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418B1 -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418B1
KR0181418B1 KR1019960001609A KR19960001609A KR0181418B1 KR 0181418 B1 KR0181418 B1 KR 0181418B1 KR 1019960001609 A KR1019960001609 A KR 1019960001609A KR 19960001609 A KR19960001609 A KR 19960001609A KR 0181418 B1 KR0181418 B1 KR 0181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attenuation
unit
digital
pow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764A (ko
Inventor
이만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418B1/ko
Publication of KR97005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에 의한 고주파 전력 레벨 변화에 따른 레벨 불균일 개선을 위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고주파수의 전력 레벨을 감쇄제어데이타에 따라 제어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 출력을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 전력 레벨을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고주파수대별로 그에 해당하는 일정한 값을 코트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원하는 고주파수를 선택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레벨 데이타와 메모리부에서 해당 주파수대에 해당하는 일정 코드값을 가산하여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의 고주파수 전력 레벨의 감쇄를 제어하는 감쇄제어데이타를 발생하는 감쇄제어데이타 발생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파수 선택에 따른 고주파 감쇄량이 정해지고 그 값이 디지탈 제어 감쇄기에 가해져서 항상 일정한 고주파 전력 레벨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감쇄제어 데이타 발생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파수변환에 의한 고주파 전력 레벨 변화에 따른 불균일 개선을 위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다의 송신부는 주파수 합성 기능을 하는데 그 최종출력의 크기는 주파수 합성 장치의 출력단에서 제어하게 되어 있다. 주파수 합성 장치(Frequency Synthesizer)는 저주파 발생 장치에서 기준 주파수를 출력하면 그 주파수를 체배 및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영역의 주파수를 조작한다.
레이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합성 장치의 최종 출력단의 주파수는 10.1GHz ∼ 10.6GHz 인데 그 간격은 3.125 MHz 단위로 약 600개의 주파수가 존재하며 2중 하나의 주파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진다. 주파수를 선택할 때의 스위칭 속도는 약 1usec이며, 이때 고주파 출력 레벨이 스위칭 시간 및 주파수 설계에 의해 각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전력 레벨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지 못하고 어느 주파수 간격으로 불연속 점이 생긴다.
이 불연속점의 고주파 전력 레벨은 다른 주파수의 전력레벨에 비해서 상당히 낮아지므로 시스템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 적용되고 있는 전력 레벨 조정은 로그(Log)함수적으로 변화하는 고주파 전력을 정해진 기준 범위에 맞추기 위해서 주파수 합성 장치의 최종 출력단에 감쇄기를 부착하였다. 감쇄기(도시안됨)는 입력 신호를 원하는 양만큼 감쇄시켜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전력 레벨 조정은 출력된 전력을 모니터하여 감쇄기에 제어량을 엑세스하여 많은 주파수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어하였다. 종래와 같은 전력 제벨 제어는 스위칭에 의한 선택 때문에 주파수 변화에 대한 시스템의 동작 속도가 늦어 질 뿐만 아니라 사용상 불편한 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에 따라 디지탈 제어 감쇄기의 감쇄량을 조정함으로서 고주파 전력 레벨이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자동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에 의한 고주파 전력 레벨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에 의한 고주파 전력 레벨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고주파수의 전력 레벨을 감쇄제어데이타에 따라 제어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 출력을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에서 출력되고 고주파수 전력 레벨을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고주파수대별로 그에 해당하는 일정한 값을 코드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원하는 고주파수를 선택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레벨 데이타와 메모리부에서 해당 주파수대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가산하여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의 고주파수 전력 레벨의 감쇄를 제어하는 감쇄제어데이타를 발생하는 감쇄제어데이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도는 입력되는 고주파수(RF)를 디지탈 제어 감쇄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에서의 출력을 증폭하는 RF 증폭부(120)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각각의 고주파가 코드화 되어 저장된 메모리부(160)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에서 출력되는 감쇄된 고주파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와, 선택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메모리(160)로부터 읽어내는 제어부(140),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 및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값을 입력하여 각각의 신호를 가산한 후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로 출력하는 감쇄제어 데이타발생부(130)로 구성된다.
제1도에서 먼저 사용자는 원하는 고주파(RF) 신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고주파 신호는 10.2GHz 라고 가정한다. 선택된 고주파 주파수는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로 입력되어 고주파 전력 레벨이 제어된다. 디지탈 제어 감쇄부(DCA)(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고주파수의 전력 레벨을 감쇄제어데이타에 따라 제어한다.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로부터 출력된 감쇄된 신호 레벨의 크기는 커플링 소자에 의해 커플링 되어 고주파수의 전력 레벨 값만 추출되며, 이 레벨 값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에 의해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다.
