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446B1 -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446B1
KR0184446B1 KR1019910004642A KR910004642A KR0184446B1 KR 0184446 B1 KR0184446 B1 KR 0184446B1 KR 1019910004642 A KR1019910004642 A KR 1019910004642A KR 910004642 A KR910004642 A KR 910004642A KR 0184446 B1 KR0184446 B1 KR 018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images
displaye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189A (ko
Inventor
김흥한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1000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446B1/ko
Publication of KR92001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화상전화기의 화면 분할 표시 방법에 있어 화상 축소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화상 축소일시 각 프레임의 화상을 소정 배율로 축소한다.
상기 화상 축소가 아닐때 각 화상 표시 유무를 체킹하고 상기 축소된 화상 표시될 화상데이타를 화상 기억 영역에 저장한 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화상 전화기의 복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제1도는 종래의 화면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화상제어회로(30)의 구체 회로 도면.
제4도는 4장의 화상중에서 A화면 표시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5도와 같은 화면 표시를 위한 메모리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다른 화면 축소 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본 발명은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장의 화면을 일정 축소시켜 일시에 한 화면상에 호출한 상대방의 화상을 멀티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화상전화기의 복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전화기에서 화상을 저장시키는 용량이 예를 들어 제1(a)도와 같이 4장(A,B,C,D)이라면 종래 방법대로라면 모니터 화면에 한번에 한장씩 표시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전화기를 조작하여 A,B,C,D각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1(b)도와 같이 모니터 화면에 A화면이 나타나고, 다시 키를 조작하면 모니터 화면에 B에 해당되는 화면이 나타난다. 계속해서 키를 조작하면 C D A B C ....과 같이 반복해서 저장된 화상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제1(b)도의 점선과 같이 저장된 화면 내용이 없을때는 다시 처음 화상 내용으로 나타난다. 화상의 저장은 순서대로 저장하거나, 건너뛰어서 저장될수도 있다. 화상 내용이 없으면 건너뛰거나, A만 내용이 있고, B,C,D는 없을때는 계속 A만 나타난다. A,B만 내용이 있고, C,D는 없을때 A,B만 교대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종래는 저장된 여러장의 화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없으므로 화상전화기의 사용자들은 화상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여러번 되풀이해서 키조작을 해야되는 경우가 발생(화면 내용을 머리속에 기억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전화기에서 여러장의 화상을 동시에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상전화기의 화상메모리의 내용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몇장의 화상이 기억되어 있는지를 쉽게 알수 있는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화상전화기(또는 화상전송장치 등)에서 상대방으로 부터 수신한 화상이나 자기화상을 저장시키는 기능이 있다. 여러장의 저장된 화상 내용을 모니터 화면에 불러내어 보거나 하기 위해서 화상전화기 또는 화상전송장치에서 키를 사용하여 차례대로 저장된 화상을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다. 여기에다가 여러장의 화상 내용을 한꺼번에 모니터화면에 나타나게 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는 화상전화기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낼 수 있는 그림이다.
화상전화기의 기본적인 개념은 카메라(70)에서 화상을 입력하여 A/D변환기(90)에서 A/D(Analog to Digital)변환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신호는 화상제어회로(30)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 화면용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된다. 상기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100)에서 D/A(Digital to Analog) 변환하여 화상조사부(8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것은 카메라부(70)에서 입력된 화상이 직접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신호의 흐름이다.
상기 제2도의 화상제어회로(30) 구체 실시회로도는 제3도와 같다.
자기화상 표시방법은 제2도에서 카메라부(70)에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변환기(90)에서 변환하여 화상제어회로(30)의 제어에 의해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시키면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된 디지탈데이타는 변환기(100)변환하여 화상조사부(80)에 화상이 상대 화상표시방법은 제2도에서 주제어회로(10), 송수신제어변복조회로(50), 망제어회로(60)을 통하여 상대방과 화상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대방에게 자신의 화상을 송신하려면 화상기억장치(40)에서 데이타를 전송장치를 통하여 통신채널로 송신한다.
