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097B1 -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097B1
KR0182097B1 KR1019960048188A KR19960048188A KR0182097B1 KR 0182097 B1 KR0182097 B1 KR 0182097B1 KR 1019960048188 A KR1019960048188 A KR 1019960048188A KR 19960048188 A KR19960048188 A KR 19960048188A KR 0182097 B1 KR0182097 B1 KR 018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ereo slide
screen
focus plat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977A (ko
Inventor
미노루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나바 filed Critical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to KR101996004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0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02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 G03B23/04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with linear movement
    • G03B23/048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with linear movement with horizontally slid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1Slide proj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롤 필름을 절단함이 없이 입체 화상을 감상할 수 있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를 제공한다.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1)의 테이블(2)의 후방에는 롤 필름(F)을 이송하기 위한 필름 피더(3)가 장착되고, 테이블(2)의 중간부에는 한쌍의 우측 및 좌측 투영렌즈(5R, 5L)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2)의 전방에는 한쌍의 우측 및 좌측 초점판(9R, 9L)이 장착되고, 그 초점판(9R, 9L)에 대치하여 접안렌즈(11R, 11L)가 설치되어 있다. 반원형 반사판(12)과 조명용 전구(13)에 의해 필름 피더(3)의 배면을 조사(照射)하고, 필름 피더(3)의 창들을 통해 1세트의 화상을 우측 및 좌측 초점판(9R, 9L)상에 결상(結像)시킨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본 발명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viewer)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moun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roll)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필름 위치결정 수단을 갖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는, 1개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장전하여 두 눈으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한 구조이고, 현상된 롤 필름을 각 프레임에서 절단하여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장착하여, 감상하고 있는데, 이 경우, 절단하지 않고 권취된 롤 필름의 상태에서 감상할 수 있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가 있으면 편리하다.
또한, 최종적으로 각 프레임에서 롤 필름을 절단하여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장착하는 경우라도, 롤 필름의 상태에서 적절한 화면 마스크량을 검정(檢定)할 수 있다면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장착작업의 효율 향상에 유익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것은, 렌즈 이동기구를 갖지 않는 일반의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슬라이드를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장착할 때는 좌우 촬영렌즈의 시야차에 의해 좌측 화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화면의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생기는 비중복부분을 마스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마스크할 폭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증감하기 때문에, 창폭이 상이한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부터 적절한 창폭을 갖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선택하거나, 좌우 필름의 간격을 조정하는 작업을 요하는데, 지금까지는, 이 장착작업이 수작업으로 행해졌고,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정도가 크고, 마운트 선택의 오류나 필름장착 위치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롤 필름의 상태에서 입체 화상을 관찰할 수 있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와, 롤 필름의 상태에서 장착할 때에 화면 마스크량을 검정할 수 있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와, 장착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영렌즈와 초점판과 접안렌즈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좌우측 광학계와, 필름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에 한쌍의 창을 가지는 필름 피더(feeder)를 구비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롤 필름의 상기 한쌍의 창내의 화면을 좌우의 상기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여 두 눈으로 입체 화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의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와,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간격 조절기구의 연동기구를 설치하여, 투영확대율에 상관없이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좌우의 초점판의 내측 가장자리와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일치시키도록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피더의 한쌍의 창의 위 또는 아래에 펀치장치를 장착하여, 필름 피더에 장전된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의 소정 위치에 노치(notch)를 성형할 수 있게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와, 2개의 사각형 창을 병설한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서, 펀치 장치에 의해 성형된 필름의 노치에 결합하여 2매의 필름의 화면을 각각의 상기 창에 합치시키는 위치결정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필름 배치면상에 설치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제공한다.
제1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의 평면도.
제2도는 수동 필름 피더의 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투영렌즈의 광축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배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촬영된 135 롤 필름의 정면도.
제5도는 초점판의 컷팅 마크 투영부의 정면도.
제6도는 모터 구동형 필름 피더의 사시도.
제7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의 평면도.
제8도는 마스크량 검정(檢定)용 초점판의 정면도.
제9도는 펀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펀치장치에 의해 노치(notch)를 형성한 필름의 정면도.
제11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하가 전도된 커버 프레임의 배면도, (b)는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 (c)는 (a)의 단면도, (d)는 (b)의 단면도.
제12(a)도~제12(d)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5에 기재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커버 프레임의 상하가 전도된 배면도.
