : 컬러 롤러(collar roller) 124 : 체인
130 : 램 140 : 고임목
A~E : 지지브라켓설치지점 DA : 데이텀(DATUM)
본 발명은 차체에 프레임이 구비된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돌/충돌사고로 프레임이 충격을 받음에 따라 그 구조적 특성상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위치 및 가장 변형이 작게 이루어지는 위치를 설정하고, 여기와 대응되는 작업대에 막대부재의 선단면에 프레임의 최초 제작시 설정되는 한쌍의 가로부재 사이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쌍의 수직부재가 설치되고 이 수직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프레임의 최초 제작시 셋팅되는 가로부재의 데이텀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부재가 고정설치된 다수의 지지브라켓을 설치하여, 프레임을 정렬함에 따라 가로부재 사이에 형성된 엔진자리면과 서스펜션자리면 사이의 거리를 두개의 검사블럭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대에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면서 프레임의 데이텀 및 심볼 포인트간의 거리가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의 변형정도를 쉽게 판독할 수 있는 동시에 변형에 따른 정렬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체 강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프레임(30)은 중공의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형태로 구배되는 동시에 서로 대칭으로 위치되는 한쌍의 가로부재(31)와, 이것들(31)이 항상 일정한 사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부재(34)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가로부재(31)는 제작과정에서 이미 충격흡수에 위하여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요소마다 컨트롤 포인트(35 : control point)가 형성되고, 지면을 기준선으로 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는 데이텀(DA)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30)은 자동차가 추돌/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력으로 충격을 받은 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컨트롤 포인트 및 데이텀(DA)을 중심으로 가장 심하게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여기(30)에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 및 형상을 유지하는 각 구성품들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30)의 가로부재(31) 앞쪽에 고정된 서스펜션자리면(33)에는 스테빌라이저 바(미도시됨)와 같은 구성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사고로 서스펜션자리면(33)이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주행중 자동차가 직진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프레임(30)은,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선단면에는 다수의 고정홈(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절개면이 형성된 작업판(110)과 이것(1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면서 아암(121)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다수의 타우어(122)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앵커링 장치(120 : UNIVERSAL ANCHORING SYSTEM)로 구성된 (100)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의 블럭으로 고임목(140)을 이용하여 정렬시키게 된다.
상술한 작업대(100) 및 고임목(140)을 이용한 프레임의 정렬방법은, 먼저 차체로부터 몸체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변형된 프레임(30)을 상기 작업판(11)의 상단면에 올려놓고, 이것(30)이 작업판(11)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프레임(30)의 각 부위에 고임목(140)을 받혀 놓게 된다.
이 때, 상기 각 고임목(140)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30)의 가로부재(31)가 구배진 정도 즉, 프레임(30)이 최초 제작시 셋팅된 데이텀(DA)가 동일한 높이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프레임(30)은 상기 가로부재(31)의 적정개소에 작업대(100)의 체인(124)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체인을 이용하여 작업판(110)의 고정홈(111)에 끼워 고정시켜서, 작업도중에 가로부재(31)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프레임(30)이 고임목(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가로부재(31)의 변형된 부위에 앵커링 포인트(anchoring point)을 설정하고, 그 지점에 작업대(100)의 타우어(122) 또는 램(130) 등을 이용하여 외력을 가하면서 변형된 가로부재(31)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30)의 변형이 각 부재들(31), (32)로 이루어진 형상의 안쪽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변형된 부위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 사이에 램(130)을 설치하고 이것(50)을 작동시켜서 바깥쪽으로 퍼지게 하고, 특히 상기 가로부재(31)가 지면과 수직으로 구배된 경우에는 램(130)을 변형된 부위와 작업판(11) 사이에 설치하여서 프레임(30)을 원래대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변형된 부위가 지면과 수직 또는 나란하게 변형된 경우가 아닌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변형된 경우에는 상기 타우어(122)의 이용하게 된다.
