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547B1 -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547B1
KR0179547B1 KR1019960064412A KR19960064412A KR0179547B1 KR 0179547 B1 KR0179547 B1 KR 0179547B1 KR 1019960064412 A KR1019960064412 A KR 1019960064412A KR 19960064412 A KR19960064412 A KR 19960064412A KR 0179547 B1 KR0179547 B1 KR 017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utput
air flow
flow sensor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123A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54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CU에 의해서 일정한 모니터링 조건이 갖추어지면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체크하여 이때의 주파수에 따라 고장을 판정하여 그즉시 점검 및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엔진의 안정된 구동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구동하면서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고장을 판단할 모니터링 조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그때부터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체크토록 하는 단계와; 이렇게 체크되는 출력 주파수(FO)가 기설정한 최소 주파수(FMIN)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소 주파수(FMIN)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이같은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소 주파수(FMIN)보다는 크다고 판단되면 다시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으면 바로 정상으로 판정을 하고, 작지 않으면 이같은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한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 이상을 지속하게 되면 즉시 고장으로 판정을 하고, 일정 시간 이내로 체크되면 정상으로 판정을 하는 단계로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방법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의 내부에 장착되어 흡입 공기량을 측정토록 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AIR FLOW SENSOR)의 고장판단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엔진에 공급되는 흡입 공기량은 엔진 출력에 관계하여 엔진의 흡기 및 배기계의 양부(良否)를 표시하는 중요한 측정항목인 동시에 실린더 내의 공연비는 연소 및 배출가스의 특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연료 유량과 같이 흡입 공기량의 측정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정상 운전시의 평균 유량 측정만이 아니라 목적에 따라 흡기계의 변동하는 흐름이나 사이클 중의 변화등 동적인 측정이 필요하며, 더욱이 가속 및 감속시의 급격한 변화 및 다실린더 엔진의 맥동류 해석에는 순간 유량을 정밀하게 계측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 공기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것이 에어 플로우 센서인바 통상적으로 에어 클리너 내부에 장착시켜 감지되는 흡입 공기량을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로 약칭함)에 전달하게 되므로서 흡입 공기량 신호와 엔진 회전수 신호를 이용해 ECU에서 연료의 기본 분사 시간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현재 에어 플로우 센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칼만 와류 현상을 이용한 것인바 도 2 에서 보는바와 같이 공기가 흐르는 통로에 와류발생기둥(1)을 설치하면 상기 기둥(1)을 통과시 와류가 발생하면서 초음파 증폭기(2)를 통해 증폭되어 발신기(3)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가 칼만 와류에 의해 잘려질 때 칼만 와류 수만큼 밀집되거나 분산된 후 수신기(4)에 전달되면 변조기(5)에 의해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ECU(6)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르면 칼만 와류의 발생이 증가하고, 유속이 늦어지게 되면 와류의 발생이 감소되어 전기적 신호가 변동되면서 이를 ECU(6)가 체크하여 그에 따라 연료의 공급과 점화시기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에어 플로우 센서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를 적시에 체크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 구동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에야 전문 정비업소에서의 점검에 의해 비로소 알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을 고장상태로 방치하게 되므로서 엔진의 각종 제어계통에 연쇄적인 고장을 야기하고, 그로인해 엔진 내구력을 대단히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ECU에 의해서 일정한 모니터링 조건이 갖추어지면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체크하여 이때의 주파수가 기입력된 허용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 일정시간을 지속해서 출력하면 이를 고장으로 판단하여 그즉시 점검 및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엔진의 안정된 구동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구동하면서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고장을 판단할 모니터링 조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그때부터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체크토록 하는 단계와;
이렇게 체크되는 출력 주파수(FO)가 기설정한 최소 주파수(FMIN)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소 주파수(FMIN)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이같은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소 주파수(FMIN)보다는 크다고 판단되면 다시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으면 바로 정상으로 판정을 하고, 작지 않으면 이같은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한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 이상을 지속하게 되면 즉시 고장으로 판정을 하고, 일정 시간 이내로 체크되면 정상으로 판정을 하는 단계로서 수행되는 제어방법이 특징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순서도
도 2 는 종래의 에어 플로우 센서 작동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발신기
4 : 수신기
5 : 변조기
6 :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차량 스스로가 에어 플로우 센서의 작동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진단기능이 구비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차량 흡기계에 장착이 되는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FO)는 엔진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값을 갖는다.
즉 정상적인 엔진 구동에서 아이들이나 부분부하 또는 전부하시의 출력 주파수가 다르게 체크되는바 이러한 정상적인 구동시의 출력 주파수 허용범위를 ECU에 미리 입력되도록 하고, 각 구동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주파수를 기설정된 출력 주파수와 비교하므로서 그에 따라 센서작동 상태가 체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에서 보는바와 같이 엔진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일정 주파수가 출력되는 모니터링 조건에 적합한지를 먼저 판단한다(단계 1).
모니터링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이때 에어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체크하게 된다(단계 2).
이때 체크되는 주파수에 대해 ECU내에는 미리 정상적인 출력 주파수의 일정 허용 범위를 설정되도록 하고 있어 출력되는 주파수(FO)가 먼저 기설정한 최소 주파수(FMIN)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3).