제13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의 평면도.
제14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의 펀치 장치와 초점판의 연동기구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 : 테이블
3, 31 : 필름 피더 4R, 4L : 투영렌즈 홀더
5R, 5L : 투영렌즈 7 : 렌즈간격 조절노브
8R, 8L : 초점판 홀더 9R, 9L : 초점판
10R, 10L : 접안렌즈 홀더 11R, 11L : 접안렌즈
12 : 반사판 13 : 조명용 전구
14 : 필름 가이드 테이블 15 : 누름 커버
16R, 16L : 창 17 : 스프로켓 휘일
18 : 이송 노브 19 : 컷팅 마크 투영창
20 : 프레임번호 투영창 21 : 컷팅 마크 투영부
22 : 프레임번호 투영부 31 : 모터 구동형 피름 피더
32 : 누름 커버 33 : 컷팅 마크 투영창
34 : 광학식 센서 35 : 권취 모터
36 : 권취 스풀 37 : 필름 가이드 테이블
38R, 38L : 창 39R, 39L : 화면 마스크 셔터
49 : 초점판간격 조절노브 57 : 다이얼
50, 51 : 캠판 52, 53 : 태핏 로드
56 : 마스크량 검정용 초점판 61 : 펀치장치
68 : 조작 레버 71 : 커버 프레임
72 : 베이스 프레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1)를 나타내며, 테이블(2)의 후방에, 권취된 롤 필름(F)을 이송하기 위한 필름 피더(3)를 장착하고, 테이블(2)의 전후 중간부에는 한쌍의 우측 및 좌측 투영렌즈 홀더(4R, 4L)를 설치하고, 그 투영렌즈 홀더(4R, 4L)에 투영렌즈(5R, 5L)를 장착하고 있다. 투영렌즈 홀더(4R, 4L)에는 너트를 성형하고, 테이블(2)에 설치된 이송 스크루(6)와 투영렌즈 홀더(4R, 4L)의 너트가 볼 스크루 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송 스크루(6)에는 중간부로부터 좌우측으로 대칭적으로 좌나사와 우나사가 절삭되어 있고, 이송 스크루(6)의 단부에 장착된 렌즈간격 조절노브(knob)(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우측 및 좌측 투영렌즈 홀더(4R, 4L)를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 또는 접근시켜, 투영렌즈(5R, 5L)의 광축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테이블(2)의 전방에는 한쌍의 우측 및 좌측 초점판 홀더(8R, 8L)를 장착하고, 그 초점판 홀더(8R, 8L)에 전체 매트(mat)면의 초점판(9R, 9L)을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블(2)의 전방 단부에는 초점판(9R, 9L)에 대치하여 접안렌즈 홀더(10R, 10L)를 고정하고, 그 접안렌즈 홀더(10R, 10L)에 접안렌즈(11R, 11L)를 장착하고 있다. 접안렌즈(11R, 11L)는 경통(鏡銅)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눈에 맞도록 시도(視度)를 조절할 수 있다. 초점판(9R, 9L)과 접안렌즈(11R, 11L)의 중심 피치(pitch)는 사람의 두 눈 사이의 표준 피치인 약 63.5 ㎜ 전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2)의 후단부에는 반원형 반사판(12)을 설치하고, 그 반사판(12)과 필름 피더(3)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조명용 전구(13)를 설치하여 산광(散光) 광원을 구성하여, 필름 피더(3)의 배면을 균일하게 조사(照射)한다.
제2도는 필름 피더(3)를 나타내며, 필름의 폭과 동일한 폭의 안내홈을 가진 필름 가이드 테이블(14)에 개폐가능한 누름 커버(15)가 피봇 설치되어 있다. 필름 가이드 테이블(14)과 누름 커버(15)에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배열 포맷의 것에 대응하는 크기 및 피치의 창(16R, 16L)이 우측 및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도의 필름 피더(3)는, 좌우 한쌍의 화면 사이에 다른 세트의 하나의 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화면배열 포맷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필름 피더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 외에, 좌우 한쌍의 화면이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좌우 한쌍의 화면 사이에 다른 2세트의 화면이 2개의 프레임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양한 화면 피치의 스테레오 카메라가 있고, 그 필름 피더는 각각의 스테레오 카메라용의 창 피치의 필름 피더로 교환될 수 있다.