먼저, 상기 타우어(122)를 유니버셜 앵커링장치(12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프레임(30)의 변형된 부위의 가상연장선과 접점을 형성하도록 위치시키고, 이것(122)의 외주면에 설치된 칼라 롤러(123 : collar roller)가 상기 점접위치에 놓여지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타우어(122)의 내부에 내설된 램(미도시됨)을 작동시킴에 따라 체인이 상기 칼라롤러(123)를 중심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 변형된 프레임(30)을 정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정렬된 상태에서 정렬된 정도가 원래대로 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게이지(미도시됨)로 상기 가로부재(31)의 선단에 형성된 각 심볼 포인트(36) 간에 거리를 측정하고, 결과치가 다른 경우에는 다시 정렬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 변형된 프레임(30)을 정렬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몸체를 탈거된 상태에서 정렬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정렬작업을 위해 받히는 고임목(140)이 가로부재(31)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프레임(30)이 상기 고임목(14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제작시부터 셋팅된 데이텀(DA) 및 컨트롤 포인트(35) 등과 같은 정렬에 따른 기준점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프레임을 정렬한 후에 그 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정렬된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작업판을 기준면으로 하여서 막대부재에 프레임의 제작시 한쌍의 가로부재가 갖는 데이텀 및 그 사이의 폭과 동일한 기준치를 가지도록 설치부재를 수직부재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 수직부재가 일정한 자체 강성을 가지도록 지지부재가 보강된 4개의 지지브라켓과, 추돌/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한 변형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가로부재의 중간부위를 정렬작업의 기준선으로 하기 위해 이 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프레임을 고정시켜주기 위해 고정구가 구비된 또 다른 지지브라켓 및 가로부재 사이에 구비된 엔진자리면과 서스펜션자리면의 거리를 별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쌍의 검사블럭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이 외력을 받아서 가장 많은 변형을 일으키는 위치 및 가장 적은 변형을 일으키는 위치에 받혀질 수 있도록 작업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외력을 가하여 정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프레임의 정렬작업에 들어가기 이전에 이미 정렬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데이텀 및 폭이 정해지게 되어, 정렬 후에도 별도의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쉽게 프레임의 정렬상태를 알 수 있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업대(100)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섯개의 지지브라켓(10)과, 두개의 검사블럭(20)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제1, 제2, 제3, 제5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은 각각 가로방향의 막대부재(11)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수직부재(12)와, 이것들(11), (12) 간에 서로 연결고정되는 지지부재(13)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각 수직부재(12)에는 막대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부재(1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은 막대부재(11)를 이용하여 철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그 선단면에는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부재(12)가 고정되고, 이것(12)과 막대부재(11)의 양단 사이에는 각각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고정구(17)가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검사블럭(20)은 각각 폭보다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검사블럭(20a)의 양측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검사블럭(20b)은 양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구배된 구배부(22)가 형성되는 동시에, 여기(21), (22)에는 각각 고정수단(2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브라켓(10a)의 설치부재(14)에는 상단면에 고정홀(15)이 형서오디고, 여기(15)에 끼움고리(1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14)는 각 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의 막대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프레임(3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데이텀(DA)과 동일한 높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브라켓(10b)의 설치부재(14)는 아랫쪽으로 소정의 곡률로 구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한쌍의 수직부재(12) 사이 거리는 각 지지브라켓(10)이 설치되는 프레임(30)의 가로부재(31) 사이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17)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대각선으로 분리구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절개된 면의 선단이 수직면과 수직으로 돌출연장되면서 가이드부(18)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중앙에는 끼움고정고리(16a)가 형성되고, 수직면 중앙에는 고정부(19)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검사블럭(20a)은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엔진자리면(32)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검사블럭(20b)은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서스펜션자리면(33) 사이와 동일한 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30은 프레임을, 100은 작업대를, 110과 120 및 130은 작업대를 구성하는 작업판, 유니버셜 앵커링장치와 램을, A-E는 지지브라켓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설치지점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작업대(100)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섯개의 지지브라켓(10)과, 프레임(30)의 엔진자리면(32)과 서스펜션자리면(33)에 각각 적용하여 이것들(32), (33)의 자리면확보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두개의 검사블럭(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5개로 이루어진 지지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제2, 