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362B1 -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362B1
KR0184362B1 KR1019960010147A KR19960010147A KR0184362B1 KR 0184362 B1 KR0184362 B1 KR 0184362B1 KR 1019960010147 A KR1019960010147 A KR 1019960010147A KR 19960010147 A KR19960010147 A KR 19960010147A KR 0184362 B1 KR0184362 B1 KR 018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ignal
call
subscribers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872A (ko
Inventor
정용배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1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362B1/ko
Publication of KR97007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04M3/301Circuit arrangements at the subscriber's side of th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의 발·착신신호의 감지여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등록된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신속하게 확인/점검할 수 있도록 한 가입자간 통화 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환기(10)에 각각 연결되어 운용중인 복수의 일반전화기(12,18)의 통화상태를 점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일반전화기(12,18)에 각각 접속되어 그 각각의 일반전화기(12,18)의 발·착신신호를 감지하여 표시구동용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수의 신호변환회로부(14,20)와, 상기 복수의 신호변환회로부(14,20)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표시구동용 신호에 의해 표시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표시부(16,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반전화기(12)로부터의 발신상태에 따른 상기 일반전화기(18)의 착신상태의 표시부(22)의 점등상태 혹은 상기 일반전화기(18)로부터의 발신상태에 따른 상기 일반전화기(12)의 착신상태의 표시부(16)의 점등상태에 의해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예컨대 one-way현상과 같은 통화상태가 발생되는 경우 신속하게 확인/점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환기 12, 18 : 전화기
14, 20 : 신호변환회로부 16, 22 : 표시부
30 : 점검수단
본 발명은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록된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발·착신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통신은 멀리 떨어져 있는 다수의 사람 또는 장치간에 지정된 두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을 선택해서 접속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는 단말장치, 전송로, 교환기로 구성되며 이중에서 선택 및 접속을 통해 정보전달하는 일을 담당하는 교환기가 전기통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전기통신의 핵심을 담당하는 교환기로서의 전자식 교환기는 기존의 기계식 교환기에 반도체 및 컴퓨터 기술을 도입하여 축적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후 반도체와 컴퓨터의 경이적인 발달로 전전자 교환기를 탄생시켰고 공중통신망의 디지탈화는 정보화사회의 매체인 종합정보통신망(ISDN)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전자식 교환기의 경우 가입자는 등록된 가입자선을 통하여 통화로망에 연결되고, 트렁크를 통해 다른 국과 연결되도록 하였는데, 그러한 전자식 교환기는 많은 수의 가입자회선을 지니게 되므로 가입자 호발생기(LCS 또는 동등기능 이상의 장비)를 이용하여 가입자간의 라인상태(예컨대, one-way현상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종종 점검하게 된다.
이 경우, 등록된 가입자간에 통화가 one-way현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상기 가입자 호발생기의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고 교환기의 가입자 GSLA-A(일반 가입자선 정합회로판)보드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로 등록된 가입자간에 호출하여 통화상태를 일일이 체크해야 되는 번거러움과 시간적 손실이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예컨대 24시간 운용 및 장시간 통화시험의 경우 6시간마다 MP, PP 및 디바이스(device)를 전원(power)/리세트(reset)/MMC(man-machine Command)로 절체하게 되는데, 하나하나 절체할 때마다 미리 연결된 두 가입자의 통화상태가 정상상태인가를 일반 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확인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여기서, one-way현상이라 함은 두 가입자가 교환기를 통해 연결되어 통화상태가 정상적이다가 어느 한쪽의 통화가 착신은 되지만 발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이 one-way현상은 한 가입자의 발신측 신호가 T스위치에서 통화로계(Speech Path)의 막힘으로 인해 신호자체를 감지하지 못해 다른 가입자에게 착신되지 못하고 끊기기 때문에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절체라 함은 2중화된 교환기의 경우 액티브(active)상태에서 스탠바이(stand-by)상태로, 스탠바이(stnad-by)상태에서 액티브(active)상태로의 스위칭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화기의 발·착신신호의 감지여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등록된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신속하게 확인/점검할 수 있도록 한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기에 각각 연결되어 운용중인 복수의 일반전화기의 통화상태를 점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일반전화기에 각각 접속되어 그 각각의 일반전화기의 발·착신신호를 감지하여 표시구동용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수의 신호변환회로부와, 상기 복수의 신호변환회로부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표시구동용 신호에 의해 표시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반전화기로부터의 발신상태에 따른 상기 일반전화기의 착신상태의 표시부의 점등상태 혹은 상기 일반전화기로부터의 발신상태에 따른 상기 일반전화기의 착신상태의 표시부의 점등상태에 의해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각각 발광소자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기에 각각 연결되어 운용중인 복수의 일반전화기간에 통화상태점검시 어느 한 일반전화기에서의 발신신호가 그에 연결된 신호변환회로부에서 감지되면 표시부가 발광(또는 점등)하게 되고, 그 발신신호에 대응하여 타측의 일반전화기에서의 착신신호를 그에 연결된 다른 신호변환회로부에서 감지하게 되면 그에 연결된 표시부가 발광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환기(10); 전화기(12,18) 및; 신호변환회로부(14,20)와 표시부(16,22)를 포함하는 점검수단(30)으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점검수단(30)은 등록된 가입자간의 라인상태를 점검하는 바, 그 점검수단(30)에 포함된 상기 신호변환회로부(14)는 교환기(10)에 연결되어 운용중인 전화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 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서 그 전화기(12)에서 발생되는 발·착신신호를 감지하여 표시구동에 용이한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점검수단(30)에 포함된 다른 신호변환회로부(20)는 교환기(10)에 연결되어 운용중인 전화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 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서 그 전화기(18)에서 발생되는 발·착신신호를 감지하여 표시구동에 용이한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점검수단(30)에 포함된 표시부(16)는 상기 신호변환회로부(14)의 출력측에 접속된 발광소자(예컨대, LED)로 이루어져서, 그 신호변환회로부(14)에서 출력되는 표시구동용 신호의 유무에 따라 점등/소등된다.