필름 피더(3)를 교환한 경우는, 렌즈간격 조절노브(7)를 조작하며, 제3(a)도 및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초점판(9R, 9L)의 중심과 필름 피더(3)의 창(16R, 16L)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투영렌즈(5R, 5L)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투영렌즈(5R, 5L)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한 세트의 화상을 우측 및 좌측 초점판(9R, 9L)상에 결상(結像)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 피더에 전기접점 또는 종류 식별구멍 등의 식별수단을 마련하고,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본체에 전기적 혹은 자기(磁氣)식 또는 광학식 센서를 설치하여 필름 피더 식별기구를 구성하고, 투영렌즈(5R, 5L)의 간격 조절기구에 모터를 배치하여, 제어부에 의해 필름 피더의 종류에 따라 투영렌즈(5R, 5L)의 간격을 자동조절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2도에 나타낸 필름 피더(2)는 135 필름용의 것이다. 135 필름의 구멍에 결합되는 스프로켓 휘일(17)이 필름 가이드 테이블(14)에 장착되어 있고, 그 스프로켓 휘일(17)의 축의 단부에 설치된 이송 노브(18)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롤 필름(F)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필름 가이드 테이블(14)의 양단부에 필름 공급 스풀과 필름 권취 스풀을 장착하여 일반 카메라와 유사한 감기 및 되감기 기구를 제공하여, 필름 공급 스풀로부터 필름 권취 스풀에 롤 필름을 공급하여 감고, 감상후에는 필름 공급 스풀에 되감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스프로켓 휘일(17)에 의한 이송기구 대신에, 핀치 로울러에 의한 이송기구나 권치 스풀 구동기구를 사용하여, 120 롤 필름 등의 구멍을 갖지 않는 필름을 이송할 수도 있다.
제4도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배열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135 롤 필름의 선두로부터 1R, 2R, 1L, 2L, 3R, 4R, 3L, 4L, .....의 순서로 화면이 배치되어 있고, 각 화면에는 상하좌우가 전도된 화상이 노광(露光)된다. 롤 필름(F)상의 상하좌우가 전도된 화상은, 스테레오 카메라 뷰어(1)의 투영렌즈(5R, 5L)에 의해 반전되어 초점판(9R, 9L)상에 정립상으로서 결상하여, 우측 및 좌측 접안렌즈(11R, 11L)를 통해 정립 입체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F)의 화면 사이에 절단 목표가 되는 컷팅 마크(CM)와 프레임번호(nR, nL)를 촬영시에 노광시키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안(일본국 특허출원 평7-172453호)하였는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가이드 테이블(14)과 누름 커버(15)에 컷팅 마크 투영창(19)과 프레임번호 투영창(20)을 형성하고, 초점판(9R)에 컷팅 마크 투영부(21)와 프레임번호 투영부(22)를 형성하여, 필름(F)의 화면과 창(16R, 16L)과의 정확한 위치맞춤 및 프레임 번호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판(9R)의 컷팅 마크 투영부(21)에는 컷팅 마크(CM)와 유사한 지표선(指標線)(LREF)이 인쇄되어 있고, 지표선(LREF)과 초점판(9R)의 화면영역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롤 필름(F)상의 촬영화면과 컷팅 마크(CM)의 위치관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컷팅 마크 투영부(21)에 투영된 컷팅 마크(CM)를 지표선(LREF)에 일치시키면, 창(16R, 16L)과 필름(F)의 화면의 위치가 일치한다.
또한, 컷팅 마크(CM)를 이용하여 필름 이송을 자동화할 수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구동형 필름 피더(31)의 누름 커버(32)의 컷팅 마크 투영창(33)에 광학시 센서(34)가 설치되고, 이 광학식 센서(34)의 컷팅 마크 검출신호에 따라 권취 모터(35)를 제어하는 이송 제어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롤 필름(F)의 선단부를 권취 스풀(36)에 고정시키고, 필름 가이드 테이블(37)에 누름 커버(32)를 겹쳐 놓은 다음, 이송 버튼 등의 조작수단에 의해 이송 제어기에 이송실행신호를 입력하면, 권취 모터(35)가 회전 구동되어 롤 필름(F)을 감는다. 제1화면의 컷팅 마크(CM)가 광학식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시점에서, 권취를 정지하고, 제1세트의 화면이 창(38R, 38L)에 위치된다.