제3, 제5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은 양단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막대부재(11)의 선단면에 이것들(10a), (10b), (10c), (10e)이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로부재(31)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수직으로 각각 한쌍의 수직부재(12)가 고정설치되고, 이것들(11), (12)이 자체 강성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막대부재(11)와 수직부재(12)의 끝단 및 한쌍의 수직부재(12) 사이에는 각각 지지부재(13)가 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각 한쌍의 수직부재(12)가 갖는 폭은 상기 프레임(30)의 설치지점(A-E)에서의 가로부재(31)의 바깥쪽면 사이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의 수직부재(12)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막대부재(11)의 선단 즉, 수직부재(12)의 저부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부재(14)가 이것(11)과 수직으로 융착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각 설치부재(14)는 프레임(30)의 제작시 일정 기준선으로부터 셋팅된 데이텀과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프레임(30)이 수직부재(12)와 설치부재(14)가 이루는 직각부위에 놓여지게 되면 정렬이 완료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지지브라켓(10b)의 설치부재(14)는 상기 프레임(30)이 아랫쪽으로 구배된 부위에 설치되어서, 가로부재(31)의 구배된 부위인 제2설치지점(B)에 설치되어서 상기 프레임(30)의 구배된 부분을 쉽게 받혀줄 수 있도록 동일한 곡률로 구배져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브라켓(10a)의 설치부재(14)에는 선단면에 고정홀(15)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여기(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고리(16)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앞쪽에 형성된 컨트롤 포인트(35)가 이것(15)과 일치되게 하면서 이것들(15), (35)을 일체로 하여 끼움고리(16)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은 막대부재(11)를 이용하여 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선단면에는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부재(12)가 고정되고, 이것(12)과 막대부재(11)의 양단 사이에는 각각 고정구(18)가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은 여기(10d)에 고정된 수직부재(12)가 상술한 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의 수직부재(12)가 설치되는 방향과는 달리 이것(10d)이 설치되는 위치에 있는 가로부재(31)의 안쪽면과 밀착될 수 있게 고정가능하게 하고, 후술하는 고정구(17)로 상기 가로부재(31)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프레임(30)의 정렬시 기준점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7)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체를 이용하여 중공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대각선으로 분리구성한 형태로 조합구성되고, 절개된 면의 양단은 수직면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가이드부(18)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면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고정부(1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7)의 양측면에는 끼움고정고리(16a)를 설치하여서, 여기(16a)에 타우어(122)의 체인(124)을 고정시켜서 프레임(30)이 작업대(110)에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수직면의 높이 즉, 수직면의 저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18)가 형성된 선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로부재(31)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서,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의 선단에 프레임(30)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7)를 고정시킴에 따라 이것들(10d), (17)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가 상기 프레임(30)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9)는 그 직경이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이 설치되는 가로부재(31)에 형성된 컨트롤 포인트(35)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이것(17)을 제4지지브라켓(10d)에 고정시킴에 따라 고정부(19)가 상기 컨트롤 포인트(35)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되어 이것들(17), (30)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30은 한쌍의 검사블럭을 나타낸다.
상기 한쌍의 검사블럭(30)은 판체를 이용하여 각각 폭보다 길이가 긴 직육면체로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검사블럭(20a)의 양단면은 안쪽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검사블럭(20b)은 양단면의 일측 테두리부가 소정의 곡률로 구배져서 구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검사블럭(20a)은 가로부재(31)의 선단 안쪽에 융착고정된 엔진자리면(32)의 거리와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제2검사블럭(20b)은 상기 엔진자리면(32)이 고정된 가로부재(31)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서스펜션자리면(33)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검사블럭(20)의 양단면 즉, 경사면(21)과 구배면(22)에는 이것들 (21), (22)을 각각 엔진자리면(32)와 서스펜션자리면(3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23)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A-E는 지지브라켓의 설치되는 프레임의 설치지점을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프레임 정렬지그를 이용하여 정렬작업을 하기 위한 예비작업으로서, 작업판(110)의 선단에 변형된 프레임(30)을 올려 놓고 이것(30)을 타우어(122) 또는 램(130)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판(110)의 선단으로부터 지지브라켓(10)의 높이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매달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판(110)에 표시된 위치에 제4지지브라켓(10d)을 제외한 4개의 지지브라켓(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지지브라켓(10)은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최초 제작시 충격에 의하여 변형이 잘 일어나는 위치 및 거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가로부재(31)의 양단부위 및 그 사이의 구배진 부위와 중앙의 세로부재(34)가 설치된 부위에 위치되게 하여서, 충격을 받아 변형된 프레임(30)을 정렬시킴에 있어 기준점이 될 수 있게 된다.
