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531B1 -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531B1
KR0179531B1 KR1019950059761A KR19950059761A KR0179531B1 KR 0179531 B1 KR0179531 B1 KR 0179531B1 KR 1019950059761 A KR1019950059761 A KR 1019950059761A KR 19950059761 A KR19950059761 A KR 19950059761A KR 0179531 B1 KR0179531 B1 KR 017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trol
induction heating
transistor
electromagnetic induction
working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343A (ko
Inventor
정용채
우성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5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531B1/ko
Publication of KR97005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유도가열 조리기 있어, 하나의 인버터 회로로서 다수개의 워킹 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회로의 구성을 최소화하고, 다수개의 워킹 코일의 출력제어를 실행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간섭음을 방지하며, 또한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파수 제어에 의한 경우 인접한 워킹 사이에 동작주파수의 차이에 의한 간섭음이 발생하게 되어 워킹 코일의 정확한 출력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또한 각각의 구성된 인버터만큼 정류수단과 입력단의 정류수단으로 부터의 전압을 평활 및 필터링하게 되는 L, C 필터를 구성하여야 만 하므로서, 전체 회로가 복잡하게 되며, 기기구성에의 경제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회로구성을 최소화하여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고 공통의 정류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하나의 인버터 회로로서 시분할 제어를 통하여 두개의 워킹 코일의 출력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간섭음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고,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이용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이다.

Description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워킹 코일(L11)이 동작하게 될 경우의 각 부 파형을 보인 도면으로서,
(a) ∼(c)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스위칭 파형도.
(d) 는 도면(a)∼(c)의 스위칭 파형에 의한 동작되는 워킹 코일의 전류변화 파형도.
(e) 는 공진콘덴서의 전압파형도.
(f) ∼(h)는 각 스위칭 소자의 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1 : 입력전압 필터 콘덴서 C12 : 보조 공진용 콘덴서
L11, L12 : 워킹 코일 C13, C14 : 공진용 콘덴서
본 발명은 전자 유도가열 조리기 있어, 하나의 인버터회로로서 다수개의 워킹 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회로의 구성을 최소화하고, 다수개의 워킹 코일의 출력제어를 실행하게 될때 발생하게 되는 간섭음을 방지하며, 또한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출력 제어를 위한 전자 유도 가열조리 장치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워킹 코일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한 전원에 여러개의 인버터회로를 병렬로 구성하게 되는 바, 제1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전자유도 가열조리의 구성은 회로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를 구성하며,
상기 전원공급부(1)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2)와,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초크코일(L1) 및 콘덴서(C1)와, 평활된 전원을 입력받아 스위칭하여 가열판을 가열하기 위한 인버터(3)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회로가 상기 구성된 전원공급부(1)에 다수개(n)가 접속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버터(3)는 구성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부로 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원을 베이스로 입력받아 스위칭하게 되는 트랜지스터(Q1, Q2)와, 트랜지스터(Q1, Q2)의 보호용으로 트랜지스터(Q1, Q2) 각각에 역병렬로 구성되는 다이오드(D1, D2)와, 공진 콘덴서(C2)와,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스위칭에 의해 전달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콘덴서(C2)와 공진하여 가열판을 가열시키는 워킹 코일(Lr1)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자유도 가열조리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하나의 전원을 각각 정류하여 각각의 구성되는 인버터회로를 통하여 가열판을 가열시키게 되는 바,
여러개의 워킹 코일(Lr1, Lr2......Lrn)을 가열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병렬로 인버터(3, 3-1, 3-2, ....3-n)를 구성시키므로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가열판을 가열시키도록 하는 종래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워킹 코일의 가열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부(1)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정류부(2)를 거쳐 DC전원으로 정류되어지게 되고, 상기 정류부(2)에서 정류된 전원은 초크 코일(L1) 및 콘덴서(C1)을 거치면서 평활되어져 인버터(3)로 인가된다.
인버터(3)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전원을 입력받아 트랜지스터(Q1, Q2)의 스위칭에 의해 워킹코일(Lr1)을 가열시키게 되어 가열판의 조리대상물을 가열시키게 되는 바,
트랜지스터(Q1, Q2)는 SMPS부(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음)로 부터 별도의 스위칭전압을 입력받아 스위칭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스위칭동작에 의한 워컹코일(Lr1)의 가열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SMPS부에서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초기 스위칭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로 인가되는 스위칭 전압에 의해 온 스위칭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온 스위칭 되므로서, 정류부(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워킹 코일(Lr1)을 통해 트랜지스터(Q2)로서 루프(Loop)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루프에 의해 워킹 코일(Lr1)은 공진을 하게 된다.