상대방으로부터 해당되는 반송파를 송수신 제어변복조회로(50)에서 수신하여 주제어회로(10) 및 화상제어회로(30)를 통하여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시킨다.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는 D/A변환기(100)에서 변환하여 화상조사부(80)에 표시된다.
화상기억장치(40)에 화상 저장방법은 제2도에서 카메라부(70)을 통하여 입력된 자신의 화상 데이타이거나, 망제어회로(60), 송수신제어변복조회로(50)통하여 입력된 화상 데이타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되어 D/A변환기(100)를 통해 표시되거나, 다른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D/A변환기(100)를 통하여 화상조사부(80)에 표시된다.
화상기억장치(40)의 크기는 화상조상부(80)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화상조사부(80)의 화면에 나타나는 화소의 수가 화상기억장치(40)의 크기가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제3도와 같다.
예를 들어 화상조사부(80)에 표시하는 화소의 수가 160x100이라면 화상기억장치(40)는 160 x 100바이트가 된다. 일반적으로 CRT모티너에 나타내는 각 화소의 휘도신호는 256레벨이며, 휘도신호가 256레벨이면 1바이트(8bit)로 나타낼수 있다.(2 = 256)
모니터에 나타나는 화소의 수를 가로(M)와 세로(N)로 나타내면 160 x 100, 96 x 100, ..., ...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보조 화상기억장치는 화상전화기가 가지고 있는 화상의 저장수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4장의 화상을 저장시킬 수 있다면 화상기억장치(40)은 1장의 화상에 해당되므로 보조화상기억장치는 화상기억장치(40)의 4배가 된다.
제7도의 (7a)는 화면의 크기가 96(M) x 100(N)일때 화소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제7도의 (7b)는 제1도의 1장의 화면에 해당되는 화상의 크기를 ¼로 줄여서 나타낸 ¼에 해당되는 화상일때 크기예이다.
제5도는 화상전화기가 4장의 화상(A,B,C,D)을 저장시킬 수 있다면 4장의 화상에 해당되는 원래 크기의 화상 A, B, C, D가 있으며 A, B, C,D각 화상은 모니터 화면에 1장의 화상을 나타낼 수 있는 크기와 같다. a(55), b(56), c(57), d(58)는 A화상을 ¼로 축소, B화상을 ¼로 축소, C화상을 ¼로 축소, D화상을 ¼로 축소하며 a, b, c, d화상을 만들어서 a모니터 화면에 표시한 그림이며 a,b,c,d화상 4개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1장의 화상크기와 같다.
상기 화상의 축소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축소방법은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또 여러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중에서 한가지 방법으로
Hierarchical stractare of an image
Figure kpo00002
있으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제7(c)도에서 축소되지 않은 4개의 화소 101(x), 102(y), 103(k), 104(l)를 축소되는 화소 105(g)로 나타내려면 ¼로 축소된 화소 105(g)의 휘도신호 레벨은
Figure kpo00003
로 구할수 있다.
제7(c)도 축소되지 않은 원래의 화상(101)~(104)에서 4개의 화소를 1개로 축소하여 ¼로 축소된 화상(105)이 된다.
모니터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는(display)방법은 화상을 축소한다면(화상전화기의 키조작)A화상을 ¼축소하여 a화상으로 만들고 제6도에서 화상기억장치(40)에 입력하며, b화상을 ¼로 축소하여 b화상으로 만들고 제6도에서 화상기억장치(40)의 (66)에 입력하며, C화상을 ¼로 축호하여 C화상을 만들고 제6도에서 화상기억장치(40)의 (67)에 입력하며, D화상을 ¼로 축소하여 d화상으로 만들어서 제6도에서 화상기억장치(40)의 (68)에 입력하면 제5도에서 모니터화면(59)에 a, b, c, d의 화상 4개가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
화상을 축소하지 않고 원래 화상으로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려면 A화상을 표시한다면 제6도의 화상 저장용 보조 기억장치 (63)의 A화상에 해당되는 631의 메모리의 내용을 모니터용 화상기억장치(40)의 (62)에로 옮기면 모니터 화면에 A화상이 나타난다. 같은 방법으로 B, C, D화상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은 일실시예를 들어 화면의 크기가 가로(M) x 세로(N)일때 96 x 100을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화상의 저장수는 4장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서 화상기억장치(40)는 제6도에서 화면저장용 보조기억장치에 해당된다. 제2도에서 카메라부(70)에서 입력된 화상과 통신 채널을 통하여 입력 화상들이 제6도에서 보조기억장치에 4장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 제4도는 4장의 화상을 축소하지 않고, 4장중에서 A화상을 그대로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 방법이다.