즉,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각 설치지점(A~E)과 대응되는 작업판(110)의 위치에 각 지지브라켓(10)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 프레임(30)의 최초 데이텀(DA) 및 그 설치지점(A~E)에서의 가로부재(31)간에 폭을 알 수 있게 하여서 이것(30)의 변형된 정도를 쉽게 알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정렬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행거수단(122), (130)으로 들려진 프레임(30)을 제4지지브라켓(10d)을 제외한 지지브라켓(10)의 설치부재(14) 선단에 놓여지도록 밑으로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30)의 각 설치지점(A~E)은 설치부재(14)와 밀착되게 되며, 충격에 의하여 프레임(30)이 변형되어 밀착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그 부위를 정렬해야 하는 곳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은 프레임(30)이 지지브라켓(10)에 걸려진 상태에서 설치하게 된다. 먼저, 철형상으로 이루어진 제4지지브라켓(10d)을 첨부도면 제4도에서 우측에 구배된 설치지점(D)의 앞쪽으로 수직부재(12)가 가로부재(31)의 앞쪽과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부재(31)의 네번째 설치지점(D)에는 바깥쪽으로 각각 컨트롤 포인트(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고정구(17)을 끼워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과 일체로 고정시켜 프레임(30) 정렬에 따른 기준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17)의 설치는 이것(17)의 고정부(19)를 제4지지브라켓(10d)이 설치된 가로부재(31)의 컨트롤 포인트(35)에 끼움과 동시에 이것(17)의 양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9)가 상기 가로부재(31)의 선단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4지지브라켓(10d)에 고정시켜서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네번째 설치지점(D)은 이 지점에서 가까운 위치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한 충격으로 인한 프레임(30)의 변형이 가장 작게 발생되는 지점으로, 여기(D)에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을 고정하여서 변형된 프레임(30)의 정렬에 있어서 기준선이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양측 고정구(17)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고정고리(16a)에 타우어(122)의 체인(124) 등을 이용하여서 각 지지브라켓(10)의 선단에 놓여진 프레임(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지지브라켓(10)의 첨부도면 제4도에서 보여지는 각 설치지점(A~E)에 고정되고, 여기(10)에 프레임(30)을 올려 놓아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30)의 변형된 부위에 따라 타우어(122) 및 램(130) 등을 이용하여 외력을 가하면서 정렬시키게 된다.
이같이 정렬시킬 때에는 먼저, 상기 제1지지브라켓(10a)의 설치부재(14)에 형성된 고정홀(15)에 프레임(30)의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심볼 포인트(36)가 서로 일치되는가를 먼저 판독하고, 이것들(15), (36)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행거수단(122), (130)을 이용하여 서로 일치되도록 외력을 가하여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15) 및 심볼 포인트(36)가 서로 일치되는 경우에는 여기(15), (36)에 끼움고리(16)을 끼워서 제1지지브라켓(10a)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기 심볼 포인트(36)와 고정구(17)가 고정된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한 거리 즉, 프레임(30)의 최초 제작시 셋팅된 심볼 포인트(36)간의 거리를 유지하게 되어 별도의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정렬되는 정도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판독방법과 더불어 한쌍의 가로부재(31) 사이에 설치된 엔진자리면(32) 및 서스펜션자리면(33)의 거리가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알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정렬작업 도중에 한쌍의 검사블럭(20)을 여기(32), (33)에 각각 끼우면서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각 지지브라켓(10)이 고정된 위치에서는 상기 작업판(110)으로부터 원래 제조된 프레임(30)의 데이텀(DA)의 위치 및 가로부재(31)의 폭이 항상 일치하게 되어, 여기(10)에 프레임(30)을 맞추게 되면 별도의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보지 않고도 정렬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타우어 및 램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된 프레임에 외력을 가하는 것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프레임(30)이 추돌/충돌사고를 당하게 되면 프레임(30)은 안쪽으로 굽어지게 되거나 또는, 더욱 변형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프레임(30)은 변형정도가 적어 가로부재(31)가 안쪽으로만 휘어진 경우에는 그 부위 및 여기와 마주보는 다른 가로부재(31)의 위치에 상기 램(130)을 설치하고, 이것(130)을 작동시킴에 따라 램(130)의 작동로드가 변형된 부위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변형된 부위를 원래대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질 정도로 변형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타우어(122)의 체인(124)을 이용하여 프레임(30)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30)의 변형된 각도의 가상연장선과 만나도록 상기 타우어(122)를 유니버셜 앵커링 장치(12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이것(122)의 외주면에 설치된 컬러 롤러(12)의 위치를 상기 프레임(30)의 가상연장선과 일치시킨다.