그리고,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송 제어기에 의해 프레임 이송 또는 한 프레임 되감기가 실행되어, 해당하는 컷팅 마크를 광학식 센서(34)가 검출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버튼의 조작만으로 연속적으로 스테레오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제4도에 나타낸 화면배열 포맷의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롤 필름에 있어서는, 1R 및 1L 세트를 감상한 후에 필름을 1프레임 만큼 이송하면, 2R 및 2L이 창에 나타나고, 그 다음, 3R 및 3L을 관찰하기 위해 3프레임을 이송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1프레임 이송과 3프레임 이송을 교대로 행하는 수고가 요구되는데, 이 수고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모터에 의한 권취기구를 이송 제어기에 의해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배열 포맷에 의거하여 자동제어하는 수단이 유효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권취의 자동제어수단으로서는, 롤 필름의 가장자리에 자기기록 재료를 코팅하여 위치 정보와 프레임번호 정보를 기록하고, 필름 가이드 테이블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수단이 있다. 이 경우에는, 필름 가이드 테이블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고, 데이터 기록/재생기에 의해 롤 필름에 위치 정보와 프레임번호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자기 헤드와 데이터 기록/재생기를 설치하여 촬영시에 정보를 필름에 기록한다.
필름 피더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는, 먼저 롤 필름을 필름 피더에 장착하고,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필름을 이송하여 화면을 창에 위치맞춤하고, 그 위치에서 데이터 기록/재생기를 조작하여 정보를 각 화면 마다에 기록한다.
자기기록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는, 위치 정보와 프레임번호 정보 이외에 여러가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롤 필름중의 촬영에 실패한 화면 등에는 점프(jump) 정보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이송조작시에 불필요한 화면을 자동적으로 뛰어넘어 다음의 화면으로 옮겨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1)는 좌우의 화면의 시야율이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은 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 조절기구를 갖는 스테레오 카메라(일본국 특허출원 평6-252229호)에서, 촬영거리에 따라 패럴랙스(parallax)를 교정하여 촬영한 필름에 대하여서는 모든 화면에서 최적의 스테레오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축간 거리 조절기구를 갖지 않은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에 있어서는, 피사체의 촬영거리에 따라 스테레오 효과가 부자연스럽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초점판(9R, 9L)의 외측을 차폐하는 화면 마스크 셔터(39R, 39L)를 설치하거나, 또는 필름 피더(3)의 좌우측 창의 내측을 차폐하는 셔터를 설치하여, 촬영상태에 따라 정립화면의 외측영역을 적절히 차폐함으로써 최적의 스테레오 효과로 감상할 수 있다. 화면 마스크 셔터(39R, 39L)를 이송 스크루 등에 의해 좌우 대칭으로 연동시키는 조절기구를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면 좋다. 또한, 시험감상에 의해 각 화면 마다의 마스크량을 결정하고, 그 마스크량을 전술한 자기기록정보로서 필름(F)에 기록하고, 제어기에 의해 셔터 구동모터를 자동제어하도록 구성하면 수동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제7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41)는, 슬라이드 가이드 테이블(42)의 후방에 전술한 수동 또는 모터 구동형 필름 피더(31)를 장착하고, 이 필름 피더(31)의 전방에 투영렌즈 베이스(43)를 장착하여, 필름 피더(31)와 투영렌즈 베이스(43)가 광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되어 있다. 투영렌즈 베이스(43)에는 한쌍의 투영렌즈 홀더(44R, 44L)가 장착되고, 이 투영렌즈 홀더(44R, 44L)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볼 스크루에 의한 렌즈간격 조절기구가 설치되어, 투영렌즈(45R, 45L)의 광축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 테이블(42)의 전방에는 한쌍의 우측 및 좌측 초점판 홀더(46R, 46L)가 장착되고, 이 초점판 홀더(46R, 46L)의 초점판(47R, 47L)은 교환가능하다. 