제6도에서 화상을 저장시키는 메모리에는 화상기억장치(40)(62=35)와 화상 저장용 메모리(63=38)가 있으며 저장된 화상 A, B, C, D중에서 모니터에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을, 화상저장용 메모리(63)에서 모니터용 메모리(62)로 옮기면 옮겨진 화상이 모니터에 나타난다. 제5도에서 4장의 화상을 한꺼번에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게 하려면 A, B, C, D 4장의 화상을 ¼로 축소하여 a, b, c, d화상으로 만들어 제6도에서 모니터용 메모리(62)에 넣으면 제5도에서 모니터 화면(59)에 4장의 ¼로 축소된 a, b, c, d화상이 나타나게 된다.
화상을 ¼로 축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일실시예를 들면 제7도에서 96 x 100의 화소를 제7(b)도에서 48 x 50으로 가로(M)를 ½, 세로로 ½로 줄여지게 되는데 제7도에서 (0,0), (0,1), (1,0), (1,1)의 4개 화소는 제7(b)도에서 (0.0)의 1개의 화소로 축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성전화기에서 기억된 여라장의 화상을 동시에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상전화기의 화상 메모리의 내용이 동시에 확ㅇ니되고 몇장의 화상이 기억되어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여러장의 화상을 동시에 확인하지 못하고 각각1장씩만 모니터 화면에서 확인하게 되면 사용자는 쉽게 화상을 기억하지 못하므로 어떠한 내용의 화상이 기억되어 있는지 알기가 어렵다. 또 여러장의 화상을 동시에 나타내므로 여러장의 화상을 비교하는 것이 용이하다.

Claims (1)

  1. 화상전화기의 화면 분할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상 축소 유무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화상 축소일시 각 프레임의 화상을 소정 배율로 축소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화상 축소가 아닐때 각 화상 표시 유무를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축소된 화상 표시될 화상 데이타를 화상 기억 영역에 저장한 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04642A 1991-03-23 1991-03-23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018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642A KR0184446B1 (ko) 1991-03-23 1991-03-23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642A KR0184446B1 (ko) 1991-03-23 1991-03-23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189A KR920019189A (ko) 1992-10-22
KR0184446B1 true KR0184446B1 (ko) 1999-05-01

Family

ID=1931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642A KR0184446B1 (ko) 1991-03-23 1991-03-23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4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189A (ko) 199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055A (en) Display control device incorporating an auxiliary display
EP0762325B1 (en) Video magnification apparatus
US4454593A (en) Pictori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
KR1005179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오버레이 장치
JP2615841B2 (ja) 静止画編集装置
US63926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zoomed version of stored image by displaying and shifting based on pixel overlap
JPH08228329A (ja) 通信会議方法および通信会議端末装置
KR20000025422A (ko) 통신단말기의화상통신장치및방법
JP2003099357A (ja) 画像生成処理装置、携帯端末、スライドショーシステム
KR0184446B1 (ko) 화상 전화기의 복수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H043368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00035675A (ko) 화상 전화기의 화상 저장방법
JP3342069B2 (ja) 画像伝送システム、画像送信装置及び画像受信装置
JP2902670B2 (ja) 表示制御方法
JP2663461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122445B2 (ja) 通信装置
JP3586005B2 (ja) 静止画像伝送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40239997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cess facsimile data using a computer
JP2774144B2 (ja) ビデオ出力形ファクシミリ方式
JPH11288257A (ja) 圧縮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22497A (ja) 画像送受信機能を有する電子フアイル装置
KR1006861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알지비 색상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JPH039837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AU8680982A (en) Pictori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
JPH06133153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