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786B1 -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 Google Patents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786B1
KR0181786B1 KR1019950067212A KR19950067212A KR0181786B1 KR 0181786 B1 KR0181786 B1 KR 0181786B1 KR 1019950067212 A KR1019950067212 A KR 1019950067212A KR 19950067212 A KR19950067212 A KR 19950067212A KR 0181786 B1 KR0181786 B1 KR 018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iston rod
sleeve
regulator
duralu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748A (ko
Inventor
임상호
조길준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5006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786B1/ko
Publication of KR97004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using a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식 비례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절기 케이스 내부의 피스톤로드 하부 중앙에 조합형 자장발생기와 스틸슬리브, 두랄루민슬리브를 설치하고 피스톤로드의 유로의 양측에는 스프링에 의해 첵크볼을 설치하여 두랄루민슬리브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압력의 결정하는 것에 의해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첵크볼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강성에 의해서도 유량을 조절하여 유랑의 흐름조절을 용이하게 한 후, 댐버에 적용시켜 댐버의 감쇠력을 임의의 원하는 값으로 조절토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본 발명은 가해진 충격을 유체의 흐름에 따라 완충시키는 쇽압쇼바 등의 단방향 유로조절기에 있어서,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이션 챔버의 각 압력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견인식 비례작용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로써 조절하도록 하고 이 조절작용에 따라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한 댐퍼의 감쇠력을 임의의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압쇼바등에는 이의 케이스 내에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이션 챔버를 구비하고 이들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에 유로를 형성하여 이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압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쇽압쇼바 등에 적용하는 종래의 단방향 유로조절기는 조절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하는 피스톤 로드가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이션 챔버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에 따라 승강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었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작동에 따라 형성되는 유로로 압력을 가진 유체가 통과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상기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이션 챔버에서 피스톤 로드가 승강하게 되고 이의 승강시 상기 챔버들의 압력차에 의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강에 따른 압력과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에 설치되는 댐퍼가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감쇠력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절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 하부에 조합형 자장 발생기와 스틸 슬리브, 두랄루민 슬리브 및 솔레노이드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유로 양측에는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작동하는 첵크볼을 설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두랄루민 슬리브가 승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유로조절기를 댐퍼에 적용시켜 댐퍼의 감쇠력을 임의의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단방향 유로조절기의 전체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절기 케이스 2 : 피스톤 로드
3 : 오링 4 : 로드
5 : 조합형 자장 발생기 6 : 영구자석
7 : 솔레노이드 8 : 스틸 슬리브
9 : 두랄루민 슬리브 10 : 유로
11, 12, 15, 16 : 첵크볼 13, 14, 14' : 스프링
17, 17' : 지지판 A : 리바운드 챔버
B : 컴프레이션 챔버
본 발명은 조절기 케이스(1)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2)를 오링(3)을 환설한 상태로 설치하여 리바운드 챔버(A)와, 컴프레이션 챔버(B)가 형성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2)의 내부 중앙에 스틸슬리브(8)와 두랄루민 슬리브(9)가 상하에 설치되는 로드(4)를 설치하고 상기 슬리브(8)(9)들의 사이에는 영구자석(6)과 솔레노이드(7)를 조합한 조합형 자장 발생기(5)를 설치하여 상기 로드(4)가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2)의 하부 양측에는 유로(10)를 형성하되, 이 유로(10)의 일측에는 상하 첵크볼(11)(12)을 내향되게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하고, 유로(10)의 타측에는 스프링(14)(14')으로 탄력설치되는 외향 첵크볼(15)(16)을 지지판(17)(17')으로 지지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는 조절기 케이스(1)의 피스톤 로드(2)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6)과 솔레노이드(7)를 조합한 조합형 자장 발생기(5)와 로드(4)의 상측에 고정설치된 스틸슬리브(8) 사이에 존재하는 자장 견인력을 사용하여 밸브의 강성을 조절한다.
이때 두요소간의 상기 견인력은 양자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제2도에서와 같이 초기 열림강성은 매우 강한 반면, 후기 열림강성은 매우 약한 특성을 갖는다.
즉,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일 때 조합형 자장 발생기(5)의 자력이 최대가 되도록하여 회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밸브가 가장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절기 케이스(1) 상측의 리바운드 행정에서는 오링(3)이 환설된 피스톤 로드(2) 상부의 리바운드 챔버(A)의 압력이 하부의 컴프레이션 챔버(B) 압력보다 높아져 피스톤 로드(2) 하부 일측의 유로(10)에 스프링(13)과 연결하여 설치한 첵크볼(11)을 유로내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리바운드 챔버(A)의 유체가 피스톤 로드(2) 내부의 유로(10)로 유입된다.