그리고, 제1도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1)와 유사하게, 슬라이드 가이드 테이블(42)의 전방단부에는 초점판(47R, 47L)에 대치하여 접안렌즈 홀더(10R, 10L)가 설치되어 있고, 접안렌즈 홀더(10R, 10L)의 접안렌즈(R, L)의 경통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시도(視度)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 테이블(42)의 후방단부에 반원형 반사판(12)과 조명용 전구(13)에 의한 산광 광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초점판 홀더(46R, 46L)는 투영렌즈 홀더(44R, 44L)와 유사하게 볼 스크루 기구에 장착되어 있고, 볼 스크루 기구의 이송 스크루(48)는 좌측이 우나사이고 우측이 좌나사로 되어 있다. 이송 스크루(48)의 단부에 장착된 초점판간격 조절노브(49)를 회전시킴으로써 우측 및 좌측 초점판 홀더(46R, 46L)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 또는 접근할 수 있고, 초점판(47R, 47L)의 피치에서 기준 피치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크루(48)의 중간부위에는 필름 피더(31)와 투영렌즈 베이스(43)를 개별적으로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2개의 캠판(50, 51)이 장착되어 있다. 필름 피더(31)와 캠판(50) 사이 및 투영렌즈 베이스(43)와 캠판(51) 사이에는 각각 태핏 로드(52, 53)가 설치되어 있고, 필름 피더(31)와 투영렌즈 베이스(43)는 인장 코일 스프링(54, 55)에 의해 힘이 가해져 태핏 로드(52, 53)를 통하여 캠판(50, 51)에 눌려 접촉하여 있다. 따라서, 초점판간격 조절노브(49)를 회전시킴으로써, 캠판(50, 51)의 회전에 필름 피더(31)와 투영렌즈 베이스(43)가 연동하여, 1:1 화상배율의 최전방 위치와 후방의 확대투영 위치와의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2개의 캠판(50, 51)은, 필름 피더(31)와 투영렌즈 베이스(43)의 이동범위내에서 초점판(47R, 47L)상의 투영화상이 항상 초점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비율이 되도록 형성되어, 투영화면을 임의의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필름 피더(31)와 투영렌즈 베이스(43)를 투영화면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초점판 홀더(46R, 46L)가 연동하여 그의 간격이 접근하고, 우측 및 좌측 초점판(47R, 47L)상의 정립 화상은 초점판(47R, 47L)의 화면틀에 의해 외측이 차폐(마스크)된다.
이때,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실제 화면폭과 초점판(47R, 47L)의 화면폭이 30 ㎜라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슬라이드의 화면을 30/29로 확대투영한 때 투영화면 폭은 30 × 30/29 = 31.034 (㎜)가 되고, 초점판(47R, 47L)의 화면폭 30 ㎜와의 차이는 31.034 - 30 = 1.034 (㎜)이다. 즉, 초점판(47R, 47L)이 제7도에 나타낸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확대투영화면은 초점판(47R, 47L)의 좌우 외측으로 각각 1.034/2 = 0.517 (㎜)를 초과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송 스크루(48)의 피치는 예를 들어, 투영확대율이 30/29인 때, 우측 및 좌측 초점판 홀더(46R, 46L)가 각각 내측으로 0.517 ㎜ 이동하는 피치이다. 투영확대율에 상관없이 초점판(47R, 47L)의 화면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와 슬라이드 투영화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일치시켜, 투영화면의 외측 영역이 초점판의 외측을 초과하여 마스크되고, 마스크면적이 투영확대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광학간 거리 조절기구를 갖지 않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된 롤 필름을 감상할 때는, 촬영상태에 따라 투영확대율을 조절하고, 화면의 외측 영역을 적당히 마스크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스테레오 효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41)는, 전체 매트면의 초점판(47R, 47L)을,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선을 주체로 한 시준(視準) 패턴(CP)을 갖는 마스크량 검정(檢定)용 초점판(56)으로 교환함으로써 필름을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장착할 때의 마스크량 안내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마스크량 안내장치로서 사용할 때는, 초점판간격 조절노브(49)를 회전시키면서 입체 화상을 관찰하고, 근경(近景) 피사체의 전후 위치가 우측 및 좌측 마스크량 검정용 초점판(56R, 56L)의 시준 패턴(CP)과 거의 동일한 때나, 또는 시준 패턴(CP)의 깊이로 보이는 상태에서의 마스크량이 적절한 마스크량으로 되고, 이 조건에 부합하는 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필름을 장착함으로써 정확한 입체 