또, 상기 점검수단(30)에 포함된 다른 표시부(22)는 상기 신호변환회로부(20)의 출력측에 접속된 발광소자(예컨대, LED)로 이루어져서, 그 신호변환회로부(20)에서 출력되는 표시구동용 신호의 유무에 따라 점등/소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one-way현상의 발생여부를 점검하는 동작을 예로써 설명한다.
일단, 교환기(10)에 연결되어 운용중인 두 전화기(12,18)중에서 어느 한 전화기(12)가 발신하는 경우 그 발신신호는 신호변환회로부(14)에서 감지되어 표시구동용 신호로 변환되어 표시부(16)로 인가되므로, 그 표시부(16)는 점등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전화기(12)에서 발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가입자의 전화기(18)에서 착신하지 못한 경우(즉, one-way현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그 전화기(18)에 접속된 신호변환회로부(20)는 착신신호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후단의 표시부(22)는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상기 전화기(18)에서 발신하고 상기 전화기(12)에서 착신하는 경우에 상기한 one-way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즉, 표시부(22)는 점등되지만 표시부(16)는 소등되는 동작]이 행해지게 되므로, 운용자(점검자)는 등록된 가입자간에 one-way현상이 발생되었음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등록된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one-way현상발생시 그 발생을 신속히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상황대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교환기(10)에 각각 연결되어 운용중인 복수의 일반전화기(12,18)의 통화상태를 점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일반전화기(12,18)에 각각 접속되어 그 각각의 일반전화기(12,18)의 발·착신신호를 감지하여 표시구동용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수의 신호변환회로부(14,20)와, 상기 복수의 신호변환회로부(14,20)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표시구동용 신호에 의해 표시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표시부(16,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반전화기(12)로부터의 발신상태에 따른 상기 일반전화기(18)의 착신상태의 표시부(22)의 점등상태 혹은 상기 일반전화기(18)로부터의 발신상태에 따른 상기 일반전화기(12)의 착신상태의 표시부(16)의 점등상태에 의해 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14,22)의 각각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KR1019960010147A 1996-04-04 1996-04-04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KR018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147A KR0184362B1 (ko) 1996-04-04 1996-04-04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147A KR0184362B1 (ko) 1996-04-04 1996-04-04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872A KR970072872A (ko) 1997-11-07
KR0184362B1 true KR0184362B1 (ko) 1999-05-15

Family

ID=1945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147A KR0184362B1 (ko) 1996-04-04 1996-04-04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3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872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3519B1 (en) Subscriber system testing method
KR0184362B1 (ko) 가입자간 통화상태 점검장치
US5568542A (en) Building short circuit react system
US7783033B2 (en) Network breaker
KR200228241Y1 (ko) 키폰시스템의 프로세서 장애 경보장치
JPS6220744B2 (ko)
JP2746929B2 (ja) 通信システム
KR970058205A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복수 원격교환장치기능을 위한 통신경로 제공방법
KR100297289B1 (ko) 교환시스템의통합가입자정합장치및그제어방법
US6718037B1 (en) Computer with a modem capable of outputting telephone bell signals
KR100191216B1 (ko) 두 개의 전화라인을 보유한 전화기
KR100371306B1 (ko) 가입자 전화기의 회선 상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960004772Y1 (ko) 대형간이 교환장치의 국선/내선 가빈슬롯
JPH0318165A (ja) ディジタル多機能電話機の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0261724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낙뢰에 의한 가입자 불복현상 복구방법
KR100311310B1 (ko) 광가입자 전송 시스템용 음성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KR900013748A (ko) 다기능 포터블 선로 시험기
KR100422142B1 (ko) 킵폰 시스템의 전압체킹장치
KR100241727B1 (ko) 착신전환방법
KR200171096Y1 (ko) 경박형 전화기
KR200324708Y1 (ko) 링크중계장치
JP2003289397A (ja) 回線制御装置
JP2005039470A (ja) セキュリティ機器
KR19990002162A (ko) 호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S6187497A (ja) デイジタル電子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