이어, 상기 타우어(122)의 체인(124)을 프레임(30)의 변형된 부위에 설치하여서 이것(122)을 작동시키게 되면 그 변형된 프레임(30) 부위가 외력을 받아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외력을 받아 프레임이 쉽게 변형되는 위치 및 가장 작게 변형되는 위치에 프레임의 제작시 셋팅되는 데이텀(DA) 및 가로부재 사이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각 지지브라켓을 구성하여서, 변형된 프레임을 작업대에 설치된 각 지지브라켓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게 함으로써, 변형된 프레임의 정렬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어, 작업공간의 활용도 및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 작업대(100)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섯개의 지지브라켓(10)과, 두개의 검사블럭(20)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제1, 제2, 제3, 제5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은 각각 가로방향의 막대부재(11)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수직부재(12)와, 이것들 (11), (12) 간에 서로 연결고정되는 지지부재(13)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각 수직부재(12)에는 막대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부재(1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4지지브라켓(10d)은 막대부재(11)를 이용하여 철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그 선단면에는 양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부재(12)가 고정되고, 이것(12)과 막대부재(11)의 양단 사이에는 각각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고정구(17)가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검사블럭(20)은 각각 폭보다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검사블럭(20a)의 양측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검사블럭(20b)은 양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구배된 구배부(22)가 형성되는 동시에, 여기 (21), (22)에는 각각 고정수단(2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켓(10a)의 설치부재(14)에는 상단면에 고정홈(15)이 형성되고, 여기(15)에 끼움고리(1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14)는 각 지지브라켓(10a), (10b), (10c), (10e)의 막대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프레임(3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데이텀(DA)과 동일한 높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브라켓(10b)의 설치부재(14)는 아랫쪽으로 소정의 곡률로 구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한쌍의 수직부재(12) 사이 거리는 각 지지브라켓(10)이 설치되는 프레임(30)의 가로부재(31) 사이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7)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대각선으로 분리구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절개된 면의 선단이 수직면과 수직으로 돌출연장되면서 가이드부(18)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중앙에는 끼움고정고리(16a)가 형성되고, 수직면 중앙에는 고정부(19)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사블럭(20a)은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엔진자리면(32)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사블럭(20b)은 프레임(30)에 형성된 서스펜션자리면(33) 사이와 동일한 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04148A KR0184816B1 (ko) | 1996-02-22 | 1996-02-22 |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04148A KR0184816B1 (ko) | 1996-02-22 | 1996-02-22 |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1448A KR970061448A (ko) | 1997-09-12 |
KR0184816B1 true KR0184816B1 (ko) | 1999-05-01 |
Family
ID=1945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04148A KR0184816B1 (ko) | 1996-02-22 | 1996-02-22 |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84816B1 (ko) |
-
1996
- 1996-02-22 KR KR1019960004148A patent/KR01848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1448A (ko) | 1997-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50948A (en) | Arrangement for benches for measuring and straightening vehicles | |
US4557127A (en) | Motor vehicle body repair bench | |
CN109774634B (zh) | 车辆冲击吸收构件 | |
US4942667A (en) | Portable axle and frame alignment tool | |
AU6700381A (en) | Vehicle frame, body and wheel alignment gauge | |
US4958439A (en) |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vehicle frame | |
US4407073A (en) | Measuring apparatus for checking a spring strut appertaining to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 |
US4719704A (en) | Unitized vehicle measuring gauge and gauging system | |
US4549359A (en) | Datum point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0184816B1 (ko) | 자동차의 프레임 정렬지그 | |
US4781045A (en) | Vehicle checking and straightening equipment with interchangeable operating heads | |
KR100911388B1 (ko) | 차량의 후방 검사장치 | |
KR100461357B1 (ko) | 펜더 패널 검사용 치구 | |
KR19980016263A (ko) | 타이로드엔드 볼스터드의 인장강도 테스트용 지그 | |
US5182864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car frame | |
CN218016730U (zh) | 一种弯梁自动夹紧装置 | |
KR0139087Y1 (ko) | 자동차용 셋팅 지그 | |
EP0386149A4 (en) | Portable axle and frame alignment tool | |
KR100203478B1 (ko) | 자동차의 프론트차체 검사용 지그 | |
KR100309352B1 (ko) | 차체 검사장치 | |
CN108683905B (zh) | 一种车用摄像头专用测试夹具 | |
CN215239296U (zh) | 一种用于机加工夹具的定位装置 | |
CN113771949B (zh) | 一种挂车伸缩车架 | |
KR101129895B1 (ko) | 링크 시제품 검사용 지그 | |
JPH014430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22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