화상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판간격 조절노브(49)의 다이얼(57)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또는 프레이밍(framing) 마스크(필름 위치결정 핀을 가지고 창폭이 상이한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또는 프레이밍 마스크)(일본국 특허출원 평8-29177호)의 번호의 각각의 화면 차폐율에 대응하는 회전위치에 마운트번호와 동일 숫자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초점판간격 조절노브(49)를 돌려, 근경 피사체가 마스크량 검정용 초점판(56R, 56L)의 시준 패턴(CP)과 거의 동일한 전후 위치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시준 패턴(CP)의 깊이로 보이는 상태가 될 때 다이얼(57)의 숫자를 보면, 적절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또는 프레이밍 마스크의 번호가 인식될 수 있고, 장착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120 필름 처럼 구멍을 갖지 않는 필름에 대해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피더(31)에 펀치장치(61R, 61L)를 설치함으로써 135 필름과 유사하게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펀치장치(61)의 다이(62)는 필름 피더(31)의 필름 가이드 테이블(37)에 연결되어 있고, 다이(62)에 펀치 홀더(63)와 필름 누름 아암(64)을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다이(62)와 필름 누름 아암(64), 및 필름 누름 아암(64)과 펀치 홀더(63)에는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65, 66)이 장착되어 있고, 펀치 홀더(63)와 필름 누름 아암(64)이 다이(62)로부터 부상(浮上)하여 있다. 펀치 홀더(63)의 상방에는 캠(67)이 배치되어 있고, 캠축에 고정된 조작 레버(68)를 회전시킴으로써 펀치 홀더(63)와 필름 누름 아암(64)이 하강한다.
캠(67)이 펀치 홀더(63)의 상면을 밀면, 펀치 홀더(63)와 필름 누름 아암(64)이 일체적으로 하강하고, 필름 누름 아암(64)과 다이(62)에 의해 필름이 압착되어 고정된다. 그 다음, 조작 레버(68)를 더 회동시키면, 펀치 홀더(63)가 압축 코일 스프링(66)을 압축하여 하강하고, 펀치 홀더(63)의 선단에 장착된 펀치(69)가 다이(62)에 결합하여 필름(F)의 가장자리를 펀칭하고, 그에 따라 노치(notch)가 성형된다.
또한, 스테레오 슬라이드는, 한 프레임 마다 절단한 경우에 우측 필름과 좌측 필름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지만, 우측 및 좌측 펀치장치(61R, 61L)의 펀치와 다이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필름(FR)과 좌측 필름(FL)의 노치(NR, NL)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우측 필름(FR)과 좌측 필름(FL)을 판별할 수 있다.
제11도는 (a) 커버 프레임(71)과 (b)의 베이스 프레임(72)에 의해 구성된 120 필름용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나타낸다. 베이스 프레임(72)에 형성된 오목한 필름 배치부(73)의 상부 가장자리에, 필름의 노치에 결합하는 형상의 돌기(74R, 74L)가 마련되어 있고, 그 돌기(74R, 74L)는 각각 우측 및 좌측 창의 중심선 상에 위치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72)과 결합하는 커버 프레임(71)에는, 베이스 프레임(72)의 필름 배치부(73)에 결합하는 돌출된 필름 누름부(75)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필름 누름부(75)는 베이스 프레임(72)의 돌기(74R, 74L)에 대응하는 홈(76R, 76L)을 가지는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는, 전술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또는 프레이밍 마스크와 유사하게, 베이스 프레임(72)의 우측 및 좌측 창(77R, 77L)의 피치(P1)를 사람의 두 눈의 피치에 가까운 대략 63.5 ㎜ 전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77R, 77L)의 애스팩트(aspect)비는 슬라이드 필름(F)의 화면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고, 따라서 필름(F)의 전체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프레임 마다 절단한 1세트의 슬라이드 필름(F)을 필름 배치부(73)에 배치하고 노치(NR, NL)를 돌기(74R, 74L)와 결합시키면, 창(77R, 77L)의 중심과 슬라이드 필름(F)의 화면의 중심이 일치한다.
또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 종류의 베이스 프레임(72)과 결합하는 커버 프레임(71)은, 우측 및 좌측 창(78R, 78L)의 간격 및 창폭이 베이스 프레임(72)의 창간격(C1) 및 창폭(W0)과 동일한 것(#0)으로부터, 창간격(C1)은 동일하고 창폭(W)이 점차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다수 종류의 것(#1, #2, #3, .....)이 준비된다.