상기의 단계에서 만일 출력 주파수(FO)가 최소 주파수(FMIN)보다 크다고 판단될 때에는 다시 출력 주파수(Fo)가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FMAX)보다 큰지를 판단하고(단계 4), 반대로 작다고 판단될 때에는 이를 페일 주파수로 판단하여 이러한 페일 주파수가 출력되는 시간(TO)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TS)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
또한 상기의 단계(단계 4)에서 출력 주파수(Fo)가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그 즉시 정상으로 판정을 하고(단계 6), 반대로 크다고 판단되면 이를 페일 주파수로 간주하여 이러한 페일 주파수가 출력되는 시간(TO)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TS)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
상기에서와 같이 출력 주파수(Fo)가 기설정한 최소 주파수(FMIN)보다 작거나 최대 주파수(FMAX)보다 큰 페일 주파수를 기설정한 일정 시간(TS) 이상 지속하게 되면 이를 ECU에서는 고장으로 판정을 하며(단계 7), 일정 시간(TS) 이내로 체크되면 바로 정상으로 판정을 한다(단계 6).
한편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의 출력 주파수(FO)에 대한 ECU에서의 기설정 최소 주파수(FMIN)는 3.3㎐이고, 최대 주파수(FMAX)는 800㎐으로 설정되도록 하며, 페일 주파수의 허용 출력 시간인 기설정한 일정 시간(TS)은 약 4초로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ECU에서 에어 플로우 센서를 고장으로 판정을 하게 되면 상기 ECU는 즉시 별도의 경고등이나 버저 등과 같은 경고수단을 작동시켜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적절한 정비 및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에어 플로우 센서의 작동상태를 차량 스스로가 체크하면서 고장시 이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적시에 에어 플로우 센서의 점검 및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시의 과도한 운전에 따른 제어계통의 손상을 방지시켜 안정된 엔진 구동성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내구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적절한 흡기조절로 배기저감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엔진이 구동하면서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고장을 판단할 모니터링 조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그때부터 에어 플로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체크토록 하는 단계와; 이렇게 체크되는 출력 주파수(FO)가 기설정한 최소 주파수(FMIN)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소 주파수(FMIN)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이같은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TS)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소 주파수(FMIN)보다는 크다고 판단되면 다시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최대 주파수(FMAX)보다 작으면 바로 정상으로 판정을 하고, 작지 않으면 이같은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TS)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와 같이 최소 주파수(FMIN)보다는 작고, 최대 주파수(FMAX)보다는 큰 페일 주파수 출력이 기설정한 일정 시간(TS) 이상을 지속하게 되면 즉시 고장으로 판정을 하고, 일정 시간(TS) 이내로 체크되면 정상으로 판정을 하는 단계와; 로서 수행되는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에서 체크되는 출력 주파수(FO)에 대한 허용 범위인 최소 주파수(FMIN)는 3.3㎐이고, 최대 주파수(FMAX)는 800㎐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페일 주파수 허용 출력 시간(TO)인 기설정한 일정 시간(TS)은 약 4초로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단계로서 고장으로 판정시 운전석에 별도로 장착되는 경고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KR1019960064412A 1996-12-11 1996-12-11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KR017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412A KR0179547B1 (ko) 1996-12-11 1996-12-11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412A KR0179547B1 (ko) 1996-12-11 1996-12-11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123A KR19980046123A (ko) 1998-09-15
KR0179547B1 true KR0179547B1 (ko) 1999-03-20

Family

ID=1948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412A KR0179547B1 (ko) 1996-12-11 1996-12-11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011B1 (ko) * 2000-09-29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흡입 공기량 센서 제어방법
KR20020036338A (ko) * 2000-11-09 2002-05-16 류정열 자동차의 공기량 센서 고장 진단 방법
KR100362112B1 (ko) * 2000-11-16 2002-11-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행중 공기량 오인식에 의한 쇼크 개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12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49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oxygen sensor and controlling air/fuel ratio
JP200552946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燃料インジェクタの故障を識別するための診断システム
KR20020005600A (ko) 엔진, 특히 자동차의 엔진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US2002003586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nsor diagnosis
JPH0550693B2 (ko)
CA2142396C (en) Misfire-determining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30092836A (ko) 차량의 리어 산소센서 고장 판정방법
US4895118A (en) Valve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0179547B1 (ko) 에어 플로우 센서 고장판단 방법
JP2005188309A (ja) スロットル系の異常判定装置
US20080028844A1 (en) Monitoring of a Cam Profile Switching System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20005605A (ko) 특히 차량의 엔진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JP2000291485A (ja) エンジンの失火検知装置
KR100380070B1 (ko) 배기가스 누설 감지방법
KR100767507B1 (ko) 후방 산소센서 고장 판단 방법
JPH1017546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2202720B1 (ko) 물분사 인젝터 고장진단 방법 및 장치
KR100204155B1 (ko) 맵 센서의 모니터링 방법
KR100219207B1 (ko) 흡기관 압력센서의 고장진단방법
KR100300720B1 (ko) Map센서고장진단방법
JPS62170761A (ja) エンジンの排気再循環装置
JP2881266B2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100376718B1 (ko) 자동차용 6기통 엔진의 리어 산소센서를 이용한 촉매모니터링 방법
KR100205902B1 (ko) 차속센서의 결함 판정방법
JP2008121559A (ja) 気流制御弁の故障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