이때, SMPS부에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스위칭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키고,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면, 트랜지스터(Q1)가 온 스위칭되면서 워킹 코일(Lr1)에 축적된 전류에 의해 역방향으로 트랜지스터(Q1)를 통한 루프가 형성되어, 워킹 코일(Lr1)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위칭을 반복하여 워킹 코일(Lr1)을 가열시키게 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온 스위칭 시간 즉, 듀티(Duty)비의 변화에 따라 워킹 코일(Lr1)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구성된 인버터(3, 3-1, ....3-n)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가열판을 가열시키게 되며, 이들 각각의 출력전력 제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파수제어를 통하여 듀티비를 변화시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경우 인접한 워킹코일 사이에 동작주파수의 차이에 의한 간섭음이 발생하게 되어 워킹 코일의 정확한 출력제어가 이루이지지 않게 되며, 또한 각각의 구성된 인버터만큼 정류수단과 입력단의 정류수단으로 부터의 전압을 평활 및 필터링하게 되는 L, C필터를 구성하여야 만 하므로서, 전체 회로가 복잡하게 되며, 기기구성에의 경제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출력 제어를 위한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에 있어서 발생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진형 가열 조리기를 제안하는 바,
공통된 정류수단으로 부터 인가된 전원을 입력받아 모듈 단위의 인버터 회로의 공통수단을 공유하도록 하여 회로구성을 최소화시켜 구성하여, 이들 각각의 워킹 코일의 출력제어를 시분할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다수개의 가열판이 가열하게 될때 발생되는 간섭음의 문제를 해결하고, 크기 및 가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된 다출력 제어를 위한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이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므로서, 스위칭 소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구성은 전원공급수단과, 공급된 전원의 정류수단과, 상기 정류수단으로 부터 정류된 공통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가열판을 가열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워킹 코일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로서 이루어지게 되는 바,
도면 제2도는 상기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가되는 DC전원을 필터링하여 입력역률을 향상시키는 콘덴서(C11)와, 별도의 스위칭전원에 의해 스위칭되어 인가되는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게 되는 트랜지스터(Q11)와, 상기 트랜지스터(Q11)에 역병렬 접속되는 보호용 다이오드(D11)와, 별도의 스위칭 전원을 베이스로 입력받아 스위칭동작하게 되는 트랜지스터(Q12)와,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역병렬 다이오드(D12)와, 상기 트랜지스터(Q12)에 병렬접속되는 보조공진용 콘덴서(C12)와, 별도의 스위칭 전원을 입력받아 온/오프 스위칭하여 워킹 코일(L11, L12)을 가열 제어동작시키는 트랜지스터(Q13, Q14)와, 상기 트랜지스터(Q13, Q14)에 각각 역병렬접속되는 보호용 다이오드(D13, D14)와, 워킹 코일(L11, L12)과 각각 공진하게 되는 콘덴서(C13,14)와, 스위칭 제어에 의해 상기 콘덴서(C13,C14)와 각각 공진하여 가열판을 가열시키는 위킹 코일(L11, L12)과, 보조 다이오드(D15, D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는 하나의 인버터 회로로서 두개의 워킹 코일을 동작시켜 두개의 가열판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면 제3도는 워킹 코일(L11)이 동작하게 될때의 각 부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상태 t0에서는 트랜지스터(Q14)는 오프상태이고, 보조 공진 콘덴서(C12)의 전압은 입력전압과 같은 상태이며, 다른 공진소자들의 초기값은 0이다.
이때, 제3도의 (a)와 (b)에서와 같이, t0에서 트랜지스터(Q11, Q13)를 온시키면 입력되는 DC전원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1, Q13)를 통해 워킹 코일(L11)에는 제3도의 (d)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이후, 어느 설정치에 이르러 영전압 조건으로 트랜지스터(Q11)를 오프시키게 되면, 입력 전원에 의한 루프는 끊어지게 되고, 워킹 코일(L11)에 축적된 전류에 의하여 보조 공진용 콘덴서(C12)와 워킹 코일(L11)은 아주 짧은 시간동안 공진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공진이 진행되어 보조 공진용 콘덴서(C12)의 전압이 영까지 떨어지게 되면, 워킹 코일(L11)의 전류는 워킹 코일(L11)트랜지스터(Q13)다이오드(D16)다이오드(D16) 또는 워킹 코일(L11)트랜지스터(Q13)다이오드(D12)의 경로로 순환(FreeWheeling)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2)의 역병렬 다이오드(D12)는 생략해도 무방한 것이다.
이때, t3에서 트랜지스터(Q13)를 오프시키고, 트랜지스터(Q12)를 온 시키면, 워킹 코일(L11)과 콘덴서(C13)가 공진을 하게 된다.
이후, 워킹 코일(L11)의 전류는 반대방향으로 계속 공진을 해서 다시 콘덴서(C13)의 전압이 제3도의 (e)에서와 같이, 콘덴서(C13)의 전압이 상승하다 다시 영이 되면, t5에서 워킹 코일(L11)의 전류는 워킹 코일(L11)트랜지스터(Q12)다이오드(D13)의 경로로 다시 순환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로 전류가 순환하게 될때, t6에서 트랜지스터(Q12)를 오프시키게 되면, 워킹 코일(L11)의 축적된 전류에 의하여 보조 공진용 콘덴서(C12)와 워킹 코일(L11)은 아주 짧은 시간동안 다시 공진을 하게 되며, 이와같은 공진에 의하여 콘덴서(C12)의 전압은 다시 입력 DC전압과 같아지게 된다.