그리고,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41)를 이용한 마스크량 검정작업에 의해 얻어진 번호의 커버 프레임(71)을 베이스 프레임(72)에 결합하면, 촬영 상태에 따라 적절한 화면 마스크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작성할 수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81)에는 투영배율 조절기구는 없고, 제7도에 나타낸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41)의 것들과 동일한 투영렌즈(45R, 45L)의 간격 조절기구와 초점판(47R, 47L)의 간격 조절기구가 배치된다. 펀치장치(61R, 61L)는 필름 피더(31)의 필름 가이드 테이블(37)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투영렌즈 홀더(44R, 44L)에는 각각 레버(82R, 82L)가 수평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레버(82R, 84L)의 회동지점은 투영렌즈(45R, 45L)의 광학적 중심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82R, 82L)의 일단은 초점판 홀더(46R, 46L)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펀치장치(61R, 61L)에 결합되어 있다. 초점판간격 조절노브(49)를 회전시켜 초점판 홀더(46R, 46L)를 접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펀치장치(61R, 61L)의 간격이 대칭적으로 증가하고, 필름(F)에 형성된 노치(NR, NL)의 위치도 상하좌우가 전도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즉, 정립 화면의 내측으로 편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노치를 형성한 필름을 1프레임 마다 절단하고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장착하면, 필름의 피사체 거리가 가까울수록 화면의 피치가 확대되어, 정립 화면의 외측 영역이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마스크되고, 근경 피사체의 패럴랙스가 교정되며, 촬영 상태에 따라 적절한 화면 마스크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가 작성될 수 있다.
이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81)에 의해 필름(F)에 노치(NR, NL)를 형성한 경우에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화면 피치보다도 필름의 화면 피치가 확대되어 장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면 내측의 화면 가장자리가 마운트의 창폭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창폭을 약간 좁게 형성할 필요가 생기지만, 노치 위치가 고정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41)와는 다르게, 마스크량을 검정하여 적합한 커버 프레임(71)의 번호를 기록하고 여러가지 창폭의 커버 프레임(71)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일정 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필름을 획일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투영배율 변경기구와 초점판간격 조절기구로서는, 도시한 수동식의 것 대신에, 각 가동부를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각 가동부에 전기적, 혹은 자기식 또는 광학식 위치 센서를 장착하여 위치 제어기에 의해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각 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이 그러한 변경된 것에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는 권취된 롤 필름을 그대로 감상할 수 있어,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하나씩 교환하는 수고가 제거되고, 하나의 필름을 연속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필름을 장착하는 경우이라도, 1프레임 마다 절단되기 전에 적절한 마스크량을 검정할 수 있어, 마운트 처리의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또한, 펀치장치를 갖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에 의해 120 필름 등의 구멍이 없는 필름에 노치가 형성하여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필름을 장착하면, 필름이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스테레오 사진의 입체시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장착작업의 복잡성과 부정확성이 해소된다.

Claims (25)

  1. 투영렌즈와 초점판과 접안렌즈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좌우측 광학계와, 필름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에 한쌍의 창을 가지는 필름 피더를 구비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롤 필름의 상기 한쌍의 창내의 화면을 좌우의 상기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여 두 눈으로 입체 화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 투영렌즈와 초점판과 접안렌즈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좌우측 광학계와, 필름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에 한쌍의 창을 가지는 필름 피더를 구비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롤 필름의 상기 한쌍의 창내의 화면을 좌우의 상기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함과 함께, 화상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간격 조절기구와, 상기 화상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간격 조절기구의 연동기구를 설치하여, 투영확대율에 상관없이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상기 좌우의 초점판의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일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초점판의 외측으로부터 화면영역내로 진출가능한 화면 마스크 셔터를 설치하여, 좌우측 화면의 외측영역의 마스크량을 가변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구를 설치하여, 좌우측 화면의 외측영역의 마스크량을 가변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5. 제1항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상기 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를 조절하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를 교환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을 교환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에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에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피더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고, 자성체를 피복한 필름에 데이터 기록/재생기와 상기 자기 헤드를 통해 화면위치 정보 및 프레임번호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에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피더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고, 자성체를 피복한 필름에 데이터 기록/재생기와 상기 자기 헤드를 통해 화면위치 정보, 프레임번호 정보 및 화면 마스크량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와, 화면 마스크 셔터기구 또는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 또는 상기 화상투영배율 조절기구 및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의 한쌍의 창의 위 또는 아래에 펀치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의 소정 위치에 노치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를 설치하여, 좌우측 화면의 외측영역의 마스크량을 가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필름 피더의 한쌍의 창의 위 또는 아래에 펀치장치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에 노치를 성형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와 상기 펀치장치의 간격 조절기구와의 연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연동기구는, 좌측의 초점판과 좌측의 펀치장치가 좌측의 투영렌즈의 광학적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동하고, 우측의 초점판과 우측의 펀치 장치가 우측의 투영렌즈의 광학적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펀치장치의 펀칭 형상을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4. 