메모리부(160)는 0.1GHz ∼ 10.6GHZ를 3.125 MHz 단위로 실험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일정값의 코드를 할당하여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고주파(RF)신호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그 고주파 신호값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메모리부(160)로부터 읽어낸다. 예를 들어 선택된 고주파 신호가 10.2GHz 라면 제어부(140)는 그에 해당되는 일정값의 코드를 출력한다.
감쇄제어데이타발생부(130)는 제어부(140)에서 10.2GHz에 해당하는 일정 코드값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출력 레벨에 대한 데이타값이 가산되어 10.2GHz에 해당하는 디지탈 감쇄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따라서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는 감쇄제어데이타발생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제어 데이타에 의하여 입력되는 고주파의 감쇄량을 제어한다.
제2도는 제1도의 감쇄제어데이타 발생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코드값을 일시 저장하는 래치부(210)와, 상기 래치부(210)에서 출력된 코드값과 제1도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값을 가산하여 가산된 디지탈 값을 출력하는 가산부(220)로 구성된다.
제2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2는 각각의 고주파수가 코드에 의해서 정해진 값이며, 204는 제1도의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에 의해 디지탈로 변환된 데이타이다.
예를 들어 선택된 고주파수의 전력 레벨이 10dB 정도 감쇄되었다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에서는 10dB 감쇄된 고주파수의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한다.
제어부(140)에서 발생하는 코드값(202)은 시간 타이밍을 맞추기 위하여 래치부(210)에 일시 저장되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전력 레벨이 변화된 데이타와 가산부(220)에 의해 가산된다.
따라서 가산부(220)에 의해 가산된 디지탈 데이타(예를 들어 0 ∼ 31dB에 대한 데이타)를 제1도의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에 고주파 제어량으로 가함으로서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의 동작은 8비트의 제어 신호를 조작하여 고주파 전력을 31dB까지 감쇄 할 수 있다.
디지탈 제어 감쇄부(110)에 의해 감쇄되어진 고주파(RF)는 고주파수증폭부(120)부에 의해 감쇄된 전력을 보상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주파수 선택에 따른 고주파 감쇄량이 정해지고 그 값이 디지탈 제어 감쇄기에 가해져서 항상 일정한 고주파 전력 레벨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주파수 변환에 의한 고주파 전력 레벨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고주파수의 전력 레벨을 감쇄제어데이타에 따라 제어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 출력을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 전력 레벨을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고주파수대별로 그에 해당하는 일정한 값을 코드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원하는 고주파수대를 선택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달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레벨 레이타와 메모리부에서 해당 주파수에 해당하는 일정코드값을 가산하여 상기 디지탈 제어 감쇄부의 고주파수 전력 레벨의 감쇄를 제어하는 잠쇄제어데이타를 발생하는 감쇄제어데이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제어데이타 발생부는 상기 메모리부에서 출력되는 코드값을 일시 저장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에서 출력된 코드값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KR1019960001609A 1996-01-25 1996-01-25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KR0181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609A KR0181418B1 (ko) 1996-01-25 1996-01-25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609A KR0181418B1 (ko) 1996-01-25 1996-01-25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64A KR970059764A (ko) 1997-08-12
KR0181418B1 true KR0181418B1 (ko) 1999-04-01

Family

ID=1945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609A KR0181418B1 (ko) 1996-01-25 1996-01-25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4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64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174B1 (ko) 저전력 디지탈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신호 재생 방법
US470940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transmitter
US5313658A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in a radio apparatus
RU21543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бочего диапазона входных сигнал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 диапазоном цифрового приемника
US20030199264A1 (en) Direct current offset cancellation for mobile station modems using direct conversion
US5917372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KR920704459A (ko) 시분할 다중 액세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용전력 제어회로
GB2317284A (en) A transceiver in which the gains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controlled in a timed relation to the transmit/receive switching
GB2318003A (en) Automatic gain control 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receiver
US7046976B2 (en) Receiving device with automatic gain control
JP5409979B2 (ja) バンドエッジ振幅低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8265073A (ja) Agc回路
US7120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 performance and high dynamic range baseband power control system
US5507022A (en) Electric field level detecting apparatus
AU1066601A (en) Receiver, transceiver, radio unit and method for telecommunication
KR0181418B1 (ko) 디지탈 제어 감쇄 장치
KR100603718B1 (ko) 전력 이득 제어 방법
KR100390666B1 (ko)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에 이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및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 출력 시스템
KR20020041516A (ko) 중계기 및 무선 주파수 시스템의 자동 이득 설정 방법
US5519888A (en) Receiver incorporating an other users noise simulator (OUNS)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
MY117058A (en)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KR100401239B1 (ko) 업링크 영역확장을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
KR100282398B1 (ko) 기지국의 송신 장치
KR100285707B1 (ko)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JPS63425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