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823B1 -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823B1
KR0142823B1 KR1019940003591A KR19940003591A KR0142823B1 KR 0142823 B1 KR0142823 B1 KR 0142823B1 KR 1019940003591 A KR1019940003591 A KR 1019940003591A KR 19940003591 A KR19940003591 A KR 19940003591A KR 0142823 B1 KR0142823 B1 KR 014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electromagnetic wave
black matrix
harmful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821A (ko
Inventor
김봉철
최돈빈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4000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823B1/ko
Publication of KR95002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브라운관은 X선이나 자외선등 유해 전자파를 방출하여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의 형광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블랙매트랙스에 전자파 흡수물질을 포함시켜 패널측을 통해 유해 전자파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브라운관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절단 단면도,
제2도는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화상표시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패널의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T:브라운관(Braun tube) P:패널(panel)
F:펀넬(funnel) S:형광면
B: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R:형광체(phosphor)
Lo:외부도전막 Li:내부도전막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에서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흡수할수 있도록 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상표시장치의 예로는 텔레비젼이나 컴퓨터모니터등을 들수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브라운관을 화상장치로 이용하고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브라운관(T), 특히 칼라 브라운관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패널(panel; P)의 내면에 형광면(S)이 형성되어, 네크(neck; N)에 내장된 전자총 어셈블리(도시안됨)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색선별수단(M)을 통해 형광면(S)에 선택적으로 랜딩(landing)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패널(P)과 네크(N)간에 연장되는 깔때기 형태의 펀넬(funnel; F)의 내 외면에는 고전압의 인가 통로가 되는 외부도전막(Lo)과 내부도전막(Li)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대전압 캐패시터(capacitor)를 구성할뿐 아니라 배면광을 차단하여 화면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일반적으로 흑연(graphite)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성 용액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한편 형광면(S)은 확대 도시한 바와같이 R, G, B세 형광체(R)가 스트라이프(stripe) 또는 도트(dot)형으로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각 형광체(R)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를 형성하여 화면의 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 블랙 매트릭스(B)역시 흑연을 주성분으로 형성된다.
나머지 부호 G는 경면(鏡面)을 형성하는 메탈백(metal back)이며, X는 방폭밴드, 그리고 L은 브라운관(T)의 고정에 사용되는 러그(lug)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브라운관(T)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넷(cabinet; K)에 다른 기계적 또는 회로적 구성부들과 함께 수납되어 화상표시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브라운관(T)은 화상의 표시에 수십 KV의 고전압을 사용하므로 이와같은 전자빔의 형성 및 화상표시 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X선이나 자외선등의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해 전자파는 브라운관(T)의 화면이나 케이싱(K)등을 통해 인체에 조사(照射)되어 눈에 이상을 주는등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유해 전자파의 차단을 위해 종래에는 화면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눈을 보호 하는등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보안기는 화면의 밝기나 해상도를 저하시켜 고정세(高精細)한 화상의 구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원인은 전자파 흡수물질을 브라운관 내외부와 케이싱 내부등에 도포함으로써 유해 전자파를 흡수하도록하는 기술구성을 본원과 동일한 명칭하에 1993년 특허출원 제 31676호로 출원한바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본원인의 선행 특허를 더욱 개량하여 유해 전자파의 흡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킨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는 브라운관의 패널에 형성되는 형광면을 구성하는 블랙매트릭스에 전자파 흡수물질로서 Fe, Zn, Sr, Zr, Ba, Ce, As, Sb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패널(P)의 내면에는 먼저 블랙 매트릭스(B)가 형성된후, 그 사이에 R, G, B 각 형광체(R)가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메탈백(도시안됨)등의 다른 기능막들이 형성되어 형광면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블랙 매트랙스(B)와 형광체(R) 는 각각 사진식각(photo lithoraphy)방법으로 형성되는데, 특히 블랙 매트릭스(B)는 빛의 조사에 따라 점착력이 변화되는 PVA등의 감광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블랙매트릭스(B)는 흑연등 차광물질과 전자파 흡수물질을 함께 포함한다.
즉 블랙매트릭스(B)를 형성하는 용액은 흑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현탁액인바, 이 흑연현탁액에 Fe, Zn, Sr, Zr, Ba, Ce, As, Sb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 분체를 함께 분산시킨다.
이와같이 형성된 현탁액은 일반적인 블랙매트릭스 형성 방법과 같이 감광물질을 도포한후 현탁액을 도포하여 색선별수단(제1도의 N)을 마스크로 하는 노광 및 현상으로 제3도와 같은 구성의 블랙 매트릭스(B)를 얻을 수 있게된다.
이 블랙매트릭스(B)사이에 각 형광체(R)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이와같이 전자파 흡수물질이 포함된 블랙 매트릭스(B)는 전자빔에 의한 형광면의 랜딩시 패널(P)측으로 통과하고자 하는 전자빔에서 유해 전자파를 흡수하여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전자파 흡수물질의 흡수효과는 그 표면적이 클수록 강해지는바, 전자파 흡수물질의 입경(粒徑)이 작을수록 흡수효과가 커지게 된다.
이에따라 전자파 흡수물질은 입경 1㎛이하가 전체의 적어도 50wt%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해 전자파의 주방출 경로인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가 전자파 흡수물질을 포함하여 유해 전자파를 흡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에도 눈에 피로 또는 충혈이 오는 등의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화상표시 장치에 의한 전자파 공해를 방지하여 화상표시장치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브라운관을 이용한 화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운관의 패널 내면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에 전자파 흡수물질로서 Fe, Zn, Sr, Zr, Ba, Ce, As, Sb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흡수물질중 입경 1㎛이하의 것이 50w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
KR1019940003591A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4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591A KR0142823B1 (ko)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591A KR0142823B1 (ko)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821A KR950025821A (ko) 1995-09-18
KR0142823B1 true KR0142823B1 (ko) 1998-07-15

Family

ID=1937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591A KR0142823B1 (ko) 1994-02-26 1994-02-26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176B1 (ko) * 2000-11-28 2007-06-25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블랙스트라이프에 필터기능이 첨가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176B1 (ko) * 2000-11-28 2007-06-25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블랙스트라이프에 필터기능이 첨가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821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6394A (en) Image display employing filter coated phosphor particles
US3879627A (en) Display tube with neutral density filtration
US4245242A (en) Contrast enhancement of multicolor displays
KR100199557B1 (ko) 플리커리스 브라운관용 형광막 및 그 제조 방법
US3873868A (en) Display tube with color selective filtration
US3610994A (en) Cathode-ray tubes of television type for x-rays protection
EP0613167B1 (en) Display device
US3638060A (en) Phosphor display screen and filter including platinum and manganese chloride derivatives of tetraphenylporphin
DE3308359C2 (ko)
KR0142823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20020090091A (ko) 균일하게 광을 흡수하는 씨알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사용하기 위한 카본 블랙 코팅
KR0156497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42824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83473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83472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KR0183474B1 (ko) 유해전자파 흡수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US6825604B2 (en) Phosphor screen and cathod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same
US587187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display device comprising color-filter layers
US3858081A (en) Cathode ray tube screen structure utilizing adjuvant excitation
GB2240213A (en) Colour display device
EP0883155B1 (en) Colour picture tube
US4217520A (en) Image display faceplate having a chromatic matrix
US6094005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fluorescent substance particles with wave length selective layer
US5798607A (en) Phosphor search including a non-pigmented phosphor and RGB phosphor elements for a CRT
KR0130371B1 (ko) 칼라 음극선관의 유해전자파 차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