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888B1 -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888B1
KR0183888B1 KR1019960022077A KR19960022077A KR0183888B1 KR 0183888 B1 KR0183888 B1 KR 0183888B1 KR 1019960022077 A KR1019960022077 A KR 1019960022077A KR 19960022077 A KR19960022077 A KR 19960022077A KR 0183888 B1 KR0183888 B1 KR 018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height
jig
guid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595A (ko
Inventor
정용채
손병삼
장명섭
김충웅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888B1/ko
Publication of KR98000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를 개시한다.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폴베이스에 끼워지는 지그봉과; 상기 지그봉에 설치되는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는 높이조정수단; 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롤러의 높이조정 작업이 용이하고 미세하며 정확하게 행하여질 수 있어 테이프레코더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에 크게 이바지한다.

Description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제1도는 테이프레코더의 주행계의 일 예의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주행계에서 그 후면의 데크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가이드롤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의 높이 조정용 지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드럼 2 : 고정폴
3 : 이동폴 4 : 가이드롤러
4a : 상단가이드 5 : 폴베이스
5a : 폴홈 6 : 모터
7 : 토션스프링 8 : 링크부재
9 : 카세트 11 : 기어군
12 : 메인 슬라이더 21 : 가이드홈
30 :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31 : 지그봉 31a : 지지부
31b : 손잡이 32 : 브라케트
32 : 중공부 40 : 높이조정수단
41a : 팁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VTR이나 캠코더, DAT 등과 같은 테이프레코더의 주행계의 일 예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전개하여 나타내 보였다. 테이프레코더내에서 테이프가 주행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미도시)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9)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91)가 헤드드럼(1)의 외주를 소정범위 밀착되게 감사며 주행하도록, 데크상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폴(2)과 데크상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폴(3), 가이드롤러(4)등의 가이드장치가 테이프(91)에 접촉하며 주행을 안내하게 된다.
제2도에는 상기와 같은 주행계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테이프(91)가 주행할 때, 데크(20)의 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폴베이스(5)는 링크부재(7)에 의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8)에 의해 바이어스 된다. 데크(20)에 설치된 모터(6)가 구동함에 따라 그 구동력은 다수의 기어군(11) 및 메인 슬라이더(12)에 전달되어 결국 링크부재(7)를 구동시켜 폴베이스(5)를 가이드홈(21)의 단부로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폴베이스(5)는 링크부재(7)에 설치된 토션스프링(8)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되므로, 가이드홈(21)의 단부에 밀착된 폴베이스(5)는 화살표로 도시된 T1, T2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결국 요동됨이 없이 밀착되어 고정된다.
제3도에는 상기 폴베이스(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4)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가이드롤러(4)는 폴베이스(5)에 대해 나사결합되어 있어, 그 상단의 상단가이드(4a)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롤러(4)의 상하 높이가 조정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4)의 외주면에 테이프(91)의 일측면과 접촉하고 그 상단부에 마련된 상단가이드(4a)의 밑면이 테이프(91)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상태로 회전하면서, 가이드롤러(4)는 테이프(91)가 정확하게 정해진 이송궤도를 운동하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이러한 테이프(91)의 이송궤도를 정확히 하기 위하여 폴베이스(5)에 대한 가이드롤러(4)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롤러(4)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폴베이스(5)가 가이드홈(21)의 단부에 밀착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가이드(4a)의 홈에 드라이버 등의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수단(미도시)을 끼우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높이조정은 대개 상당히 미세한 범위 내에서 행해져야 하는데, 상단가이드(4a)에 높이 조정수단을 끼우고 압압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그 폴베이스(5)는 가이드홈(21)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흔들림은 가이드롤러(4)의 정확한 높이 조정을 어렵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흔들림을 없게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홈(21)의 단부에 폴베이스(5)를 더욱 밀착되게 고정시켜야 하고, 이러하기 위하여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토션스프링(8)을 사용하여 T1, T2 방향으로 많은 힘을 가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큰 탄성계수가 큰 토션스프링(8)이 결합된 링크부재(7)를 가이드홈(21)을 따라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구동력이 큰 모터, 즉 큰 모터(6)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이드롤러의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되는 정도가 약하더라도 가이드롤러(4)의 높이 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는, 가이드롤러에 설치되는 폴베이스에 끼워지는 지그봉과; 상기 지그봉에 설치되는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는 높이조정수단; 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 높이 고정지그는 가이드롤러(4)가 설치된 폴베이스(5)의 폴홈(5a)에 끼워지는 지그봉(31)을 구비한다. 이 지그봉(30)의 일단에는 상기 폴홈(5a)에 끼워지는 단차진 지지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그 지그봉(30)의 지지하는 손잡이(3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그봉(31)의 중앙에는 중공부(32a)가 형성된 브라케트(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32a)에는 높이조정수단(40)이 끼워져 회전되고, 이 높이조정수단(40)의 일 단부의 팁(40a)은 상단가이드(4a)의 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4)는 상단가이드(4a)를 회전시킴으로서 가이드롤러(4)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롤러 높이 고정지그는 그 지지부(31a)가 폴베이스(5)의 폴홈(5a)에 끼워져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브라케트(32)를 관통한 높이조정수단(40)의 팁(40a)이 상단가이드(4a)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롤러(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4)는 폴홈(5a)에 끼워진 높이고정지그(30)의 브라케트(32)에서 회전되는 높이조정수단(40)에 의해 회전되므로, 그 가이드롤러(4)를 큰 힘으로 압압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폴베이스(5)는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정확한 높이 조정은 물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의 단부에 폴베이스를 더욱 밀착되게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링크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가 크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롤러 높이 고정지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안정되게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큰 탄성력의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폴베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의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정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폴베이스에 끼워지는 지그봉과; 상기 지그봉에 설치되는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는 높이조정수단; 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수단의 일단부에는 가이드롤러의 홈에 끼워질 수 있는 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KR1019960022077A 1996-06-18 1996-06-18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KR018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077A KR0183888B1 (ko) 1996-06-18 1996-06-18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077A KR0183888B1 (ko) 1996-06-18 1996-06-18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95A KR980004595A (ko) 1998-03-30
KR0183888B1 true KR0183888B1 (ko) 1999-04-15

