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474B1 -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474B1
KR0183474B1 KR1019940003587A KR19940003587A KR0183474B1 KR 0183474 B1 KR0183474 B1 KR 0183474B1 KR 1019940003587 A KR1019940003587 A KR 1019940003587A KR 19940003587 A KR19940003587 A KR 19940003587A KR 0183474 B1 KR0183474 B1 KR 018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image display
wave absorbing
display apparatus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817A (ko
Inventor
이복수
박인구
김봉철
최돈빈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4000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474B1/ko
Publication of KR95002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브라운관은 X선이나 자외선 등 유해 전자파를 방출하여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채널의 형광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외부도전막, 또는 그 상하면의 전자파 흡수층에 전자파 흡수물질을 포함시켜 펀넬측을 통한 유해 전자파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브라운관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절단 단면도,
제2도는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이는 펀넬의 일부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펀넬의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브라운관(Braun tube) P : 패널(panel)
F : 펀넬(funnel) S : 형광면
B :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R : 형광체(phosphor)
Lo : 외부도전막 Li : 내부도전막
A : 전자파 흡수층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에서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상표시장치의 예로는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브라운관을 화상장치로 이용하고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브라운관(T), 특히 칼라 브라운관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패널(panel; P)의 내면에 형광면(S)이 형성되어, 네크(neck; N)에 내장된 전자총 어셈블리(도시안됨)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색선별수단(M)을 통해 형광면(S)에 선택적으로 랜딩(landing)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패널(P)과 네크(N)간에 연장되는 깔때기 형태의 펀넬(funnel; F)의 내 외면에는 고전압의 인가 통로가 되는 내부도전막(Li)과 외부도전막(Lo)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대전압 캐패시터(capacitor)를 구성할 뿐 아니라 배면광을 차단하여 화면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일반적으로 흑연(graphite)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성 용액이 도포되어 형성한다.
한편 형광면(S)은 확대 도시한 바와같이 R,G,B세 형광체(R)가 스트라이프(stripe) 또는 도트(dot)형으로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각 형광체(R)사이에는 블랙 메트릭스(black matrix; B)를 형성하여 화면의 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 블랙 매트릭스(B) 역시 흑연을 주성분으로 형성된다.
나머지 부호 G는 경면(鏡面)을 형성하는 메탈백(metal back)이며, X는 방폭밴드, 그리고 L은 브라운관(T)의 고정에 사용되는 러그(lug)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브라운관(T)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넷(cabinet; K)에 다른 기계적 또는 회로적 구성부들과 함께 수납되어 화상표시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브라운관(T)은 화상의 표시에 수십 KV의 고전압을 사용하므로 이와같은 전자빔의 형성 및 화상표시 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X선이나 자외선들의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해 전자파는 브라운관(T)의 화면이나 케이싱(K)등을 통해 인체에 조사(照射)되어 눈에 이상을 주는등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유해 전자파의 차단을 위해 종래에는 화면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눈을 보호 하는등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보안기는 화면의 밝기나 해상도를 저하시켜 고정세(高精細)한 화상의 구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원인은 전자파 흡수물질을 브라운관 내외부와 케이싱 내부등에 도포함으로써 유해 전자파를 흡수하도록하는 기술구성을 본원과 동일한 명칭하에 1993년 특허출원 제31676호로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본원인의 선행 특허를 더욱 개량하여 유해 전자파의 흡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킨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는 브라운관의 펀넬에 형성되는 내부도전막이 전자파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내부도전막은 전자파 흡수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내부도전막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전자파 흡수물질이 포함된 전자파 흡수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 전자파 흡수물질은 Zn, Sr, Zr, Ba, Ce, As, S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의 혼합된 혼합물 본체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펀넬(F)에는 그 내면에 내부도전막(Li)이, 외부에 외부도전막(Lo)이 각각 도포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외부도전막(Lo)은 유해 전자파를 흡수하게 되는데,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이 외부 도전막(Lo)에 전자파 흡수물질이 함께 포함된다.
외부도전막(Lo)을 형성하는 용액은 흑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현탁액인데, 이 흑연 현탁액에 Zn, Sr, Zr, Ba, Ce, As, S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분체를 함께 분산시킨다. 이러한 현탁액은 펀넬(F)의 외면에 도포 및 건조되어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발휘하는 외부도전막(Lo)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외부도전막(Lo)상에 별도의 전자파 흡수층(A)이 형성된다.
이 전자파 흡수층(A)은 소정의 현탁액 상태로 도포되어 건조 및/또는 소결(燒結)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소정의 바인더(binder)에 전자파 흡수물질의 분체를 현탁시키고 필요에 따라 경화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로는 열가소성 수지(페놀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P.V.C, P.V.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천연고무, 합성고무(폴리클로로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플루오르 합성고무), 초산비닐에멀젼,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licate), 포타슘 실리케이트(Potassium Sillicat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에 Zn, Sr, Zr, Ba, Ce, As, S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함된 혼합물분체를 분산시킨 후 이 현탁액을 외부 도전막(Lo)상에 도포하여 건조 및/또는 소결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층(A)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전자파 흡수물질이 포함된 외부도전막(Lo) 또는 전자파 흡수층(A)은 펀넬(F)측으로 통과하고자 하는 유해 전자파를 흡수하여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화상 표시장치를 장시간 시청하여도 눈의 피로나 충혈등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화상표시 장치에 의한 전자파 공해를 방지하여 화상표시 장치의 사용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브라운관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운관의 펀넬 외면에 형성되는 외부도전막, 또는 그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전자파 흡수층에 전자파 흡수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흡수물질이 Zn, Sr, Zr, Ba, Ce, As, S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 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
KR1019940003587A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8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587A KR0183474B1 (ko)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587A KR0183474B1 (ko)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817A KR950025817A (ko) 1995-09-18
KR0183474B1 true KR0183474B1 (ko) 1999-03-20

Family

ID=1937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587A KR0183474B1 (ko)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4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817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9627A (en) Display tube with neutral density filtration
US3886394A (en) Image display employing filter coated phosphor particles
US3873868A (en) Display tube with color selective filtration
DE3308359C2 (ko)
US2461464A (en) Filter for fluorescent screens
KR0183474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83472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83473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US2888513A (en) Image reproduction system
KR0156497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US2863084A (en) Cathode-ray device
JPS601733B2 (ja) 光源用陰極線管
KR0142823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42824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US2957940A (en) Projection color television with photo-electroluminescent screen
US4568852A (en) Cathode ray tube with liquid coolant and reduced X-ray emission
US6825604B2 (en) Phosphor screen and cathod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same
US2991383A (en) Tri-color phosphor screens of the mosaic variety
DE1512397B2 (de) Leuchtschirm fuer farbbild wiedergaberoehren
US3858081A (en) Cathode ray tube screen structure utilizing adjuvant excitation
US3622826A (en) Phosphor screen comprising two kinds of particles, each having phosphor core and phosphor coating
US4604550A (en) Display tube with terbium-activated blue-luminescing phosphor screen
KR100310680B1 (ko) 세라믹스코팅물질이도포된디스플레이시스템과그제조방법
US4217520A (en) Image display faceplate having a chromatic matrix
EP0883155B1 (en) Colour picture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