그리고, 워킹 코일(L11)의 나머지 전류는 트랜지스터(Q11)에 접속된 역병렬 다이오드(D11)를 통해 입력측으로 흐르게 되므로서, (d)에서와 같이 워킹 코일(L11)의 전류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1, Q13)의 전압이 영이므로 t7의 영전압 조건에서 트랜지스터(Q11, Q13)를 다시 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11,Q13)가 또다시 온 스위칭되어(d)에서와 같이, 워킹 코일(L11)의 전류가 영까지 떨어지게 되면 한 주기(1T)가 끝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반복적으로 하면 적절한 전력이 워킹 코일(L11)에 전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워킹 코일(L11)에 대한 동작과정을 설명한 것인바, 또하나의 워킹 코일(L12)도 상기의 작용과정에 의한 동작을 실행하게 되며, 이때 두개의 워킹 코일(L11, L12)을 동시에 동작시키지는 않으며, 두개의 가열판을 동시에 가열시키기 위하여 워킹 코일(L11, L12)을 모두 동작시키게 될때에는 시분할 제어를 통하여 하나의 워킹 코일(L11 또는 L12)만을 동작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워킹 코일(L11 또는 L12)을 동작시키게 된다.
즉, 워킹 코일을 번갈아 가면서 동작시키게 되므로 두개의 가열판을 동시에 가열시키게 될때에도 간섭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워킹 코일(L11)이 동작하고 있을 경우에는 다른 워킹 코일(L12)에는 아무런 전압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워킹 코일(L11)이 동작하고 있을 때 워킹 코일(L12)에 유기되는 전류는 없다.
또한, 공진 콘덴서(C13 또는 C14)에도 전혀 유기되는 전압은 없다.
그리고, 소프트 스위칭방식을 이용하여 제어하게 되므로서, 제3도에서의 (e)~(h)에서 보면 스위칭 손실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공통된 스위칭 소자를 공유하여 회로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구성된 하나의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두개의 워킹 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워킹 코일간의 시분할 제어를 통해 워킹 코일간의 간섭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이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하므로서, 저소음의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인버터의 크기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인가되는 DC전원을 필터링하여 입력역률을 향상시키는 콘덴서(C11)와, 별도의 스위칭 전원에 의해 스위칭되어 인가되는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게 되는 트랜지스터(Q11)와, 상기 트랜지스터(Q11)에 역병렬 접속되는 보호용 다이오드(D11)와, 별도의 스위칭 전원을 베이스로 입력받아 스위칭동작하게 되는 트랜지스터(Q12)와,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역병렬 다이오드(D12)와, 상기 트랜지스터(Q12)에 병렬접속되는 보조공진용 콘덴서(C12)와, 별도의 스위칭 전원을 입력받아 온/오프 스위칭하여 워킹 코일(L11, L12)을 가열 제어동작시키는 트랜지스터(Q13, Q14)와, 상기 트랜지스터(Q13, Q14)에 각각 역병렬접속되는 보호용 다이오드(D13, D14)와, 워킹 코일(L11, L12)과 각각 공진하게 되는 콘덴서(C13, C14)와, 스위칭 제어에 의해 상기 콘덴서(C13,C14)와 각각 공진하여 가열판을 가열시키는 워킹 코일(L11, L12)과, 보조 다이오드(D15, D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워킹 코일(L11, L12) 출력제어는 시분할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19950059761A 1995-12-27 1995-12-27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7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761A KR0179531B1 (ko) 1995-12-27 1995-12-27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761A KR0179531B1 (ko) 1995-12-27 1995-12-27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343A KR970058343A (ko) 1997-07-31
KR0179531B1 true KR0179531B1 (ko) 1999-05-15

Family

ID=194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761A KR0179531B1 (ko) 1995-12-27 1995-12-27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5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343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904A (en) Dual half-bridge type induction cooking apparatus for multi-output control
JP4065054B2 (ja) パルス幅変調インバータを含む電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x線システム
CA2456473A1 (en) Power supply for induction heating or melting
JPH07194122A (ja) 直流電圧発生回路装置
KR0179529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 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79531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79534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79537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0198302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79533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0198299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0198303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79530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 유도가열 조리장치
KR0179536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장치
KR0179535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 유도가열조리장치
KR0179532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 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0184137B1 (ko) 듀얼 풀 브릿지형 전자 유도 가열장치
KR100204243B1 (ko) 듀얼 풀 브릿지형 전자 유도 가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738832B2 (ja) 多出力制御のための共振型電子誘導加熱調理装置
KR100259818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스위칭구동회로
KR930011807B1 (ko) 고주파 가열장치
JP4867110B2 (ja) 誘導加熱装置
KR100186482B1 (ko) 유도 가열 조리기의 인버터
KR100186425B1 (ko) 자성/비자성용기 겸용 유도가열용 인버터
KR19990032341A (ko) 다부하를 갖는 병렬 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 가열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