Family

ID=1946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077A KR0183888B1 (ko) 1996-06-18 1996-06-18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8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95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681A (en) Ink ribbon cassette
US4203680A (en) High-speed printer with self-adjusting cable preload mechanism
KR0183888B1 (ko) 가이드롤러 높이 조정용 지그
US4479731A (en) Serial printer carriage mounting
JPS61248773A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US2715055A (en) Depth sounder recorder marking means
GB2313699A (en) Adjustable tape tension control device
KR900007322Y1 (ko) Vtr의 테이프 안내 장치
EP0219116A2 (en) Positioning device for a read/write head
JPH056604Y2 (ko)
US4875123A (en) Adjustable audio control-eraser and tape guide assembly for a cassette tape video tape recorder
KR900010893Y1 (ko)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테이프텐션조절장치
US5742460A (en) Movable full erasing head
KR200141230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텐션조절장치
KR910004836Y1 (ko) 브이티알의 텐션폴 구동장치
KR200154855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900000026Y1 (ko) 브이 티 알의 소거헤드 고정장치
KR910003849Y1 (ko) 테이프의 안정주행장치
KR200164681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 컨트롤헤드 장치
JPS5824278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ヘツドの位置調節装置
KR95000632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레버 가이드장치
JPH02305682A (ja) リボンガイド機構
KR920002429Y1 (ko) 각도 조정이 용이한 폴 베이스
KR0128989Y1 (ko) 테이프레코더의 오디오콘트롤소거헤드 어셈블리
KR940004785Y1 (ko) 브이씨알 및 디에이티의 공급릴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