이때 두랄루민 슬리브(9)의 하단 부분이 피스톤 로드(2)에 형성한 유로(10)의 중간을 막고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6)과 솔레노이드(7)가 조합된 조합형 자장 발생기(5)에서 자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6)을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두랄루민 슬리브(9)와 로드(4)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유로(10)의 중앙부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이 개방된 유로(10)를 통하여 유체가 흐르게 되면, 유체의 흐름 압력에 의해 지지판(17')에 스프링(14')으로 탄력설치된 첵크볼(16)이 밀리면서 유체가 흘러나가게 된다.
또, 상기 컴프레이션 행정에서는 오링(3)이 환설된 피스톤 로드(2) 상부의 컴프레이션 챔버(B) 압력이 상부의 압력보다 높아져서 첵크밸브(12)를 밀어내게 되면서 유체가 피스톤 로드(2)의 유로(10)로 유입된다.
이때 두랄루민 슬리브(9)의 하단 부분이 피스톤 로드(2)에 형성된 유로(10)의 중간을 막고 있기 때문에 조합형 자장 발생기(5)에서 자장을 발생하여 영구자석(6)을 끌어 당기게 되면, 상기 두랄루민 슬리브(9)와 로드(4)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유로(10)가 개방되며 이 개방된 유로(10)를 통하여 유체가 흐르게 되면, 유체에 의해 지지판(17)에 스프링(14)으로 탄력설치된 첵크볼(15)을 밀어 내면서 유체가 흘러나가게 된다.
또, 로드(4) 하부에 고정된 두랄루민 슬리브(9)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압력을 결정함에 따라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과 흐름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책크볼들을 지지하는 각각의 스프링 강성에 의해서도 유체의 흐름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유로조절기를 댐퍼에 적용시켜 댐퍼의 감쇠력을 임의의 원하는 값으로 유체의 흐름과 압력을 간편,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작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조절기 케이스(1)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2)를 오링(3)을 환설한 상태로 설치하여 리바운드 챔버(A)와, 컴프레이션 챔버(B)가 형성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2)의 내부 중앙에 스틸 슬리브(8)와 두랄루민 슬리브(9)가 상하에 설치되는 로드(4)를 설치하고 상기 슬리브(8)(9)들의 사이에는 영구자석(6)과 솔레노이드(7)를 조합한 조합형 자장 발생기(5)를 설치하여 상기 로드(4)가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2)의 하부 양측에는 유로(10)를 형성하되, 이 유로(10)의 일측에는 상하 첵크볼(11)(12)을 내향되게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하고, 유로(10)의 타측에는 스프링(14)(14')으로 탄력설치되는 외향 첵크볼(15)(16)을 지지판(17)(17')으로 지지되게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KR1019950067212A 1995-12-29 1995-12-29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KR018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212A KR0181786B1 (ko) 1995-12-29 1995-12-29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212A KR0181786B1 (ko) 1995-12-29 1995-12-29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748A KR970046748A (ko) 1997-07-26
KR0181786B1 true KR0181786B1 (ko) 1999-04-15

Family

ID=1944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212A KR0181786B1 (ko) 1995-12-29 1995-12-29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7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748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694B2 (en) Bi-stable shock absorber assembly
KR930001977B1 (ko) 감쇄력조절이 가능한 유압완충기
US5244063A (en) Controllable or regulatable hydraulic shock absorber
US5046755A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system
KR100527732B1 (ko) 공압 현가장치
KR20120061922A (ko) 자동차 쇽 업소버
JPH04203540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CN102076988A (zh) 用于减震器阀的压力调节装置
JPH0341237A (ja) ハイドロリツク式の振動減衰器
US5400877A (en) Two-tube shock absorber
KR100507756B1 (ko) 자기가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장치
CN113613915A (zh) 阻尼力调节式缓冲器
KR0181786B1 (ko) 견인식 비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단방향 유로조절기
CN110822003B (zh) 阻尼力可变减震器
KR100391419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US11242906B2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RU2500936C1 (ru) Адаптив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KR0150568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차량용 유압댐퍼의 감쇠력조절장치
KR20150128455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424992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0776565B1 (ko)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KR20070065115A (ko) 차량용 쇽 업소오버
KR0127882B1 (ko) 유압완충장치
KR20200113808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114763818A (zh) 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