2개의 사각형 창을 병설한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서, 펀치장치에 의해 성형된 필름의 노치에 결합하여 2매의 필름의 화면을 각각의 상기 창에 합치시키는 위치결정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필름 배치면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좌우측 창 사이의 폭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창들 사이의 폭과 동일하고, 또한, 창폭이 필름의 화면폭에 대하여 점차 감소하는 다수 종류의 커버 프레임을 작성하고, 그 커버 프레임을 선택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의 좌우 외측의 차폐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16. 제2항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상기 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를 조절하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를 교환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을 교환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에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에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피더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고, 자성체를 피복한 필름에 데이터 기록/재생기와 상기 자기 헤드를 통해 화면위치 정보 및 프레임번호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에 모터 구동형 필름 이송기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피더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고, 자성체를 피복한 필름에 데이터 기록/재생기와 상기 자기 헤드를 통해 화면위치 정보, 프레임번호 정보 및 화면 마스크량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형 필름이송기구와, 화면 마스크 셔터기구 또는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 또는 상기 화상투영배율 조절기구 및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더의 한쌍의 창의 위 또는 아래에 펀치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의 소정 위치에 노치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를 설치하여, 좌우측 화면의 외측영역의 마스크량을 가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필름 피더의 한쌍의 창의 위 또는 아래에 펀치장치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필름 피더에 장전된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에 노치를 성형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와 상기 펀치장치의 간격 조절기구와의 연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연동기구는, 좌측의 초점판과 좌측의 펀치장치가 좌측의 투영렌즈의 광학적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동하고, 우측의 초점판과 우측의 펀치 장치가 우측의 투영렌즈의 광학적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펀치장치의 펀칭 형상을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을 시준 패턴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초점판으로 교체할 수 있게 형성된 초점판 홀더가 설치되고, 화상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간격 조절기구의 상기 연동기구가, 화면창의 폭이 단계적으로 상이하게된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 이루어진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에 대응한 숫자와 조작된 변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서의 투영된 화상의 화면 차폐율과 동일한 화면 차폐율을 가지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를 나타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KR1019960048188A 1996-10-25 1996-10-25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KR018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188A KR0182097B1 (ko) 1996-10-25 1996-10-25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188A KR0182097B1 (ko) 1996-10-25 1996-10-25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77A KR19980028977A (ko) 1998-07-15
KR0182097B1 true KR0182097B1 (ko) 1999-05-15

Family

ID=1947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188A KR0182097B1 (ko) 1996-10-25 1996-10-25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0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77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969A (en) Stereographic projecting an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4464028A (en) Motion picture system for single strip 3-D filming
US4494864A (en) Apparatus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DE19632774A1 (de) Stereokamera
US5685626A (en)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EP00029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a plurality of film frames each containing an image of the same subject
US5879064A (en) Masking-amount guide device for stereo slide
US5720538A (en) Stereo slide viewer and stereo slide mount
US5947575A (en) Stereo slide viewer and stereo slide mount
GB2336917A (en) Stereo slide mount
KR0182097B1 (ko)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CA2275273C (en) Stereo camera
US4125849A (en) Three dimension camera having a film holder
JP2880134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ビューワ及び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
US4107712A (en) Camera for taking three dimensional photographs having screen moving means
US4109262A (en) Three dimensional camera having lenticular screen moving apparatus
US5722751A (en)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US4166684A (en) Three dimension camera having a film holder
JP3253019B2 (ja) ステレオカメラ
CN1089448C (zh) 立体幻灯放映机
KR100350579B1 (ko) 스테레오 카메라
JP3067774B1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並びにステレオカメラ
SE516657C2 (sv) Stereodiabildstittapparat
KR100272381B1 (ko) 스테레오카메라
KR100210873B1 (ko) 스테레오 스라이드 마운드 및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